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5484A - 동기식 디지털 마이크로웨이브 전송시스템에서 프로텍션유니트를 워킹유니트로 절체하기 위한 절체요인 검출 및 절체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동기식 디지털 마이크로웨이브 전송시스템에서 프로텍션유니트를 워킹유니트로 절체하기 위한 절체요인 검출 및 절체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5484A
KR19980025484A KR1019960043570A KR19960043570A KR19980025484A KR 19980025484 A KR19980025484 A KR 19980025484A KR 1019960043570 A KR1019960043570 A KR 1019960043570A KR 19960043570 A KR19960043570 A KR 19960043570A KR 19980025484 A KR19980025484 A KR 199800254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switching
task
unit
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3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33467B1 (ko
Inventor
박운신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43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3467B1/ko
Publication of KR19980025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54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3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3467B1/ko

Links

Landscapes

  • Hardware Redundanc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기식 디지털 마이크로웨이브 전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프로텍션유니트를 워킹유니트로 절체할 시 절체 재시도에 의한 회선보호 기능을 보장하고, 절체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절체요구를 인터럽트 뿐만 아니라 미리 설정된 시간마다의 폴링에 의해서도 지속적으로 검출되도록 하여 인터럽트에 의한 절체요구시 프로텍션유니트의 순간적인 실패에 의한 절체실패시에도 워킹유니트의 절체요인을 지속적으로 감시하여 프로텍션유니트가 정상적인 동작으로 복귀하면 즉시 회선보호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동기식 디지털 마이크로웨이브 전송장비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동기식 디지털 마이크로웨이브 전송시스템에서 프로텍션유니트를 워킹유니트로 절체하기 위한 절체요인 검출 및 절체 제어 방법
본 발명은 동기식 디지털 마이크로웨이브 전송시스템에서 프로텍션유니트를 워킹유니트로 절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프로텍션유니트를 워킹유니트로 절체하기 위한 요인을 검출하는 방법 및 검출결과에 따라 절체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동기식 디지털 마이크로웨이브 전송시스템은 하나의 주제어유니트와 이 주제어유니트에 의해 제어되는 다수의 분산유니트들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동기식 디지털 마이크로웨이브 전송시스템은 다단의 셸프(shelf)들로 이루어지는 하나의 캐비넷(cabinet)내에 포함되며, 이 시스템의 각 유니트들은 카드형태로 각 셸프의 해당하는 슬롯에 장착 및 탈착된다. 이때 각 분산유니트들은 2중 구조, 즉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분산유니트들이 2개씩 연결되어 해당하는 슬롯에 장착되게 되는데, 이는 한 분산유니트가 고장나는 경우에도 이 고장난 분산유니트에 의한 기능이 다른 나머지 분산유니트에 의해 동일하게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1을 참조하면 통상의 동기식 디지털 마이크로웨이브 전송시스템은 하나의 주제어유니트(Main Control Unit) 100과, 다수의 분산유니트(Tributary Unit) 300과, MCU 100과 TU 300의 사이에 연결되는 분산제어유니트(Tributary Control Unit) 2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MCU 100과 TCU 200은 직렬버스(SERIAL BUS) RS485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TCU 200과 각 TU 300은 병렬로컬버스(PARALLEL LOCAL BUS)를 통해 연결된다. 이때 각 TU 3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TU-A 310과 TU-B 320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이중 한 TU는 워킹(Working)TU로서 동작하고 다른 한 TU는 프로텍션(Protection)TU로서 동작한다. 여기서 워킹TU란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하는 TU를 말하며, 프로텍션TU란 예비용의 TU로 워킹TU의 이상이 있는 경우 절체되어 이상이 있는 워킹TU를 대신하여 워킹TU로서 동작하는 TU를 말한다.
상기 도1과 같이 구성되는 전송시스템에서 종래 기술에 따른 TU절체동작은 각각의 TU에 따라 개별적으로 존재하는 감시제어 프로세서에 의해서만 수행되어지며, 각각의 절체는 절체요인이 검출되는 경우에 발생하는 인터럽트요구가 있는 경우에만 수행된다. 그런데 절체요인의 검출이 인터럽트에만 의존하므로 워킹의 절체요구시 프로텍션이 순간적으로 절체를 할 수 없는 상태이면 절체실패로 간주하여 절체 재시도에 의한 회선보호 기능이 보장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절체동작은 두 TU중에 현재 워킹으로 서비스중인 TU를 프로텍션TU로 만든 후, 즉 시그널출력을 금지시킨 후 프로텍션TU를 제어하여 시그널을 출력하여 워킹상태로 전환함으로써 이루어지기 때문에 절체동작에 따른 소요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절체동작은 TU카드가 제거되는 경우에도 소프트웨어적인 처리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이와 같이 소프트웨어적으로만 절체동작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절체동작에 따른 소요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동기식 디지털 마이크로웨이브 전송시스템에서 프로텍션유니트를 워킹유니트로 절체할 시 절체 재시도에 의한 회선보호 기능을 보장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기식 디지털 마이크로웨이브 전송시스템에서 프로텍션유니트를 워킹유니트로 절체할 시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절체요구를 인터럽트뿐만 아니라 미리 설정된 시간(30밀리초)마다의 폴링에 의해서도 지속적으로 검출되도록 하여 인터럽트에 의한 절체요구시 프로텍션유니트의 순간적인 실패에 의한 절체실패시에도 워킹유니트의 절체요인을 지속적으로 감시하여 프로텍션유니트가 정상적인 동작으로 복귀하면 즉시 회선보호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절체동작시 워킹유니트와 프로텍션유니트에 각각의 순서에 입각한 명령을 수행함으로써 시스템의 출력이 장시간 무신호상태로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프로텍션유니트에만 절체 명령을 내리는 경우에도 절체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또한 슬롯마다 설정되어 운용중인 유니트의 종류에 따라 해당하는 절체동작이 수행되도록 하고 있다. 즉 TUO에 대해서는 1+1단방향시그널(Uni-Direction Signal) 절체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TU3에 대해서는 1:1 장비절체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동기식 디지털 마이크로웨이브 전송시스템의 일반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동기식 디지털 마이크로웨이브 전송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절체 제어의 우선순위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니트별 자동절체 요구의 종류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TU3에 대한 수동절체 태스크흐름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TU3에 대한 수동절체 처리흐름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TU3에 대한 자동절체 태스크흐름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인터럽트에 의한 카드제거를 검출하는 처리흐름을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폴링에 의한 카드제거를 검출하는 처리흐름을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카드제거에 의한 절체요구시 처리흐름을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TU3 카드제거시 절체흐름을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TU3에 대한 자동 절체요인 검출 및 절체 요구흐름을 보여주는 도면.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TU3에 대한 자동절체 처리흐름을 보여주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TU3 삽입에 따른 절체 처리흐름을 보여주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TUO에 대한 수동절체 태스크흐름을 보여주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TUO에 대한 수동절체 처리흐름을 보여주는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TUO에 대한 자동절체 태스크흐름을 보여주는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TUO 카드제거에 의한 절체 처리흐름을 보여주는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TUO에 대한 절체요인 검출 및 절체요구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
도 20a 및 도 20b는 본 발명의 인터럽트에 의한 TUO 절체 처리흐름을 보여주는 도면.
도 21a 및 도 21b는 본 발명의 폴링 및 SD에 의한 TUO 절체 처리흐름을 보여주는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TUO 삽입에 따른 절체 처리흐름을 보여주는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AUTOLOCK 판단/처리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
도 24는 본 발명의 AUTOLOCK 해제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
도 25는 본 발명의 AUTOLOCK 해제 판단흐름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고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내려진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우선 본 발명에 따라 프로텍션유니트를 워킹유니트로 절체하는 동작은 수동 절체동작과 자동 절체동작으로 구분되어 수행됨을 밝혀두는 바이다. 여기서 수동절체란 운용자에 의한 절체요구(예: Clear, Manual Lockout, Forced Switchover, Manual Switchover 등)에 의해 이루어지는 절체동작을 말하며, 자동절체란 TU의 절체요인을 검출하여 자동적으로 수행하는 절체동작을 말한다. 이때 절체요인의 검출은 인터럽트 뿐만 아니라 일정 시간(예: 30밀리초)마다의 폴링에 의해서도 처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르면 절체요인을 인터럽트를 통해서만 검출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절체요인을 인터럽트 뿐만 아니라 폴링에 의해서도 검출한다. 그러므로 인터럽트에 의한 절체요구시 프로텍션유니트의 순간적인 실패로 인한 절체실패시에도 워킹유니트의 절체요인을 지속적으로 감시하여 프로텍션유니트이 정상적인 동작으로 복귀하면 즉시 회선보호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절체동작은 전술한 바와 같이 MCU 100과, TCU 200과, TU-A 310 및 TU-B 320으로 이루어지는 동기식 디지털 마이크로웨이브 전송시스템에서 수행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절체동작을 위한 동기식 디지털 마이크로웨이브 전송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2를 참조하면, TCU 200은 로컬버스(LOCAL BUS)를 통하여 각 TU의 절체요인을 검출하며, 이 로컬버스를 통해서 프로텍션유니트로 동작중인 TU에만 절체명령을 내려 절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2의 TU-A 310과 TU-B 320에는 각각 절체제어부 312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는 감시 및 절체를 수행하기 위한 경로로서 동작하기 때문에 프로텍션유니트로서 동작하는 유니트, 예를 들어 TU-B 320에만 절체명령을 내리는 경우에도 절체가 수행되며 카드제거(Card Remove)에 의한 하드웨어절체도 이 경로를 통해서 하드웨어적으로 수행된다. 이러한 절체동작, 즉 절체제어부 312만을 통해 절체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종래 기술에 따른 절체동작과의 차이점이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U-A 310이 워킹유니트로 동작하고, TU-B 320이 프로텍션유니트로 동작한다고 가정할 때 종래 기술의 절체동작에 따르면 TU-A 310의 신호출력을 금지시킨 후 TU-B 320을 제어하여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여 TU-B 320을 워킹유니트로 절체한다. 반면에 본 발명의 절체동작에 따르면 TU-B 320의 절체제어부 312를 제어하여 TU-A 310의 신호출력을 금지시키고 이와 동시에 TU-B 320이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여 TU-B 310을 워킹유니트로 절체한다. 이러한 동작을 수행하는 본 발명의 전송시스템에서 수동절체 동작은 MCU 100에 의해서 IPC(Inter Processor Communication)를 통해 전달됨에 따라 수행되며, 자동절체 동작은 로컬버스를 통해서 TU의 절체요인이 검출된 후 수행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절체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절체요인들이 소정의 우선순위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보드탈장절체, 수동 LOCKOUT, 자동 LOCKOUT, FORCED SWITCHOVER, SF SWITCHOVER, SD SWITCHOVER, MANUAL SWITCHOVER, CLEAR의 순으로 절체되도록 우선순위가 정해져 있음을 보여준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절체동작이 각 유니트별로 상이하게 수행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즉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절체동작은 TUO의 경우와 TU3의 경우로 구분될 수 있다. TUO(Tributary Unit Optic)는 광시그널을 입력으로 하는 유니트로서 이 유니트의 경우는 회선절체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시그널링에 의해 이루어진다. TU3(Tributary Unit DS3)은 DS3급의 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유니트로서 이 유니트의 경우는 유니트에 이상이 있을 때에 회선절체가 이루어진다. 상기 TUO에서 이루어지는 절체의 종류는 신호의 실패를 나타내는 SF(Signal Failure)와 신호의 경감을 나타내는 SD(Signal Degrade)가 있으며, CR, OPTIC LOS, LOS, OOF, LOF, LINE AIS, EXCESSIVE B2가 SF에 의한 절체에 해당하며, B2 SIGNAL이 경감되는 경우가 SD에 의한 절체에 해당한다. 이와 달리 TU3에서 이루어지는 절체의 종류는 유니트의 이상을 나타내는 EQUIP가 있는데 CR, LOC, 내부장애, ASIC FAIL이 있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1. TU3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절체동작
(1) 운용자의 요구에 의한 수동절체
Clear, Manual, Lockout, Forced Switch 및 Manual Switch 등의 수동절체는 도5에 도시된 태스크 흐름에서와 같이 MCU 100에서 수신된 IPC(Inter Processor Communication)데이터를 해석한 후 EPS(Equipment Protection Switching)태스크에서 처리 후 처리결과를 MCU 100에 보고하는 순서로 설계되었으며, 도6에서와 같이 수신된 명령에 해당되는 라인의 TU-A 및 TU-B 모두가 액티브상태인지를 검출하여 명령의 타당성 검토 후, 이전에 수행되어 있는 절체의 우선순위가 현 명령보다 하위인지를검색하여 하위의 상태이면, Clear Lockout의 경우에는 절체동작없이 TCU 200내 데이터베이스만을 업데이트하고, Forced나 Manual Switchover인 경우에는 프로텍션으로 동작중인 TU의 절체제어부 312에 절체 명령을 내려 절체 수행결과를 감시 후 명령에 대한 결과를 TCU 200내의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하고 MCU 100에 IPC를 통해서 보고한다.
도5는 본 발명의 TU3에 대한 수동절체 태스크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IPC ISR(501), IPC_RX TASK(502), EPS TASK(503), CFG TASK(504), RPT_FMT TASK(505), IPC_TX TASK(506)의 순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EPS TASK는 TU3유형의 보드에 적용되며, 각 슬롯의 설정상태 및 절체상태, 보드의 상태 등을 비교하여 수행한다.
도6은 본 발명의 TU3에 대한 수동절체 처리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6의 601단계에서 요구된 라인의 TU가 모두 액티브상태인지를 판단한다. 이때 액티브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602단계에서 현재 워킹TU를 찾고, 603단계에서 절체요구가 현재의 절체상태보다 상위의 요구인지를 판단한다. 상위의 요구인 것으로 판단되면 604단계에서 프로텍션TU의 절체제어부를 제어하여 절체를 수행하고, 절체결과를 감시한다. 다음에 605단계에서 절체결과가 성공인지 아닌지를 판단한 후 성공한 경우에는 606단계에서 PRE와 CUR의 절체데이터베이스를 절체성공으로 세트시키고 성공하지 않은 경우에는 607단계에서 CUR의 절체데이터베이스를 절체실패로 세트한다. 그 다음에 608단계에서 CONFIGURATION데이터베이스를 변경하고, MCU에 결과보고를 위해 CFG태스크를 활성화한 후 종료한다.
(2) 자동 Equipment 장애
보드 내부 장애에 의한 TU3 Equipment 자동절체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태스크흐름을 통해 수행되며, 절체요인은 보드 내부 장애 및 카드제거(Remove)/삽입(Insert)에 의한 이벤트로 구분된다. 카드제거 이벤트는 CR인터럽트 및 800밀리초(ms)마다 TU의 실탈장을 감시하는 태스크에 의해서 검출되며, 내부장애는 내부장애시 발생하는 인터럽트 및 30밀리초(ms)마다 경보를 검색하는 TU 폴링 태스크에 의해서 검출된다. 이러한 절체요구 이벤트는 EPS태스크를 활성화하여 절체 우선순위 및 프로텍션 보드의 상태에 따라 절체 판단하여 장치 절체를 수행하며, 수행결과를 IPC를 통해서 MCU 100에 보고한다.
도7은 본 발명의 TU3에 대한 자동절체 태스크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7에서 TU ISR(701)인 경우에는 TU_POLL TASK(705)로 진행하고, TIMER ISR(702)인 경우에는 CFG TASK(706)으로 진행한 후 TU_INIT TASK(708)로 진행한다. CR ISR(703)과 TIMER ISR(704)인 경우에는 CFG TASK(707)로 진행한다. 상기 705단계 내지 708단계가 수행된 경우에는 EPS TASK(709)를 수행하고, RPT_FMT TASK(710)를 수행한 후 IPC_TX TASK(711)를 수행한다. 상기 TU ISR(701)은 30밀리초마다 수행되는 태스크이고, CR ISR(703)은 CR절체요구에 따른 태스크이며, TIMER ISR(704)은 800밀리초마다 수행되는 태스크이다. TU_POLL TASK(705)는 보드 실패 검출 및 절체요구를 위한 태스크이고, TU_INIT TASK(708)는 새로운 보드삽입에 의한 초기화 후 워킹 선정요구를 위한 태스크이다. 그리고 EPS TASK(709)는 절체요구, 현재 절체상태 및 우선순위에 의한 절체여부를 판단하는 태스크이고, 슬롯의 프로비젼(provision)상태 및 프로텍션보드의 유무에 의한 절체여부를 판단하는 태스크이다.
(2-1) CR 자동 절체
도8의 CR인터럽트 및 도9의 800밀리초마다 TU의 실탈장을 감시하는 태스크에 의해서 TU 실탈장을 검색하여 도10에서와 같이 카드제거 이벤트를 검색하여 각 TU의 종류에 따라서 TU3인 경우에는 EPS태스크를 TUO인 경우에는 APS태스크를 활성화한다. 이때 TU보드는 TU간의 절체제어부에 의해서 하드웨어적인 절체도 이루어진다. CR에 의해서 활성화된 EPS태스크는 요구된 라인의 시그널유형 및 슬롯의 액티브상태 등을 도11에서와 같이 절체의 타당성을 판단하며, 타당할 시에는 프로텍션 TU의 절체제어부에 절체 명령을 라이트하여 절체를 수행한다. 이후 프로텍션이었던 TU의 절체제어부가 워킹상태인가를 검색한 후 워킹이면 TCU의 절체 데이터베이스를 CR에 의한 절체수행으로 업데이트하고, AUTOLOCK 판단의 데이터베이스를 클리어하며, 수행결과를 MCU 100에 보고한다.
도8은 본 발명의 인터럽트에 의한 카드제거를 검출하는 처리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801단계에서 TU삽입 상태를 리드하고, 802단계에서 카드제거 상태를 처리하고, 803단계에서 CR 인터럽트 인에이블 처리를 수행한다.
도9는 본 발명의 폴링에 의한 카드제거를 검출하는 처리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901단계에서 TU실장상태를 10회 리드하여 동일한가 비교하여 유효한지 여부를 검색한다. 902단계에서는 검색된 TU실장정보가 유효한지를 판단하고 903단계에서 카드제거 상태 처리를 하고, 904단계에서 카드삽입 상태 처리를 하고, 905단계에서 CR 인터럽트 인에이블처리를 수행한 후 종료한다.
도10은 본 발명의 카드제거에 의한 절체요구시 처리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1001단계에서 슬롯넘버를 0으로 세팅한 후 1002단계에서 세팅된 슬롯넘버가 8인 것으로 확인될 때까지 1003단계 내지 1008단계의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1003단계에서는 해당 슬롯이 이전에 존재하였으나 현재는 없는지를 판단하고, 판단되는 경우에 1004단계에서 CR인터럽트 태스크를 수행한다. 다음에 1005단계에서 해당 슬롯의 시그널링 유형이 TUO인지 아니면 TU3인지를 판단한다. TUO인 경우에는 1006단계에서 카드제거에 의한 절체는 요구하기 위해 APS태스크를 활성화하고, TU3인 경우에는 1007단계에서 카드제거에 의한 절체를 요구하기 위해 EPS태스크를 활성화한다. 상기 1006단계 또는 1007단계를 마친 후에는 1008단계에서 슬롯넘버를 1증가시키는 1002단계에서 8이 확인될 때까지 1003단계 내지 1007단계의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1002단계에서 8이 확인되는 경우에는 위와 같은 동작을 종료한다.
도11은 본 발명의 TU3 카드제거시 절체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1101단계에서 요구된 라인이 시그널링 유형을 판단하고, 1102단계에서 요구된 라인의 TU가 모두 액티브상태이고 요구된 TU가 워킹상태인지를 판단한다. 1103단계에서는 프로텍션TU가 존재하며, CONFIGURATION 매치이고, CONFIGURATION 성공인지를 판단한다. 1104단계에서 프로텍션TU의 절체제어부 제어에 의한 절체수행 및 절체결과를 검색한다. 1105단계에서는 절체결과가 성공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 후 성공한 경우에는 1106단계에서 PRE 절체 데이터베이스를 CR절체성공으로 업데이트하고, CUR 절체 데이터베이스를 CR절체성공으로 업데이트하고, AUTOLOCK데이터베이스를 클리어한다. 성공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1107단계에서 탈장된 TU를 프로텍션으로 만들고, CUR절체 데이터베이스를 절체실패로 업데이트한다. 상기 1106단계와 1107단계를 종료한 후에는 1108단계에서 CONFIGURATION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 및 MCU 100에 보고하기 위해 CFG태스크를 활성화한 후 종료한다.
(2-2) 자동 Equipment 절체
TCU는 TU의 절체요구 인터럽트 서비스 및 30밀리초마다의 경보검색 태스크에서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TU의 절체요인을 검출하며, TU가 워킹보드이면 EPS태스크를 활성화한다. 이에 따른 EPS태스크의 절체수행은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라인의 각 TU별 액티브상태, 시그널유형, 절체우선순위, 프로텍션 TU의 상태 등을 비교하여 워킹보드에 절체요인이 있으나 프로텍션 보드에는 내부장애가 없을 경우에는 프로텍션 TU의 절체제어부에 절체 명령을 내리며, 절체 수행결과를 감시하여 MCU에 보고한다. 이때 AUTOLOCK의 조건에 합당한지를 판단한다.
도12는 본 발명의 TU3에 대한 자동 절체요인 검출 및 절체 요구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1201단계에서 각 ASIC상의 경보를 수집하고, 1202단계에서 경보에 따른 절체요구플래그를 비트단위로 세트한 후 1203단계에서 해당 TU가 워킹인지를 판단한다. 워킹인 경우는 1204단계에서 절체플래그가 0인지를 판단하고, 워킹이 아닌 경우에는 종료한다. 절체플래그가 0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1205단계에서 EPS태스크를 활성화하여 절체를 요구한 후 종료한다.
도13a 및 도13b는 본 발명의 TU3에 대한 자동절체 처리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13a의 1301단계에서 요구된 라인의 TU가 모두 액티브상태이고, 요구한 TU가 워킹상태이며 요구된 라인의 시그널링 유형이 TUE나 TU3인지를 판단한다. 1302단계에서 PRE절체가 AUTOLOCK아래의 우선순위에 의해서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한다. AUTOLOCK아래의 우선순위에 의해 PRE절체가 이루어진 경우에는 1303단계로 진행하고,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1314단계로 진행한다. 1303단계에서는 프로텍션TU가 존재하며 CONFIGURATION매치이고 CONFIGURATION성공인지를 판단하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1304단계에서 워킹TU에 절체요건의 경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경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1305단계에서 프로텍션TU에 절체요건의 경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종료한다. 상기 1305단계에서 프로텍션TU의 절체요건의 경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1306단계에서 프로텍션TU의 절체제어부 제어에 의한 절체수행 및 절체결과를 감시한 후 1307단계에서 절체결과가 성공인지를 판단한다. 절체결과가 성공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도13b의 1308단계에서 PRE 절체 데이터베이스를 EQUIP절체성공으로 업데이트하고 CUR절체 데이터베이스를 EQUIP절체성공으로 업데이트한다. 절체결과가 성공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도13b의 1312단계에서 CUR절체 데이터베이스를 절체실패로 업데이트한다. 상기 1308단계를 수행한 이후에는 1309단계에서 AUTOLOCK처리를 하고 1310단계에서 AUTOLOCK인지를 판단한다. AUTOLOCK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1311단계에서 PRE 절체 데이터베이스를 AUTOLOCK성공으로 업데이트하고 CUR절체 데이터베이스를 AUTOLOCK성공으로 업데이트한 후 1313단계로 진행하고, AUTOLOCK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1313단계로 바로 진행한다. 상기 1312단계 및 1311단계를 수행한 후와 상기 1310단계에서 AUTOLOCK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1313단계에서 CONFIGURATION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 및 MCU에 보고하기 위해 CFG태스크를 활성화한 후 종료한다.
(2-3) TU3 삽입에 의한 절체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TU보드의 삽입시는 TCU는 상대 TU의 프로비젼(provision) 및 동작상태를 검색하여 절체를 수행한다.
도14는 본 발명의 TU3 삽입에 따른 절체 처리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1401단계에서 요구된 라인, 요구된 TU의 슬롯상태를 판단한다. 슬롯이 BLANK상태인 경우에는 1407단계로 진행하고, DEACT상태인 경우에는 1402단계로 진행하고, ACT상태인 경우에는 1403단계로 진행한다. 1402단계 및 1403단계 각각에서는 페어TU의 슬롯상태를 판단한다. 이때 1402단계에서 DEACT상태가 판단되거나 1403단계에서 ACT상태가 판단되는 경우에는 1404단계로 진행하고, 1402단계에서 ACT/BLANK상태가 판단되거나 1403단계에서 DEACT/BLANK상태가 판단되는 경우에는 1404단계의 진행없이 1405단계로 직접 진행한다. 1404단계에서는 페어TU의 시그널유형이 미스매치이거나 페어TU가 존재하지 않거나 CONFIGURATION 미스매치이거나 CONFIGURATION 실패이거나 워킹상태가 아닌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1405단계로 진행하고 판단되지 않는 경우에는 1407단계로 진행한다. 1405단계에서는 TU의 절체제어부에 의한 절체수행 및 수행결과를 감시하고, 1406단계에서 절체가 성공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절체가 성공인 경우에는 1408단계에서 PRE외 CUR 절체 데이터베이스를 클리어성공으로 업데이트하고, 요구된 TU가 워킹이 되도록 CONFIGURATION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시키고, MCU에 보고하기 위해 CFG태스크를 활성화한다. 절체가 성공하지 않은 경우에는 1407단계에서 CUR절체 데이터베이스를 클리어실패로 업데이트하고, 요구된 TU가 프로텍션이 되도록 CONFIGURATION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시키고, MCU에 보고하기 위해 CFG 태스크를 활성화시킨다.
2. TUO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절체동작
(1) 운용자에 의한 TUO 수동절체
CLEAR, MANUAL LOCKOUT, FORCED SWITCH 및 MANUAL SWITCH 등의 수동절체는 도15에 도시된 태스크 흐름에서와 같이 MCU에서 수신된 IPC 데이터를 해석 후 APS태스크에서 처리 후 처리결과를 MCU에 보고하는 순서로 설계되었으며, 도16에서와 같이 수신된 명령에 해당되는 라인의 TU A/B 모두가 액티브상태인지를 검출하여 명령의 타당성 검토후, 전에 수행되어 있는 절체의 우선순위가 현 명령보다 하위인지를 검색하여 하위의 상태이면, CLEAR, LOCKOUT의 경우에는 절체동작 없이 TCU내 데이터베이스만을 업데이트하고, FORCED나 MANUAL SWITCHOVER인 경우에는 프로텍션으로 동작중인 TU의 절체제어부에 절체 액션 명령을 내려 절체 수행결과를 감시 후 명령에 대한 결과를 TCU내의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하고 MCU 100에 IPC를 통해서 보고하도록 하였다.
도15는 본 발명의 TUO에 대한 수동절체 태스크흐름으로, IPC ISR(1501)을 수행하고, IPC_RX TASK(1502)를 수행하고, APS TASK(1503)를 수행하고, CFG TASK(1504)를 수행하고, RPT_FMT TASK(1505)를 수행하고, IPC_TX TASK(1506)를 수행한다. 상기 APS TASK(1503)는 TUO 유형의 보드에만 적용되며, 각 슬롯의 설정상태 및 절체상태, 보드의 상태 등을 비교하여 수행하는 태스크이다.
도16은 본 발명의 TUO에 대한 수동절체 처리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1601단계에서 요구된 라인의 TU가 모두 액티브인지를 판단하고, 모두 액티브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1602단계에서 워킹TU를 찾는다. 다음에 1603단계에서 절체요구가 현재의 절체상태보다 상위의 요구인지를 판단하고, 판단되는 경우 1604단계에서 프로텍션TU의 절체제어부를 제어하여 절체를 수행하고, 절체결과를 감시한다. 1605단계에서는 감시된 절체결과가 성공인지를 판단한다. 절체결과가 성공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1606단계에서 PRE와 CUR의 절체 데이터베이스를 절체성공으로 세트하고, 절체결과가 성공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1607단계에서 CUR의 절체 데이터베이스를 절체실패로 세트한다. 상기 1606단계 및 1607단계를 수행한 후에는 1608단계에서 K1,K2바이트를 변경하여 송신하고, CONFIGURATION 데이터베이스를 변경 및 MCU에 결과보고를 위해 CFG태스크를 활성화한 후 종료한다.
(2) 자동절체
자동 회선보호 절체는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하도록 설계되었다. 절체요인은 회선장애(SF, SD) 및 CARD REMOVE/INSERT에 의한 이벤트로 구분된다. 카드제거 이벤트는 CR인터럽트 및 800밀리초마다 TU의 실탈장을 감시하는 태스크에 의해서 검출되며, 회선장애는 회선장애시 발생하는 인터럽트, 30밀리초마다 경보를 검색하는 TU 폴링 태스크에 의한 검출 및 매 100밀리초마다 계산되는 SD에 의해서 검출된다. 이러한 절체요구 이벤트는 APS태스크를 활성화하여 절체 우선순위 및 프로텍션보드의 상태에 따라서 절체 판단하여 절체를 수행하며, 수행결과를 IPC를 통해서 MCU 100에 보고한다.
도17은 본 발명의 TUO에 대한 자동절체 태스크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TU ISR(1701)과 TIME ISR(1702)을 수행한 후에는 TU_POLL TASK(1706)를 수행하고, TIMER ISR(1703)을 수행한 후에는 CFG TASK(1707)를 수행한 후 TU_INIT TASK(1710)를 수행하고, TIMER ISR(1704)을 수행한 후에는 PFM TASK(1708)를 수행하고, CR ISR(1705)을 수행한 후에는 CFG TASK(1709)를 수행한다. 상기 1706단계, 1710단계, 1708단계, 1709단계에서의 태스크를 수행한 후에는 1711단계에서 APS TASK(1711)를 수행하고, RPT_FMT TASK(1712)를 수행하고, IPC_TX TASK(1713)를 수행한다. 상기 TIMER ISR(1702)은 30밀리초마다 수행되는 태스크이고, TIMER ISR(1703)은 800밀리초마다 수행되는 태스크이고, TIMER ISR(1704)은 100밀리초마다 수행되는 태스크이다. TU_POLL TASK(1706)는 SF검출 및 절체요구를 위한 태스크이고, PFM TASK(1708)는 SD검출 및 절체요구를 위한 태스크이고, CFG TASK(1709)는 실탈장 감시 및 CR절체요구를 위한 태스크이다. TU_INIT TASK(1710)는 TU 초기화 후 워킹보드 선정 요구를 위한 태스크이고, APS TASK(1711)는 절체 우선순위, 현재 절체상태, 슬롯의 프로비젼 상태 및 프로텍션TU의 유무 등을 비교하여 절체되는 태스크이다. 그리고 RPT_FMT TASK(1712)는 수행결과를 보고하는 태스크이다.
(2-1) CR 자동절체
도8의 CR인터럽트 및 도9의 800밀리초마다 TU의 실탈장을 감시하는 태스크에 의해서 TU 실탈장 상태를 검색하며,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제거 이벤트를 검색하여 각 TU의 종류에 따라서 TU3인 경우에는 EPS태스크를 TUO인 경우은 APS태스크를 활성화한다. 이때 TU보드 탈장절체(CR)는 TU간의 절체제어부에 의해서 하드웨어적으로도 이루어진다. CR에 의해서 활성화된 APS태스크는 요구된 라인의 시그널 유형 및 슬롯의 액티브상태 등을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체의 타당성을 판단하며, 타당할 시에는 프로텍션 TU의 절체제어부에 절체 액션 명령을 라이트하여 절체를 수행한다. 이후 프로텍션이었던 TU의 절체제어부가 워킹상태인가를 검색 후 워킹이면 TCU의 절체 데이터베이스를 CR에 의한 절체수행으로 업데이트하고, AUTOLOCK 판단의 데이터베이스를 클리어하며, 수행결과를 MCU 100에 보고한다.
도18은 본 발명의 TUO 카드제거에 의한 절체 처리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1801단계에서 요구된 라인의 시그널유형이 TU3인지 TUO인지를 판단한다. 시그널유형이 TUO인 경우에는 1802단계에서 요구된 라인의 TU가 모두 액티브상태이고 요구된 TU가 워킹상태인지를 판단한다. 액티브상태이고 워킹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1803단계에서 프로텍션TU가 존재하며, CONFIGURATION 매치이고, CONFIGURATION성공인지를 판단한다. 1803단계에서 판단되는 경우에는 1804단계에서 TU의 절체제어부에 의한 절체수행 및 절체결과를 검색한 후 1805단계에서 검색결과가 성공인지를 여부를 판단한다. 절체가 성공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1806단계에서 K1,K2바이트를 변경하여 송신하고, PRE 절체 데이터베이스를 CR절체 성공으로 업데이트하고, CUR절체 데이터베이스를 CR 절체성공으로 업데이트하고, AUTOLOCK 데이터베이스를 클리어한다. 절체가 성공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1807단계에서 탈장된 TU를 프로텍션으로 만들고, CUR 절체 데이터베이스를 CR 절체실패로 업데이트한다. 상기 1806단계 및 1807단계를 수행한 후에는 1808단계에서 CONFIGURATION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 및 MCU에 보고하기 위해 CFG태스크를 활성화한 후 종료한다.
(2-2) 인터럽트에 의한 자동 1+1 회선보호 절체
TCU 200은 TU의 절체요구 인터럽트 서비스 및 30밀리초마다의 경보검색 태스크에서 도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TU이 절체요인을 검출하며, TU가 워킹보드이면 APS태스크를 활성화한다. 이에 따른 APS태스크의 절체수행은 도20에서와 같이 해당 라인의 각 TU별 액티브상태, 시그널유형, 절체우선순위, 프로텍션 TU의 상태 등을 비교하여 워킹보드에 절체요인이 있으나 프로텍션보드에는 장애가 없는 경우에는 프로텍션TU의 절체제어부에 절체 액션의 명령을 내리며 절체수행결과를 감시하여 MCU 100에 보고한다. 이때 AUTOLOCK의 조건에 합당한지를 판단한다.
도19는 본 발명의 TUO에 대한 절체요인 검출 및 절체요구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1901단계에서 각 ASIC상의 경보를 수집하고, 1902단계에서 경보에 따른 절체요구플래그를 비트단위로 세트한 후 1903단계에서 해당 TU가 워킹인지를 판단한다. 워킹인 경우에는 1904단계에서 절체플래그가 0인지를 판단한다. 절체플래그가 0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동작을 종료하고, 절체플래그가 0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1905단계에서 APS태스크를 활성화하여 절체를 요구한 후 종료한다.
도20a 및 도20b는 본 발명의 인터럽트에 의한 TUO 절체 처리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20a의 2001단계에서 요구된 라인의 TU가 모두 액티브상태이고 요구한 TU가 워킹상태이며 요구된 라인의 시그널유형이 TUO인가를 판단한다. 이때 판단되는 경우에는 2002단계에서 PRE절체가 SF이하의 우선순위에 의해서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하고, 이때도 판단되는 경우에는 2003단계에서 프로텍션TU가 존재하며, CONFIGURATION 매치이고 CONFIGURATION성공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2003단계에서 판단되는 경우에는 2004단계에서 프로텍션TU에 SF급의 경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경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2005단계에서 프로텍션TU의 절체제어부에 의한 절체를 수행하고 절체결과를 감시하고, 2006단계에서 절체결과가 성공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절체가 성공인 경우에는 도2b의 2007단계에서 PRE절체 데이터베이스를 SF절체성공으로 업데이트하고, CUR절체 데이터베이스를 SF 절체성공으로 업데이트하고, K1, K2를 SF절체로 변경하여 송신한다. 이후에 2008단계에서는 AUTOLOCK 처리를 하고, 2009단계에서 AUTOLOCK인지를 판단한다. AUTOLOCK이 판단되는 경우에는 2010단계에서 PRE 절체 데이터베이스를 AUTOLOCK 성공으로 업데이트하고, CUR절체 데이터베이스를 AUTOLOCK 성공으로 업데이트하고, K1,K2를 AUTOLOCK으로 변경하여 송신한다. 한편 2006단계에서 절체가 성공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2011단계에서 CUR절체 데이터베이스를 절체실패로 업데이트한다. 상기 2010단계 및 2011단계를 수행한 이후 또는 2009단계에서 AUTOLOCK이 판단되지 않는 경우에는 2012단계에서 CONFIGURATION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하고, MCU 100에 보고하기위한 CFG태스크를 활성화한 후 종료한다.
(2-3) 폴링 및 SD에 의한 1+1 회선보호
도21a 및 도21b에서와 같이 절체우선순위 및 TU보드의 상태를 감시하여 절체를 수행한다.
도21a 및 도21b는 본 발명의 폴링 및 SD에 의한 TUO 절체 처리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21a의 2101단계에서 SF에 의한 절체처리를 수행하고, 2101단계에서 PRE절체가 SF이하의 우선순위에 의해서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2101단계에서 PRE절체가 SF이하의 우선순위에 의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2103단계로 진행하고, 판단되지 않는 경우에는 2112단계로 진행한다. 2103단계에서 프로텍션TU가 존재하며, CONFIGURATION 매치이고, CONFIGURATION 성공인지를 판단한다. 이때 판단되는 경우에는 2104단계에서 워킹TU에 SD경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판단되지 않는 경우에는 도2b의 211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104단계에서 SD경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2105단계에서 프로텍션TU에 SF나 SD경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판단되지 않는 경우에는 종료한다. 2105단계에서는 프로텍션TU에 SF나 SD경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데, 이때 판단되는 경우에는 도2b의 2114단계로 진행하고, 판단되지 않는 경우에는 2106단계에서 프로텍션TU의 절체제어부에 의한 절체를 수행하고, 절체결과를 감시한 후 절체결과가 성공인지 아닌지를 2107단계에서 판단한다. 2107단계에서 절체성공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도2b의 2108단계에서 PRE 절체 데이터베이스를 SD 절체성공으로 업데이트하고, CUR절체 데이터베이스를 SD 절체성공으로 업데이트하고, K1,K2를 SD절체로 변경하여 송신한다. 2107단계에서 절체성공이 판단되지 않는 경우에는 도2b의 11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도2b의 2108단계를 수행한 이후에는 2109단계에서 AUTOLOCK처리를 행하고, 2110단계에서 AUTOLOCK을 판단한다. AUTOLOCK이 판단되는 경우에는 2111단계에서 PRE 절체 데이터베이스를 AUTOLOCK 성공으로 업데이트하고, CUR 절체 데이터베이스를 AUTOLOCK 성공으로 업데이트하고, K1,K2를 AUTOLOCK으로 변경하여 송신한다. 2114단계에서는 CUR절체 데이터베이스를 절체실패로 업데이트한 후 2115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110단계에서 AUTOLOCK이 판단되지 않거나 상기 2111단계 및 2114단계를 수행한 이후에는 2115단계에서 CONFIGURATION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를 하고, MCU에 보고하기 위해 CFG태스크를 활성화한 후 종료한다. 한편 도2a의2112단계에서는 PRE절체가 AUTOLOCK인지를 판단하는데, AUTOLOCK이 판단되는 경우에는 2113단계에서 AUTOLOCK 해제 카운트를 처음부터 다시 시작한 후 종료하고, AUTOLOCK이 판단되지 않는 경우에는 바로 종료한다.
(2-4) TUO 삽입에 의한 절체 및 K1,K2 바이트 변경
도14에서와 같이 TU보드의 삽입시 TCU는 상대 TU의 프로비젼 및 동작상태를 검색하여 절체를 수행한다. 이를 통해서 새로 삽입된 TU가 워킹으로 서비스할 것인지, 프로텍션으로 서비스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TUO 1+1 회선절체시 대국에 자국의절체정보를 알리기 위해서 K1,K2값을 변경한다.
도22는 본 발명의 TUO 삽입에 따른 절체 처리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2201단계에서 요구된 라인, 요구된 TU의 슬롯상태를 판단한다. 상기 2201단계에서 슬롯상태가 BLANK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2207단계로 진행하고, DEACT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2202단계로 진행하고, ACT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2203단계로 진행한다. 2202단계 및 2203단계에서는 페어TU의 슬롯상태를 판단하는데, 각 단계에서 DEACT 및 ACT가 판단되는 경우에는 2204단계에서 페어TU의 시그널유형이 미스매치이거나 페어TU가 존재하지 않거나 CONFIGURATION 미스매치이거나 CONFIGURATION 실패이거나 워킹상태가 아닌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2204단계에서 판단되지 않는 경우에는 2207단계로 진행하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2205단계로 진행한다. 또한 상기 2202단계 및 2203단계에서 각각 ACT/BLANK상태 및 DEACT/BLANK상태가 판단되는 경우에도 2205단계로 진행한다. 2205단계에서는 TU의 절체제어부에 의한 절체를 수행하고, 수행결과를 감시한 후 2206단계에서 절체가 성공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절체가 성공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2208단계에서 K1과 K2바이트를 변경하여 송신하고, PRE외 CUR 절체 데이터베이스를 성공으로 업데이트하고, 요구된 TU가 워킹이 되도록 CONFIGURATION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시키고, MCU에 보고하기 위해 CFG태스크를 활성화한 후 종료한다. 한편 2207단계에서는 CUR 절체 데이터베이스를 클리어실패로 업데이트하고, 요구된 TU가 프로텍션이 되도록 CONFIGURATION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시키고, MCU에 보고하기 위한 CFG태스크를 활성한 후 종료한다.
3. AUTOLOCK처리
AUTOLOCK은 빈번한 절체의 발생을 막기 위해서 사용되며, 미리 설정한 AUTOLOCK 시간내에 설정된 횟수 이상이 절체가 발생시 AUTOLOCK을 선언하고, 설정된 AUTOLOCK해제시간만큼 절체를 금지하는 것이다.
(1) AUTOLOCK 판단/선언
이러한 AUTOLOCK은 TU3인 경우에는 CR을 제외한 내부장애에 의한 자동절체시에만, TUO인 경우에는 CR을 제외한 SF, SD에 의한 자동절체에만 적용된다. 즉 도13, 도20, 도21 등에서와 같이 자동절체의 성공시에만 도23의 AUTOLOCK을 판단제어한다. 이때 MANUAL CLEAR, MANUAL LOCKOUT 및 CR에 의한 절체가 발생되면 인덱스를 0로 만들어서 이 시점부터 새로 AUTOLOCK을 판단한다.
도23은 본 발명의 AUTOLOCK 판단/처리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2301단계에서 현재 AUTOLOCK인덱스가 가리키는 AUTOLOCK시간 데이터베이스를 TCU의 현 시간으로 업데이트한다. 2302단계에서는 (AUTOLOCK인텍스+1)이 설정된 절체 카운트값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이때 미만의 값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2309단계에서 AUTOLOCK인덱스를 증가시킨 후 종료하고,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2303단계에서 (현 AUTOLOCK인덱스의 시간 - 0인텍스의 시간)이 설정된 AUTOLOCK시간 이하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2303단계에서 설정된 AUTOLOCK시간 이하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2310단계에서 AUTOLOCK시간 데이터베이스를 1의 경우는 0, 2의 경우는 1, .... 로 변경한 후 종료한다. 한편 상기 2303단계에서 설정된 AUTOLOCK시간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2304단계에서 AUTOLOCK을 선언하고, AUTOLOCK 해제시간을 설정된 AUTOLOCK 해제시간으로 세트하고, 모든 AUTOLOCK시간 데이터베이스를 현 TCU시간으로 업데이트하고, AUTOLOCK인덱스를 0으로 세트한다. 상기 2304단계를 수행한 후에는 2305단계에서 유니트유형이 TUO인지 아니면 TU3인지를 판단한다. TUO인 경우에는 2305단계에서 APS 데이터베이스를 AUTOLOCK으로 업데이트하고, K1,K2 바이트를 변경하고 송신한 후 2308단계로 진행한다. TU3인 경우에는 2307단계에서 EPS 데이터베이스를 AUTOLOCK으로 업데이트한 2308단계로 진행한다. 2308단계에서는 CONFIGURATION 데이터베이스를 변경하고, MCU에 결과를 보고하기 위해 CFG태스크를 활성화하고, MCU에 AUTOLOCK을 보고한 후 종료한다.
도24는 본 발명의 AUTOLOCK 해제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이러한 동작은 매 1분마다 수행된다. 2401단계에서 타이머를 증가시키고, 2403단계에서 라인넘버가 4 미만인지를 판단한다. 최초 라인넘버는 0에서부터 시작한다. 라인넘버가 4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2404단계에서 해당 라인의 TU가 모두 액티브이며, AUTOLOCK상태이며 워킹TU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이때 판단되는 경우에는 2405단계로 진행하고 판단되지 않는 경우에는 2402단계로 진행한다. 2405단계에서는 워킹TU를 검색하고, 2406단계에서 시그널유형이 TU3인지 아니면 TUO인지를 판단한다. TU3인 경우에는 2407단계에서 AUTOLOCK 해제를 위해 EPS태스크를 활성화하고, TUO인 경우에는 2408단계에서 AUTOLOCK 해제를 위해 APS 태스크를 활성화한 후 2402단계로 진행하여 라인넘버를 하나 증가시킨다. 이러한 동작은 2403단계에서 라인넘버가 4 미만이 아닌 것으로 판단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되게 된다. 2403단계에서 라인넘버가 4 미만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위와 같은 동작을 종료한다.
(2) AUTOLOCK 해제(RELEASE)
AUTOLOCK 해제는 MANUAL CLEAR, MANUAL LOCKOUT 및 CR에 의한 절체시에는 절체 우선순위에 의해서 해제되며, 상기의 절체요구가 없을 시에는 도24의 AUTOLOCK해제 태스크를 매 1분마다 활성화하여 도25의 처리에 의해서 AUTOLOCK을 해제한다. 단 이 해제시간의 시작시점은 AUTOLOCK이 된 순간이 기점이 되나, AUTOLOCK 상태에서 워킹에 절체를 유발하는 요인이 발생되면 이 요인의 발생시간을 새로운 해제시간이 기점으로하여 해제를 판단한다.
도25는 본 발명의 AUTOLOCK 해제 판단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이러한 동작은 매 1분마다 수행된다. 2501단계에서 AUTOLOCK 해제카운터를 1 감소시키고, 2502단계에서 AUTOLOCK 해제카운터값이 0인지를 판단한다. 해제카운터값이 0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2503단계에서 해당 라인의 AUTOLOCK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초기화하고, 해제카운터값이 0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종료한다. 상기 2503단계를 수행한 후에는 2504단계에서 해당 라인의 시그널유형이 TUO인지 아니면 TU3인지를 판단한다. TU3인 경우에는 PRE 절체 데이터베이스와 CUR 절체 데이터베이스를 클리어성공으로 기록하고, CONFIGURATION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시키고, MCU에 보고하기 위해 CFG 태스크를 활성화한 후 종료한다. 한편 TU0인 경우에는 송신용 K1,K2바이트를 변경하여 송신하고, PRE절체 데이터베이스와 CUR 절체 데이터베이스를 클리어성공으로 기록하고, CONFIGURATION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시키고 MCU에 보고하기 위해 CFG태스크를 활성화한 후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CR에 의한 절체를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에 의한 절체로 이중화하여 절체시간을 줄임으로써 카드제거시 해당 라인의 서비스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절체요인 검출을 이중화함으로써 프로텍션의 상태 및 워킹의 상태변화에 따른 지속적인 회선보호로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텍션 TU의 절체제어부만을 제어하여 절체를 수행함으로써 절체 동작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해당 라인별 절체의 종류를 이중화하여 자동적으로 EPS 및 APS를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않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4)

  1. 동기식 디지털 마이크로웨이브 전송시스템에서 프로텍션유니트를 워킹유니트로 절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절체요인을 인터럽트뿐만 아니라 미리 설정된 시간마다의 폴링에 의해서도 지속적으로 검출하여 이 검출되는 절체요인에 따라 절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매 800밀리초마다 지속적으로 절체요인을 폴링하여 절체요인을 검출한 후 그 검출되는 절체요인에 따라 절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체 방법.
  3. 동기식 디지털 마이크로웨이브 전송시스템에서 프로텍션유니트를 워킹유니트로 절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절체동작시 프로텍션유니트와 워킹유니트 각각에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에 입각한 명령을 프로텍션유니트에만 내려 절체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동기식 디지털 마이크로웨이브 전송시스템에서 프로텍션유니트를 워킹유니트로 절체하는 방법에 있어서, 슬롯마다 설정되어 운용중인 유니트의 종류에 따라 TUO에 대해서는 1+1단방향시그널 절체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TU3에 대해서는 1:1 장비절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60043570A 1996-10-01 1996-10-01 동기식 디지털 마이크로웨이브 전송시스템에서 프로텍션유니트를 워킹유니트로 절체하기 위한 절체요인 검출 및 절체 제어 방법 KR100233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3570A KR100233467B1 (ko) 1996-10-01 1996-10-01 동기식 디지털 마이크로웨이브 전송시스템에서 프로텍션유니트를 워킹유니트로 절체하기 위한 절체요인 검출 및 절체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3570A KR100233467B1 (ko) 1996-10-01 1996-10-01 동기식 디지털 마이크로웨이브 전송시스템에서 프로텍션유니트를 워킹유니트로 절체하기 위한 절체요인 검출 및 절체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5484A true KR19980025484A (ko) 1998-07-15
KR100233467B1 KR100233467B1 (ko) 1999-12-01

Family

ID=19476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3570A KR100233467B1 (ko) 1996-10-01 1996-10-01 동기식 디지털 마이크로웨이브 전송시스템에서 프로텍션유니트를 워킹유니트로 절체하기 위한 절체요인 검출 및 절체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34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764B1 (ko) * 2001-12-22 2007-10-23 엘지노텔 주식회사 통신시스템의 절체 처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0206B1 (ko) * 1992-01-07 1994-10-22 삼성전자 주식회사 데이타 전송장치에서의 유니트(1:1) 절체회로
KR970002352B1 (ko) * 1994-06-15 1997-03-03 양승택 전전자 교환기의 하드웨어 경보 발생 상태 정보의 관리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764B1 (ko) * 2001-12-22 2007-10-23 엘지노텔 주식회사 통신시스템의 절체 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33467B1 (ko) 1999-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40157A (en) Distributed control methodology and mechanism for implementing automatic protection switching
EP2437430B1 (en) Method and system for switching main/standby boards
US6977886B2 (en) Transmitter for automatically changing transmission data type within specified band
WO1996041440A1 (en)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fault locations in a communications network
US5638510A (en) Multiplexed system with watch dog timers
JPH1098489A (ja) 複合リング形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におけるパス切替方法及び装置
JPH0951332A (ja) 通信網自動回復システム
WO1999009754A2 (en) Method for initiating a distributed restoration process
KR19980025484A (ko) 동기식 디지털 마이크로웨이브 전송시스템에서 프로텍션유니트를 워킹유니트로 절체하기 위한 절체요인 검출 및 절체 제어 방법
KR20020052926A (ko) 비동기전송모드 교환기의 1+1 양방향 절체운용 방법
KR100328758B1 (ko) 유한상태머시인을 이용한 동기식 광전송 장치의 보호절체 방법
JP3087827B2 (ja) ファブリック障害検出方法及び装置
JP2000022650A (ja) 冗長系切換モード設定方式
KR100311958B1 (ko) 동기식디지털계위회선분배장치의자동절체및복귀방법
JP2003134072A (ja) 伝送路切替異常回避方法及び伝送路切替異常回避システム
JP3050008B2 (ja) スイッチ制御方式
KR940010206B1 (ko) 데이타 전송장치에서의 유니트(1:1) 절체회로
JPH02281343A (ja) Cpu動作の監視方式
CN115913344A (zh) 光线路自动切换保护系统
KR100246774B1 (ko) 변조기 이중화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2164863A (ja) 回線切替装置
KR20020079279A (ko) 다중화 전송 시스템에서의 지능화 절체장치
KR20010049001A (ko) 교환기에서 가입자 보드 형상 추가 방법
JPH09285039A (ja) 系統監視制御システム
KR20030057590A (ko) 전송시스템의 자동보호절체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0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