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2977B1 - 동기식 광전송장치 - Google Patents

동기식 광전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2977B1
KR960012977B1 KR1019940015085A KR19940015085A KR960012977B1 KR 960012977 B1 KR960012977 B1 KR 960012977B1 KR 1019940015085 A KR1019940015085 A KR 1019940015085A KR 19940015085 A KR19940015085 A KR 19940015085A KR 960012977 B1 KR960012977 B1 KR 960012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ignal
multiplexing
service
ds1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5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3164A (ko
Inventor
김종성
조성대
권순철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통신공사
조백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통신공사, 조백제 filed Critical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to KR1019940015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2977B1/ko
Publication of KR960003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2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29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62Network aspects
    • H04Q11/0067Provisions for optical access or distribution networks, e.g. Gigabit 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 (GE-PON), ATM-based Passive Optical Network (A-PON), PON-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62Network aspects
    • H04Q2011/0079Operation or maintenance asp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을 적용하기 위한 광전송 시스템의 개략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채널부와 공통부의 상세 블럭도.
제3도는 다중화 절차에 따라 채널부와, 공통부에서 변환되는 신호 흐름을 나타내는 신호 흐름도.
제4도는 제2도에 따른 본 발명의 유니트 상호간의 접속관계를 나타내는 유니트 구성도.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광가입자 전송 시스템의 전면 실장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전화국 장치200 : 가입자 장치
1 : DS1 서비스 유니트2 : DS1E 서비스 유니트
3 : 스위치 유니트 4 : AU 다중화 유니트
5 : DS3 서비스 유니트 6 : 스루 유니트
7 : 광송수신 유니트 8 : 시스템의 총괄적인 제어 유니트
9 : 데이타 통신 유니트 10 : 클럭 공급 유니트
20 : DS1 예비 유니트 21 : DS1E 예비 유니트
30 : 채널부31 : 공통부
32 : 운용부33 : DS0급 가입자 인터페이스부
34 :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 35 : DS1E 다중화부
36 : DS1E 인터페이스부 38 : 채널부 제어부
37 : DS0급 서브-레이트 데이타 인터페이스부
39 : DS1/DS1E 인터페이스부 40 : 저속 다중화부
41 : DS3 인터페이스부42 : 고속 다중화부
43 : STM-1 신호 처리부44 : STM-1 광 인터페이스부
45 : 클럭 공급부46 : 공통부 제어부
47 : CIT 인터페이스부48 : 가입자 회선 시험부
49 : 링신호 발생부50 : 타합선 접속부
51 ; 경보 처리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광가압자 전송 시스템 (FLC : Fiber Loop Carrier)의 동기식 광전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장치당 최대 84개의 DS1, 63개의 DS1E, 3개의 DS3 디지털 종속신호를 단독 및 혼용으로 ITU-T G.709의 동기식 다중화 방식을 이용하여 STM-1(Synchronous Transport Module-1)으로 동기식 다중화 및 역다중화하여 광전송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종속신호를 다중화하여 전송하는 방식에는 동기식 다중화 방식과 비동기식 다중화 방식이 있는데 상기 비동기식 다중화 방법은 디지틀 종속신호를 단계적(step-by-step)으로 고속 다중화 하는 방식이고, 상기 동기식 다중화 방식은 종속신호를 망동기에서 제공하는 클럭신호를 이용한 동기식 전송프레임에 직접 사상(Mapping)하여 전송하는 방식이다.
또한 동기식 전송방식은 다중화 및 역다중화시 단계적 다중화 대신 종속신호를 직접 전송프레임상에 사상시키고, 역다중화시에는 동기식 전송프레임상의 포인터 바이트에 의해 종속신호의 1-스텝(step)에 의해 역다중화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특징을 갖는 각 방식에서 현재는 기존의 비동기식 방식에서 운용 및 유지 보수가 편리함과 동시에 전송신호를 망동기에서 일치시켜 망에서 종속신호의 분기결합에 응용할 수 있는 잇점을 가지는 동기식 방식으로 전환될 예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동기식 방식을 사용하여 교환기측과 가입자측간의 가입자망에서 가입자 회선을 동기식 다중화 및 광섬유를 통해 광전송한 후에 대국에서 역다중화하여 각 서비스를 접속하는 장치를 구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동기 디지털 종속신호 DS1, DS1E, DS3를 단독 및 혼용으로 수용할 수 있는 동기식 다중화 장치를 구현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망동기(Network Synchronization)에 외부동기, 루프동기,내부동기의 3가지 동작 모드를 제공하고, 이를 이용해 시스템내에서 동기신호 장애시 홀드오버(hold over) 모드에서 시스템 동기클럭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므로써, 중단없는 서비스 제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동기식 광전송 장치를 구현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운용 및 유지보수를 자국에서 원격으로 CIT(Craft Interface Terminal)명령어를 이용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동기식 광 전송장치는 DS1 서비스 유니트와; DS1E 서비스 유니트와; 스위치 유니트와; AU 다중화 유니트(AUMX:Administrative Unit Multiplex Unit)와; DS3 서비스 유니트와; 스루 유니트(THRU : Through Unit)와; 광송수신 유니트(OTRU : Optical Transmit Receive Unit)와; 시스템의 총괄적인 제어유니트(MCU : Main Control Unit)와 데이타 통신 유니트(DCU : Data Communication Unit)와; 클럭 공급 유니트(CLK : Clock Uni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유니트 별 특성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DS1 서비스 유니트는 4개의 DS1종속신호를 버퍼에 저장한 후에 동기클럭을 이용하여 TUG2 신호로 다중화하고, 상기 다중화된 TUG2 신호를 AU 다중화 유니트로 전송하는 기능 및 그 역기능을 수행한다.
DS1E 서비스 유니트는 3개의 DS1E종속신호를 버퍼에 저장한 후에 동기클럭을 이용하여 TUG2 신호로 다중화하고, 상기 다중화된 TUG2 신호를 AU 다중화 유니트로 전송하는 기능 및 그 역기능을 수행한다.
스위치 유니트는 DS1 또는 DS1E 서비스 유니트에 장애가 발생하면 예비 유니트로 대체하는 스위칭 기능을 한다.
AU 다중화 유니트는 DS1 서비스 유니트와 DS1E 서비스 유니트로 구성된 저속 다중화부로부터 최대 7개의 TUG2 신호를 수신하여 바이트 인터리빙에 의한 다중화와, 패스 오버헤드 및 스터핑 비트 삽입에 의한 방법으로 51.84Mb/s의 속도를 갖는 AU3 신호를 스루유니트를 거쳐서 광송수신 유니트에 접속시키는 기능 및 그 역기능을 한다.
DS3 서비스 유니트는 1개의 비동기 DS3 신호를 수신하여 일시적으로 버퍼에 저장한 후에 시스템 동기클럭을 이용한 오버헤드 및 스터핑 비트 삽입방법으로 VC3로의 매칭 후 다시 AU 포인터 첨가에 의한 AU3 신호를 생성하여 광송수신 유니트에 접속시키는 기능 및 그 역기능을 한다.
스루 유니트는 AU 다중화 유니트 또는 DS3 서비스 유니트와 광송수신 유니트 사이에 위치하여 VCn단위의 분기결합 기능을 위한 예비 슬롯(slot)을 확보한다.
광송수신 유니트는 AU 다중화 유니트 또는 DS3 서비스 유니트로부터 최대 3개의 AU3 신호를 상기 스루 유니트를 통해 수신한 다음. 바이트 인터리빙에 의한 다중화 및 구간 오버헤드 삽입방법을 이용하여 STM-1 신호를 형성한 후에 광신호로 변환하여 대국으로 광전송하는 기능 및 그 역기능을 한다.
시스템의 총괄적인 제어 유니트는 공통부내의 모든 유니트의 성능 및 장애 감시 등의 모든 시스템의 유지보수를 명령어에 의해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데이타 통신 유니트는 대국 시스템에 대한 원격 유지보수를 위하여 시스템의 상태 정보와 제어 명령어를 대국으로 전송한다.
클럭 공급 유니트는 시스템의 동기식 다중화 및 제어에 필요한 클럭신호를 공급한다.
상술한 목적 및 기타의 목적과 특징,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을 적용하기 위한 광가압자 전송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럭도로, 교환기를 통해 입력되는 일반 전화 신호, 데이타 서비스신호, 종합정보 통신망(ISDN) 신호 등의 DS0급 신호를 DS1E로 다중화 하는 채널부(30)와, 상기 채널부(30)에서 다중화되어 출력되는 DS1E 신호와 DS1급, DS1E급, 및 DS3급 신호를 입력받아 STM-1급 동기식 신호로 다중화 한 다음, 가입자 장치(200)로 광 전송하는 전화국 장치(100)와; 상기 전화국 장치(100)에서 전송된 신호를 입력받아 공통부(31)와 채널부(30)에서 각각 역다중화 하여 가입자 회선에 신호를 전송하는 가입자 장치(200)를 포함한다.
상기 가입자 장치(200)내의 공통부(31)와, 채널부(30)는 전화국 장치(100)내의 채널부(30)와 공통부(31)의 기능과 동일 기능을 수행하므로 설명을 생략하며, 각 장치내의 각부들은 그 역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전송 시스템을 통해 교환기측과 가입자측 간 통신을 행할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것은 전송 시스템에 광 케이블을 사용하여 전송 속도가 빠른 광전송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공통부가 그 핵심을 이룬다.
즉, 교환기 및 타 가입자에서 발생한 호출신호를 전화국 장치(100)에서 채널부(30)와 공통부(31)를 거쳐 광전송 가능한 신호로 다중화 시킨 후 광전송하면, 가입자 장치(200)에서는 상기 광신호를 수신하여 다시 공통부(31)와 채널부(30)를 통해 역다중화 한 후, 해당 가입자측으로 전송한다.
제2도는 상기 제1도의 채널부와 공통부의 상세 블럭도로, DS0급 신호인 일반 가입자 서비스를 DS1E급 신호로 다중화하는 채널부(30)와; 상기 채널부(30)의 출력과 다른 전용회선 디지탈 종속신호를 STM-1급 동기식 전송속도로 다중화 및 광전송하는 공통부(31); 및 상기 채널부(30)와 공통부(31)의 운용에 관여하는 운용부(32)를 포함한다.
상기 채널부(30)는 음성급 가입자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받아들이는 DS0급 가입자 인터페이스부(33)와; 상기 DS0급 가입자 인터페이스부(33)의 출력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A/D) 변환부(34)와; 데이타 가입자로부터 전달된 데이타를 받아들이는 DS0급 서브-레이트(sub-rate)데이타 인터페이스부(37)와;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34)의 출력과 상기 데이타 인터페이스부(37)의 출력을 받아들여 다중화하는 DS1E 다중화부(35)와; 상기 다중화부(35)의 출력을 채널부(30) 외부로 출력하는 DS1E 인터페이스부(36); 및 채널부(30)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채널부 제어부(38)를 포함한다.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채널부 제어부(38)를 포함한다.
상기 공통부(31)는 상기 채널부(30)의 DSIE 출력과 DSX-1신호를 받아들이는 DS1/DS1E 인터페이스부(39)와; 상기 DS1/DS1E 인터페이스부(39)의 출력을 저속 다중화하는 저속 다중화부(40)와; DSX-3 신호를 받아들이는 DS3 인터페이스부(41)와; 상기 저속 다중화부(40)의 출력과 상기 DS3 인터페이스부(41)의 출력을 받아들여 고속 다중화하는 고속 다중화부(42)와; 상기 고속 다중화부(42)의 출력을 STM-1 신호로 처리하는 STM-1신호 처리부(43)와; 상기 신호 처리부(43)의 출력을 광라인으로 전송하는 STM-1광인터페이스부(44)와; 상기 각부에 클럭신호를 공급하는 클럭 공급부(45)와; CIT 명령어를 받아들이는 CIT 인터페이스부(47); 및 공통부(31)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공통부 제어부(46)를 포함한다.
그리고 도면의 고속 다중화부(42)와 STM-1 신호 처리부(43)사이에 점선으로 표시된 타임슬롯 교환부는 추후 기능확장 모델인 FLC-B시스템에서 구현할 예정이며 현 단계에서는 스루 유니트를 실장하여 신호 상호 간의 연결 기능만을 제공한다.
상기 운용부(32)는 교환기로부터 채널부(30)외의 일반가입자 회선의 시험 요구시 이를 측정하여 교환기 측에 전송하는 가입자 회선 시험부(48)와; 가입자 전화회선에 발신음을 송출하는 링신호 발생부(49)와; 장치의 초기 설치 또는 운용자의 운용관리시 자국과 원격국 사이의 운용자 전화회선을 제공하는 타합선 접속부(50)와; 공통부(31)와 채널부(30) 장치의 경보를 수집하여 이를 디스플레이 하는 경보 처리부(51)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광가압자 전송 시스템(FLC)은 DS0급 신호인 음성신호와 데이타 가입자로부터 입력되는 데인타를 각 인터페이스부(33,37)를 통해 입력받아 DS1E급 신호로 다중화 한 후, 다시 공통부(31)를 통해 저속 다중화 및 고속 다중화 처리되어 최종적으로 STM-1급 신호로 다중화된 다음, STM-1광인터페이스부(44)를 통해 광 전송된다.
그리고 시스템의 운용 및 유지보수를 위한 CIT명령어는 CIT 인터페이스부(47)를 통해 출력되어 자국에서 원격으로 시스템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다중화되어 광전송되는 신호의 변환 과정을, 다중화 절차에 따라 채널부와, 공통부에서 변환되는 신호 흐름을 도시한 제3도를 보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국내 가입자 망에서의 종속신호인(DS0, DS1E, DS1, DS3)신호는 최종적으로 동기식 전송모드 레벨 1인 STM-1 신호로 변화되는 바, 그 과정을 각각 나열해 보면 다음과 같다.
64Kbps의 DS0급 신호는 DS1E→C12→VC12→TU12→TUG2→VC3→AU3→AUG로 변화되어 최종적으로 155.520Mbps인 STM-1 신호로 변환된다.
2.048Mbps의 DS1E급 신호는 C12→VC12→TU12→TUG2→VC3→AU3→AUG로 변화되어 최종적으로 155.520Mbps인 STM-1 신호로 변환된다.
1.544Mbps의 DS1급 신호는 C11→VC11→TU11→TUG2→VC3→AU3→AUG로 변화되어 최종적으로 155.520Mbps인 STM-1 신호로 변환된다.
44.736Mbps의 DS3급 신호는 C3→VC3→AU3→AUG로 변화되어 최종적으로 155.520Mbps인 STM-1 신호로 변환된다.
참고로 상기 변환에서 DS0신호를 DS1E 신호로 다중화하는 과정은 채널부(30)에서 이루어지고, 나머지 DS1, DS1E, DS3 신호의 다중화 과정은 공통부(31)에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은 디지털 1차군(DS1, DS1E)신호의 북미식 계위(DS1)와 유럽식 계위(DS1E)를 모두 수용하고 있고 실제 시스템 구성에서도 DS1과 DS1E 서비스 유니트를 동일 위치에 실장하였는데, 이는 국내 디지털 1차군 계위가 북미식에서 유럽식으로 전환되는 과도기인 점을 감안한 것으로, 두가지 계위를 모두 수용하여 기존망에서 본 발명의 장치가 융통성을 가지도록 구현한 것이다.
제4도는 제2도 및 제3도의 신호 다중화 변환 과정에 따라서 배치한 본 발명의 유니트 구성도로서, 특히 공통부에 배치되는 유니트 구성도인 바, 입력신호의 수와 각 다중화 단계에서 유니트간 접속 신호의 수는 제3도의 다중화 구조도에서 도시한 것과 동일한 수로 구현하였다. 이러한 개념은 실제 시스템의 유니트 구성이 시스템의 각 다중화 단계에서 수용하는 신호의 수와 동일하게 유지되게 하므로 운용측면에서 중요한 잇점을 갖는다.
먼저 제4도에 도시된 DS1 서비스 유니트(1)는 AMI 또는 B8ZS의 라인부호를 갖는 복극성 DS1신호를 수신하여 클럭과 단극성 NRZ 데이타를 추출한다. 이렇게 추출된 1.544Mb/s데이타는 버퍼에 일시적으로 저장된 후에 시스템 클럭을 이용하여 비트 스터핑과 오버헤드를 추가하는 사상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TU11 신호를 생성한다. 이러한 TU11신호 4개가 바이트 인터리빙에 의하여 TUG2신호를 형성한 후에 이를 후면판을 통하여 AU 다중화 유니트(4)에 접속시키는 기능 및 그 역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DS1 서비스 유니트(1) 하나당 4개의 DS1신호를 수용하여 하나의 TUG2 신호를 출력하며, DS1신호를 TU11으로 매핑하는 과정에서 오버헤드 정보 바이트(V1,V2,V3,V4,V5)가 삽입된다. 이때, 시스템의 총괄적인 제어 유니트(8)에 의하여 TU오버헤드 바이트 처리, 보드내 전원 공급회로 감시 기능. 유니트 내부의 결함 감지 기능 등의 유지보수 및 테스트와 관련된 제어 기능이 이루어진다. DS1 서비스 유니트(1)가 서비스 제공을 할 수 없는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DS1 예비 유니트(20)로 절체되며 절체 후에도 고장 유니트의 진단이 이루어지며 고장원인이 해결되면 다시 DS1 서비스 유니트(1)로 서비스가 복귀된다. 이러한 유니트 절체를 복귀성 절체라 하며 DS1 서비스 유니트 최대 7개당 하나의 DS1 예비 유니트(20)를 둔다.
DS1E 서비스 유니트(2)는 채널부의 출력 및 전용회선의 DS1E 신호를 수신하여 클럭과 단극성 NRZ 데이타 추출한다. 이렇게 추출된 2.048Mb/s 데이타는 버퍼에 일시적으로 저장된 후 비트 스터핑 비트와 오버헤드를 추가하는 사상 과정을 수행하여 TU12 신호를 생성하며, 생성된 TU12신호 3개가 바이트 인터리빙 과정을 거쳐 TUG2 신호를 형성하면 이를 후면판을 통하여 AU 다중화 유니트(4)에 접속시키는 기능 및 그 역기능을 수행한다. DS1E 신호를 TU12신호로 매핑하는 과정에서 오버헤드 정보 바이트(V1,V2,V3,V4,V5)가 삽입된다. 이때, 시스템의 총괄적인 제어 유니트(8)에 의하여 TU오버헤드 바이트 처리, 보드내 전원 공급회로 감시기능. 유니트 내부결함 감지 기능등의 유지보수 및 테스트와 관련된 제어 기능이 이루어진다. 상기 DS1E 서비스 유니트(2)도 또한 자체 서비스 중 진단기능을 가지며 이상이 발생시 자동적으로 DS1E 예비 유니트(21)로 절체되며 절체후에도 고장 유니트의 진단이 이루어지며 고장원인의 해결시에는 서비스가 DS1E 예비 유니트(21)에서 다시 DS1E 서비스 유니트(2)로 복귀된다. 이러한 유니트 절체를 복귀성 절체라하며 DS1E 서비스 유니트 최대 7개당 하나의 DS1E 예비 유니트(20)를 둔다.
스위치 유니트(SW)(3)는 운용중인 DS1또는 DS1E 서비스 유니트(1,2)에 장애가 발생하면 예비 유니트(20,21)로 입출력 신호를 접속하여 서비스를 절체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는 스위치 유니트(3)의 릴레이 구동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고장원인의 제거시 릴레이의 동작에 의하여 다시 서비스가 복귀된다. 이러한 복귀성 절체에 대한 스위치 유니트(3)의 제어는 시스템의 총괄적인 제어 유니트(8)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AU 다중화 유니트(AUMX)(4)는 저속 다중화 유니트로부터 수신된 최대 7개의 TUG2신호에 바이트 인터리빙에 의한 다중화 및 패스 오버헤드를 삽입하여 VC3 신호를 형성하고 AU 포인터를 삽입하여 AU3신호를 만들며 AU3 신호는 운용 및 예비 광송수신 유니트(7)로 전송된다. 역다중화는 광송수신 유니트(7)로부터 AU3신호를 받아서 포인터 해석 및 POH 처리를 한 후 7개의 TUG2신호로 역다중화하여 DS1이나 DS1E 저속 다중화부에 접속시킨다. 또한 AU 다중화 유니트(AUMX)(4)는 1+1 비복귀성 절체기능을 가지며 광송수신 유니트 (7)나 DS1, DS1E 서비스 유니트(1,2)와 독립적으로 절체기능을 수행한다.
DS3 서비스 유니트(5)는 DS3 신호를 접속하여 등화, 클럭추출, 데이타 추출 과정을 거쳐 패스 오버헤드 삽입, 스터핑 비트 첨가 등을 거쳐 VC3 신호로 사상된다. 이 과정은 CCITT G.709의 비동기 44,736b/s 신호의 VC3로 보조신호 매핑방법에 따른다. VC3에 두개의 고정 스터핑 바이트를 첨가한 후 AU 포인터(H1, H2,H3)를 붙여 AU3 신호를 형성한 다음 광송수신 유니트(7)로 전송한다. 역다중화시 DS3 서비스 유니트(5)는 AU포인터 및 패스 오버헤드를 처리하고 DS3 신호를 추출하여 출력 포트로 라인 전송한다. DS3 서비스 유니트(5)의 유지보수 요소들은 유니트나 입력신호의 상태 결정, 장애의 격리, 보호 절체와 경보, 패스 오버헤드의 처리 등을 위하여 시스템의 총괄적인 제어 유니트(8)에서 사용된다. DS3 서비스 유니트(5)는 1+1 비복귀성 절체기능이 있어 시스템의 총괄적인 제어 유니트(8)에 의하여 운용과 예비 상태가 결정된다.
스루 유니트(THRU)(6)는 DS1, DS1E, DS3 신호에 대하여 분기 결합(ADM) 기능 구현을 위한 예비 유니트로서, 타임 슬롯 교환 유니트가 실장되기 전까지 AU 다중화 유니트(4)와 광송수신 유니트(7) 사이의 신호 연결 기능만을 갖는다.
광송수신 유니트(OTRU)(7)는 AU 다중화 유니트(4) 또는 DS3 서비스 유니트(5)에서 51.84Mb/s의 속도를 가지는 3개의 AU3 신호에 순차적으로 바이트 인터리빙과 구간 오버헤드를 삽입하여 스크램블 링한 후에 대국으로 광전송하는 기능을 가지며, 광송수신 유니트(7)나 광라인에 장애가 발생하면 1+1의 비복귀성 양방향 절체기능을 갖는다. 출력 광신호의 특성은 ITU-T G.957의 단거리 규정을 따르며 광모듈만의 교체로 장거리 전송 규격을 만족할 수 있다. 사용되는 광 커넥터(connector)의 형태는 기존의 국내 광전송장치에서 사용된 Biconic형 광커넥터 대신에 접속 손실이 작은 SC형을 사용한다.
상기 광라인으로 출력되는 STM-1 신호의 스크램블링의 형식은 길이 127인 시퀀스 동기 스크램블러를 사용하며 발생 다항식은 1+X6+X7이다
그리고 광송수신 유니트(7)는 중계 및 다중구간 상의 신호의 성능에 관한 데이타의 축적 기능을 가지며, 다중화된 STM-1신호상에서 시스템의 총괄적인 제어 유니트(8)의 명령어에 의하여 자국 및 원격 루프백이 가능하다.
시스템의 총괄적인 제어 유니트(MCU)(8)는 공통부의 모든 유티트의 장애 감시 및 유지보수 기능을 하며, 운용부 및 채널부와의 프로세스간 통신을 담당하여 광가압자 전송 시스템을 총괄하는 유니트이다. 시스템의 총괄적인 제어 유니트(8)의 장애시에 유니트 및 회선의 절체를 포함한 모든 유지보수에 관한 기능은 수행할 수 없지만 서비스에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
또한 시스템의 총괄적인 제어 유니트(8)의 전면에는 공통부의 경보상태, 루프백 상태, 대국 시스템의 경보발생, 가청경보 차단 및 경보이력 상태를 나타내는 발광 다이오드가 있어서 시스템의 상태를 표시하여 준다. 시스템의 총괄적인 제어 유니트(8) 전면 및 후면에는 9핀의 RS-232C CIT 포트에 터미날을 통해 명령어를 입력하여 공통부, 채널부, 운용부 및 대국 시스템에 관한 총괄적인 제어가 소프트웨어적으로 이루어진다.
데이타 통신 유니트(DCU)(9)는 모국과 자국간 시스템 및 운용자 정보의 통신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시스템의 제어 및 서비스의 제공에 관계되는 정보는 시스템의 총괄적인 제어 유니트(8)에 전달된다. 데이타 통신 유니트(9)는 SDH 프레임 구조의 오버헤드 섹션내의 데이타 통신 채널로 운용 및 유지보수에 관한 데이타를 메시지 형태로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클럭 공급 유니트(CLK)(10)는 시스템의 각 유니트에 동기클럭을 제공하는 기능을 가지며, 시스템에서 클럭장애를 알리는 신호(DOTS)가 발생하면 외부동기, 내부동기, 루프동기의 3가지 동작모드에서 적절하게 클럭을 제공한다.
즉, 각 모드내에서 기준신호로부터 디지털 위상 동기 루프(DPLL : Digital Phase-Locked Loop)와 분주기를 이용하여 시스템에서 필요로 하는 다중화 클럭과 제어 클럭을 생성하여 각 유니트에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 클럭신호의 각 동작모드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외부동기는 ±4.66ppm 이상의 장기 안정도를 갖는 국사내 중앙집중화된 클럭원(DOTS)으로부터 동기망에서 제공되는 2개(1차 및 2차)의 2,048Kb/s(HDB3)를 수신하여 시스템 동기클럭원으로 이용하는 상태를 말하며, 1차 외부 동기신호에 이상이 발생하면 2차 외부 동기신호로 절체되며 2차 동기마저 장애가 발생하면 홀드오버 모드에서 시스템이 동작되고, 홀드오버에서 DOTS클럭의 장애가 제거되면 외부동기로 복귀되어 시스템이 동작된다.
루프동기는 수신된 STM-1 신호로부터 기준클럭을 추출하여 동기 기준신호로 상요하는 상태이며, 광라인의 절체가 발생하면 루프 동기원도 함께 절체된다. 라인 신호가 모두 장애시에는 홀드오버에서 동작되며 라인장애 제거시 클럭원도 복귀된다. 루프동기는 DOTS 시설이 제공되지 않는 가입자측 장치에서 주로 이용된다.
내부동기는 시스템의 클럭 공급 유니트내의 자체 발진기를 이용하여 기준 동기신호로 사용하는 상태로서, ±20ppm 이상의 장기 안정도를 갖는다.
홀드오버는 위의 3가지 동기모드의 클럭원의 장애시 메모리내에 축적된 동기 데이타를 이용하여 기존의 동기를 유지시키는 상태로서, ±4.6ppm 이상의 장기 안정도를 24시간 이상 유지한다.
상기 동기모드의 선택은 명령어에 의하여 선택 가능하고 클럭원의 절체 기능이 시스템의 총괄적인 제어 유니트에 의해 제어된다. 즉. 시스템의 총괄적인 제어 유니트의 제어를 통해서 기준 클럭의 선택 및 장애 발생시 절체가 가능하다. 클럭 유니트에 장애가 발생하면 시스템의 총괄적인 제어 유니트에 보고되어 예비 유니트로 절체된다.
제5도는 상기와 같이 구성 및 동작되는 본 발명의 광 전송 시스템 감시 제어 구성도로서,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메모리로 구성된 공통부(31)내의 시스템 제어부(MCU)(8)는 CIT포트로부터 명령어를 입력받아 전체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저속 다중화부(40)와 고속 다중화부(42) 및 광인터페이스부(44)는 공통부(31)의 후면판 제어버스를 통해 제어되고, 운용부(32) 및 채널부(30)는 IPC(Inter-Processor Communication)통신 버스를 통해 제어되며, 대국을 제어하는 명령 데이타는 데이타 통신부(46)와 데이타 통신 채널(DCC : Data Communication Channel)을 거쳐 광인터페이스부(44)를 통해 출력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광전송장치는 기능별로 시스템 제어부(MCU, DCU)와, 동기부(CLK)와, 저속 다중화부(DS1, DS1E), 고속 다중화부(DS3, AUMX), 광송수신부(OTRU)로 구성되며, CIT 인터페이스의 기능은 시스템의 총괄적인 제어 유니트 전면의 RS-232C 포트를 통해 전달된 명령어에 따라 시스템의 제어 및 유지보수 기능을 실행하고, 시스템 제어부는 공통부의 각 유니트와 다중화 상태에서 대한 감시 제어 기능을 한다.
제6도는 본 발명에서 구현한 시스템의 전면 실장도를 나타낸 것으로, DS1와 DS1E 및 DS3 서비스 유니트와 AU 다중화 유니트는 다중화 구조에서 동일한 레벨이므로 같은 위치에 실장 가능하도록 구현하였다. 각 유니트의 전면에는 운용상태, 유니트의 장애 유무 및 입력신호의 장애에 대한 정보를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표시한다. 시스템의 총괄적인 제어 유니트의 전면에는 본 장치의 경보 집중화 기능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를 두어서 시스템의 운용상태를 표시한다. 본 장치는 23인치 표준 랙에 실장되며 셀프는 가로 533㎜, 세로 265㎜, 깊이 280㎜의 크기로 구현하였다. 셀프내의 표준 슬롯수는 65슬롯(1슬롯=8.2㎜), 클럭 공급 유니트는 4슬롯, DS1, DS1E 서비스 유니트와 스위치 유니트는 2슬롯, 나머지 유니트는 3슬롯을 차지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동기식 다중화 장치는 첫째로 국내 디지털 1차군의 북미식 계위와 유럽식 계위를 모두 수용하고 동일한 위치에 DS1, DS1E 서비스 유니트의 혼합 수용 가능하여 서비스 수용시 편리함을 제공하며, 둘째로 동기식 다중화장치에서 각 클럭의 동작모드 내에서 클럭원 절체 기능을 강화하여 망동기 기능을 구현하고, 세째로 각 다중화 유니트 내에서 저속 다중화부에는 최대 7 : 1 의 복귀성 절체를 구현하고 고속 다중화 및 광송수신부에서는 1+1의 비복귀성 절체기능을 구현하여 유니트의 장애 발생시 예비 유니트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며, 네째로 시스템의 총괄적인 제어 유니트 전면의 CIT 포트에 터미날을 접속하여 명령어에 의한 유지보수 기능을 구현하였으며, 또한 데이타 통신 유니트에서의 대국 통신기능의 구현으로 CIT 명령어를 통한 대국 시스템의 원격 유지보수가 가능한 잇점이 있다.
이와 같은 잇점에 따라 본 발명은 다양한 가입자 서비스를 광섬유로 통합 전송할 수 있고, 가입자 서비스의 광대역화를 이룰 수 있으며, 가입자망의 유지보수를 단순화시키므로써, 미래의 다양한 통신수요에 대처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주파수 도약 무전기의 직교통신방법

Claims (8)

  1. 광가입자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4개의 DS1종속신호를 버퍼에 저장한 후에 동기클럭을 이용하여 TUG2신호로 다중화하고, 상기 다중화된 TUG2신호를 AU다중화 유니트로 전송하는 기능 및 그 역기능을 수행하는 DS1 서비스 유니트와, 3개의 DS1E 종속신호를 버퍼에 저장한 후에 동기클럭을 이용하여 TUG2신호로 다중화하고, 상기 다중화돈 TUG2신호를 AU 다중화 유니트로 전송하는 기능 및 그 역기능을 수행하는 DS1E 서비스 유니트와, 상기 DS1 또는 DS1E 서비스 유니트에 장애가 발생하면 예비 유니트로 대체하는 스위칭 기능을 하는 스위치 유니트와, 상기 DS1 서비스 유니트와 DS1E 서비스 유니트로 구성된 저속 다중화부로부터 최대 7개의 TUG2신호를 수신하여 바이트 인터리빙에 의한 다중화와 패스 오버헤드 및 스터핑 비트 삽입에 의한 방법으로 AU3신호를 광송수신 유니트에 접속시키는 기능 및 그 역기능을 하는 AU 다중화 유니트와, 1개의 비동기 DS3신호를 수신하여 일시적으로 버퍼에 저장한 후에 시스템 동기클럭을 이용한 오버헤드 및 스터핑 비트 삽입방법으로 VC3로의 매핑 후 다시 AU 포인터 첨가에 의한 AU3 신호를 생성하여 스루 유니트를 거쳐 광송수신 유니트에 접속시키는 기능 및 그 역기능을 하는 DS3 서비스 유니트와, 상기 AU 다중화 유니트 또는 DS3 서비스 유니트와 광송수신 유니트 사이에 위치하여 VCn단위의 분기결합 기능을 위한 예비 슬롯을 확보하는 스루 유니트와, 상기 AU 다중화 유니트 또는 DS3 서비스 유니트로부터 최대 3개의 AU3 신호를 스루 유니트를 거쳐 수신한 다음, 바이트 인터리빙에 의한 다중화 및 구간 오버헤드 삽입방법을 이용하여 STM-1 신호를 형성한 후에 광신호로 변환하여 대국으로 광전송하는 기능 및 그 역기능을 하는 광송수신 유니트와, 모든 유니트의 성능 및 장애 감시와 신호상태 감시 등의 유지보수와 명령에 의한 시스템 제어기능을 갖는 시스템의 총괄적인 제어 유니트와, 대국 시스템에 대한 원격 유지보수를 위하여 시스템의 상태 정보와 제어 명령어를 대국으로 전송하는 데이타 통신 유니트와, 시스템의 동기식 다중화 및 제어에 필요한 클럭신호를 공급하는 클럭공급 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식 광전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S1, DS1E 저속 다중화부 유니트를 셀프 내에서 3층 구조로 구성하여 각 층당 AU3하나의 대역에 해당되도록 하고, 각 층 내에서는 DS1, DS1E 서비스 유니트의 혼용 수용이 가능하도록 구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식 광전송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U 다중화 유니트와 DS3 유니트를 같은 슬롯에 실장하므로써, DS1, DS1E 서비스의 제공시에는 AU 다중화 유니트를 실장하고, DS3 서비스의 제공시에는 DS3 유니트의 실장하여 서비스에 따른 슬롯의 공유가 가능하도록 구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식 광전송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시스템의 총괄적인 제어 유니트 전면에 시스템의 경보상태, 루프백상태, 대국경보 및 ACO 발광 다이오드와 시스템 리셋, 경보이력 리셋, 발광 다이오드 테스트 기능을 갖는 버튼을 구비하여 시스템의 상태 및 제어 기능을 집중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식 광전송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데이타 통신 유니트에 명령어에 의한 대국 통신 기능을 구현하여 대국 시스템의 원격 0: 제어 및 유지보수가 소프트웨어적으로 가능하도록 구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식 광전송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클럭 공급 유니트에서 외부동기, 내부동기, 루프동기의 3가지 동기모드 및 동기모드의 장애시를 대비한 홀드오버를 제공하여 클럭의 안정도에 의한 신뢰도를 증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식 광전송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외부 동기 클럭원을 1,2차로 이중화시켜서 어느 한 입력 클럭의 장애시에 클럭원 절체 기능을 구현하여 클럭원의 보호 절체 기능을 향상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식 광전송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향후 분기결합 기능의 구현시에 타 유니트의 변화없이 스루 유니트를 타임 슬롯 교환 유니트로 교체하고 광송수신 유니트의 실장만으로 향후 분기결합 기능을 실현할 수 있도록 구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식 광전송장치.
KR1019940015085A 1994-06-29 1994-06-29 동기식 광전송장치 KR960012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5085A KR960012977B1 (ko) 1994-06-29 1994-06-29 동기식 광전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5085A KR960012977B1 (ko) 1994-06-29 1994-06-29 동기식 광전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3164A KR960003164A (ko) 1996-01-26
KR960012977B1 true KR960012977B1 (ko) 1996-09-25

Family

ID=19386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5085A KR960012977B1 (ko) 1994-06-29 1994-06-29 동기식 광전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29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1958B1 (ko) * 1998-12-31 2001-12-28 서평원 동기식디지털계위회선분배장치의자동절체및복귀방법
KR100443004B1 (ko) * 2000-12-29 2004-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전송시스템의 네트워크간 전송시 생성된스터핑정보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703293B1 (ko) * 2001-02-28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관리 채널 모니터링을 이용한 인접 노드 이상 경보 방법
KR20040044039A (ko) * 2002-11-20 2004-05-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전송 장치에서 폴링방식의 성능값 이력 수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3164A (ko) 1996-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59862B2 (ja) 加入者系伝送装置
US5594576A (en) Optical serial bus interface
EP1518366B1 (en) Transparent flexible concatenation
US5682257A (en) Optical interface in SONET system
KR960012977B1 (ko) 동기식 광전송장치
US20010053146A1 (en) Processor device for terminating and creating synchronous transport signals
KR100256691B1 (ko) 임의 조합의 종속신호를 수용하는 광전송 장치
KR0147760B1 (ko) 동기식 광 전송 시스템
KR20000046373A (ko) E1신호로부터의 au-4신호 생성장치
EP0638223B1 (en) A method and a cross-connection architecture for error-free change-over of a cross-connection matrix
US20020093987A1 (en) Method for time-division multiplexing
KR100284003B1 (ko) 광가입자 전송장치에 있어서 ds1 신호와 계위단위그룹신호사이의 다중화 장치
KR100263383B1 (ko) 광 가입자 전송장치에 있어서의 분기/결합 장치
KR100284006B1 (ko) 광가입자 전송장치에서의 광 송수신장치
JP2980050B2 (ja) Sdh伝送システム
KR100237475B1 (ko) 동기식 전송시스템에서 대국 고속다중화 유니트 절체요구장치
KR100255809B1 (ko) 수요밀집형 광가입자 전송장치에서의 pstn망 접속장치
KR100195063B1 (ko) 동기식 광전송장치의 분기결합망에 있어서 링경보방법
KR100284010B1 (ko) 링형 망 결합을 위한 광가입자 전송장치에서의 타임 슬롯 스위칭 장치
KR0171763B1 (ko) 동기식 전송장치에 있어서 f1 바이트를 이용한 타합선 경로구성방법
KR100201331B1 (ko) 동기식 다중화장치에서 v4 바이트를 이용한 대국 루프백회로
KR0179505B1 (ko) 저속 스위칭을 위한 티유 신호의 프레임 정렬기
KR100201332B1 (ko) 동기식 다중화장치에서 vc1 자국 루프백회로
KR100252501B1 (ko) 동기식 다중화장치에서
KR950015085B1 (ko) 동기식 분기/결합 다중 전송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10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