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6080A - 임의의 전송속도를 갖는 신호의 다중화 전송 및 복원장치 - Google Patents

임의의 전송속도를 갖는 신호의 다중화 전송 및 복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6080A
KR19990056080A KR1019970076058A KR19970076058A KR19990056080A KR 19990056080 A KR19990056080 A KR 19990056080A KR 1019970076058 A KR1019970076058 A KR 1019970076058A KR 19970076058 A KR19970076058 A KR 19970076058A KR 19990056080 A KR19990056080 A KR 199900560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signal
data
frame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6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91944B1 (ko
Inventor
함명식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76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1944B1/ko
Publication of KR19990056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60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1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19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4/00Combined time-division and frequency-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4/005Trans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9/00Multiplex systems in which each channel is represented by a different type of modulation of the carr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56Frame synchronisation, e.g. packet synchronisation, time division duplex [TDD] switching point detection or subframe synchron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전송장치의 다중화 장치.
나.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서로 다른 속도를 가지는 전송신호를 다중화하여 송수신하는 장치.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서로다른 전송속도를 갖는 둘 이상의 신호를 다중화하는 다중화 전송장치가, 전송신호의 속도를 판별하여 신호를 재생하고 전송가능한 상태로 변환하는 둘 이상의 전송부와, 다중화 전송클록을 수신하여 전송할 프래임을 생성하여 각 전송부들로 입력하는 프래임 생성부와, 각 전송부들로부터 수신된 프래임 신호를 다중화하여 전송하는 다중화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임의의 전송속도를 갖는 신호의 다중화 전송 및 복원장치.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다중화 전송장치

Description

임의의 전송속도를 갖는 신호의 다중화 전송 및 복원장치
본 발명은 유무선 전송장비의 다중화 전송 및 복원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로 다른 임의의 전송속도를 갖는 다중화 전송 및 복원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두 개의 포트(Port) 이상의 신호를 다중화 할 경우 동일한 전송속도를 가지지 않는 신호에 대해서는 다중화하여 전송하지 않다. 그러나 특히 서로 다른 속도를 갖는 둘 이상의 신호를 다중화하여 전송을 수행할 경우 송신하는 운용자와 수신하는 운용자가 서로 전송속도를 정하고, 다중화하여야만 역다중화가 가능하였다.
따라서 서로 다른 속도를 가지는 임의의 신호를 다중화 할 경우 시스템의 운용자간 상호 약정이 필요하고, 또한 이를 수정하기 위해 수동으로 시스템을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임의의 전송속도를 갖는 신호를 다중화하여 전송 및 복원하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임의의 전송속도를 갖는 신호를 다중화 하기 위한 프래임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방안은 서로다른 전송속도를 갖는 둘 이상의 신호를 다중화하여 송수신하는 전송장치가, 전송신호의 속도를 판별하여 신호를 재생하고 전송가능한 상태로 변환하는 둘 이상의 전송부와, 다중화 전송클록을 수신하여 전송할 프래임을 생성하여 상기 각 전송부들로 입력하는 프래임 생성부와, 상기 각 전송부들로부터 수신된 프래임 신호를 다중화하여 전송하는 다중화부로 구성되며,
수신부의 구성이, 수신되는 데이터로부터 프래임 동기를 검출하는 프래임 동기 검출부와, 수신클록으로부터 역다중화 제어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역다중화 제어신호 발생부와, 수신된 프래임으로부터 송신데이터, 타합선 데이터, 전송속도 및 스터핑 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한 둘 이상의 검출부로 구성된 역다중화부와, 상기 역다중화되어 출력되는 데이터를 송신시의 속도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기 위한 둘 이상의 신호출력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기 다중화되어 전송되는 신호의 프래임이 상기 프래임의 시작점을 알리는 정렬영역과, 상기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유지보수를 위한 유지보수 영역과, 부가영역에 유지보수 데이터 또는 전송신호가 실리는 상태를 알리는 구별신호 영역과, 상기 전송신호의 속도를 알리기 위한 속도정보 영역과, 상기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유지보수 또는 전송신호가 저장되는 부가영역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임의의 두 신호를 다중화하여 전송하는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송신호의 프레임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중화된 전송신호의 수신부의 블록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임의의 두 신호를 다중화하여 전송하는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두 개의 서로 다른 전송속도를 가지는 전송신호를 다중화하는 방법을 예로써 설명한다. 먼저 상기 다중화 전송장치의 블록 구성은 크게 내부분으로 나뉜다. 상기 다중화 전송장치는 제1전송신호를 다중화하는 제1신호전송부 110과, 제2전송신호를 다중화하는 제2신호전송부 120과, 본 발명에 따라 다중화되어 전송되는 데이터의 프레임 구조를 발생하여 상기 제1신호전송부 110과 상기 제2신호전송부 120으로 출력하는 프래임 생성부 100과,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에 데이터를 합성한 신호를 다중화하는 다중화부 130으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을 좀더 자세히 설명한다. 제1전송신호는 상기 제1신호전송부 110의 전송클록 복원부 111로 입력되며, 상기 전송클록 복원부 111은 상기 전송신호의 클록을 복원하여 전송속도 판별부 112 및 스터핑(Stuffing)발생부 113으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전송신호는 동시에 상기 전송속도 판별부 112로 입력되며, 상기 전송속도 판별부 112는 상기 제1전송신호와 상기 전송클록 복원부 111로부터 입력되는 복원된 전송클록에 의해 전송속도를 판별하여 상기 다중화부 130으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1전송신호는 신호의 재생을 위해 신호 재상부 114로 입력되어 전송할 데이터를 재생한다. 상기 신호 재생부 114에서 재생된 신호는 제1저장부 115로 입력되며, 상기 제1저장부는 상기 전송클록 복원부 111로부터 수신된 복원클록과 상기 스터핑 발생부 113으로부터 수신된 스터핑 데이터를 합성한다.
또한 상기 프래임 생성부 100은 상기 전송할 신호를 다중화하여 출력하기 위한 전송클록을 수신하고 상기 클록에 대응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래임을 생성하여 상기 상기 제1신호전송부 110과, 상기 제2신호전송부 120으로 출력한다. 상기 프래임 생성부 100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는 상기 스터핑 발생부 113에 입력되며, 상기 스터핑 발생부 113은 상기 제1저장부 115 및 상기 다중화부 130으로 출력한다.
상기 제2신호전송부 120의 구조 및 동작 또한 상기 제1신호전송부 110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다중화부 130은 상기 제1신호전송부 110과 상기 제2신호전송부 120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프래임 구조로 다중화하여 전송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송신호의 프레임 구조도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2048의 전송속도를 갖는 두 신호를 다중화하여 전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다중화되어 전송되는 데이터의 속도는 4608Kbps하여 설명한다. 상기 다중화 되어 전송되는 데이터는 비동기식으로 전송되며, 펄스 스터핑에 의해 동기를 유지하게 된다. 먼저 상기 프래임 구조는 다섯 개의 프래임으로 구성되며, 각 프래임은 144비트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나의 프래임에는 상기 제1전송신호와 상기 제2전송신호가 모두 다중화되어 정보영역에 저장된다. 먼저 제1프래임의 구조를 보면, 정렬영역으로 프래임의 정돈(Alignment) 신호는 한 프래임당 2비트로 제1전송신호의 최초 비트 M0와 제2전송신호의 최초비트 F0를 할당한다. 따라서 상기 프래임의 정돈을 위한 비트는 총 10비트로 구성된다. 또한 유지보수 영역인 둘째 비트는 유지보수를 위한 타합선(Oder Wire)정보의 비트로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 2번 비트와 상기 74번 비트는 타합선 정보로 구성된다. 구별신호 영역인 다음 두비트는 스터핑 제어비트로써 7번 비트와 8번 비트가 데이터 정보와 유지보수를 위한 타합선정보를 구분하기 위한 신호로 구성된다. 이는 하기 표 1과 같이 도시할 수 있다.
포트 SC11SC12 SC21SC22
신호 0 1 10 11 0 1 10 0
1∼4번 프래임7, 8번째 비트 INFOL1 OWL1 OWL1 OWL1 INFOL2 OWL2 OWL2 OWL2
5번 프래임7, 8번째 비트 INFOL1 INFOL1 INFOL1 SBL1 INFOL2 INFOL2 INFOL2 SBL2
상기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입력되는 스터핑 제어비트의 신호에 따라 부가영역인 상기 7, 8번 비트가 전송데이터로 채워지거나 또는 타합선 정보 및 제5 프래임에서는 스터프 비트에 데이터가 첨가되거나 삭제된다. 이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입력되는 신호는의 데이터가 많을 경우 한 프레임에 데이터를 더 많이 실어 전송하기 위해 3번째 비트와 75번째 비트인 SC11SC12가 00으로 설정되면 상기 7번째 비트와 79번째 비트인 OWP1OWP1의 비트가 제1전송신호로 채워지며, 상기 4번째 비트와 76번째 비트인 SC21SC22의 비트가 10 또는 01 또는 11로 설정된 경우 상기 5번째 비트와 77번째 비트인 OWP2OWP2가 데이터로 채워진다. 단지 5번째 프래임은 상기 수신되는 전송데이터와 스터핑 데이터의 진리표는 상기 도시한 바와같이 달리 구성된다.
또한 속도정보 영역인 상기 5번 및 6번 비트는 클록 신호로써 본 발명에서는 전송속도의 클록신호를 하기 표 2와 같은 진리표로 전송속도를 구분한다.
포트 CK11CK12 CK21CK22
5, 6번비트 0 1 10 11 0 1 10 11
전송속도 256Kbps 512Kbps 1024Kbps 2048Kbps 256Kbps 512Kbps 1024Kbps 2048Kbps
상기 표 2에 도시한 전송속도의 전송속도는 상기 제1신호전송부 110의 전송속도 판별부 112와 상기 제2신호전송부 120의 전송속도 판별부 122에 의해 전송할 신호의 검출된 속도에 따라 입력되는 신호이다. 이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제1전송신호가 256Kbps와, 상기 제2전송신호가 1024Kbps의 속도인 경우 상기 5번째 비트와 77번째 비트인 CK11CK12가 00으로 설정되며, 상기 6번째 비트와 78번째 비트인 CK21CK22가 10으로 설정된다. 이는 다섯 개의 프래임이 모두 동일하게 설정되어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중화된 전송신호의 수신부의 블록 구성도이다.
이하 도 1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다중화되어 전송된 신호는 프래임 동기 검출부 201에서 프래임 동기신호를 검출하여 역다중화부 200으로 입력하며, 또한 상기 전송되는 클록신호로는 역다중화 제어신호 발생부 202에서 역다중화시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역다중화부 200으로 출력한다. 상기 역다중화부 200은 제1검출부 210과 제2검출부 2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검출부 및 상기 제2검출부 220은 각각 제1타합선 정보를 검출하는 제1 O/W검출부 211과, 제2 O/W검출부 221을 구비하며, 상기 수신된 프래임으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는 제1데이터 검출부 212 및 제2데이터 검출부 222를 구비하고, 스터핑 데이터를 검출하는 제1스터핑 검출부 213과, 제2스터핑 검출부 223을 구비하며, 상기 도 2의 프래임 구조에 의해 전송속도를 판별하는 제1전송속도 검출부 214 및 제2전송속도 검출부 224를 구비한다.
상기 제1검출부 210을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한다. 상기 프래임 동기 검출부 201로부터 동기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1검출부 210의 제1 타합선 검출부 211은 상기 수신된 프래임 구조로부터 상기 표 1의 진리표에 의해 타합선 정보를 검출한다. 따라서 상기 타합선 정보는 제1타합선 접속부 233으로 출력된다. 제1스터핑 검출부 213은 스터핑 데이터를 검출하여 제1클록 복원부 232로부터 출력한다. 또한 제1전송속도 검출부 214는 상기 표 2의 데이터에 의해 전송속도를 검출하며, 상기 검출된 전송속도를 상기 제1클록 복원부 232로 출력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스터핑 검출부와 상기 타합선 데이터를 제외한 데이터만을 추출하는 제1데이터 검출부는 상기 도 2의 데이터 부분에 저장된 데이터를 추출하여 제1수신 저장부 231로 출력한다.
상기 과정을 통해 제1검출부 210 및 제2검출부 220의 출력은 각각 제1신호 출력부 230 및 제2신호 출력부 240으로 입력된다. 상기 제1신호 출력부 230과 상기 제2신호 출력부 240의 구성은 각각 상기 제1타합선 접속부 233과 상기 제2타합선 접속부 243을 구비하며, 상기 제1수신 저장부 231과 제2수신 저장부 242를 구비하고, 상기 제1클록 복원부 232와 제2클록 복원부 242를 구비하며, 상기 제1수신 저장부 231 및 제2수신 저장부 241에 저장된 데이터를 복원하여 출력하는 제1전송신호 복원부 234 및 제2전송신호 복원부 244로 구성된다. 상기 젭타합선 접속부 233은 상기 수신된 데이터의 유지보수를 위한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며, 제1수신 저장부 231은 상기 비동기식으로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상기 저장된 신호를 제1클록 복원부의 클록신호에 대응하여 제1전송신호 복원부 234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1클록 복원부 232는 상기 전송속도 검출부 210으로부터 수신된 전송속도 데이터와 상기 제1스터핑 검출부에 의해 수신된 스터핑 신호에 따라 전송된 신호의 클록을 발생하여 상기 제1수신 저장부 231 및 제1전송신호 복원부 234로 출력한다. 상기 제1전송신호 복원부 234는 상기 제1수신 저장부 231로부터 순차적으로 수신하며, 상기 제1클록 복원부 232로부터 수신된 클록에 의해 데이터를 전송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상기 서로다른 속도를 가지는 신호를 다중화하여 송수신할 수 있으므로 전송시스템 및 교환장치의 무인 운용이 가능한 잇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전송속도를 다중화하여 송수신할 경우 사용자가 전송장치를 조작할 필요가 없이 자동으로 역다중화가 가능한 잇점이 있다.

Claims (7)

  1. 서로다른 전송속도를 갖는 둘 이상의 신호를 다중화하는 다중화 전송장치에 있어서,
    전송신호의 속도를 판별하여 신호를 재생하고 전송가능한 상태로 변환하는 둘 이상의 전송부와,
    다중화 전송클록을 수신하여 전송할 프래임을 생성하여 상기 각 전송부들로 입력하는 프래임 생성부와,
    상기 각 전송부들로부터 수신된 프래임 신호를 다중화하여 전송하는 다중화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임의의 전송속도를 갖는 신호의 다중화 전송 및 복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가,
    전송신호로부터 전송속도를 판별하기 위한 전송속도 판별부와,
    전송신호를 재생하는 신호 재생부와,
    상기 신호 재생부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저장하여 전송할 데이터의 량으로 출력하는 저장부와,
    스터핑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저장부로 스터핑 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터핑 발생부와,
    상기 전송신호로부터 클록신호를 복원하여 상기 전송속도 판별부와 상기 신호 재생부와 상기 저장부와 상기 스터핑 발생부로 출력하는 전송클록 복원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임의의 전송속도를 갖는 신호의 다중화 전송 및 복원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화되어 전송되는 신호의 프래임이 상기 프래임의 시작점을 알리는 정렬영역과,
    상기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유지보수를 위한 유지보수 영역과,
    부가영역에 유지보수 데이터 또는 전송신호가 실리는 상태를 알리는 구별신호 영역과,
    상기 전송신호의 속도를 알리기 위한 속도정보 영역과,
    상기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유지보수 또는 전송신호가 저장되는 부가영역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임의의 전송속도를 갖는 신호의 다중화 전송 및 복원장치.
  4. 서로다른 전송속도로 다중화되어 수신되는 신호를 복원하기 위한 전송장치에 있어서,
    수신되는 데이터로부터 프래임 동기를 검출하는 프래임 동기 검출부와,
    수신클록으로부터 역다중화 제어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역다중화 제어신호 발생부와,
    수신된 프래임으로부터 송신데이터, 타합선 데이터, 전송속도 및 스터핑 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한 둘 이상의 검출부로 구성된 역다중화부와,
    상기 역다중화되어 출력되는 데이터를 송신시의 속도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기 위한 둘 이상의 신호출력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임의의 전송속도를 갖는 신호의 다중화 전송 및 복원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가,
    상기 수신된 프래임으로부터 타합선 신호를 검출하는 타합선 검출부와,
    상기 수신된 프래임으로부터 전송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전송속도 검출부와,
    상기 수신된 프래임의 스터핑 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한 스터핑 검출부와,
    상기 수신된 데이터로부터 전송신호 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한 데이터 검출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임의의 전송속도를 갖는 신호의 다중화 전송 및 복원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출력부가,
    상기 검출된 전송속도에 의해 전송클록을 복원하는 클록 복원부와,
    상기 검출부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클록 복원부로부터 수신되는 클록에 대응하여 출력하는 수신 저장부와,
    상기 클록 복원부로부터 수신된 클록신호와 상기 수신 저장부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 대응하여 데이터를 복원하여 출력하는 전송신호 복원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임의의 전송속도를 갖는 신호의 다중화 전송 및 복원장치.
  7. 서로다른 전송속도를 갖는 둘 이상의 신호를 다중화하여 송수신하는 다중화 전송장치에 있어서,
    전송신호의 속도를 판별하여 신호를 재생하고 전송가능한 상태로 변환하는 둘 이상의 전송부와,
    다중화 전송클록을 수신하여 전송할 프래임을 생성하여 상기 각 전송부들로 입력하는 프래임 생성부와,
    상기 각 전송부들로부터 수신된 프래임 신호를 다중화하여 전송하는 다중화부로 구성되며,
    상기 다중화되어 전송되는 신호의 프래임이 상기 프래임의 시작점을 알리는 정렬영역과,
    상기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유지보수를 위한 유지보수 영역과,
    부가영역에 유지보수 데이터 또는 전송신호가 실리는 상태를 알리는 구별신호 영역과,
    상기 전송신호의 속도를 알리기 위한 속도정보 영역과,
    상기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유지보수 또는 전송신호가 저장되는 부가영역으로 구성되는 프래임으로 데이터를 변환하여 전송하며,
    상기 프래임 구조로 다중화 되어 수신되는 데이터로부터 프래임 동기를 검출하는 프래임 동기 검출부와,
    수신클록으로부터 역다중화 제어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역다중화 제어신호 발생부와,
    수신된 프래임으로부터 송신데이터, 타합선 데이터, 전송속도 및 스터핑 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한 둘 이상의 검출부로 구성된 역다중화부와,
    상기 역다중화되어 출력되는 데이터를 송신시의 속도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기 위한 둘 이상의 신호출력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임의의 전송속도를 갖는 신호의 다중화 전송 및 복원장치.
KR1019970076058A 1997-12-29 1997-12-29 임의의 전송속도를 갖는 신호의 다중화 전송 및 복원장치 KR100291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6058A KR100291944B1 (ko) 1997-12-29 1997-12-29 임의의 전송속도를 갖는 신호의 다중화 전송 및 복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6058A KR100291944B1 (ko) 1997-12-29 1997-12-29 임의의 전송속도를 갖는 신호의 다중화 전송 및 복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6080A true KR19990056080A (ko) 1999-07-15
KR100291944B1 KR100291944B1 (ko) 2001-06-01

Family

ID=37526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6058A KR100291944B1 (ko) 1997-12-29 1997-12-29 임의의 전송속도를 갖는 신호의 다중화 전송 및 복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194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91944B1 (ko) 200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7935B2 (ja) 時分割多重分離装置
US20020021720A1 (en) Multiplexed signal transmitter/receiver, communication system, and multiplexing transmission method
US6323787B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EP0264879A2 (en) A fault detection signal transmission system
US4796278A (en) Repeater for digital communication system
KR19990056080A (ko) 임의의 전송속도를 갖는 신호의 다중화 전송 및 복원장치
KR0185855B1 (ko) 전화 채널을 이용한 음성 신호 및 디지탈 데이타 송수신기
JP2504028B2 (ja) 中継装置
KR0154568B1 (ko) 수동광통신망의 케이블텔레비젼가입자 접속을 위한다중/역다중화 장치
KR100608902B1 (ko) 파장분할다중화 방식 광전송 시스템을 위한 외장형 다중화장치
JPS59214372A (ja) 同期方式
JP3102976B2 (ja) タイムスロット信号位相アライナー装置
JPH02206243A (ja) 時分割多重伝送方式
JPH03126339A (ja) スタッフ多重変換装置
KR930004097B1 (ko) 64Kbps 데이타 다중장치
JPH0813023B2 (ja) 無線送受信装置
JPS62111541A (ja) Pcm中間中継装置
KR980007128A (ko) 48개 51m 프레임의 다중화를 이용한 2.5g 광전송장치 및 방법
JPH11205364A (ja) データ伝送装置
KR20010037493A (ko) E1과 t1신호의 동시처리가 가능한 종속단위그룹신호 처리장치
JPH05308339A (ja) 通信装置
JPH057192A (ja) デイジタル無線伝送システム
JP2002118528A (ja) 通信情報伝送方式
JPH05167455A (ja) Cmi/ami変換装置、ami/cmi変換装置、およびcmi/ami/cmiインターフェース
JPH08298496A (ja) 監視データ伝送方法及び監視データ伝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