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6373A - E1신호로부터의 au-4신호 생성장치 - Google Patents

E1신호로부터의 au-4신호 생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6373A
KR20000046373A KR1019980063053A KR19980063053A KR20000046373A KR 20000046373 A KR20000046373 A KR 20000046373A KR 1019980063053 A KR1019980063053 A KR 1019980063053A KR 19980063053 A KR19980063053 A KR 19980063053A KR 20000046373 A KR20000046373 A KR 200000463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unit
tug
clock
sig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3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종길
Original Assignee
강병호
대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병호, 대우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병호
Priority to KR1019980063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46373A/ko
Publication of KR20000046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637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16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in which the time allocation to individual channels within a transmission cycle is variable, e.g. to accommodate varying complexity of signals, to vary number of channels transmitted
    • H04J3/1605Fixed allocated frame structures
    • H04J3/1611Synchronous digital hierarchy [SDH] or SO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2203/00Aspects of optical multiplex systems other than those covered by H04J14/05 and H04J14/07
    • H04J2203/0001Provisions for broadband connections in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using frames of the Optical Transport Network [OTN] or using synchronous transfer mode [STM], e.g. SONET, SDH
    • H04J2203/0089Multiplexing, e.g. coding, scrambling, SON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E1 신호로부터의 AU-4 신호 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소정 개수의 E1 선로와 접속하여 E1 신호를 송수신하는 선로 접속부, 선로 접속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VC-12에 매핑한 후 동기식 디지털 계위(SDH)에 따라 TU-12, TUG-2, 및 TUG-3의 경로를 통해 다중화하여 출력하거나, 그 역기능을 수행하는 매핑 및 디매핑부, 매핑 및 디매핑부에서 출력하는 TUG-3을 동기식 디지털 계위에 따라 VC-4를 거쳐 AU-4로 만들어 출력하거나, 그 역기능을 수행하는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에서 출력되는 AU-4를 시스템 클럭에 동기 시킨 후 프레임 클럭 및 AU-4 처리용 클럭을 함께 출력하거나, 그 역기능을 수행하는 클럭처리부, 클럭처리부에서 출력되는 AU-4와 프레임 클럭 및 AU-4 처리용 클럭을 차분 형식의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채널 링크부, 및 성능감시, 장애감시, 루프백 기능을 수행하는 주제어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E1신호로부터의 AU-4 신호 생성장치(Unit to process E1 signals to Administrative Unit-4 signal)
본 발명은 E1 신호에 대한 관리단위-4 신호 생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 개수의 E1 신호를 받아 동기식 디지털 계위(SDH: Synchronous Digital Hierarchy)에 따른 소정 경로를 통하여 관리단위-4 신호(AU-4)로 만들어 주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동기식 디지털 계위에 따른 다중화 경로도로서, 2.048Mbps의 전송률을 가지는 E1급 신호는 가상상자-12 신호(VC-12) -〉 계위단위-12 신호(TU-12) -〉 계위단위그룹-2 신호(TUG-2) -〉 계위단위그룹-3 신호(TUG-3) -〉 가상상자-4 신호(VC-4) -〉 관리단위-4 신호(AU-4)의 경로를 통해 관리단위-4 신호(AU-4) 신호로 만들어지거나, 가상상자-12 신호(VC-12) -〉 계위단위-12 신호(TU-12) -〉 계위단위그룹-2 신호(TUG-2) -〉 가상상자-3 신호(VC-3) -〉 관리단위-3 신호(AU-3)의 경로를 통해 관리단위-3 신호(AU-3)로 만들어진 후, 동기식 수송모듈 신호(STM-N: Synchronous Transport Module-N)로 최종 생성되어 전송된다.
그러므로, 동기식 디지털 계위(SDH)에 따른 다중화 절차를 사용하는 통신장치에는 가입자 측으로부터 전송되는 E1급 신호를 가상상자-12 신호(VC-12) -〉 계위단위-12 신호(TU-12) -〉 계위단위그룹-2 신호(TUG-2) -〉 계위단위그룹-3 신호(TUG-3) -〉 가상상자-4 신호(VC-4) -〉 관리단위-4 신호(AU-4)의 경로를 통해 관리단위-4 신호(AU-4) 신호로 만들어주는 장치가 필요로 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소정 개수의 E1 신호를 받아 동기식 디지털 계위(SDH)의 상기 경로를 통하여 관리단위-4 신호(AU-4)로 만들어 주는 장치, 즉 E1 신호로부터의 AU-4 신호 생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E1 신호로부터의 AU-4 신호 생성장치는
소정 개수의 E1 선로와 접속하여, E1 신호를 송수신하는 선로 접속부; 상기 선로 접속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가상상자-12 신호(VC-12)에 매핑한 후, 동기식 디지털 계위(SDH) 구조의 계위단위-12 신호(TU-12), 계위단위그룹-2 신호(TUG-2), 및 계위단위그룹-3 신호(TUG-3)의 경로를 통해 다중화하여 출력하거나, 그 역기능을 수행하는 매핑 및 디매핑부; 상기 매핑 및 디매핑부에서 출력하는 계위단위그룹-3 신호(TUG-3)를 동기식 디지털 계위에 따라 가상상자-4 신호(VC-4)를 거쳐 관리단위-4 신호(AU-4)로 만들어 출력하거나, 그 역기능을 수행하는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 상기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에서 출력되는 관리단위-4 신호(AU-4)를 시스템 클럭에 동기 시킨 후, 프레임 클럭 및 상기 관리단위-4 신호(AU-4) 처리용 클럭과 함께 출력하거나, 그 역기능을 수행하는 클럭처리부; 상기 클럭처리부에서 출력되는 관리단위-4 신호(AU-4)와 상기 프레임 클럭 및 관리단위-4 신호(AU-4) 처리용 클럭을 차분(Differential) 형식의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채널 링크부; 및 상기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하여 성능감시, 장애감시, 루프백 기능을 수행하는 주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동기식 디지털 계위에 따른 다중화 경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E1 신호로부터의 관리단위신호 생성장치의 구성도,
도 3은 E1 신호의 VC-12 신호로의 매핑 구조도,
도 4는 VC-12 신호에 대한 TU-12 신호로의 정렬 형태도,
도 5는 TUG-2 신호의 구조도,
도 6은 TUG-2 신호에서의 TUG-3 신호로의 다중화 구조도,
도 7은 TUG-3 신호에서의 VC-4 신호로의 매핑 구조도,
도 8은 AU-4의 구조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0: 선로접속부 220: 매핑 및 디매핑부
230: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 240: 클럭처리부
250: 채널 링크부 260: 주 제어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E1 신호로부터의 관리단위신호 생성장치의 구성도로서, 선로접속부(210), 매핑 및 디매핑부(220),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230), 클럭처리부(240), 채널 링크부(250), 및 주 제어부(260)로 이루어진다.
먼저, 본 발명의 동작 내용을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선로접속부(210)에서는 외부에서 들어오는 HDB3(High Density Bipolar-3) 부호 형태의 E1 신호를 단극성 NRZ(Non Return to Zero) 부호 형태의 신호로 바꾸어 매핑 및 디매핑부(220)로 출력하며, 매핑 및 디매핑부(220)로 입력된 E1 신호는 가상상자-12 신호(VC-12)로 만들어진 후, 동기식 디지털 계위(SDH) 경로를 따라 계위단위그룹-3 신호(TUG-3)로 만들어진다.
이 계위단위그룹-3 신호(TUG-3)는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230)에서 계위단위가상상자-4 신호(VC-4)로 만들어진 후, 다시 관리단위-4 신호(AU-4)로 만들어져서 클럭처리부(240)로 전해진다. 그러면, 클럭처리부(240)는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230)에서 출력되는 관리단위-4 신호(AU-4)를 시스템 클럭에 동기된 51.84Mbps의 신호 3개로 나누어 51.84Mhz의 클럭신호 및 8Khz의 프레임 클럭(FP)과 함께 채널 링크부(250)로 출력한다.
그리고, 채널 링크부(250)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이후 소정의 애드/드롭(Add/Drop) 장치(도시되지 않음)에서 소정 전송 프레임에 추가된다.
한편, 애드/드롭 장치에서 드롭(Drop)되어 채널 링크부(250)를 통해 입력되는 관리단위-4 신호(AU-4)는 위의 역과정을 통하여 소정 개수의 E1 신호로 나누어진 후 가입자 측에 전송된다.
이제, 본 발명의 각 구성요소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선로접속부(210)는 외부에서 들어오는 양극성 HDB3 부호 형태의 E1 신호(2,048Mbps)를 단극성 NRZ(None Return to Zero) 부호 형태의 신호로 바꾸어 출력함으로서, 선로 접속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입력되는 E1 신호로부터 클럭을 복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E1 선로에서 사용하는 HDB3 부호화 법칙은 다음의 표 1과 같다.
이전신호의 극성 바로전 치환 후 펄스의 개수 현 전송신호의 극성
+ 기수 000+
우수 -00-
- 기수 000-
우수 +00+
또한, HDB3 코딩 시 연속적인 4개의 '0'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다음의 표 2에서와 같은 AMI(Alternate Mark Inversion) 규칙을 따른다.
이전 신호 현재 신호 코딩 신호
+ 펄스 1 - 펄스
- 펄스 1 + 펄스
Don't Care 0 0
한편, E1 프레임은 32개의 채널(채널 0 내지 채널 31)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프레임 16개가 모여 멀티프레임(프레임 0 내지 프레임 15)을 이루는데, 제 1 부분(프레임 0 내지 프레임 7)과 제 2 부분(프레임 8 내지 프레임 15)으로 나누어진다.
다음의 표 3에 각 프레임의 채널 0(타임슬롯 0)의 용도를 보였다.
멀티프레임 16 프레임 타임슬롯 0의 각 비트
1 2 3 4 5 6 7 8
처음8 프레임 0 C1 0 0 1 1 0 1 1
1 0 1 A Sa4 Sa5 Sa6 Sa7 Sa8
2 C2 0 0 1 1 0 1 1
3 0 1 A Sa4 Sa5 Sa6 Sa7 Sa8
4 C3 0 0 1 1 0 1 1
5 1 1 A Sa4 Sa5 Sa6 Sa7 Sa8
6 C4 0 0 1 1 0 1 1
7 0 1 A Sa4 Sa5 Sa6 Sa7 Sa8
나중8 프레임 8 C1 0 0 1 1 0 1 1
9 1 1 A Sa4 Sa5 Sa6 Sa7 Sa8
10 C2 0 0 1 1 0 1 1
11 1 1 A Sa4 Sa5 Sa6 Sa7 Sa8
12 C3 0 0 1 1 0 1 1
13 E1 1 A Sa4 Sa5 Sa6 Sa7 Sa8
14 C4 0 0 1 1 0 1 1
15 E2 1 A Sa4 Sa5 Sa6 Sa7 Sa8
위의 표 3에서 짝수 프레임의 비트 2 내지 비트 8은 프레임 동기 워드(0011011)이며, 홀수 프레임의 비트 1은 CRC(Cyclic Redundancy Check) 멀티프레임 동기 워드(001011)이며, 비트 2는 프레임 동기워드 모사 방지용 비트(1로 고정)이다.
또한, 'A'는 원격경보표시(RAI:Remote Alarm Indication) 비트로서 0일 때 정상, 1일 때 경보상태를 나타낸다. Ci(i=1,2,3,4)는 CRC-4 검사비트이며, Sai(i=4,5,6,7,8)은 ITU-T G.704, G706의 규정에 따른다.
그리고, 채널 1 내지 채널 15, 채널 17 내지 채널 31은 ITU-T G.711의 펄스코드변조(PCM:Pulse Code Modulation) 부호 법칙에 따른 64Kbps의 음성채널, 데이터 채널, N x 64Kbps(N은 1 내지 30)의 서비스 채널용 타임슬롯으로 사용하며, 채널 16은 채널 결합 신호용 채널 또는 64Kbps의 공통선 신호용 채널로 이용한다.
또한, 선로접속부(210)는 E1 신호손실과 E1 프레임 손실에 관한 장애 감시 기능을 수행한다.
즉, E1 신호손실(LOS:Loss Of Signal) 상태는 외부 선로로부터의 E1 신호가 전달되지 않을 때(예: 10 펄스 내지 255 펄스 동안 연속적으로 신호레벨이 정상수준 보다 35db 이하로 떨어질 때) 선언하는데, 이런 상태에서는 순방향으로 경보표시신호(AIS: Alarm Indication Signal)를 보내주도록 한다. 그리고, E1 신호손실 상태는 신호레벨이 9db 이상이 될 때 해제한다.
E1 프레임 손실(LOF: Loss Of Frame) 상태는 홀수 프레임에서 연속적으로 3개의 프레임 동기 비트(FAS:Frame Alignment signal)가 틀리게 들어올 때, 또는 짝수 프레임에서 비트 2가 '1'이 아닌 신호가 연속적으로 3개 이상 들어올 때 선언한다.
또한, 선로접속부(210)는 성능감시(CV:Code Violation)를 위하여, 외부로부터 들어 온 E1 신호에 대하여 같은 극성의 '1'이 둘 이상 연속적으로 수신될 경우, 혹은 4개 이상의 연속된 '0'이 들어오는 경우에(즉, AMI HDB3 규칙을 어길 때) 이를 누적하여 카운트한다.
그리고, 주 제어부(260)로부터 전송되는 소정의 루프백 제어신호에 따라, 자신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다시 매핑 및 디매핑부(220)로부터 들어오는 입력신호로 되돌리거나, E1 선로로 출력되는 신호를 다시 E1 선로로부터 들어오는 신호로 되돌리는 루프백(Loopback) 기능을 수행한다.
매핑 및 디매핑부(220)는 NRZ 부호형태의 E1 신호를 가상상자-12 신호(VC-12)에 매핑하고, 위에서 언급한 동기식 디지털 계위(SDH) 구조의 계위단위-12 신호(TU-12) -〉 계위단위그룹-2 신호(TUG-2) -〉 계위단위그룹-3 신호의 경로를 따라 다중화 한다.
도 3은 E1 신호의 VC-12로의 매핑 구조도로서, 4개의 구획으로 나누어지며, 하나의 구획은 125 μs 의 주기를 가지므로 총 500 μs 의 주기를 갖는다. 이 때, I는 유효정보비트, C1 비트와 C2 비트는 위치 맞춤 집행비트 J1에 대한 위치 맞춤 제어비트, R은 고정 비트이며, Y1 바이트 내지 Y4 바이트는 다음의 표 4와 같다.
Y1 R R R R R R R R
Y2 C1 C2 0 0 0 0 R R
Y3 C1 C2 0 0 0 0 R R
Y4 C1 C2 R R R R R J1
한편, 저위 경로오버헤드(V5)의 구조는 다음의 표 5와 같다.
비트 번호 1 2 3 4 5 6 7 8
내용 BIP-2 REI RFI 신호표지(L1,L2,L3) RDI
여기서, 비트 1과 비트 2는 각각 홀짝수 비트에 대한 비트교직 짝수검사(Bit Interleaved Parity) 비트, 비트 3은 원격오류표시(Remote Error Indicator: 정상일 때 '0', 오류일 때 '1'), 비트 4는 원격고장표시(RFI:Remote Failure Indicator)로서 정상일 때 '1'이고 BIP-2 오류 시에 '0'이 된다.
그리고, 비트 5 내지 비트 7은 다음의 표 6과 같다.
비트 5, 6, 7의 값 표시내용
000 미장착(Unequipped)
001 장착상태/정상
010 비동기(장착상태/정상)
011 내지 110 신호라벨 일치 않음(Signal Label Mismatch)
111 가상상자 경보표시신호(VC-AIS)
도 4는 VC-12에 대한 TU-12로의 정렬 형태도로서, 도 3에 보인 가상상자-12 신호(VC-12)는 각 구획별로 자신의 포인터를 상위에 위치시킨 형태로 계위단위-12 신호(TU-12)에 정렬된다. 이 때, 포인터는 각각 V1, V2, V3, V4 라고 불리며, 해당 가상상자-12 신호(VC-12)의 시작점의 번지와 그 변화관계를 표시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물론, 계위단위-12 신호(TU-12) 또한 총 500 μs 의 주기를 갖는다.
도 5는 TUG-2의 구조도로서 계위단위-12 신호(TU-12) 3개가 다중화되어 계위단위그룹-2 신호(TUG-2)가 형성되며, 도 5는 계위단위-12 신호(TU-12)의 최상위 구획에 대한 다중화 절차를 도시한 것이다.
즉, 하나의 계위단위-12 신호(TU-12)는 매 구획별 순서대로 위치하되, 매 구획은 9행 4열의 형태를 가지도록 구성되며, 한 구획의 각 바이트가 이 9행 4열의 형태에 들어가는 순서는 행 측으로 먼저 채워지는 순서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먼저 3개의 계위단위-12 신호(TU-12)의 첫 번째 구획(V5가 소속한 구획) 3개가 먼저 다중화되는데, 다중화 되는 순서는 3개 구획의 첫 번째 바이트를 행을 따라 순서대로 먼저 다중화하고, 그 다음에 두 번째 바이트 세 개를 순서대로 다중화하고, 다시 세 번째 바이트를 순서대로 다중화 하는 식으로 36번째 바이트 3개까지 순서대로 다중화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125 μs 의 주기에 계위단위그룹-2 신호(TUG-2)에는 9행 12열의 바이트가 다중화 된다.
도 6은 TUG-2에서의 TUG-3으로의 다중화 구조도로서, 7개의 계위단위그룹-2 신호(TUG-2)가 하나의 계위단위그룹-3 신호(TUG-3)로 다중화 된다.
즉, 9행 12열의 구조를 가지는 계위단위그룹-2 신호(TUG-2) 7개에서 순서대로 7개의 열씩 다중화 되는 구조를 취하는데, 제 1 계위단위그룹-2 신호(TUG-2)의 첫째 열로부터 시작하여 제 7 계위단위그룹-2 신호(TUG-2)의 첫 번째 열까지 먼저 순서대로 다중화 되고(1A 내지 1G), 다시 제 1 계위단위그룹-2 신호(TUG-2)의 둘째 열로부터 시작하여 제 7 계위단위그룹-2 신호(TUG-2)의 두 번째 열까지 순서대로 다중화하며, 이런 방법으로 계속하여 제 1 계위단위그룹-2 신호(TUG-2)의 12번째 열로부터 시작하여 제 7 계위단위그룹-2 신호(TUG-2)의 12번째 열(12G)까지 순서대로 다중화 한다.
한편, 계위단위그룹-3 신호(TUG-3)는 총 86 개의 열로서 구성되는데, 위에서 다중화된 열은 총 84개(12 × 7)이다. 그러므로, 가장 선두의 두 열은 포인터 없음 표시(NPI: Null Pointer Indication)와 고정 비트로 채워진다. 이 자리에 포인터가 들어가지 않는 것은 계위단위그룹-2 신호(TUG-2)를 구성하고 있는 계위단위-12 신호(TU-12)가 각각의 포인터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매핑 및 디매핑부(220)는 주 제어부(260)에서 출력되는 소정의 루프백 제어신호에 따라 자신에게서 출력되는 가상상자-4 신호(VC-4)를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230)에서 입력되는 가상상자-4 신호(VC-4)로서 되돌려 주거나, 선로접속부(210)로 출력되는 E1 신호를 다시 선로접속부(21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로 되돌리는 루프백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매핑 및 디매핑부(220)는 장애감시기능을 수행하는데 장애감시기능은 다음과 같다.
먼저, 가상상자-12 신호(VC-12)에 대한 경보표시신호(AIS) 기능으로서, 매핑된 가상상자-12 신호(VC-12)의 저위 경로오버헤드(V5)의 비트 5 내지 비트 7을 모두 '1'로 삽입하여 경보표시상태(AIS)를 알리며, 가상상자-12 신호(VC-12) 원격결함표시(RDI: Remote Defect Indicator) 기능으로서, 대국으로부터 경로 경보표시신호(Path-AIS) 또는 선로결함이 수신되면 가상상자-12 신호(VC-12)의 저위 경로오버헤드(V5)의 비트 8에 '1'을 삽입한다.
또한, 가상상자-12 신호(VC-12) 원격오류표시(REI: Remote Error Indicator) 기능으로서, 대국으로부터 받은 이전 프레임에 대해 V1 바이트 내지 V4 바이트를 제외한 비트교직짝수검사(BIP-2)의 검사결과 오류 블록의 개수가 하나 이상일 때, 저위 경로오버헤드(V5)의 비트 3에 '1'을 삽입한다.
가상상자-12 신호 표지 비정합(SLM:Signal Label Mismatch) 기능으로서,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230)로부터 수신되는(Drop 되는) 가상상자-12 신호(VC-12)의 저위 경로오버헤드(V5)의 비트 5 내지 비트 7이 유효하지 않은 값(011-110)을 5 프레임 이상 가질 때 선언한다.
계위단위-12 신호(TU-12)에 대한 경보표시신호(AIS) 기능으로서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230)로부터 수신되는(Drop 되는) 계위단위-12 신호의 V1 바이트, V2 바이트, 및 V3 바이트가 모두 '1'인 상태로 5 프레임 이상 연속적으로 들어올 때 선언한다.
계위단위-12 신호(TU-12)에 대한 포인터 손실(LOP: Loss Of Pointer) 검출 기능으로서,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230)로부터 수신되는(Drop 되는) 계위단위-12 신호의 V1 바이트 , V2 바이트, 및 V3 바이트에 규정되어 있지 않은 포인터 값이 연속하여 8번 이상 수신될 때 선언한다.
다중화 및 역다중화 및 역다중화부(230)는 매핑 및 디매핑부(220)에서 출력되는 계위단위그룹-3 신호(TUG-3)를 가상상자-4 신호(VC-4)를 거쳐 관리단위-4 신호(AU-4)로 만들어 출력한다.
도 7은 계위단위그룹-3 신호(TUG-3)에서의 가상상자-4 신호(VC-4)로의 매핑 구조도로서, 계위단위그룹-3 신호(TUG-3) 3개가 다중화되어 가상상자-4 신호(VC-4)를 형성하며, 하나의 가상상자-4 신호(VC-4)는 9 바이트 크기의 열 261개로 이루어진다.
이 때, 가장 선두의 열은 고위 경로오버헤드(POH)이고, 다음에 나타나는 9 바이트 열 2개는 고정 비트들과 포인터 없음 표시(NPI)이다.
그리고, 제 1 계위단위그룹-3 신호(TUG-3)의 첫 번째 열로부터 제 3 계위단위그룹-3 신호(TUG-3)의 첫 번째 열까지 순서대로 다중화되고(1A 내지 1C), 제 1 계위단위그룹-3 신호(TUG-3)의 두 번째 열로부터 제 3 계위단위그룹-3 신호(TUG-3)의 두 번째 열까지 순서대로 다중화되며, 이와 같이 제 1 계위단위그룹-3 신호(TUG-3)의 86번째 열로부터 제 3 계위단위그룹-3 신호(TUG-3)의 86번째 열까지 순서대로 다중화된다.
도 8은 AU-4의 구조도로서, 도 7의 가상상자-4 신호(VC-4)에 9 바이트의 포인터를 부가하여 만들어진다.
여기서 H1은 "1101010", H2는 "1010", Y는 "10011011(New Data Flag, SS,PTR), 1*은 "11111111", H3은 "0xFF"이다. 그리고, NPI(Null Pointer Indicator)는 제 1 바이트로서 "10011011", 제 2 바이트로서 "11100000", 제 3 바이트로서 "11111111" 이다.
또한, 다중화 및 역다중화 및 역다중화부(230)는 주 제어부(260)로부터 보내는 루프백 제어신호에 의하여, 자신에게서 출력되는 관리단위-4 신호(AU-4)를 다시 자신의 입력단으로 되돌리거나, 매핑 및 디매핑부(220)로 출력되는 계위단위-3 신호(TUG-3)를 다시 되돌리는 루프백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다중화 및 역다중화 및 역다중화부(230)는 AU-4 경보표시신호(AIS) 기능과 AU-4 포인터 손실(LOP) 감시기능 등의 장애감시 기능 및 성능감시 기능을 수행한다.
AU-4 경보표시신호(AIS) 상태는 관리단위 포인터(H1, H2, H3)가 모두 '1'로 되어 5 프레임 이상 연속적으로 들어올 때 선언하며, AU-4 포인터 손실 상태는 관리단위 포인터(H1, H2, H3)에 규정되어 있지 않은 포인터 값이 연속해서 8번 이상 수신될 때 선언한다.
그리고, 성능감시 기능으로서, 관리단위-4 신호(AU-4)의 경로오버헤드에 있는 B3 바이트를 검사하여 그 개수를 누적한다.
클럭처리부(240)는 시스템 동기를 위한 클럭 제공, 프레임 포인터(FP)의 처리 및 공통부 신호 전송을 위한 신호의 처리 기능을 수행한다.
즉,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230)에서 출력되는 관리단위-4 신호(AU-4)를 소정 시스템 클럭에 동기 시킨 후, 소정 프레임 클럭과 관리단위-4 신호(AU-4) 처리에 사용된 클럭을 함께 출력하거나, 그 역기능을 수행한다.
채널 링크부(250)는 클럭처리부(240)에서 출력되는 관리단위-4 신호(AU-4)와 프레임 클럭 및 관리단위-4 신호(AU-4) 처리용 클럭을 소정 형태의 신호(예: 차분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채널 링크부(250)에서 출력되는 소정 형태의 신호는 이 후, 타 동기식 수송모듈 신호(STM)에 추가되어 대국 측으로 전송된다.
주 제어부(26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구성되어, 본 발명의 장치의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제어지능을 수행하는데, 각 구성요소에서 검출되는 장애감시 항목에 대한 정보들을 취합하여 해당 경보표시기능(예: LED 점등)을 수행하며, 성능감시항목에 따른 데이터를 분석하여 현재 송수신되는 데이터나 선로의 상태를 판별한다.
또한, 운용자의 지시에 따라 위에서 언급한 루프백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각 구성요소에서 입출력되는 신호들을 루프백 시킴으로서, 장애감시나 성능감시 기능 측정에 사용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E1 신호로부터의 관리단위신호 생성장치의 선로접속부(210), 매핑 및 디매핑부(220),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230), 클럭처리부(240), 및 채널 링크부(250)는 위에서 설명한 송신기능의 역기능(수신기능)을 각각 수행함으로서, 소정의 동기식 수송모듈 신호(STM)로부터 드롭(Drop)된 관리단위-4 신호(AU-4)를 역 다중화하여 E1 신호로 만든 후, 상기 E1 선로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소정 개수의 E1 신호를 받아 동기식 디지털 계위(SDH)에 따라서 관리단위-4 신호(AU-4)로 만들어 주므로, E1급 신호선과 접속하여 통신기능을 수행하는 통신장비에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

  1. 소정 개수의 E1 선로와 접속하여, E1 신호를 송수신하는 선로 접속부;
    상기 선로 접속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가상상자-12 신호(VC-12)에 매핑한 후, 동기식 디지털 계위(SDH) 구조의 계위단위-12 신호(TU-12), 계위단위그룹-2 신호(TUG-2), 및 계위단위그룹-3 신호(TUG-3)의 경로를 통해 다중화하여 출력하거나, 그 역기능을 수행하는 매핑 및 디매핑부;
    상기 매핑 및 디매핑부에서 출력하는 계위단위그룹-3 신호(TUG-3)를 동기식 디지털 계위에 따라 가상상자-4 신호(VC-4)를 거쳐 관리단위-4 신호(AU-4)로 만들어 출력하거나, 그 역기능을 수행하는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
    상기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에서 출력되는 관리단위-4 신호(AU-4)를 시스템 클럭에 동기 시킨 후, 프레임 클럭 및 상기 관리단위-4 신호(AU-4) 처리용 클럭과 함께 출력하거나, 그 역기능을 수행하는 클럭처리부;
    상기 클럭처리부에서 출력되는 관리단위-4 신호(AU-4)와 상기 프레임 클럭 및 관리단위-4 신호(AU-4) 처리용 클럭을 차분(Differential) 형식의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채널 링크부; 및
    상기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하여 성능감시, 장애감시, 루프백 기능을 수행하는 주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1 신호로부터의 AU-4 신호 생성장치.
KR1019980063053A 1998-12-31 1998-12-31 E1신호로부터의 au-4신호 생성장치 KR200000463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3053A KR20000046373A (ko) 1998-12-31 1998-12-31 E1신호로부터의 au-4신호 생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3053A KR20000046373A (ko) 1998-12-31 1998-12-31 E1신호로부터의 au-4신호 생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6373A true KR20000046373A (ko) 2000-07-25

Family

ID=19569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3053A KR20000046373A (ko) 1998-12-31 1998-12-31 E1신호로부터의 au-4신호 생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4637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1954B1 (ko) * 2001-08-31 2004-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동기식 디지털 계위 신호의 타입 변환장치 및 그 방법
KR100663563B1 (ko) * 2000-08-18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다방향 에드드롭 다중화 링 모드 동기식디지털계위 전송장치
CN111031019A (zh) * 2019-12-02 2020-04-17 上海微波技术研究所(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五十研究所) E1通信协议的实现方法及系统
CN111800637A (zh) * 2020-05-20 2020-10-20 深圳市风云实业有限公司 一种利用fpga实现hdb3编解码的系统及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563B1 (ko) * 2000-08-18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다방향 에드드롭 다중화 링 모드 동기식디지털계위 전송장치
KR100421954B1 (ko) * 2001-08-31 2004-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동기식 디지털 계위 신호의 타입 변환장치 및 그 방법
CN111031019A (zh) * 2019-12-02 2020-04-17 上海微波技术研究所(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五十研究所) E1通信协议的实现方法及系统
CN111800637A (zh) * 2020-05-20 2020-10-20 深圳市风云实业有限公司 一种利用fpga实现hdb3编解码的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21208B2 (ja) ディジタル伝送システムおよび同期伝送装置におけるパス試験信号生成回路ならびにパス試験信号検査回路
JP3293743B2 (ja) 時分割信号交換システム
RU2095942C1 (ru)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цифрового широкополосного сигнала по линиям иерархической системы передачи через мультиплексор, участок в управляемой центральным блоком сети с устройствами связи и через демультиплекс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US20010046207A1 (en) Transmitting apparatus
US5490142A (en) VT group optical extension interface and VT group optical extension format method
CN1625858B (zh) 从能够交换不同类型业务信息的网络单元的输入接口传送业务信息到输出接口的方法
US5331630A (en) Renewal method and apparatus for AU-4 and TU-3 pointers of synchronous digital hierarchy
US8270289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ystem framing synchronization control for a framer/mapper/multiplexor device with 1+1 and equipment protection
KR20000046373A (ko) E1신호로부터의 au-4신호 생성장치
US7526197B2 (en) Utilizing the protecting bandwidth in a SONET network
KR960012977B1 (ko) 동기식 광전송장치
JPH06268624A (ja) 同期確立チェック方式
KR100256691B1 (ko) 임의 조합의 종속신호를 수용하는 광전송 장치
KR100284003B1 (ko) 광가입자 전송장치에 있어서 ds1 신호와 계위단위그룹신호사이의 다중화 장치
KR100284002B1 (ko) 광 가입자 전송장치에 있어서의 계위단위그룹 신호와 관리단위 신호 사이의 다중화 및 역다중화 장치
KR100284007B1 (ko) 광가입자 전송장치에 있어서 계위단위그룹 신호와 ds1 신호 사이의 역다중화 장치
KR100284006B1 (ko) 광가입자 전송장치에서의 광 송수신장치
KR100263382B1 (ko) 광 가입자 전송장치에 있어서의 tsi기능을 위한 tu 포인터및 au 포인터 정렬 장치
KR100219216B1 (ko) 광가입자 시스템의 유니트간 에러 검출기
KR100237475B1 (ko) 동기식 전송시스템에서 대국 고속다중화 유니트 절체요구장치
KR100201332B1 (ko) 동기식 다중화장치에서 vc1 자국 루프백회로
KR100263383B1 (ko) 광 가입자 전송장치에 있어서의 분기/결합 장치
KR100252501B1 (ko) 동기식 다중화장치에서
KR100201329B1 (ko) 동기식 다중화장치에서 위치맞춤에 따른 vc유료부하추출 클럭발생회로
Torres et al. A 2.5 Gbps SONET STS-48/SDH STM-16 Add Drop Multiplex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