KR100386359B1 - 회전형 커넥터가 부착된 스위치 - Google Patents

회전형 커넥터가 부착된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6359B1
KR100386359B1 KR10-1999-0003525A KR19990003525A KR100386359B1 KR 100386359 B1 KR100386359 B1 KR 100386359B1 KR 19990003525 A KR19990003525 A KR 19990003525A KR 100386359 B1 KR100386359 B1 KR 100386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connector
contact portion
case
insula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3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2390A (ko
Inventor
와가쓰마도오루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90072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2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6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63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1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the switch being actuated by an accessory, e.g. cover, locking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1Contact members of coupling parts operating as switch, e.g. linear or rotational movement required after mechanical engagement of coupling part to establish electrical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5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open/close det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1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lephon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중첩식 전화기 등에 구비된 전원을 전환하는 마이크로 스위치 대신에, 때때로 부주의하게 오프상태에서 온상태로 되는 경우가 없는 스위치기구를 갖는 회전형 커넥터가 부착된 스위치 (C) 를 제공한다.
커넥터단자 (7a) 를 갖는 회전형 커넥터부 (5) 와, 이 커넥터부의 회전운동에 의해 전환되는 스위치부 (D) 를 갖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커넥터부를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스위치부를 전환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스위치를 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방진효과를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회전형 커넥터가 부착된 스위치 {Switch having a rotary connector}
본 발명은 회전형 커넥터가 부착된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예컨대 중첩식 전화기나 노트형 퍼스널컴퓨터 등의 전자기기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회전형 커넥터가 부착된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뚜껑체를 개폐하는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스위치, 예컨대 종래의 스위치를 적용한 중첩식 전화기에 대하여 도면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도 8 은 종래의 스위치를 적용한 중첩식 전화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첩식 전화기는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대략 상자형의 본체부로서의 제 1 케이스 (21) 와, 마찬가지로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예컨대 플립 (뚜껑체) 이라 불리는 대략 상자형의 제 2 케이스 (31) 를 갖고 있다.
제 1 케이스 (21) 는 대향하는 측벽 (21a,21b) 과, 대향하는 상벽 (21c) 과 하벽 (21d) 에 의해 사방이 둘러싸이고, 상기 측벽 (21a,21b) 과 상벽 (21c) 과 하벽 (21d) 의 상하를 막는 정면벽 (21e) 과, 하면벽 (도시생략) 과, 상벽 (21c) 의 단부에 형성된 돌출부 (21f) 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 1 케이스 (21) 내에는 적어도 송화음성신호를 전송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음성신호 변환회로부 (26) 와, 이 음성신호 변환회로부 (26) 에 송화음성신호를 입력하는, 예컨대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 등에 형성된 1 쌍의 접속선 (35,35) 과, 도시하지 않은 전원회로부의 전원을 접촉·이격하는 마이크로스위치 (27) 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케이스 (21) 의 정면벽 (21e) 에는, 예컨대 스피커 등으로 이루어지는 수화부 (23) 와, 액정표시소자 등으로 이루어지는 표시부 (24) 와, 복수개의 푸시버튼 스위치 등으로 이루어지는 조작부 (25) 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안테나 (22) 는 막대형상의 금속재로 구성되어 있다. 이 안테나 (22) 는 제 1 케이스 (21) 의 돌출부 (21f) 에 의해 가이드되고, 좌측 측벽 (21a)의 근방에서 이 측벽 (21a) 을 따라 설치되어 있으며, 돌출부 (21f) 로부터 제 1 케이스 (21) 의 외측으로 잡아늘이거나 수납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 2 케이스 (31) 는 대향하는 측벽 (31a,31b) 과, 대향하는 상벽 (31c) 과 하벽 (31d) 에 의해 사방이 둘러싸이고, 상기 측벽 (31a,31b) 과 상벽 (31c) 과 하벽 (31d) 의 상하를 막는 정면벽 (31e) 과 하면벽 (도시생략) 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 2 케이스 (31) 의 정면벽 (31e) 의 하단부에는, 예컨대 마이크로 폰 등으로 이루어지는 송화부 (32) 가 설치되고, 또한 제 2 케이스 (31) 내에는 송화부 (32) 와 음성신호 변환회로부 (26) 를 접속하는, 예컨대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 등에 형성된 1 쌍의 접속선 (35,35) 이 제 1 케이스 (21) 로부터 연장형성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케이스 (21) 의 하벽 (21d) 과 제 2 케이스 (31) 의 상벽 (31c) 은, 예컨대 경첩형식 등 쉽게 분리되지 않는 소정 형식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제 1 케이스 (21) 와 제 2 케이스 (31) 는 분리되지 않고 둘로 접어 작게 할 수 있고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휴대형 중첩식 전화기는 소형화에 의한 휴대의 용이성과 편리성 등의 요망을 만족시켜 급속하게 보급되어 왔다. 이 중첩식 전화기는 소정 기능을 만족시킬 필요에서 그 구조, 디자인에 제약이 많고, 플립 (뚜껑체) 을 자유롭게 교환하는 것은 무리였다. 그 중에서 중첩식 전화기의 본체부를 덮는 플립에 시일을 붙이거나 그림을 그림으로써 차별화하는 것이 현실이다.
그리고, 중첩식 전화기에 있어서는 중첩되어 닫힌 상태에서 제 2 케이스(31) 를 약간 연 상태로 하면, 이 약간 열린 상태를 검지하여 제 1 케이스 (21) 의 마이크로 스위치 (27) 가 온상태로 되고, 이 온상태를 검지하여 이 중첩식 전화기의 전원을 온시키도록 구성하여 중첩식 전화기를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하고 있다.
이어서, 도시하지 않았으나, 중첩식 기구를 구비한 전자기기인 노트형 퍼스널컴퓨터 (PC) 에 대하여 설명한다.
노트형 PC 는 본체부로서의 제 1 케이스와 표시부로서의 제 2 케이스를 갖고 있다.
제 1 케이스에는 적어도 키보드와, 집적중앙연산소자 (CPU) 와, 이 CPU 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회로부와, 이 전원회로부의 전원을 온ㆍ오프하기 위한 전원스위치가 설치되고, 제 2 케이스에는 액정표시소자 등으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케이스에 설치한 CPU 와 제 2 케이스에 설치한 디스플레이부는, 예컨대 플랫 케이블 등의 접속선에 의해 직접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노트형 PC 를 사용할 때에는, 우선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가 접어 넣어져서 닫힌 상태에서 제 2 케이스를 열어 소정 각도까지 회전운동시킨다. 이어서, 제 1 케이스에 설치한 전원스위치를 조작해서 오프상태에서 온상태로 전환하여 노트형 PC 를 기동시켜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중첩식 전화기나 노트형 PC 에서는 제 1 케이스 (본체부) 에설치한 음성신호 변환회로부나 집적중앙연산소자와, 제 2 케이스 (플립) 에 설치한 송화부 (마이크로 폰) 나 디스플레이부가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 등에 형성된 1 쌍의 접속선에 의해 직접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케이스로부터 제 2 케이스를 용이하게 착탈·교환할 수 없다. 이 점에서 디자인상 융통성이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중첩식 전화기에서는 제 2 케이스가 때때로 약간 열린 상태로 되면, 제 1 케이스의 마이크로 스위치가 온상태로 되며, 이 약간 열린 상태가 유지되면 중첩식 전화기를 사용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전원이 들어온 상태로 되기 때문에, 전원을 낭비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노트형 PC 에서는 사용할 때에 제 2 케이스를 열고 나서 전원스위치를 조작하는 동작이 필요하게 되어 조작공정수가 증가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회전형 커넥터가 부착된 스위치에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서, 그 목적은 예컨대 중첩식 전화기나 노트형 PC 등의 전자기기에 적합한 회전형 커넥터가 부착된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관한 회전형 커넥터가 부착된 스위치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관한 회전형 커넥터가 부착된 스위치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관한 회전형 커넥터가 부착된 스위치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3 에 나타내는 회전형 커넥터가 부착된 스위치의 케이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관한 회전형 커넥터가 부착된 스위치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관한 회전형 커넥터가 부착된 스위치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에 관한 회전형 커넥터가 부착된 스위치를 적용한 중첩식 전화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8 은 종래의 스위치를 적용한 중첩식 전화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7 : 틀체 1c,17c : 구멍
2,8 : 부착부재 3 : 절연판
3b : 구멍 4 : 접점부
4a,10a,13a : 단자 4b,10b,13b : 접점부편
5,14,33 : 커넥터부 6,15 : 지지부재
6b,15b : 축부 7a,16a,33a : 커넥터단자
7b,16b : 가동접점부 (제 1 가동접점부) 9 : 제 2 절연판
9b,11b,12b : 구멍 10 : 제 2 접점부
11 : 회전운동부재 11b : 제 2 가동접점부
12 : 제 1 절연판 13 : 제 1 접점부
21 : 제 1 케이스 26 : 음성신호 변환회로
31 : 제 2 케이스 (플립) 32 : 송화부
C : 회전형 커넥터가 부착된 스위치 D : 스위치부
본 발명의 회전형 커넥터가 부착된 스위치는 커넥터단자를 갖는 회전형 커넥터부와, 이 커넥터부의 회전운동에 의해 연계동작하여 온ㆍ오프상태로 전환되는 스위치부를 갖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회전형 커넥터가 부착된 스위치는, 커넥터부는 절연재로 이루어지며 회전가능한 지지부재와, 이 지지부재에 부착된 커넥터단자와, 이 커넥터단자에 접속된 상태로 지지부재의 배면에 형성된 가동접점부로 구성되고, 스위치부는 커넥터부에 설치한 가동접점부와, 이 가동접점부에 접촉ㆍ이격하는 접점부를 설치한 절연판으로 구성되고, 지지부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틀체를 설치하고, 지지부재의 회전에 의해 스위치부의 전환이 실시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회전형 커넥터가 부착된 스위치는, 절연판을 지지하는 부착부재를 구비하고, 이 부착부재를 틀체와 결합시켜 틀체와 부착부재로 절연판을 씌우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회전형 커넥터가 부착된 스위치는, 스위치부는 제 1 스위치부와 제 2 스위치부로 이루어지며, 제 1 스위치부는 커넥터부에 설치한 제 1 가동접점부와, 이 제 1 가동접점부에 접촉·이격하는 제 1 접점부로 구성되고, 또한 제 2 스위치부는 회전운동부재와, 이 회전운동부재에 설치한 제 2 가동접점부와, 이 제 2 가동접점부에 접촉ㆍ이격하는 제 2 접점부로 구성되고, 커넥터부의 회전운동에 의해 제 1 스위치부가 전환됨과 동시에 회전운동부재가 커넥터부에 의해 회전운동되어 제 2 스위치부의 전환을 실시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회전형 커넥터가 부착된 스위치는, 제 1 가동접점부를 설치하며 축부를 갖는 회전가능한 절연재로 이루어지는 지지부재와, 제 1 접점부를 부착하며 구멍을 갖는 절연판을 구비하고, 축부를 절연판의 구멍을 관통하여 돌출시키고, 돌출한 축부에 의해 회전운동부재를 회전운동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회전형 커넥터가 부착된 스위치는, 제 1 접점부가 설치된 제 1 절연판과 제 2 접점부가 설치된 제 2 절연판을 지지하는 부착부재와, 제 1 절연판과 제 2 절연판의 상부를 씌우는 틀체를 구비하고, 부착부재를 틀체와 결합시켜틀체와 부착부재로 제 1 절연판과 제 2 절연판을 씌우도록 한 것이다.
발명의 실시형태
본 발명의 회전형 커넥터가 부착된 스위치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회전형 커넥터가 부착된 스위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회전형 커넥터가 부착된 스위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회전형 커넥터가 부착된 스위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 는 도 3 에 나타내는 회전형 커넥터가 부착된 스위치의 틀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틀체 (1) 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며, 절단·굽힘가공으로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U 자형상의 측벽 (1a) 과, 대략 중앙부에 원형의 구멍 (1c) 이 형성되며 상기 측벽 (1a) 을 연결하는 전면벽 (1b) 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틀체 (1) 의 하면측과 후면측은 해방되어 있다.
부착부재 (2) 는 절연성 합성수지재료를 성형가공하여 대략 L 자형으로 형성되고, 직사각형의 후면벽 (2a) 과, 이 후면벽 (2a) 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하벽 (2b) 과, 이 하벽 (2b) 의 일측 측단면측에 형성된 직사각형의 복수개 (예컨대, 2 개) 의 구멍 (2c,2c) 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부착부재 (2) 는 후면벽 (2a) 과 하벽 (2b) 으로 틀체 (1) 의 해방면을 막도록 틀체 (1) 에 결합되어 있다.
절연판 (3) 은 절연성 합성수지재료를 성형가공으로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한 접점부 받침 (3a) 과, 이 접점부 받침 (3a) 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된 원형의 구멍 (3b) 을 갖고 있다.
또한, 1 쌍의 접점부 (4) 는 탄성을 갖는 평판상의 금속재료로 이루어지며, 접점부 받침 (3a) 의 전면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접점부 (4) 의 중간부는 접점부 받침 (3a) 에 인서트 성형가공에 의해 매설되며, 일측 단부에는 단자 (4a) 가 설치되고, 타측 단부는 자유단으로 되어 있으며, 접점부편 (4b) 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단자 (4a) 는 접점부 받침 (3a) 의 하측 단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이 절연판 (3) 은 부착부재 (2) 의 후면벽 (2a) 에 포개진 위치로서, 접점부 (4) 의 단자 (4a,4a) 가 부착부재 (2) 의 구멍 (2c,2c) 에 끼워 통해져서 외측으로 돌출한 상태로 절연판 (3) 의 하단면이 부착부재 (2) 의 하벽 (2b) 상에 설치되어 있다.
커넥터부 (5) 는 절연성 합성수지재료를 성형가공한 지지부재 (6) 와, 지지부재 (6) 에 부착된 수형의 커넥터단자 (7a) 와, 이 커넥터단자 (7a) 에 접속된 상태로 지지부재 (6) 의 배면에 형성된 가동접점부 (7b) 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지지부재 (6) 는 원판상의 턱부 (6a) 와, 이 턱부 (6a) 의 일측 평면 (배면) 측 중앙부에 설치되며 외측으로 돌출된 직사각형의 축부 (6b) 와, 턱부 (6a) 의 타측 평면 (전면) 측에 설치되며 외측으로 돌출된 직사각형의 통형상으로 선단부가 트인 통부 (6c) 로 이루어진다.
또한, 수형의 커넥터단자 (7a) 는 통부 (6c) 내에 수납되고, 가동접점부 (7b) 는 상기 턱부 (6a) 배면의 가장자리부에 대략 부채꼴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부재 (6) 의 통부 (6c) 는 틀체 (1) 의 전면벽 (1b) 에 형성된 구멍 (1c) 에 끼워 통해져서 틀체 (1) 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고, 지지부재 (6) 의 축부 (6b) 는 절연판 (3) 의 구멍 (3b) 에 끼워 통해진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커넥터부 (5) 는 틀체 (1) 에 대하여 소정 회전운동 범위에서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지지부재 (6) 의 턱부 (6a) 에 설치된 1 쌍의 가동접점부 (7b,7b) 와 절연판 (3) 에 설치된 1 쌍의 접점부 (4,4) 는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절연판 (3) 에 설치된 접점부 (4,4) 의 접점부편 (4b,4b) 에 대하여 커넥터부 (5) 의 가동접점부 (7b,7b) 가 소정 회전운동 각도 (예컨대, 약 135 도) 로 회전운동된 상태일 때, 접점부편 (4b,4b) 과 가동접점부 (7b,7b) 가 각각 접촉됨으로써 오프상태에서 온상태가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커넥터부 (5) 는 더욱 회전운동 (예컨대, 약 180 도까지) 할 수 있으며, 그 이후에는 온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 커넥터부 (5) 를 원래대로 되돌리는 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면, 소정의 회전운동 각도로 가동접점부 (7b,7b) 가 접점부편 (4b,4b) 에서 각각 멀어져서 온상태에서 오프상태로 된다.
즉, 회전형 커넥터가 부착된 스위치 (C) 의 스위치부 (D) 는 커넥터부 (5) 에 설치한 가동접점부 (7b) 와, 이 가동접점부 (7b) 에 접촉·이격하는 접점부 (4) 를 설치한 절연판 (3) 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형 커넥터가 부착된 스위치 (C) 는 커넥터단자 (7a) 를 갖는 회전형 커넥터부 (5) 와 스위치부 (D) 로 구성되어 있고, 틀체 (1) 와 부착부재 (2) 로 절연판 (3), 가동접점부 (7b) 및 접점부 (4) 를 씌우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어서, 이 회전형 커넥터가 부착된 스위치 (C) 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회전형 커넥터가 부착된 스위치 (C) 는 틀체 (1) 에 대하여 커넥터부 (5) 가 소정 회전운동 범위의 회전운동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예컨대 0 도 ∼ 약 135 도의 회전운동 범위에서는 이 회전형 커넥터가 부착된 스위치 (C) 의 스위치부 (D) 는 오프 (OFF) 상태로서, 커넥터부 (5) 의 가동접점부 (7b) 와 절연판 (3) 의 접점부 (4) 가 멀어져 있고, 다음 약 135 도 ∼ 약 180 도의 회전운동 범위에서는 이 스위치부 (D) 는 온상태로 되어, 커넥터부 (5) 의 가동접점부 (7b) 와 절연판 (3) 의 접점부 (4) 가 접속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회전형 커넥터가 부착된 스위치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회전형 커넥터가 부착된 스위치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회전형 커넥터가 부착된 스위치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이 제 2 실시형태의 회전형 커넥터가 부착된 스위치는 스위치부가 2 단 (2 회로) 구성으로서, 스위치부가 1 단 (1 회로) 구성인 상술한 제 1 실시형태와 다르지만, 기본적인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하다.
도 5,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회전형 커넥터가 부착된 스위치는, 소위 스위치부가 2 단 (2 회로) 구성이고, 그 외형은 제 1 실시형태와 비교하여 틀체의 안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틀체 (17) 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며, 절단ㆍ굽힘가공으로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U 자형상의 측벽 (17a) 과, 대략 중앙부에 원형의 구멍 (1c) 이 형성되며 상기 측벽 (1a) 을 연결하는 전면벽 (17b) 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틀체 (17) 의 하면측과 후면측은 해방되어 있다.
부착부재 (8) 는 절연성 합성수지재료를 성형가공하여 대략 L 자형으로 형성되고, 직사각형의 후면벽 (8a) 과, 이 후면벽 (8a) 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하벽 (8b) 과, 상기 후면벽 (8a) 에 평행하며 하벽 (8b) 의 중간부에서 상측으로 돌출한 간막이벽 (8d) 을 갖고 있다. 하벽 (8b) 의 일측 측단면측에는 간막이벽 (8d) 을 사이로 하여 각각 직사각형의 복수개 (예컨대, 2 개씩) 의 구멍 (8c)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간막이벽 (8d) 의 높이는 후면벽 (8a) 의 높이에 비하여 낮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부착부재 (8) 는 후면벽 (8a) 과 하벽 (8b) 으로 틀체 (17) 의 해방면을 막도록 틀체 (17) 에 결합되어 있다.
제 2 절연판 (9) 은 절연성 합성수지재료를 성형가공으로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한 접점부 받침 (9a) 과, 이 접점부 받침 (9a) 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된 원형의 구멍 (9b) 을 갖고 있다.
또한, 1 쌍의 제 2 접점부 (10) 는 탄성을 갖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접점부 받침 (9a) 의 전면측에 설치되고, 제 2 접점부 (10) 의 중간부는 접점부받침 (9a) 에 인서트 성형가공에 의해 매설되며, 일측 단부에는 단자 (10a) 가 설치되고, 타측 단부는 자유단으로 되어 있으며, 접점부편 (10b) 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단자 (10a) 는 접점부 받침 (9a) 의 하측 단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제 2 절연판 (9) 은 부착부재 (8) 의 후면벽 (8a) 에 포개진 위치로서, 제 2 접점부 (10,10) 의 단자 (10a,10a) 가 부착부재 (8) 의 구멍 (8c,8c) 에 각각 끼워 통해져서 외측으로 돌출한 상태로 제 2 절연판 (9) 의 하단면이 부착부재 (8) 의 하벽 (8b) 상에 설치되어 있다.
회전운동부재 (11) 는 절연성 합성수지재료에 성형가공하여 원판상으로 형성되고, 그 대략 중앙부에는 직사각형의 구멍 (11a)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전운동부재 (11) 의 평면 (배면) 측 가장자리부에 설치된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대략 부채꼴 형상의 제 2 가동접점부 (11b) 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운동부재 (11) 의 제 2 가동접점부 (11b) 는 회전운동부재 (11) 의 회전운동에 의해 제 2 절연판 (9) 의 제 2 접점부 (10) 와 접촉ㆍ이격하도록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회전운동부재 (11) 와, 이 회전운동부재 (11) 에 설치한 제 2 가동접점부 (11b) 와, 이 제 2 가동접점부 (11b) 에 접촉ㆍ이격하는 제 2 접점부 (10) 에 의해 제 2 스위치부가 구성된다.
또한, 제 1 절연판 (12) 은 그 구성이 상술한 제 2 절연판 (9) 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제 1 절연판 (12) 은 접점부 받침 (12a) 과 구멍 (12b) 을 갖고 있다.
또한, 1 쌍의 제 1 접점부 (13) 는 단자 (13a) 와 접점부편 (13b) 을 갖고, 제 1 접점부 (13) 의 중간부는 제 1 절연판 (12) 의 접점부 받침 (12a) 에 매설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절연판 (12) 은 부착부재 (8) 의 후면벽 (8a) 에 평행하며, 간막이벽 (8d) 에 포개져서 제 1 절연판 (12) 의 단자 (13a,13a) 가 부착부재 (8) 의 구멍 (8c,8c) 에 끼워 통해진 상태로 제 1 절연판 (12) 의 하단면이 부착부재 (8) 의 하벽 (8b) 상에 설치되어 있다.
커넥터부 (14) 는 절연성 합성수지재료를 성형가공한 지지부재 (15) 와, 이 지지부재 (15) 에 부착된 수형의 커넥터단자 (16a) 와, 이 커넥터단자 (16a) 에 접속된 상태로 지지부재 (15) 의 배면에 형성된 제 1 가동접점부 (16b) 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지지부재 (15) 는 원판상의 턱부 (15a) 와, 이 턱부 (15a) 의 후면측 중앙부에 설치되며 외측으로 돌출된 직사각형의 축부 (15b) 와, 턱부 (15a) 의 전면측에 설치되며 외측으로 돌출된 직사각형의 통형상으로 선단부가 트인 통부 (15c) 로 이루어진다.
또한, 수형의 커넥터단자 (16a) 는 통부 (15c) 내에 설치되고, 제 1 가동접점부 (16b) 는 턱부 (15a) 의 배면측 가장자리부에 대략 부채꼴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부재 (15) 의 통부 (15c) 는 상기 틀체 (17) 의 전면벽 (17b)에 형성된 구멍 (17c) 에 끼워 통해져서 틀체 (17) 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고, 이 상태에서 커넥터부 (14) 가 틀체 (17) 에 대하여 소정 회전운동 범위에서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 (15) 의 축부 (15b) 의 길이는 상술한 제 1 실시형태의 회전형 커넥터가 부착된 스위치의 커넥터부 (5) 의 축부 (6b) 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부재 (15) 의 축부 (15b) 는 제 1 절연판 (12) 의 구멍 (12b) 과, 회전운동부재 (11) 의 구멍 (11a) 과, 제 2 절연판 (9) 의 구멍 (9b) 을 끼워 통해 설치됨으로써, 커넥터부 (14) 에 설치한 지지부재 (15) 의 회전운동에 의해 회전운동부재 (11) 가 함께 회전운동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지지부재 (15) 의 턱부 (15a) 의 배면에 설치된 제 1 가동접점부 (16b) 와, 제 1 절연판 (12) 에 설치된 제 1 접점부 (13) 는 지지부재 (15) 의 회전운동에 의해 접촉·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커넥터부 (14) 에 설치한 제 1 가동접점부 (16b) 와, 이 제 1 가동접점부 (16b) 에 접촉ㆍ이격하는 제 1 접점부 (13) 로 제 1 스위치부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회전형 커넥터가 부착된 스위치는 제 1 절연판 (12) 과 제 2 절연판 (9) 을 지지하는 부착부재 (8) 와, 제 1 절연판 (12) 과 제 2 절연판 (9) 의 상부를 씌우는 틀체 (17) 를 구비하고, 부착부재 (8) 를 틀체 (17) 와 결합시켜 틀체 (17) 와 부착부재 (8) 로 제 1 절연판 (12) 과 제 2 절연판(9) 을 씌우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회전형 커넥터가 부착된 스위치는, 커넥터부 (14) 와, 커넥터부 (14) 의 회전운동에 의해 전환되는 제 1 스위치부와, 커넥터부 (14) 의 회전운동에 의해 전환되는 제 2 스위치부를 구비하고 있고, 커넥터부 (14) 의 제 1 가동접점부 (16b) 가 소정 회전운동 각도 (예컨대, 약 120 도) 로 회전운동된 상태일 때, 제 1 가동접점부 (16b) 와 제 1 접점부 (13) 가 맞닿고, 또한 커넥터부 (14) 의 회전운동에 의해 회전운동부재 (11) 가 회전운동되며, 이 회전운동으로 회전운동부재 (11) 의 제 2 가동접점부 (11b) 와 제 2 접점부 (10) 가 접촉됨으로써, 각각 오프상태에서 온상태로 전환된다. 그리고, 커넥터부 (14) 는 더욱 회전운동 (예컨대, 180 도까지) 할 수 있으며, 그리고 그 이후에는 온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 커넥터부 (14) 를 원래대로 되돌리는 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면, 소정의 회전운동 각도로 제 1 가동접점부 (16b) 와 제 1 접점부 (13) 및 제 2 가동접점부 (11b) 와 제 2 접점부 (10) 가 각각 멀어져서 온상태에서 오프상태로 전환된다.
또한, 상술한 회전형 커넥터가 부착된 스위치에서는 절연판에 접점부를 설치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접점부를 부착부재의 후면벽이나 간막이벽에 설치하여도 된다.
또한, 상술한 제 2 실시형태의 회전형 커넥터가 부착된 스위치에서는 절연판의 일측 표면에 접점부를 설치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제 1 절연판 (12) 의 양측 면 (전면과 후면) 에 제 1 접점부 (13) 와 제 2 접점부 (10) 를각각 설치하여도 된다.
이어서, 이 회전형 커넥터가 부착된 스위치의 동작은 기본적으로는 상술한 제 1 실시형태의 회전형 커넥터가 부착된 스위치 (C) 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회전형 커넥터가 부착된 스위치 (C) 를 중첩식 전화기에 적용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도 7 은 본 발명의 회전형 커넥터가 부착된 스위치 (C) 를 적용한 중첩식 전화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첩식 전화기는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대략 상자형의 본체부로서의 제 1 케이스 (21) 와, 마찬가지로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예컨대 플립 (뚜껑체) 이라 불리는 대략 상자형의 제 2 케이스 (31) 를 갖고 있다.
제 1 케이스 (21) 는 대향하는 측벽 (21a,21b) 과, 대향하는 상벽 (21c) 과 하벽 (21d) 에 의해 사방이 둘러싸이고, 상기 측벽 (21a,21b) 과 상벽 (21c) 과 하벽 (21d) 의 상하를 막는 정면벽 (21e) 과 하면벽 (도시생략) 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 1 케이스 (21) 내에는 적어도 음성신호를 전송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음성신호 변환회로부 (26) 와, 수형의 커넥터단자 (7a) 를 갖는 회전형 커넥터부 (5) 와 스위치부 (D) 를 갖는 회전형 커넥터가 부착된 스위치 (C) 와, 음성신호 변환회로부 (26) 와 회전형 커넥터가 부착된 스위치 (C) 의 스위치부 (D) 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예컨대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 등에 형성된 구리박 등으로 이루어지는 1 쌍의 접속선 (28,28) 과, 음성신호 변환회로부 (26) 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회로부 (29) 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케이스 (21) 의 정면벽 (21e) 에는, 예컨대 스피커 등으로 이루어지는 수화부 (23) 와, 액정표시소자 등으로 이루어지는 표시부 (24) 와, 복수개의 푸시버튼 스위치 등으로 이루어지는 조작부 (25) 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회전형 커넥터가 부착된 스위치 (C) 는 제 1 케이스 (21) 의 하벽 (21d) 근방으로서, 커넥터부 (5) 의 커넥터단자 (7a) 가 하벽 (21d) 으로부터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안테나 (22) 는 막대형상의 금속재로 구성되어 있다. 이 안테나 (22) 는 제 1 케이스 (21) 의 돌출부 (21f) 로 가이드되고, 좌측 측벽 (21a) 의 근방에서 이 측벽 (21a) 을 따라 설치되어 있으며, 돌출부 (21f) 로부터 제 1 케이스 (21) 의 외측으로 잡아늘이거나 수납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 2 케이스 (31) 는 대향하는 측벽 (31a,31b) 과, 대향하는 상벽 (31c) 과 하벽 (31d) 에 의해 사방이 둘러싸이고, 상기 측벽 (31a,31b) 과 상벽 (31c) 과 하벽 (31d) 의 상하를 막는 정면벽 (31e) 과 하면벽 (도시생략) 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 2 케이스 (31) 의 정면벽 (31e) 의 하단부에는, 예컨대 마이크로 폰 등으로 이루어지는 음성신호를 송화하기 위한 송화부 (32) 가 설치되고, 상벽 (31c) 의 근방에는 암형의 커넥터단자 (33a) 를 갖는 커넥터부 (33) 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2 케이스 (31) 내에는 송화부 (32) 로부터의 음성신호를 커넥터부 (33) 로 전송하기 위한, 예컨대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 등에 형성된 구리박 등으로 이루어지는 1 쌍의 접속선 (33,34) 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케이스 (21) 의 하벽 (21d) 과 제 2 케이스 (31) 의 상벽 (31c) 은, 예컨대 스냅 인 형식이나 착탈이 가능한 나사고정형식 등 용이하게 착탈·교환할 수 있는 원하는 형식으로 연결 (결합) 되어 있으며, 제 1 케이스 (21) 와 제 2 케이스 (31) 는 하벽 (21d) 과 상벽 (31c) 을 회전운동의 지지점으로 하여 둘로 접어 작게 할 수 있고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제 1 케이스 (21) 에 설치된 회전형 커넥터가 부착된 스위치 (C) 의 커넥터부 (5) 와, 제 2 케이스 (31) 에 설치된 커넥터부 (33) 는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이 결합된 상태에서의 일측 커넥터부 (5) 와 타측 커넥터부 (33) 의 회전운동 중심은 제 1 케이스 (21) 와 제 2 케이스 (31) 가 중첩식으로 개폐되는 회전운동 중심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케이스 (21) 의 하벽 (21d) 과 제 2 케이스 (31) 의 상벽 (31c) 이 결합되었을 때, 회전형 커넥터가 부착된 스위치 (C) 의 커넥터부 (5) 의 커넥터단자 (7a) 가 커넥터부 (33) 의 커넥터단자 (33a) 에 끼워넣어진 (결합) 상태로서, 제 1 케이스 (21) 와 제 2 케이스 (31) 가 닫힌 상태에서는 회전형 커넥터가 부착된 스위치 (C) 의 스위치부 (D) 는 오프상태이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형 커넥터가 부착된 스위치 (C) 는 제 1 케이스 (21) 에 설치되고 또한 커넥터부 (33) 는 제 2 케이스 (33) 에 설치되어, 제 1 케이스 (21) 와 제 2 케이스 (31) 가 조합됨과 동시에 커넥터부 (5) 와 커넥터부 (33) 가 결합되면 이 중첩식 전화기가 구성되며, 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이 중첩식 전화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제 1 케이스 (21) 내에 안테나 (22) 는 수납되며 또한 제 1 케이스 (21) 와 제 2 케이스 (31) 는 중첩되어 제 1 케이스의 정면벽 (21e) 과 제 2 케이스 (31) 의 정면벽 (31e) 이 조합되어 닫힌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이 상태일 때, 제 1 케이스 (21) 에 설치된 회전형 커넥터가 부착된 스위치 (C) 는 오프상태이다.
그리고 이 중첩식 전화기를 사용할 때에는, 제 1 케이스 (21) 내의 안테나 (22) 를 외측으로 꺼냄과 동시에 중첩된 (닫힌) 제 2 케이스 (31) 를 화살표 (A) 방향으로, 예컨대 약 180 도 정도 회전운동시켜 제 2 케이스 (31) 를 제 1 케이스에서 열리도록 한다. 이 제 2 케이스 (31) 의 회전운동에 의해 제 2 케이스 (31) 의 커넥터부 (33) 가 회전운동되며, 이 커넥터부 (33) 의 회전운동으로 커넥터부 (33) 와 결합된 제 1 케이스 (21) 에 설치된 회전형 커넥터가 부착된 스위치 (C) 의 커넥터부 (5) 는 회전운동된다. 그리고, 커넥터부 (5) 의 예컨대, 약 135 도 이상의 회전운동으로 회전형 커넥터가 부착된 스위치 (C) 의 스위치부 (D) 가 오프상태에서 온상태로 전환된다.
그리고 또한 회전형 커넥터가 부착된 스위치 (C) 의 스위치부 (D) 가 온상태로 되면, 제 1 케이스 (21) 의 음성신호 변환회로부 (26) 와 제 2 케이스 (31) 의 송화부 (32) 는 결합된 수형의 커넥터부 (5) 와 암형의 커넥터부 (33) 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 온상태로 전환된 중첩식 전화기에서는 스위치부 (D) 의 온상태로의 전환을 검지하여 전원회로부 (29) 가 온상태로 되며, 중첩식 전화기를 사용할 수있는 상태로 유지된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회전형 커넥터가 부착된 스위치를 중첩식 전화기에 적용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의 중첩식 전화기에 설치된 제 2 실시형태의 회전형 커넥터가 부착된 스위치는, 상술한 제 1 실시형태의 중첩식 전화기에 설치된 제 1 실시형태의 회전형 커넥터가 부착된 스위치 (C) 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제 2 실시형태의 회전형 커넥터가 부착된 스위치의 제 1 스위치부는 제 1 케이스의 음성신호 변환회로와 제 2 케이스의 송화부의 접속을 접촉ㆍ이격시키고, 제 2 스위치부는 제 1 케이스의 전원회로부의 전원을 온ㆍ오프시키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커넥터부 (5) 의 회전운동에 의해 스위치부 (D) 가 온상태로 되는 회전운동 각도는, 상술한 제 1,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약 135 도 또는 약 120 도인 것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들 회전운동 각도에 한정되지 않으며 원하는 회전운동 각도로 오프상태에서 온상태가 되도록 가동접점부를 설치하여도 된다.
이어서, 본 발명의 회전형 커넥터가 부착된 스위치 (C) 를 노트형 퍼스널컴퓨터 (PC) 에 적용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노트형 PC 는 본체부로서의 제 1 케이스와 표시부로서의 제 2 케이스를 갖고 있다.
제 1 케이스에는 적어도 키보드와, 집적중앙연산소자 (CPU) 와, 이 CPU 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회로부와, 회전형 커넥터부와 이 커넥터부의 회전운동에 의해 전환되며 상기 전원회로부의 전원을 온ㆍ오프하기 위한 스위치부를 갖는 회전형 커넥터가 부착된 스위치가 설치되고, 제 2 케이스에는 액정표시소자 등으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회전형 커넥터가 부착된 스위치의 커넥터부와 결합되는 커넥터부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케이스에 설치한 CPU 와 제 1 케이스에 설치한 디스플레이부는 각각의 커넥터부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는 착탈ㆍ교환이 가능한 원하는 형식으로 연결 (결합) 되어 있으며, 이 상태일 때 회전형 커넥터가 부착된 스위치의 커넥터부와 제 2 케이스의 커넥터부는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이 노트형 PC 를 사용할 때, 제 2 케이스를 닫은 상태에서 열면 제 2 케이스의 커넥터부가 회전운동하고, 이 커넥터부와 결합된 회전형 커넥터가 부착된 스위치의 커넥터부가 회전운동되며, 이 커넥터부의 회전운동에 의해 스위치부가 전환되어 상기 전원회로부의 전원이 오프상태에서 온상태로 전환되어 노트형 PC 를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회전형 커넥터가 부착된 스위치는, 커넥터단자를 갖는 회전형 커넥터부와, 이 커넥터부의 회전운동에 의해 전환되는 스위치부를 갖는 점에서, 회전형 커넥터기구와 회전운동에 의해 전환되는 스위치기구의 복합된 기구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커넥터부를 회전운동시키는 것만으로 스위치부를 전환할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의 회전형 커넥터가 부착된 스위치는, 커넥터부는 절연재로 이루어지며 회전가능한 지지부재와, 이 지지부재에 부착된 커넥터단자와, 이 커넥터단자에 접속된 상태로 지지부재의 배면에 형성된 가동접점부로 구성되고, 스위치부는 커넥터부에 설치한 가동접점부와, 이 가동접점부에 접촉ㆍ이격하는 접점부를 설치한 절연판으로 구성되고, 지지부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틀체를 설치한 점에서, 적은 구성부재로 조립되어 있기 때문에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회전형 커넥터가 부착된 스위치는, 절연판을 지지하는 부착부재를 구비하고, 이 부착부재를 틀체와 결합시켜 틀체와 부착부재로 절연판을 씌우도록 한 점에서, 절연판에 설치한 접점부에 대한 방진효과가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회전형 커넥터가 부착된 스위치는, 스위치부는 제 1 스위치부와 제 2 스위치부로 이루어지며, 제 1 스위치부는 커넥터부에 설치한 제 1 가동접점부와, 이 제 1 가동접점부에 접촉·이격하는 제 1 접점부로 구성되고, 또한 제 2 스위치부는 회전운동부재와, 이 회전운동부재에 설치한 제 2 가동접점부와, 이 제 2 가동접점부에 접촉ㆍ이격하는 제 2 접점부로 구성되고, 커넥터부의 회전운동에 의해 제 1 스위치부가 전환됨과 동시에 회전운동부재가 커넥터부에 의해 회전운동되어 제 2 스위치부를 전환하도록 한 점에서, 스위치 전환의 접점수가 증가하기 때문에 이 증가한 접점수에 의해 다수의 기능을 확실하게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회전형 커넥터가 부착된 스위치는, 제 1 가동접점부를 설치하며 축부를 갖는 회전가능한 절연재로 이루어지는 지지부재와, 제 1 접점부를 부착하며 구멍을 갖는 절연판을 구비하고, 축부를 절연판의 구멍을 관통하여 돌출시키고, 돌출한 축부에 의해 회전운동부재를 회전운동하도록 한 점에서, 적은 구성부재로 조립되어 있기 때문에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회전형 커넥터가 부착된 스위치는, 제 1 접점부가 설치된 제 1 절연판과 제 2 접점부가 설치된 제 2 절연판을 지지하는 부착부재와, 제 1 절연판과 제 2 절연판의 상부를 씌우는 틀체를 구비하고, 부착부재를 틀체와 결합시켜 틀체와 부착부재로 제 1 절연판과 제 2 절연판을 씌우도록 한 점에서, 제 1 절연판과 제 2 절연판에 설치한 제 1 접점부와 제 2 접점부에 대한 방진효과가 향상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삭제
  2. 커넥터단자를 갖는 회전형 커넥터부와, 상기 커넥터부의 회전운동에 의해 연계동작하여 온ㆍ오프상태로 전환되는 스위치부를 갖는 회전형 커넥터가 부착된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는 절연재로 이루어지며 회전가능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부착된 커넥터단자와, 상기 커넥터단자에 접속된 상태로 상기 지지부재의 배면에 형성된 가동접점부로 구성되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커넥터부에 설치한 상기 가동접점부와, 상기 가동접점부에 접촉ㆍ이격하는 접점부를 설치한 절연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틀체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스위치부의 전환이 실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커넥터가 부착된 스위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판을 지지하는 부착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부착부재를 상기 틀체와 결합시켜 상기 틀체와 상기 부착부재로 상기 절연판을 씌우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커넥터가 부착된 스위치.
  4. 커넥터단자를 갖는 회전형 커넥터부와, 상기 커넥터부의 회전운동에 의해 연계동작하여 온ㆍ오프상태로 전환되는 스위치부를 갖는 회전형 커넥터가 부착된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제 1 스위치부와 제 2 스위치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스위치부는 상기 커넥터부에 설치한 제 1 가동접점부와, 상기 제 1 가동접점부에 접촉·이격하는 제 1 접점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스위치부는 회전운동부재와, 상기 회전운동부재에 설치한 제 2 가동접점부와, 상기 제 2 가동접점부에 접촉ㆍ이격하는 제 2 접점부로 구성되고,
    상기 커넥터부의 회전운동에 의해 상기 제 1 스위치부가 전환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운동부재가 상기 커넥터부에 의해 회전운동되어 상기 제 2 스위치부의 전환을 실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커넥터가 부착된 스위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동접점부를 설치하며 축부를 갖는 회전가능한 절연재로 이루어지는 지지부재; 및
    상기 제 1 접점부를 부착하며 구멍을 갖는 절연판을 구비하고,
    상기 축부를 상기 절연판의 구멍을 관통하여 돌출시키고, 돌출한 상기 축부에 의해 상기 회전운동부재를 회전운동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커넥터가 부착된 스위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점부가 설치된 제 1 절연판과 상기 제 2 접점부가 설치된 제 2 절연판을 지지하는 부착부재; 및
    상기 제 1 절연판과 상기 제 2 절연판의 상부를 씌우는 틀체를 구비하고,
    상기 부착부재를 상기 틀체와 결합시켜 상기 틀체와 상기 부착부재로 상기 제 1 절연판과 상기 제 2 절연판을 씌우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커넥터가 부착된 스위치.
KR10-1999-0003525A 1998-02-19 1999-02-03 회전형 커넥터가 부착된 스위치 KR1003863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037058A JPH11232965A (ja) 1998-02-19 1998-02-19 回転型コネクタ付スイッチ
JP98-037058 1998-02-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2390A KR19990072390A (ko) 1999-09-27
KR100386359B1 true KR100386359B1 (ko) 2003-06-02

Family

ID=12486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3525A KR100386359B1 (ko) 1998-02-19 1999-02-03 회전형 커넥터가 부착된 스위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938220A3 (ko)
JP (1) JPH11232965A (ko)
KR (1) KR100386359B1 (ko)
CN (1) CN1127107C (ko)
TW (1) TW41841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9680B1 (ko) 2010-10-18 2011-11-10 정원덕 회전가능한 신호케이블을 갖는 케이블 컨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14237C2 (sv) 1998-02-26 2001-01-29 Ericsson Telefon Ab L M Utbytbart kontaktdon för inbördes roterande enheter och en bärbar anordning försedd med sådant kontaktdon
CN1080989C (zh) * 1999-11-23 2002-03-20 姜吉禹 种植菊芋治理沙漠的方法
GB2366944B (en) * 2000-09-09 2004-06-30 Kindertec Ltd A monitoring unit
JP4496663B2 (ja) * 2001-04-25 2010-07-0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同軸コネクタ及び通信装置
JP4496667B2 (ja) * 2001-05-16 2010-07-0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同軸コネクタ及び通信装置
JP3979601B2 (ja) * 2003-11-12 2007-09-1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電子機器のヒンジ装置
KR20090005885A (ko) * 2007-07-10 2009-01-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기기
CN102157291B (zh) * 2010-12-24 2013-09-11 华为机器有限公司 一种开关连接器
KR20210067000A (ko) * 2019-11-28 2021-06-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63387A (en) * 1987-12-22 1989-09-05 Snaper Alvin A Printer circuit board separable connector
JPH067594Y2 (ja) * 1988-03-31 1994-02-23 アンプ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電気ヒンジコネクター
KR940009372B1 (ko) * 1990-07-31 1994-10-07 미쓰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러그 및 소켓을 포함하는 커넥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9680B1 (ko) 2010-10-18 2011-11-10 정원덕 회전가능한 신호케이블을 갖는 케이블 컨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38220A2 (en) 1999-08-25
KR19990072390A (ko) 1999-09-27
TW418411B (en) 2001-01-11
CN1226734A (zh) 1999-08-25
JPH11232965A (ja) 1999-08-27
CN1127107C (zh) 2003-11-05
EP0938220A3 (en) 2002-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41618B2 (en) Hinge device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KR100810314B1 (ko) 휴대 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
KR100386359B1 (ko) 회전형 커넥터가 부착된 스위치
JP2002281133A (ja) 開閉検出装置
KR20070113790A (ko) 키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데코레이션 커버를 구비한 휴대단말기
KR20010081141A (ko) 복합조작형 전기부품
FI114435B (fi) Kannettava viestintälaite
JP3890863B2 (ja) 多方向操作スイッチ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3713378B2 (ja) 折り畳み式電話機
KR20070049048A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모드 전환 방법
KR100475755B1 (ko) 개폐검출장치
KR200162075Y1 (ko) 원터치방식의 휴대폰
KR200345352Y1 (ko) 휴대폰의플립도어스위치작동구조
JP2002279857A (ja) 開閉検出装置
KR20080014542A (ko) 휴대용 단말기의 음량 조절 장치
KR200205597Y1 (ko) 자동 폴더의 슬라이딩 방식 입력장치
JP2004129167A (ja) 接続器具カバー及び該接続器具カバーを備えた電子機器
KR200205039Y1 (ko) 전자제품의 택트스위치
KR100382199B1 (ko) 전화기의 훅 스위치 장치
KR100686048B1 (ko) 슬라이드타입 이동통신 단말기의 신호연결장치
JP2003152839A (ja) ヒンジ装置及びヒンジ装置を用いた携帯端末
KR20090006599A (ko) 휴대용 전자 장치의 사이드 키 입력장치
JP4254928B2 (ja) 同軸切替スイッチ、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及び通信機器
JP2001043776A (ja) 折り畳み式携帯通信機の開閉検出機構
JP2003133753A (ja) 防水・防塵装置およ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