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7493A - E1과 t1신호의 동시처리가 가능한 종속단위그룹신호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E1과 t1신호의 동시처리가 가능한 종속단위그룹신호 처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0037493A KR20010037493A KR1019990045059A KR19990045059A KR20010037493A KR 20010037493 A KR20010037493 A KR 20010037493A KR 1019990045059 A KR1019990045059 A KR 1019990045059A KR 19990045059 A KR19990045059 A KR 19990045059A KR 20010037493 A KR20010037493 A KR 2001003749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 unit
- signals
- tug
- unit group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16—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in which the time allocation to individual channels within a transmission cycle is variable, e.g. to accommodate varying complexity of signals, to vary number of channels transmitted
- H04J3/1605—Fixed allocated frame structures
- H04J3/1611—Synchronous digital hierarchy [SDH] or SONE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02—Details
- H04J3/06—Synchronising arrangements
- H04J3/062—Synchronisation of signals having the same nominal but fluctuating bit rates, e.g. using buffers
- H04J3/0623—Synchronous multiplexing systems, e.g. synchronous digital hierarchy/synchronous optical network (SDH/SONET), synchronisation with a pointer pro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E1과 T1 신호의 동시처리가 가능한 종속단위그룹신호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DS1N(1.544Mbps) 신호 및 DS1E(2.048Mbps) 신호와 종속단위그룹신호(TUG-2) 사이를 서로 변환해 주되, DS1N 신호와 DS1E 신호를 포트별로 혼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송신시에는 입력되는 신호의 종류에 관계없이 동작모드에 따라 DS1N 신호나 DS1E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에 대한 종속단위그룹신호(TUG-2)로 생성하되 종속단위그룹신호(TUG-2)에 실려있는 신호의 종류를 나타내는 신호종류표시를 하도록 하고, 수신시에는 수신된 종속단위그룹신호(TUG-2)에 실려있는 신호종류표시를 분석하여 해당 신호를 추출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E1과 T1 신호의 동시처리가 가능한 종속단위그룹신호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E1 신호와 T1 신호를 포트 구별없이 혼용 수용하여 동기식 디지털 계위(SDH:Synchronous Digital Hierachy)에 따라 종속단위그룹신호(TUG-2: Tributary Unit Group-2)로 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동기식 디지털 계위(SDH)를 적용하는 전송장치에서는 동기식 디지털 계위에 따른 유럽형의 E1 신호(2.048Mbps)와 북미형의 T1 신호(1.544Mbps)를 기본적으로 처리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는 한 예인 광가입자 전송장치(FLC System:Fiber Loop Carrier System)와 관련하여, E1 신호를 DS1E 신호라 하고, T1 신호를 DS1N 신호라고 칭하기로 한다.
도 1은 동기식 디지털 계위에 따른 DS1E 신호 및 DS1N 신호와 종속단위그룹신호 사이의 다중화 구조도로서, DS1N 신호는 먼저 상자-11(C-11)로 매핑되고, 상자-11(C-11)에 저위경로 오버헤드가 삽입되면 가상상자-11(VC-11)가 된다. 이 가상상자-11(VC-11)에 가상상자의 위치를 나타내는 포인터가 부가되면 종속단위-11(TU-11)가 되며, 종속단위-11(TU-11) 4개가 다중화되어 종속단위그룹신호(TUG-2)가 만들어진다.
또한, DS1E 신호는 먼저 상자-12(C-12)로 매핑되고, 상자-12(C-12)에 저위경로 오버헤드가 부가되면 가상상자-12(VC-12)가 된다. 이 가상상자-12(VC-12)에 가상상자-12(VC-12)의 위치를 나타내는 포인터가 부가되면 종속단위-12(TU-12)가 되며, 종속단위-12(TU-12) 3개가 다중화되어 종속단위그룹신호(TUG-2)가 만들어진다.
즉, DS1E 신호는 종속단위-12(TU-12)로 매핑된 후 이 신호 3개가 다중화되어 종속단위그룹신호(TUG-2)로 만들어지지만, DS1N 신호는 종속단위-11(TU-11)로 매핑된 후 이 신호 4개가 다중화되어 종속단위그룹신호(TUG-2)로 된다.
한편, 동기식 디지털 계위(SDH)를 따르는 종래의 전송장치(예: 광가입자 전송장치)는 DS1E 신호와 DS1N 신호를 별도의 전송장치 유니트를 이용하여 처리하고 있으며, 또한 이들 신호를 개별적으로 합하여 혼용신호처럼 사용하고 있기도 하지만 내부 신호 처리과정을 개선하지 못하여 장치의 구성이 복잡해지고 유니트 제작 비용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입력신호가 DS1E 신호인지 혹은 DS1N 신호인지를 포트별로 자동으로 인식하여 이를 모두 가상상자-12(VC-12)를 통해 종속단위그룹신호(TUG-2)로 매핑하되, 종속단위그룹신호(TUG-2)에 어느 종류의 신호가 실려있는지를 표시하여 매핑하고, 수신시에는 이 표시를 이용하여 종속단위그룹신호(TUG-2)에 실려있는 신호를 올바로 추출할 수 있도록 한 장치, 즉 E1과 T1 신호의 동시처리가 가능한 종속단위그룹신호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E1과 T1 신호의 동시처리가 가능한 종속단위그룹신호 처리장치는 송신시에는 입력되는 신호의 종류에 관계없이 동작모드에 따라 상기 DS1N 신호나 DS1E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에 대한 종속단위그룹신호(TUG-2)로 생성하되 상기 종속단위그룹신호(TUG-2)에 실려있는 신호의 종류를 나타내는 신호종류표시를 하도록 하고, 수신시에는 수신된 종속단위그룹신호(TUG-2)에 실려있는 상기 신호종류표시를 분석하여 해당 신호를 추출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종속단위그룹신호 처리장치는 저위 경로 오버헤드(V5 바이트)의 비트 중 유료부하 타입(PT:Payload Type)을 규정하는 비트인 최상위 비트로부터 4번째 비트를 이용하여 상기 신호종류표시를 나타내도록 구성함으로서 보다 바람직하게 실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종속단위그룹신호 처리장치는 외부에서 DS1N 신호 및 DS1E 신호를 입력받아 어느 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별하는 신호 판단부와 상기 신호 판단부의 판단에 따른 신호로 상기 신호 판단부와 접속하는 신호 접속부의 쌍이 하나 이상 모여서 이루어지는 신호 입력부; 상기 신호 접속부를 통해 입력된 신호에 대하여 상기 신호종류표시를 해서 종속단위그룹신호(TUG-2)로 만드는 송신 처리부; 외부에서 종속단위그룹신호(TUG-2)를 수신하고, 수신된 종속단위그룹신호(TUG-2)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신호종류표시에 따라 해당 신호를 추출한 후 상기 신호 입력부의 신호 접속부로 출력하는 수신 처리부; 및 상기 종속단위그룹신호 처리장치를 제어하는 외부의 주 제어장치와 접속하여 상기 종속단위그룹신호 처리장치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주고받는 주 제어장치 접속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보다 바람직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송신 처리부는 상기 신호 접속부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역부호화하는 역부호화부; 상기 역부호화부에서 역부호화한 신호를 상기 종속단위그룹신호 처리장치를 사용하는 전송장치의 시스템 클럭에 동기화하여 신호의 종류에 따라 상자신호로 매핑하는 동기화부; 상기 상자신호 3개를 다중화하고, 이에 필요한 가상상자신호용 오버헤드(Overhead)를 삽입한 후 DS1E 신호에 대한 가상상자-12(VC-12)로 매핑하되, 상기 신호종류표시를 하여 매핑하는 다중화부; 종속단위신호(TU)용 포인터를 생성하는 포인터 생성부; 및 상기 3개의 가상상자-12(VC-12)에 상기 포인터 생성부에서 생성한 포인터를 삽입하여 종속단위그룹신호(TUG-2)를 형성하는 종속단위그룹신호 형성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보다 바람직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 처리부는 외부에서 종속단위그룹신호(TUG-2)를 수신하는 종속단위그룹신호 수신부; 상기 종속단위그룹신호 수신부에서 수신한 종속단위그룹신호(TUG-2)를 역다중화하여 3개의 종속단위-12(TU-12)로 만드는 역다중화부; 상기 역다중화부에서 분리한 종속단위-12(TU-12)에서 상기 신호종류표시 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신호에 대한 가상상자신호로 만드는 포인터 처리부; 상기 포인터 처리부에서 추출한 가상상자신호에서 오버헤드를 추출하는 오버헤드 추출부; 상기 오버헤드 추출부에서 오버헤드가 추출된 신호를 역동기화 시키는 역동기화부; 및 상기 역동기화부의 출력신호를 부호화하여 상기 신호 접속부로 송신하는 부호화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보다 바람직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동기식 디지털 계위에 따른 DS1E 신호 및 DS1N 신호와 종속단위그룹신호 사이의 다중화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종속단위그룹신호 처리장치,
도 3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신호 송신에 관한 타이밍도,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신호 수신에 관한 타이밍도,
도 5는 송신 처리부 및 수신 처리부의 상세 구성도,
도 6은 저위 경로 오버헤드의 구조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종속단위그룹신호 처리장치 210: 신호 입력부
211,214,216: 신호 접속부 211: 신호 판단부
220: 송신 처리부 221: 역부호화부
222: 동기화부 223: 다중화부
224: 포인터 생성부 225: 종속단위그룹신호 형성부
230: 수신 처리부 231: 종속단위그룹신호 수신부
232: 역다중화부 233: 포인터 처리부
234: 오버헤드 추출부 235: 역동기화부
236: 부호화부 240: 주제어장치 접속부
300: 관리단위신호 처리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종속단위그룹신호 처리장치(200)의 구성도로서, DS1E 신호와 DS1N 신호에 대한 포트를 혼용하여 사용하며, 포트에 수신되는 신호의 종류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처리한다. 이 때, 프로비젼(Provision)을 통해 DS1E 신호나 DS1N 신호의 전용 유니트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종속단위그룹신호 처리장치(200)는 동작모드에 따라 송신시에는 입력되는 신호의 종류에 관계없이 DS1N 신호나 DS1E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에 대한 종속단위그룹신호(TUG-2)로 형성하되, 종속단위그룹신호(TUG-2)에 실려있는 신호의 종류를 나타내는 신호종류표시를 한다. 그리고, 수신시에는 수신된 종속단위그룹신호(TUG-2)에 실려있는 신호종류표시를 분석하여 해당 신호를 추출하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종속단위그룹신호 처리장치(200)는 신호 입력부(210)를 통해 DS1N 신호선 및 DS1E 신호선에 접속되는데, 신호 입력부(210)는 외부에서 DS1N 신호 및 DS1E 신호를 입력받아 어느 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별하는 신호 판단부와 신호 판단부의 판단에 따른 신호로 신호 판단부와 접속하는 신호 접속부의 쌍이 하나 이상 모여서 이루어진다.
즉, 신호 판단부(211)는 AMI(Alternate Mark Inversion) 또는 B8ZS(Bipolar with 8 Zero Substitution)등의 라인 부호를 갖는 3개의 복극성(Bipolar) DS1N 신호, 및 HDB3(High Density Bipolar 3) 등의 라인부호를 갖는 3개의 복극성 DS1E 신호를 DS1E 신호선을 통해 송수신하며, DS1E 신호와 DS1N 신호 중 어느 신호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신호 접속부(212)는 송신시 신호 판단부(211)에서 신호의 종류를 판별하여 보내는 신호를 각 신호별 접속부를 통해 구분 수신하며, 수신된 복극성 신호를 단극성 신호로 만들고 클럭을 재생한다. 또한, 수신시에는 부호화된 상태로 입력되는 신호를 복극성 신호로 만들고, 각 신호별로 신호 판단부(211)에 송신한다.
한편, 송신 처리부는 신호 접속부(212,214,216)를 통해 입력된 신호에 대하여 신호종류표시를 해서 종속단위그룹신호(TUG-2)로 만드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신호 접속부(212,214,216)에서 출력하는 단극성 데이터는 버퍼에 일시적으로 저장된 후 종속단위그룹신호 처리장치(200)가 사용되는 전송장치의 시스템 클럭을 이용하여 비트 스터핑과 경로오버헤드를 추가하는 사상 과정을 수행함으로서 3개의 가상상자-12(VC-12)를 생성한다. 이 때, 가상상자-12(VC-12)에 실리는 데이터가 DS1N 신호에 관한 것인지, 혹은 DS1E 신호에 관한 것인지를 식별할 수 있는 표시를 한다.
이러한 신호종류를 표시하는 바람직한 한 실시예는 저위경로 오버헤드(V5 바이트)의 비트 중 유료부하 타입(PT:Payload Type)을 규정하는 비트인 최상위 비트로부터 4번째 비트를 이용하는 것이다.
도 6은 저위경로 오버헤드(600)의 구조도로서, 최상위 비트로부터 2 비트의 비트 교직 짝수 검사 정보(BIP-2:Bit Interleaved Parity-2), 1 비트의 원단 블럭 오류정보(FEBE:Far End Block Error), 1 비트의 유료부하 타입 정보(PT:Payload Type), 3 비트의 신호표지를 위한 정보(L1,L2,L3), 및 1 비트의 원단 수신 고장정보(FERF:Far End Receive Failure)로 이루어진다.
이 때, 신호의 종류는 유료부하 타입 정보 비트(PT:610)을 이용하여 표시할 수가 있는데, 이 비트 값에 따라 가상상자-12(VC-12)에 실린 데이터가 DS1E 신호에 관한 것인지 혹은 DS1N 신호에 관한 것인지를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제 송신 처리부(220)는 신호종류표시가 되어 있는 3개의 가상상자-12(VC-12)에 포인터 값을 삽입하여 종속단위그룹신호(TUG-2)를 만들어 출력하는데, 이것은 관리단위신호(AU:Administrative Unit)를 처리하는 관리단위신호 처리장치(300)로 보내져서 처리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여기서 관리단위신호 처리장치(300)란 동기식 디지털 계위에 따른 신호처리과정에서 종속단위그룹신호(TUG-2)와 관리단위신호(AU) 사이의 신호처리를 담당하는 장치를 말한다.
한편 수신 처리부(230)는 외부(관리단위신호 처리장치등)에서 종속단위그룹신호(TUG-2)를 받아 가상상자-12(VC-12)를 추출한다. 이 때, 신호 종류를 표시하기 위하여 위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저위경로 오버헤드(V5) 중 유료부하 타입 정보 비트(PT:610)를 사용하였다면, 이 비트를 분석하여 가상상자-12(VC-12)에 실려있는 신호의 종류를 파악한다. 그리고, DS1E 신호나 DS1N 신호를 추출하는데, 추출된 신호는 DS1E 신호선 혹은 DS1N 신호선을 통해 각 가입자들에게 전해지게 된다.
주 제어장치 접속부(240)는 전송장치의 총괄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장치(이하, 주 제어장치라 한다.)와 접속하여, 주 제어장치에 의한 초기화, 감시, 제어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즉, 주 제어장치와 접속하여 본 발명의 종속단위그룹신호 처리장치(200)의 상태를 주 제어장치에게 보고하고 필요에 따라 주 제어장치의 제어를 받으면서 유지보수, 고장 감시, 및 시험 기능을 수행한다.
즉, 외부(관리단위신호 처리장치등)로부터 수신한 종속단위그룹신호(TUG-2)에서 오류를 발견한 경우에는 이를 주 제어장치 접속부(240)를 통해 주 제어장치로 송신하고, 주 제어장치에서 보내는 지시사항을 외부장치로 송신할(상향) 종속단위그룹신호(TUG-2)의 해당 자리에 위치시킨다.
신호 부호화 및 역부호화에 사용할 부호의 종류, 대국측이나 가입자측으로의 경보표시신호(AIS:Alarm Indication Signal) 삽입지시등을 주 제어장치 접속부(240)를 통해 주 제어장치로부터 수신하고, 기 규정된 성능감시항목을 주 제어장치로 보고한다. 또한, 종속단위그룹신호 처리장치(200)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하여 발광 다이오드(LED) 등의 표시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각 상황에 따른 표시신호를 송신하거나, 주 제어장치가 송신하는 오버헤드 정보등을 주 제어장치 접속부(240)를 통해 송수신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신호 송신에 관한 타이밍도로서, 본 발명은 DS1E 모드나 DS1N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프로비젼될 수 있으며, 자동으로 입력신호를 판별하는 경우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DS1E 신호에 관한 다중화 절차를 거치게 하는 것이다. 한편, 도 3과 도 4의 괄호 내 속도표시는 DS1N 신호에 대한 것이다.
송신시에 2,048Kbps(1,544Kbps)의 DS1E 신호(DS1N 신호)는 버퍼를 통하여 갭핑(Gapping)된 형태의 2,048Kbps(1,544Kbps)의 신호로 변환되며, 이 갭핑된 자리에 가상상자-12(VC-12)의 경로오버헤드가 삽입되면 2,240Kbps(1,664Kbps)의 신호로 된다. 이 직렬의 2,240Kbps(1,664Kbps)의 신호는 다시 280Kbps(208Kbps)의 8 비트 병렬신호로 변환되고, 버퍼를 거쳐 갭핑된 형태의 280Kbps(208Kbps)의 신호로 된다. 이 갭핑된 자리에 포인터가 삽입되면 288Kbps(216Kbps)의 8 비트 병렬의 종속단위-12(종속단위-11)가 만들어지고, 종속단위신호 3개(4개)를 다중화하면 864Kbps(864Kbps)의 8 비트 병렬 종속단위그룹신호(TUG-2)가 생성된다. 이 종속단위그룹신호(TUG-2)를 직렬 6,912Mbps(Gapped 6.912Mbps)의 신호로 출력하게 된다.
도 4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신호 수신에 관한 타이밍도이다.
수신시에 외부에서 직렬로 수신된 6,912Mbps(Gapped 6.912Mbps)의 직렬 종속단위그룹신호(TUG-2)는 먼저 864Kbps(648Kbps)의 8비트 병렬신호로 변환되고, 이 신호는 다시 종속단위신호(TU)로의 분리를 위해 3개로 나뉘어져서 288Kbps(216Kbps)의 8 비트 병렬신호로된다. 그리고 이 신호에서 포인터를 제거하면 포인터 자리가 비어있는 갭핑된 형태의 280Kbps(208Kbps)의 병렬 신호가 되고, 갭핑된 병렬신호를 직렬로 변환하면 2240Kbps(1,664Kbps)의 직렬신호가 된다. 여기서 다시 가상상자의 경로오버헤드를 제거하면 갭핑된 형태의 2,048Kbps(1,644Kbps)의 신호가 된다. 이 신호를 버퍼를 통하여 갭핑된 자리를 없애서 출력하면 2,048Mbps(1,544Kbps)의 DS1E 신호(DS1N)가 된다.
이러한 타이밍 신호의 생성을 위한 바람직한 한가지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DS1E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서는 관리단위신호 처리장치(300)로부터 6.912MHz 클럭을 받아 2KHz당 96개를 갭핑(Gapping)하고, 이 클럭을 3분주하여 2.240MHz 클럭을 생성한다. 여기에서 저위경로 오버헤드를 갭핑하여 갭핑된 2.048MHz 클럭을 생성한다. 또한 6.912MHz 클럭을 8분주하여 864KHz 클럭을 생성하고 다시 3분주하여 288KHz 클럭을 생성한다. 여기에서 포인터의 자리를 제거하기 위해 8KHz를 갭핑하여 위의 2.240MHz 클럭과 동기시키기 위한 280KHz 클럭을 생성한다.
DS1E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관리단위신호 처리장치(300)에서 6.912MHz 클럭을 받아 8분주하여 864KHz 클럭을 만들고 다시 3분주하여 288KHz 클럭을 생성한다. 여기에서 포인터 자리를 제거하기 위하여 8KHz 갭핑시킨 280KHz 클럭을 만든다. 또한, 6.912MHz 클럭을 3분주하여 2.304MHz 클럭을 생성한 후 BLC 처리를 하여 2.240MHz 클럭을 생성하고, 여기에서 위의 280KHz 클럭에 동기시키기 위하여 2.240MHz 클럭을 8분주하여 280KHz 클럭을 생성한다.
한편, DS1N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에는 관리단위신호 처리장치(300)로부터 6.912MHz 클럭을 받아 이를 4분주하여 1.728MHz 클럭을 생성한 후,288 비트마다 8 비트를 제거하여 64KHz 갭핑된 1.664MHz 클럭을 생성한다. 여기에서 저위경로 오버헤드를 갭핑하여 갭핑된 1.544MHz 클럭을 생성한다. 또한 6.912MHz 클럭을 8분주하여 864KHz 클럭을 생성하고 다시 4분주하여 216KHz 클럭과 동기시키기 위한 208KHz클럭을 생성한다.
DS1N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관리단위신호 처리장치(300)에서 6.912MHz 클럭을 받아 이를 8분주하여 864KHz 클럭을 만들고, 다시 4분주하여 216KHz 클럭을 생성한다. 여기에서 포인터 자리 제거를 위해 8KHz 갭핑하여 208KHz 클럭을 만든다. 다시 포인터에 따른 BLC 클럭(13.312MHz)을 8분주하여 1.664KHz 클럭을 생성하고, 여기에서 위의 216KHz 클럭에 동기시키기 위하여 1.664KHz 클럭을 8분주하여 208KHz 클럭을 생성한다.
도 5는 송신 처리부(220) 및 수신 처리부(230)의 상세 구성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송신 처리부(220) 및 수신 처리부(230)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송신 처리부(220)를 설명한다.
역부호화부(221)는 신호 접속부(212,214,216)에서 출력하는 DS1N 단극성 신호를 역부호화(AMI 또는 B8ZS)하며, DS1E 단극성 신호를 역부호화(HDB3) 한다.
동기화부(222)는 역부호화부(221)에서 역부호화한 신호를 종속단위그룹신호 처리장치(200)가 사용되는 전송장치의 시스템 클럭에 동기를 시키기 위해 비트 스터핑하고 상자신호로 매핑(Mapping) 한다.
다중화부(223)에서는 동기화부(222)에서 동기화된 상자신호를 다중화하고, 이에 필요한 가상상자 오버헤드(V5)를 삽입한 후, 가상상자로 매핑(Mapping) 시킨다. 이 때, 자동으로 신호의 종류가 판별되는 모드에서 동작 중인 경우에는 입력 신호의 종류에 관계없이 가상상자-12(VC-12)로 매핑시킨다.
이 때, DS1N 신호에 대한 처리에서도 가상상자-12(VC-12)로 매핑시키게 되므로 현재 가상상자로 매핑되는 신호가 어떤 신호인지를 표시한다. 이러한 표시의 한 바람직한 예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저위경로 오버헤드(600)의 유료부하 타입정보 비트(610)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이 비트(610)의 논리값이 '1'일때 DS1E 신호에 관한 것이고, '0'일때 DS1N 신호에 관한 것이라고 규정할 수 있다. 이 후 수신시에는 먼저 이 신호종류 표시용 비트를 분석하여, DS1N 신호가 매핑된 것임을 알아내면 가상상자-11(VC-11)로 해석하면 된다.
포인터 생성부(224)는 포인터 계산용 클럭과 V5 클럭을 이용하여 포인터 값을 계산하는데, 종속단위그룹신호 처리장치(200)에서 출력하는 종속단위그룹신호 (TUG-2)는 관리단위신호 처리장치(300)로 입력되어 처리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이 장치(300)에서 사용하는 클럭을 받아 이를 이용하여 포인터 값을 계산한다.
종속단위그룹신호 형성부(225)는 관리단위신호 처리장치(300)로부터 직렬의 종속단위그룹신호(TUG-2) 클럭인 6.912MHz 클럭과 2KHz 프레임 동기 신호를 받아, 이를 이용하여 다중화부(223)에서 다중화한 3개의 가상상자-12(VC-12)에 포인터 생성부(224)에서 생성한 포인터 값을 삽입하여 종속단위그룹신호(TUG-2)를 만든다. 이 종속단위그룹신호(TUG-2)는 관리단위신호 처리장치(300)로 보내져서 다시 관리단위신호(AU)로 변환된 후 계속하여 동기식 수송 모듈신호로 변환된다.
이제 수신 처리부(230)를 설명하기로 한다.
종속단위그룹신호 수신부(231)는 종속단위그룹신호(TUG-2)를 보내는 외부장치(관리단위신호 처리장치 등)로부터 수신 클럭, 수신 데이타, 수신 프레임 정보를 받아, 이를 이용하여 종속단위그룹신호(TUG-2)를 수신한다.
역다중화부(232)는 종속단위그룹신호(TUG-2)를 동기식 디지털 계위에 따라 역다중화하여 3개의 종속단위-12(TU-12)로 만든다.
포인터 처리부(233)는 역다중화부(232)에서 분리한 종속단위-12(TU-12)별로 포인터 처리 및 비트리킹 처리를 수행하여 가상상자-12(VC-12)로 만든다. 이 때, 위에서의 실시예와 같이 저위경로 오버헤드를 이용하여 신호의 종류를 표시 하였다면 저위경로 오버헤드(V5)의 유료부하 타입정보(610) 비트를 검사하여 현재 수신되고 있는 신호가 DS1E 신호에 관한 것인지 혹은 DS1N 신호에 관한 것인지를 판별하게 된다.
오버헤드 추출부(234)는 가상상자로부터 경로 오버헤드, 고정 스터핑 비트, 통신 오버헤드 채널 비트들을 추출하고, 역동기화부(235)는 오버헤드 추출부(234)의 출력신호에 대하여 역동기화를 수행한다.
부호화부(236)는 역동기화부(235)의 출력신호가 DS1N 신호이면 이를 AMI 또는 B8ZS 방식 등으로 부호화하고, DS1E 신호이면 HDB3 등으로 부호화한다. 이 부호화된 신호는 신호 입력부(210)에서 복극성 신호로 변환되어 해당 신호선으로 출력된다.
한편, 본 발명의 종속단위그룹신호 처리장치(200)는 보다 바람직한 실시를 위하여 루프백(Loopback) 기능을 수행하는데, 순방향으로는 경보표시신호(AIS)를 송신한다.
이 때, 주 제어장치로부터 주 제어장치 접속부(240)를 통해 종속단위그룹신호 자국 루프백을 수행하라는 명령을 수신하면 종속단위그룹신호 형성부(225)에서 출력하는 종속단위그룹신호(TUG-2)를 종속단위그룹신호 수신부(231)로 되돌려 준다. 또한, DS1N 신호 혹은 DS1E 신호에 대한 자국 루프백을 수행하라는 명령이 입력된 경우에는 신호 접속부(212)로 입력되는 DS1N 신호 혹은 DS1E 신호를 다시 역부호화부(221) 방향으로 되돌려준다.
한편, DS1N 신호 혹은 DS1E 신호에 대한 원격 루프백을 수행하라는 명령이 입력된 경우에는 신호 판단부(211)를 통해 신호 접속부(212)로 입력되는 DS1N 신호 혹은 DS1E 신호를 다시 대국측으로 되돌려 보낸다.
본 발명을 사용하면 DS1E 신호와 DS1N 신호를 종속단위그룹신호(TUG-2)로 매핑할 때 포트의 구별 없이 사용 가능하므로, 동기식 신호 전송을 하는 장치에 적용되어 종속단위그룹신호(TUG-2)를 보다 간단하게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 동기식 디지털 계위(SDH:Synchronous Digital Hierachy)에 따라 DS1N (1.544Mbps) 신호 및 DS1E(2.048Mbps) 신호와 종속단위그룹신호(TUG-2:Tributary Unit Group-2) 사이를 서로 변환해 주는 종속단위그룹신호 처리장치에 있어서,상기 종속단위그룹신호 처리장치는 송신시에는 입력되는 신호의 종류에 관계없이 동작모드에 따라 상기 DS1N 신호나 DS1E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에 대한 종속단위그룹신호(TUG-2)로 생성하되 상기 종속단위그룹신호(TUG-2)에 실려있는 신호의 종류를 나타내는 신호종류표시를 하도록 하고, 수신시에는 수신된 종속단위그룹신호(TUG-2)에 실려있는 상기 신호종류표시를 분석하여 해당 신호를 추출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1과 T1 신호의 동시처리가 가능한 종속단위그룹신호 처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종속단위그룹신호 처리장치는 저위 경로 오버헤드(V5 바이트)의 비트 중 유료부하 타입(PT:Payload Type)을 규정하는 비트인 최상위 비트로부터 4번째 비트를 이용하여 상기 신호종류표시를 나타내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1과 T1 신호의 동시처리가 가능한 종속단위그룹신호 처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종속단위그룹신호 처리장치는 외부에서 DS1N 신호 및 DS1E 신호를 입력받아 어느 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별하는 신호 판단부와 상기 신호 판단부의 판단에 따른 신호로 상기 신호 판단부와 접속하는 신호 접속부의 쌍이 하나 이상 모여서 이루어지는 신호 입력부;상기 신호 접속부를 통해 입력된 신호에 대하여 상기 신호종류표시를 해서 종속단위그룹신호(TUG-2)로 만드는 송신 처리부;외부에서 종속단위그룹신호(TUG-2)를 수신하고, 수신된 종속단위그룹신호 (TUG-2)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신호종류표시에 따라 해당 신호를 추출한 후 상기 신호 입력부의 신호 접속부로 출력하는 수신 처리부; 및상기 종속단위그룹신호 처리장치를 제어하는 외부의 주 제어장치와 접속하여 상기 종속단위그룹신호 처리장치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주고받는 주 제어장치 접속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1과 T1 신호의 동시처리가 가능한 종속단위그룹신호 처리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처리부는 상기 신호 접속부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역부호화하는 역부호화부;상기 역부호화부에서 역부호화한 신호를 상기 종속단위그룹신호 처리장치를 사용하는 전송장치의 시스템 클럭에 동기화하여, 신호의 종류에 따라 상자신호로 매핑하는 동기화부;상기 상자신호를 다중화하고, 이에 필요한 가상상자용 오버헤드(Overhead)를 삽입한 후, DS1E 신호에 대한 가상상자-12(VC-12)로 매핑하되 상기 신호종류표시를 하여 매핑하는 다중화부;종속단위신호(TU)용 포인터를 생성하는 포인터 생성부; 및상기 3개의 가상상자-12(VC-12)에 상기 포인터 생성부에서 생성한 포인터를 삽입하여 종속단위그룹신호(TUG-2)를 생성하는 종속단위그룹신호 형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1과 T1 신호의 동시처리가 가능한 종속단위그룹신호 처리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처리부는 외부에서 종속단위그룹신호(TUG-2)를 수신하는 종속단위그룹신호 수신부;상기 종속단위그룹신호 수신부에서 수신한 종속단위그룹신호(TUG-2)를 역다중화하여 3개의 종속단위-12(TU-12)로 만드는 역다중화부;상기 역다중화부에서 분리한 종속단위-12(TU-12)에서 상기 신호종류표시 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신호에 대한 가상상자신호로 만드는 포인터 처리부;상기 포인터 처리부에서 추출한 가상상자신호에서 오버헤드를 추출하는 오버헤드 추출부;상기 오버헤드 추출부에서 오버헤드가 추출된 신호를 역동기화 시키는 역동기화부; 및상기 역동기화부의 출력신호를 부호화하여 상기 신호 접속부로 송신하는 부호화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1과 T1 신호의 동시처리가 가능한 종속단위그룹신호 처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45059A KR20010037493A (ko) | 1999-10-18 | 1999-10-18 | E1과 t1신호의 동시처리가 가능한 종속단위그룹신호 처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45059A KR20010037493A (ko) | 1999-10-18 | 1999-10-18 | E1과 t1신호의 동시처리가 가능한 종속단위그룹신호 처리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37493A true KR20010037493A (ko) | 2001-05-07 |
Family
ID=19615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90045059A KR20010037493A (ko) | 1999-10-18 | 1999-10-18 | E1과 t1신호의 동시처리가 가능한 종속단위그룹신호 처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0037493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71218B1 (ko) * | 2002-03-21 | 2008-12-0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주 장치와 원거리 장치간데이터 송/수신 장치 |
-
1999
- 1999-10-18 KR KR1019990045059A patent/KR20010037493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71218B1 (ko) * | 2002-03-21 | 2008-12-0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주 장치와 원거리 장치간데이터 송/수신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209493B2 (en) | Multiplex transmission system and multiplex transmitter | |
US20030035445A1 (en) | Integrated ethernet and PDH/SDH/SONET communication system | |
US5955959A (en) | Synchronization message transmitting apparatus | |
US5331630A (en) | Renewal method and apparatus for AU-4 and TU-3 pointers of synchronous digital hierarchy | |
CA2024215C (en) | Cross-connect method for stm-1 signals of the synchronous digital multiplex hierarchy | |
US5790557A (en) | Apparatus for implementing the function of a virtual container-11 and a tributary unit group-2 in a synchronous digital hierarchy | |
KR20010037493A (ko) | E1과 t1신호의 동시처리가 가능한 종속단위그룹신호 처리장치 | |
RU2010137272A (ru) | Перед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радиосвязи и способ радиопередачи | |
KR0145595B1 (ko) | 51메가 프레임의 단순다중/역다중을 이용한 1.2기가 광전송장치 | |
JPH0897792A (ja) | ディジタル多重化伝送方式 | |
US5506843A (en) | Subscriber group digital transmitter | |
KR100284007B1 (ko) | 광가입자 전송장치에 있어서 계위단위그룹 신호와 ds1 신호 사이의 역다중화 장치 | |
KR100263383B1 (ko) | 광 가입자 전송장치에 있어서의 분기/결합 장치 | |
KR100360011B1 (ko) | 2.5Gbps 광전송용 트랜시버 장치 | |
KR100271312B1 (ko) | 광가입자 전송장치에서의 관리단위신호 교환장치 | |
KR20000046373A (ko) | E1신호로부터의 au-4신호 생성장치 | |
KR100263382B1 (ko) | 광 가입자 전송장치에 있어서의 tsi기능을 위한 tu 포인터및 au 포인터 정렬 장치 | |
KR100284003B1 (ko) | 광가입자 전송장치에 있어서 ds1 신호와 계위단위그룹신호사이의 다중화 장치 | |
JP2008054299A (ja) | 多重伝送装置、多重伝送システム、及び多重伝送方法 | |
KR100201332B1 (ko) | 동기식 다중화장치에서 vc1 자국 루프백회로 | |
KR100206155B1 (ko) | 채널 고유번호 비트를 이용한 1.2지 광전송장치 및 방법 | |
KR0149597B1 (ko) | 8개의 채널구분정보를 이용한 단순 다중/역다중 1.2기가 광전송장치 | |
KR0154564B1 (ko) | 광케이블텔레비젼망의 가입자 단말장치용 다중/역다중화장치 | |
KR100284006B1 (ko) | 광가입자 전송장치에서의 광 송수신장치 | |
KR100201331B1 (ko) | 동기식 다중화장치에서 v4 바이트를 이용한 대국 루프백회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