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1958B1 - 동기식디지털계위회선분배장치의자동절체및복귀방법 - Google Patents

동기식디지털계위회선분배장치의자동절체및복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1958B1
KR100311958B1 KR1019980062915A KR19980062915A KR100311958B1 KR 100311958 B1 KR100311958 B1 KR 100311958B1 KR 1019980062915 A KR1019980062915 A KR 1019980062915A KR 19980062915 A KR19980062915 A KR 19980062915A KR 100311958 B1 KR100311958 B1 KR 100311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ain
switching
main unit
synchronous digi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2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6238A (ko
Inventor
이용혁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19980062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1958B1/ko
Publication of KR20000046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6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1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19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08Indicating faults in circuits or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주 유닛과 보조 유닛으로 구성된 동기식 디지털 계위 회선분배장치에서 주 유닛에 장애가 발생하여 보조 유닛으로 자동 절체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 유닛에 장애가 발생될 경우 다수의 보조 유닛중 절체 우선순위를 갖는 보조유닛으로 절체시키는 절체단계와, 상기 절체단계후에 장애가 발생되었던 주유닛이 정상 복구될 경우 보조유닛이 수행하던 주기능을 해당 주유닛으로 복귀시키는 복귀절체단계를 포함하는 동기식 디지털 계위 회선분배장치의 자동 절체 및 복귀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동기식 디지털 계위 시스템에서 운용되는 DS-1급 유닛에서 7개로 이루어진 주 유닛에서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장애 유닛의 보호를 위해 21개의 예비 유닛을 두어, 예비 유닛을 주 유닛처럼 사용하다가, 장애 유닛인 주 유닛이 정상적으로 운용 가능한 경우, 예비 유닛에서 주 유닛으로 자동적으로 복귀하도록 동작한다.

Description

동기식 디지털 계위 회선분배장치의 자동절체 및 복귀 방법
본 발명은 동기식 디지털 계위(SDH; Synchronous Digital Hierarchy) 회선분배장치(DCS; Digital Cross-connect System)의 자동절체 및 복귀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 말하자면, 동기식 디지털 계위 시스템에서 운용되는 디에스-1급(DS-1급; Digital Signal-1, 이하 'DS-1'로 표기) 유닛(unit)에서 7개로 이루어진 주 유닛에서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자애 유닛의 보호를 위해 2개의 예비 유닛을 두어, 예비 유닛을 주 유닛처럼 사용하다가, 장애 유닛인 주 유닛이 정상적으로 운용 가능한 경우, 예비 유닛에서 주 유닛으로 자동적으로 복귀하도록 동작하는 동기식 디지털 계위 회선분배장치의 자동절체 및 복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환기 시스템 등에 있어서는 주로 운용되는 유닛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전화 교환 서비스의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하게 위하여 스위칭(switching) 시스템이나 프로세서(processor)에 있어서, 장치의 이중화를 함으로써, 주 유닛과 똑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예비 유닛을 두어 유사시 주 유닛의 기능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를 대비하고 있다.
즉, 상기 교환 시스템의 현재 사용하고 있는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이중화되어 예비적으로 대기하고 있는 상태의 시스템으로 자동적으로 절환시킴으로써, 전화 교환 서비스에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동기식 디지털 계위 회선분배장치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은 자동 절체 시스템이 없어, 현재 사용하고 있는 주 유닛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에 적절하게 자동적으로 절체되는 기능이 없어, 서비스의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동기식 디지털 계위 시스템에서 운용되는 DS-1급 유닛에서 7개로 이루어진 주 유닛에서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자애 유닛의 보호를 위해 2개의 예비 유닛을 두어, 예비 유닛을 주 유닛처럼 사용하다가, 장애 유닛인 주 유닛이 정상적으로 운용 가능한 경우, 예비 유닛에서 주 유닛으로 자동적으로 복귀하도록 동작하는 동기식 디지털 계위 회선분배장치의 자동절체 및 복귀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기식 디지털 계위 회선분배장치의 자동절체 및 복귀 장치를 적용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기식 디지털 계위 회선분배장치의 자동절체 방법을 적용한 동작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기식 디지털 계위 회선분배장치의 자동 복귀 방법을 적용한 동작순서도,
도 4는 주 유닛에서 예비 유닛으로의 자동 절체를 적용한 도면,
도 5는 예비 유닛에서 주 유닛으로의 자동 복귀를 적용한 도면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수의 주 유닛과 보조 유닛으로 구성된 동기식 디지털 계위 회선분배장치에서 주 유닛에 장애가 발생하여 보조 유닛으로 자동 절체시키는 방법에서, 상기 주 유닛에 장애가 발생될 경우 다수의 보조 유닛중 절체 우선순위를 갖는 보조유닛으로 절체시키는 절체단계와, 상기 절체단계후에 장애가 발생되었던 주유닛이 정상 복구될 경우 보조유닛이 수행하던 주기능을 해당 주유닛으로 복귀시키는 복귀절체단계를 포함하는 동기식 디지털 계위 회선분배장치의 자동 절체 및 복귀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기식 디지털 계위 회선 분배장치의 자동절체 및 복귀 장치의 구성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DS-1급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7개의 유닛으로 구성된 주 유닛부(10); DS-1급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21개의 예비 유닛으로 구성된 예비 유닛부(20); 상기 주 유닛부(10)의 주 유닛 중 하나가 탈장 또는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예비 유닛부(20)의 예비 유닛으로 절체시키도록 제어하고, 상기 예비 유닛부(20) 중에 절체된 유닛의 탈장 또는 장애가 발생하고 해당 주 유닛의 장애가 극복된 경우, 해당 주 유닛으로의 복귀를 제어하는 제어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주 유닛부(10)는 DS-1급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7개의 유닛으로 구성되어 전송을 수행하고, 예비 유닛부(20)는 DS-1급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21개의 예비 유닛으로 구성되어 주유닛부(10)의 장애발생시 이를 대신해서 전송을 수행한다.
제어부(30)는 상기 주 유닛부(10)의 주 유닛 중 하나가 탈장 또는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예비 유닛부(20)의 예비 유닛으로 절체시키도록 제어하고, 상기 예비 유닛부(20) 중에 절체된 유닛의 탈장 또는 장애가 발생하고 해당 주 유닛의 장애가 극복된 경우, 해당 주 유닛으로의 복귀를 제어한다.
상기에서, 동기식 디지털 계위 회선분배장치에서 DS-1급 유닛은 1.544Mbps의 전송속도를 취급하는 전송장치로, 'T1'급이라고도 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제어부(30)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다수의 주 유닛과 보조 유닛으로 구성된 동기식 디지털 계위 회선분배장치에서 주 유닛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제어부(30)는 여 보조 유닛으로 자동 절체시킨다.
즉, 주 유닛의 탈장 또는 장애가 발생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S10),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30)는 절체 제약 조건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1).
상기 단계(S11)에서 절체 제약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30)는 절체 조건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2).
상기 단계(S12)에서 절체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30)는 절체 관련 파라미터를 재정의하고 예비 유닛으로 절체시킨다(S13).
상기에서 절체 제약 조건을 판단하는 단계(S11)는, 주 유닛에서의 인스톨(install) 여부와, 기타 절체하여서는 안될 다른 조건들을 확인하고, 예비 유닛에서는 실장, 인스톨, 보드 장애, 주 유닛과의 동일한 환경, 이미 다른 주 유닛에 의한 선점 여부 등을 확인함으로써 조건을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에서 절체 조건을 판단하는 단계(S12)는, 주 유닛이 탈장 상태인지, 또는 주 유닛에 장애가 발생하였는지의 여부 및, 주 유닛의 인스톨 상태가 절체를 하여야 할 조건을 만족하는지의 여부 등을 판단한다.
상기에서 절체에 사용되는 각 파라미터들은 다음과 같다.
우선, 주 유닛의 각종 환경을 나타내는 주환경 파라미터(Config_MainN)는 DS-1 유닛의 환경 항목 수에 따라 n개의 항목을 지정할 수 있는데, 각 항목은 N:2에서 N의 개수에 따라 해당하는 수만큼의 비트수를 가지고 나타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7:2로 하였으므로, 1바이트면 충분히 된다.
그리고, 예비 유닛의 각종 환경을 나타내는 예비환경 파라미터(Config_ SubN)는 해당 예비 유닛의 환경 항목수에 따라 1내지 2개의 항목을 지정할 수 있으며, 주 환경 파라미터의 형식과 동일하다.
그리고, 예비 유닛의 탈장이나 장애 발생 등의 상태를 나타내는 부장애 파라미터(Fail_Sub)는 1바이트로 구성된다.
또, 주 유닛의 탈장이나 장애 발생 등의 상태를 나타내는 주장애 파라미터(SW_RegN)는 주 유닛의 개수에 따라 N바이트의 형식을 취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7바이트를 취하였다.
절체 동작이 수행된 이후의 사항을 나타내는 절체 파라미터(SW_MainStatN)는 N개의 주 유닛 중에서 어느 유닛이 절체되었는지의 상황을 나타내며, N개의 주 유닛 중 예비 유닛으로 절체가 이미 되어버린 주 유닛의 식별부호(ID)가 이 파라미터에서 제외되어 나타난다.
절체 동작이 수행된 이후의 주 유닛의 사항을 나타내는 주절체 파라미터((SW_MainStatN)는 N개의 주 유닛 중에서 어느 유닛이 절체되었는지의 상황을 나타내며, N개의 주 유닛 중 예비 유닛으로 절체가 이미 되어버린 주 유닛의 식별부호(ID)가 이 파라미터에서 제외되어 나타난다.
절체 동작이 수행된 이후의 예비 유닛의 사항을 나타내는 부절체 파라미터(SW_SubStatN)는 N개의 예비 유닛 중에서 어느 유닛이 절체되었는지의 상황을 나타내며, N개의 예비 유닛 중 절체되어 사용중인 예비 유닛의 식별부호(ID)가 이 파라미터에서 제외되어 나타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탈장 또는 장애가 발생한 주 유닛을 예비 유닛으로 자동적으로 절체할 수 있다.
한편, 다수의 주 유닛과 보조 유닛으로 구성된 동기식 디지털 계위 회선분배 장치에서 주 유닛에 장애가 발생하여 보조 유닛으로 자동 절체된 이후, 주 유닛의 장애가 극복되어 주 유닛으로 절체를 복귀시키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제어부(30)는 예비 유닛의 탈장 또는 장애가 발생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S20), 장애가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복귀 제약 조건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1).
상기 단계(S21)에서 복귀 제약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30)는 복귀 조건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2).
상기 단계(S22)에서 복귀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30)는 복귀 관련 파라미터를 재정의하고 주 유닛으로 복귀 절체시킨다(S23).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탈장 또는 장애가 발생한 예비 유닛을 원래의 주 유닛으로 자동적으로 절체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복귀 제약 조건을 판단하는 단계(S21)는, 주 유닛이 실장되어 있는지, 그리고 인스톨 상태인지의 여부 및 유닛 장애의 여부와, 예비 유닛과 동일한 환경을 갖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상기에서 복귀 조건을 판단하는 단계(S22)는, 예비 유닛의 탈장, 예비 유닛의 장애 여부 및 인스톨 여부 등이 복귀를 하여야 할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한다.
한편, 상기에서 복귀에 사용되는 파라미터는 절체시의 파라미터가 동일하게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동작함으로써, DS-1급 전송 유닛의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예비 유닛으로 자동 절체시킴으로써, 전송 서비스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환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은 동기식 디지털 계위 시스템에서 운용되는 DS-1급 유닛에서 7개로 이루어진 주 유닛에서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자애 유닛의 보호를 위해 2개의 예비 유닛을 두어, 예비 유닛을 주 유닛처럼 사용하다가, 장애 유닛인 주 유닛이 정상적으로 운용 가능한 경우, 예비 유닛에서 주 유닛으로 자동적으로 복귀하도록 동작함으로써, 전송 시스템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다수의 주 유닛과 보조 유닛으로 구성된 동기식 디지털 계위 회선분배장치에서 주 유닛에 장애가 발생하여 보조 유닛으로 자동 절체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 유닛에 장애가 발생될 경우 다수의 보조 유닛중 절체 우선순위를 갖는 보조유닛으로 절체시키는 절체단계와, 상기 절체단계후에 절체된 해당 주유닛과 보조 유닛을 식별하고 그 식별데이터를 저장하는 절체유닛인식단계와, 이 절체유닛인식단계중에 절체된 해당 주유닛의 기능복구상태를 검색하여 정상복구여부를 결정하는 복귀결정단계와, 상기 복귀결정단계에 의해 장애가 발생되었던 주유닛의 정상 복귀가 결정될 경우 보조유닛이 수행하던 주기능을 해당 주유닛으로 복귀시키는 복귀절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식 디지털 계위 회선분배장치의 자동 절체 및 복귀방법.
KR1019980062915A 1998-12-31 1998-12-31 동기식디지털계위회선분배장치의자동절체및복귀방법 KR100311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2915A KR100311958B1 (ko) 1998-12-31 1998-12-31 동기식디지털계위회선분배장치의자동절체및복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2915A KR100311958B1 (ko) 1998-12-31 1998-12-31 동기식디지털계위회선분배장치의자동절체및복귀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6238A KR20000046238A (ko) 2000-07-25
KR100311958B1 true KR100311958B1 (ko) 2001-12-28

Family

ID=19569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2915A KR100311958B1 (ko) 1998-12-31 1998-12-31 동기식디지털계위회선분배장치의자동절체및복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19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092B1 (ko) * 2005-12-08 2007-08-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세대 동기 디지털 계위(ng-sdh) 스위칭시스템에서의 다중적 보호 절체 제어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3164A (ko) * 1994-06-29 1996-01-26 조백제 동기식 광전송장치
KR960027684A (ko) * 1994-12-23 1996-07-22 양승택 신호중계 교환기의 이중화 신호망 관리장치의 운용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3164A (ko) * 1994-06-29 1996-01-26 조백제 동기식 광전송장치
KR960027684A (ko) * 1994-12-23 1996-07-22 양승택 신호중계 교환기의 이중화 신호망 관리장치의 운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6238A (ko) 2000-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40157A (en) Distributed control methodology and mechanism for implementing automatic protection switching
EP0687975B1 (en) Method and system for downloading data to network nodes
JPH0974412A (ja) Atm交換網のapsシステム
JP3226393B2 (ja) パス・プロテクション・スイッチ・リング・システム
CN101141282B (zh) 一种网管系统及其管理方法
JPH0529171B2 (ko)
JP2010130267A (ja) 伝送装置
KR100311958B1 (ko) 동기식디지털계위회선분배장치의자동절체및복귀방법
KR0133337B1 (ko) 타켓 시스템 이중화 운용관리 장치 및 방법
CN100395962C (zh) 通信系统中设备的倒换方法及其系统
WO1995024801A2 (en) Hierarchical synchronization method
Coan et al. A distributed protocol to improve the survivability of trunk networks
US550485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witching of transmission line
CN100463373C (zh) 一种集中控制并分层实施的切换控制方法及装置
CN100574469C (zh) 电信网络及其更新方法
KR20010065409A (ko) 분산형 지능망 시스템에서 마스터 머신 결정 방법
JP2000134244A (ja) リング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伝送装置
KR100246774B1 (ko) 변조기 이중화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358355B1 (ko) 통신시스템에서 시스템정보 저장용 비휘발성 메모리배치방법
KR200183008Y1 (ko) 근거리 정보 통신망 시스템의 통신망 자동복구장치
KR940010206B1 (ko) 데이타 전송장치에서의 유니트(1:1) 절체회로
KR100792207B1 (ko) Lcas를 적응적으로 적용한 다중 계층 복구 장치 및방법
JPH11345141A (ja) 冗長構成システム
JP2004023687A (ja) ノード装置とその基板取扱方法
KR19980025484A (ko) 동기식 디지털 마이크로웨이브 전송시스템에서 프로텍션유니트를 워킹유니트로 절체하기 위한 절체요인 검출 및 절체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