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2199B1 - 전화기의 훅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전화기의 훅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2199B1
KR100382199B1 KR10-2001-0024840A KR20010024840A KR100382199B1 KR 100382199 B1 KR100382199 B1 KR 100382199B1 KR 20010024840 A KR20010024840 A KR 20010024840A KR 100382199 B1 KR100382199 B1 KR 100382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hook switch
receiver
circuit board
plu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4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5362A (ko
Inventor
강영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24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2199B1/ko
Publication of KR20020085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5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2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21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4M1/06Hooks; Cra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화기의 훅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전화기의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훅 스위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전화기의 상부 케이스에 수화기의 하중에 의해 회동하는 플런저를 구비하여 전화기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인쇄회로기판의 설계시 훅 스위치에 의한 제약 요소가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바,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의 훅 스위치 장치는 훅 스위치를 상부 케이스에 설치하고, 플런저와 동일한 역할을 하는 돌기를 훅 스위치에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인쇄회로기판과 훅 스위치를 도선으로 연결시킨 것이다.
따라서, 전화기의 구조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고, 인쇄회로기판의 설계제약 요소를 절감시키게 된다.

Description

전화기의 훅 스위치 장치{A hook switch apparatus of phone}
본 발명은 전화기의 훅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화기의 통화 작동신호 또는 대기 작동신호를 발생시키는 훅 스위치에 플런저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전화기의 훅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화기는 전화기 본체의 수화기를 사용자가 들어올리거나 내려놓는 일련의 동작에 의해 작동된다. 사용자가 전화를 걸고자 하는 경우 또는 걸려온 전화를 받고자 하는 경우 전화기 본체에 놓여진 수화기를 들어올리면 전화기는 통화 작동상태로 전환되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 수화기를 내려놓으면 전화기는 대기 작동상태로 전환된다.
이러한 작동을 위해 대개의 전화기는 수화기의 하중에 의해 전화기의 플런저가 회동함에 따라 눌려지거나 눌려지지 않으면서 전화기를 대기 작동 상태 또는 통화 작동상태로 전환시키는 훅 스위치(hook switch)를 사용하게 되는데, 대개 훅 스위치는 스프링이 내장되어 있어 플런저의 가압에 의해 압축되었다가 플런저의 가압이 해제되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는 구조이다.
도 1은 전화기를 대기 작동상태 또는 통화 작동상태로 전환시키는 훅 스위치를 가압하는 플런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 는 플런저가 전화기의 상부 케이스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6)는 전화기의 상부 케이스(1)에 형성된 관통공(3)으로 출몰되면서 수화기의 수화부와 접촉되는 접촉블록(7)이 전면 상단(6a)에 형성되고, 하단(6b)이 힌지(8)로 체결되어 힌지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소정의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관통공(3)은 전화기의 수화기에서 수화부가 놓여지는 위치에 해당하는 전화기의 상부케이스(1)의 수화기 안착홈(2)에 형성된다.
그리고, 관통공(3)으로 접촉블록(7)이 출몰되는 플런저(6)의 배면에는 전화기의 훅 스위치를 누르기 위한 누름돌기(9)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전화기의 플런저(6)는 전화기의 훅 스위치를 가압하여 전화기를 대기 작동상태 또는 통화 작동상태로 전환시키게 되는데, 도 3은 플런저에 의한 훅 스위치가 눌려져 전화기가 대기 작동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 는 플런저에 의한 훅 스위치가 눌려지지 않아 전화기가 통화 작동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기의 수화기를 내려놓게 되면 관통공(3)을 통해 상부 케이스(1)에 노출된 플런저의 전면 접촉블록(7)과 수화기의 수화부가 서로 접촉하게 되고, 이에 따라 수화기의 자체 하중에 의해 플런저(6)는 힌지(8)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회전하는 플런저의 누름돌기(9)는 인쇄회로기판(4)에 형성된 훅 스위치(5)를 눌러 대기 작동신호를 발생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전화기는 대기 동작상태가 된다.
반대로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놓여진 전화기의 수화기를 들어올리면 플런저(6)에 가해지는 수화기의 자체 하중이 제거되고, 이에 따라 훅 스위치(5)는 스프링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면서 플런저(6)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플런저의 접촉블록(7)이 다시 관통공(3)을 통해 상부 케이스(1)에 노출되도록 한다.
따라서, 훅 스위치(5)는 통화 작동신호를 발생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전화기는 통화 작동상태가 된다.
그러나, 이러한 플런저와 훅 스위치에 의해 작동되는 전화기는 플런저 및 훅 스위치가 각각 분리되어 있고, 플런저의 회전운동에 따라 훅 스위치가 작동하므로 전화기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전화기의 설계시 플런저의 회전 반경, 훅 스위치의 위치 등 설계 조건의 제약이 많게 된다.
그리고, 훅 스위치는 인쇄회로기판 상에 부착되어야 하므로 인쇄회로기판의 설치위치, 배선 설계에 많은 제약이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플런저를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인쇄회로기판 설계의 제약 조건을 감소시킨 전화기의 훅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의 훅 스위치 장치는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해, 전화기의 상부 케이스에 형성된 수화기 안착홈 배면에 설치된 고정구와, 고정구에 제 1 또는 제 2 위치로 회전되게 결합되어 전화기의 대기 동작 신호 또는 통화 동작 신호를 발생시키는 작동레버와, 작동레버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작동레버의 제 1 또는 제 2 위치 회전에 따라 수화기 안착홈에 형성된 관통공으로 출몰하면서 전화기의 수화기와 접촉되는 접촉돌기와, 작동레버에서 발생된 통화 동작신호 또는 대기 동작신호를 전화기의 인쇄회로기판에 전달하도록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된 도선이삽입되는 고정구에 형성된 콘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종래 전화기의 훅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플런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 는 종래 전화기의 훅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플런저가 전화기 본체의 상부 케이스에 부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사시도.
도 3,4 는 종래 전화기의 훅 스위치와 플런저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의 훅 스위치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의 훅 스위치 장치가 전화기의 상부 케이스에 부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사시도.
도 7,8 은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의 훅 스위치 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상부 케이스 2,12 : 수화기 안착홈
4,15 : 회로기판 6 : 플런저
16 : 고정구 19 : 접촉돌기
20 : 작동레버 21 : 콘넥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의 훅 스위치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의 훅 스위치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의 훅 스위치 장치가 전화기의 상부 케이스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의 훅 스위치 장치는 전화기의 상부 케이스(10)에 형성된 수화기 안착홈(12)배면에 설치된 고정구(16)와, 고정구에 제 1 또는 제 2 위치로 회전되게 결합되어 전화기의 대기 동작 신호 또는 통화 동작 신호를 발생시키는 작동레버(20)와, 작동레버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작동레버의 제 1 또는 제 2 위치 회전에 따라 수화기 안착홈에 형성된 관통공(11)으로 출몰하면서 전화기의 수화기와 접촉되는 접촉돌기(19)와, 작동레버에서 발생된 통화 동작신호 또는 대기 동작신호를 전화기의 인쇄회로기판(15)에 전달하도록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된 도선(14)이 삽입되는 고정구에 형성된 콘넥터(2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작동레버(20)의 제1위치는 수화기 안착홈(12)에 수화기가 놓여져 작동레버(20)가 안착홈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접촉돌기(19)가 관통공(11)내측으로 이동된 상태이고, 작동레버(20)의 제2위치는 수화기 안착홈(12)에서 수화기가 들어올려져 작동레버(20)가 원래 위치로 회전하여 접촉돌기(19)가 관통공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이다.
고정구(16)는 수화기 안착홈(12)의 배면에 고정되도록 볼트 체결공(17)이 형성된 체결편(18)이 형성되고, 수화기 안착홈(12)배면에 볼트 체결공(17)과 대응되는 위치에 볼트 보스(13)가 형성되어 고정볼트를 통해 고정 설치된다.
작동레버(20)는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양끝단(20a)이 고정구(16)에 힌지 등으로 체결되고, 스프링이 내장되어 있어 외력이 가해지면 제1위치로 회전하였다가 외력이 해제되면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원복되게 형성된다.
접촉돌기(19)는 작동레버(20)의 타단(20b)에 접촉레버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수화기 안착홈(12)에 형성된 관통공(11)에 위치되어 작동레버의 제1위치 또는 제2위치 이동에 따라 관통공으로 출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의 훅 스위치 장치는 전화기의 수화기가 안착홈에 놓여지거나 들어올려짐에 따라 전화기를 대기 작동 상태 또는 통화 작동 상태로 전환시키게 된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의 훅 스위치 장치에 의한 전화기의 대기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의 훅 스위치 장치에 의한 전화기의 통화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전화기의 수화기가 안착홈에 놓여진 경우, 수화기는 수화기 자체의 하중에 의해 관통공(11)외부에 노출된 접촉돌기(19)를 누르게 되고, 접촉돌기가 눌려짐에 따라 작동레버(20)는 동시에 힌지를 중심축으로 하여 제1위치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제1위치로 회전된 작동레버(20)의 동작에 따라 전화기의 대기 작동신호가발생되고, 대기 작동신호가 콘넥터(21)와 도선(14)을 통해 인쇄회로기판(15)에 전달되어 전화기는 대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반대로 도 8을 참조하면, 안착홈에 놓여진 전화기의 수화기가 들어올려진 경우, 접촉돌기(19)를 누르는 수화기 자체의 하중이 해제되어 제1위치로 회전된 작동레버(20)는 자체 복원력에 의해 제2위치로 역회전하고, 동시에 접촉 돌기(19)는 관통공(11)외부에 노출된다.
따라서, 제2위치로 회전된 작동레버(20)의 동작에 따라 통화 작동신호가 발생되고, 통화 작동신호가 콘넥터(21)와 도선(14)을 통해 인쇄회로기판(15)에 전달되어 전화기는 통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의 훅 스위치 장치는 작동레버에 전화기의 수화기와 접촉되는 돌기가 형성되어 별도의 플런저를 구비할 필요가 없고, 이에 따라 전화기를 통화 상태 또는 대기 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한 스위칭 구조의 단순화 및 콤팩트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별도의 플런저가 필요없어 전화기 생산에 소요되는 단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의 훅 스위치 장치는 작동레버가 고정구에 의해 상부 케이스에 직접 부착됨으로써 훅 스위치를 인쇄회로기판에 부착되는 종래의 구조에 비해 인쇄회로 기판의 설계시 고려되어야 할 설계변수가 줄어들게 된다.

Claims (2)

  1. 전화기의 수화기 안착홈 배면에 설치된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에 제 1 또는 제 2 위치로 회전되게 결합되어 전화기의 대기 동작 신호 또는 통화 동작 신호를 발생시키는 작동레버와;
    상기 작동 레버의 제 1 또는 제 2 위치 회전에 따라 수화기 안착홈에 형성된 관통공으로 출몰하면서 상기 수화기와 접촉되는 상기 작동레버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접촉돌기와;
    상기 작동레버의 제 1 또는 제 2 위치 회전에 따라 발생되는 통화 동작신호 또는 대기 동작신호를 전화기의 인쇄회로기판에 전달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된 도선이 삽입 설치되는 상기 고정구에 형성된 콘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특징인 전화기의 훅 스위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볼트 체결공이 형성된 체결편이 형성되고, 상기 수화기 안착홈 배면에 볼트 체결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볼트 보스가 형성되어 고정볼트를 통해 고정 설치되는 것이 특징인 전화기의 훅 스위치 장치.
KR10-2001-0024840A 2001-05-08 2001-05-08 전화기의 훅 스위치 장치 KR100382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4840A KR100382199B1 (ko) 2001-05-08 2001-05-08 전화기의 훅 스위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4840A KR100382199B1 (ko) 2001-05-08 2001-05-08 전화기의 훅 스위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5362A KR20020085362A (ko) 2002-11-16
KR100382199B1 true KR100382199B1 (ko) 2003-05-01

Family

ID=27704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4840A KR100382199B1 (ko) 2001-05-08 2001-05-08 전화기의 훅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21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5475B1 (ko) 2021-02-02 2022-12-08 주식회사 제핏 동물의 생체신호 측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5362A (ko) 2002-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84289C (en) Control signal initiator responsive to a hinge position
KR100810314B1 (ko) 휴대 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
GB2332119A (en) Antenna unit for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incorporates a visual call warning device
EP1259047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multipart housing electrical connection
CN1129925C (zh) 电话开关机构
KR100382199B1 (ko) 전화기의 훅 스위치 장치
KR100386359B1 (ko) 회전형 커넥터가 부착된 스위치
US20010035857A1 (en) Cursor mechanism with an encoding function
US20020061733A1 (en) Unfolding apparatus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
KR200165414Y1 (ko) 차량용 핸즈프리
KR200205597Y1 (ko) 자동 폴더의 슬라이딩 방식 입력장치
KR100325246B1 (ko) 플립형 휴대폰에서 힌지 장치에 구비된 자동절환 스위칭 장치
JPH1141334A (ja) Keyボタンのモジュール構造
KR200162075Y1 (ko) 원터치방식의 휴대폰
KR200345352Y1 (ko) 휴대폰의플립도어스위치작동구조
KR19990060370A (ko)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의 플립커버 개폐 장치
KR100286433B1 (ko) 유선전화기
JPH0222913Y2 (ko)
KR100747860B1 (ko) 엔코더 스위치와 택트 스위치를 갖는 다방향 키 어셈블리
KR100315549B1 (ko) 폴더형 단말기의 엘씨디 모듈 전원 스위칭 장치
KR100334776B1 (ko) 단말기에서 자동 폴더의 시각적 통보장치
JPH0419873Y2 (ko)
KR200348924Y1 (ko) 플립에설치된보조키입력장치
JP2618765B2 (ja) 自動車・携帯電話機
KR200181624Y1 (ko) 휴대용 전화기의 회전방식 상하 스크롤 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