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10206B1 - 데이타 전송장치에서의 유니트(1:1) 절체회로 - Google Patents

데이타 전송장치에서의 유니트(1:1) 절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10206B1
KR940010206B1 KR1019920000089A KR920000089A KR940010206B1 KR 940010206 B1 KR940010206 B1 KR 940010206B1 KR 1019920000089 A KR1019920000089 A KR 1019920000089A KR 920000089 A KR920000089 A KR 920000089A KR 940010206 B1 KR940010206 B1 KR 940010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units
service
output
data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0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7339A (ko
Inventor
김도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20000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10206B1/ko
Publication of KR930017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7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10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02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02Details
    • H04J3/14Monitor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Digital Transmiss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데이터 전송장치에서 의 유니트(1:1)절체회로
제 1 도는 종래의 유니트 절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도.
본 발명은 데이터 전송장치에 있어서 유니트(1:1)절체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감시 제어장치의 고장이나 탈장시에도 데이터 전송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절체하는 데이터 전송장치에서의 유니트 절체회로에 관한 것이다.
제 1 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감시 제어장치(30)가 예비유니트(10) 또는 서비스유니트(20)로부터 모든 정보를 전달 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만약, 서비스 유니트(20)에서 내부 장애가 발생할 경우 서비스 유니트(20)를 예비 유니트(10)로 전환시키고, 또 다른 한 유니트를 사용하여 서비스 유니트(20)로 동작하게 한다. 만약 서비 유니트(20) 또는 예비 유니트(10)가 모두 불량일 경우는 임의의 어는 한 유니트를 서비스 유니트로 동작하게 하고, 절체를 수행하지 않는다. 또한 감지제어장치(30)는 예비 유니트(10)의 모든 출력(데이터 클럭등)을 막아서 서비스 유니트(20)와의 출력간이 충돌을 없게 하였다.
위와 같이 종래의 방법은 감시 제어장치(30)가 각 유니트의 모든 정보를 파악하여 유니트 절체를 행하기 때문에 만약 감시 제어장치(30)가 고장이나 탈장이 되게 되면 절체를 행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재의 다중화장치에서 감시제어장치의 고장이나 탈장시에도 고장 유니트에 대한 유니트 절체(1:1절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도이며, 여기서 제1,2유니트(201,202)는 동일한 내부구성을 갖게 된다.
감지 제어장치(30)의 탈장시나 고장시 단자(B0,B1)는 "하이"가 된다. 제1,2유니트(201,202)에서 발생되는 내부 장애는 제1,2장애신호 입력부(SR11,SR12)의 장애신호단(OF,FAIL)을 통해 오아게이트(U2C,U2D,U12C,U12D)의 입력단으로 인가되고, 상기 오아게이트(U2C,U2D,U12C,U12D)의 출력 신호는 오아게이트(U3B,U12B)의 입력단에 입력되고, 상기 오아게이트(U12B,U2B)의 출력단을 제1,2예비 또는 서비스 유니트 결정부(SR21,SR22)의 오아게이트(U2A,U12A)의 입력단과 인버터(U2A,U13A) 및 감시 제어장치(30)로 입력 하도록 구성된다.
상대편 다중화 데이터 전송장치의 제어단자(C,A1) 및 (C1,A)가 상호 접속되어지되, 저항(R2,R13)과 캐패시터(C1,C11)을 통한 제어단자(A,A1)의 출력은 제1,2알람부(AR11,AR12)의 낸드게이트(U1A,U11A)와 제1,2예비 또는 서비스 유니트 결정부(SR21, SR22)의 낸드게이트(U4A, U14A)에 입력되도록 연결되도록 연결하며, 상기 제어단자(B1,B0)와 상기 인버터(U13A, U3A)의 출력단자를 상기 낸드스케이트(U4A, U14A)의 입력단에 연결하고, 상기 낸드게이트(U4A, U3A)의 출력단에 제1,2전송데이터 출력부(201,202), 버퍼(U5,U15)의 인에이블단(G) 및 제1,2알람부(AR11,AR12)의 발광다이오드(D2,D12)의 캐소드와 오아게이트(U2A, U12A)의 입력단에 연결하며, 상기 낸드게이트(U1A, U11A)의 출력단에 상기 제1,2알람부(AR11,AR12)의 알람용 발광 다이오드(D1,D11)의 캐소드를 연결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체적 일실시예를 제 3 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두장의 제1,2유니트(201,202)는 제어단자(C)와 (A1) 및 (C1)과 (A)가 마더보드(Mother Board)상에서 서로 패턴으로 연결되어 있다. 감시 제어장치(30)가 없는 상태에서는 두장 유니트중 제2유니트(202)가 서비스 유니트라면 저항(R2,R3,R4)에 의해서 제어단자(C),(A1),(C1)의 신호를 풀업시켜 이 신호의 입력으로 제2유니트(202)가 서비스 유니트로 동작되게 하고, 후에 인서턴되는 유니트는 마더보드상에서 제2유니트(202) 제어단자(A1) 및 제어단자(C)("로우"상태)에 의해서 제1유니트(201)를 예비 유니트로 동작시키게 된다.
상기 제2유니트(202)의 서비스 유니트 동작 관계를 설명하면, 제어단자(A),(B0)가 "하이"이고, 유니트내에서 어떠한 장애도 발생하지 않는다면 제2예비 또는 서비스 유니트 결정부(SR22)의 낸드게이트(U4A)의 출력은 로우("0")로 되어 서비스 표시용 재2알람부(AR12)의 발광다이오드(D2)를 점등시키고, 제2전송데이터 출력부(SR23)의 버퍼 (U5)를 인에이블시켜, 데이터 출력이 나가게 한다. 그리고 유니트내에서 어떠한 절체 조건도(내부장애) 발생하지 않는다면 제2예비 또는 서비스 유니트 결정부(SR22)의 오아게이트(U2A)의 출력은 항상 "로우"가 되어, 제1예비 유니트(201) 즉, 예비 유니트의 제어단자(A1)을 "로우"로 만들어 항상 예비 유니트로 동작하게 만든다.
제2알람부(AR12)의 발광다이오드(D1)는 상기 제2예비 또는 서비스 유니트 결정부(SR22)의 오아게이트(U2A)의 출력이 "로우"이고, 제어단자(A)가 "하이"이므로 점등되지 않는다. 제1유니트(201) 예비의 유니트 VL 동작은 제어단자(A1)가 제2유니트(202) 즉 서비스 유니트의 제어단자(C)와 마더보드 상에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로우" 상태를 유지하여 낸드게이트(U4A)의 출력이 "하이"로 된다. 그렇디 때문에 서비스표시용 제1알람부(AR11)의 발광다이오드(D12)는 점등되지 않으며 제1전송데이터 출력부(SR13)의 버퍼(U15)의 출력이 없도록 디스이이블되어 출력이 나가지 않게되어 제2유니트(202)의 서비스 유니트의 데이터 출력과의 충돌을 방지한다.
또한 제1예비 또는 서비스 유니트 결정부(SR11)의 오아게이트(U12A)의 출력을 "하이"로 만들어 제2유니트(202)가 계속 서비스 유니트로 동작하게 한다. 이때 제1알람부(AR11)의 발광다이오드(D11)의 상태는 제어단자(A1)가 "로우"상태이므로 점등되지 않는다. 그리고 제2유니트(202) 즉, 서비스 유니트에서의 내부 장애 발생시의 동작을 설명하면, 제2유니트(202)의 제2장애 신호 입력부(SR12)의 오아게이트(U2C)와 (U2D)로 어떠한 장애가 따른 신호가 감지되어 입력되면 정상상태(Active "LOW")에서 장애상태(Active "HIGH")로 동작하게 되어 제2장애 신호 입력부(SR12)이 오아게이트(U2B)의 출력이 "하이"로 되고, 제2예비 및 서비스 유니트 결정부(SR22)의 오아게이트(U2A)의 출력도 "하이"가 된다. 그러므로 제1유니트(201) 즉, 예비 유니트의 제어단자(A1)가 자동적으로 "하이"가 되므로, 제1에비 또는 서비스 유니트 결정부(SR12)이 낸드게이트(U14A)의 출력이 "로우"로 된 후 오아게이트(U12A)의 출력도 "로우"로 되어 제어단자(C1)을 통하여 제2유니트(202)의 제어단자(A)가 "로우"상태가 되므로 제2유니트(202)는 스텐 바이가 되게된다.
한편 감시제어장치(30)가 있을때의 절체 동작을 설명하면, 감시제어장치(30)는 제1,2유니트(201,202)로부터 모든 정보를 받아들여 이를 판단하여 만약, 제2유니트(202)가 내부장애가 발생하였다면 제2유니트(202)의 제어단자(B)에 "로우"신호를 보내어 제2유니트(202)는 예비 유니트로 되게하고 상기와 같은 동작으로 제1유니트(201)는 서비스로 동작시키게 한다.
각각의 유니트가 동작중에 모두 내부 장애가 발생되면 제1,2예비 또는 서비스 유니트 결정부(SR21, SR22), 오아게이트(U12A)와 (U2A)가 동시에 출력이 "하이"로 되어 제2유니트(202)와 제1유니트(201)가 동시에 서비스 유니트로 되는 경우가 있으나 이때는 제1,2알람부(AR11,AR12), 발광다이오드(D11,D12,D1,D2)가 점등되어 경보를 표시해 주어 유니트 내부 장애임을 표시해 준다. 또 각 유니트의 제어단자(A)와 (A1)에는 저항(R3,R13)과 캐패시터(C1,C11)에 의해 R,C리세트 회로가 들어 있어서 나중에 인서트되는 유니트가 인서트되는 순간에 스텐바이로 동작하게 하여 서비스 유니트와의 데이터 출력충돌을 막아준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감지 제어장치(30)가 없어도 유니트에서 내부장애 발생 및 유니트 탈장시에도 유니트 절체(1:1)를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감시제어장치(30)를 가지는 다중화 데이터 전송장치에서의 제1,2,유니트(201,202)간 유니트 절체회로에 있어서, 상기 다중화 데이터 전송장치의 제1,2유니트(201,202)의 내부로 장애신호가 발생시 이를 입력하는 제1,2장애신호 입력부(SR11,SR12)와, 상기 제1,2장애 신호 입력부(SR11,SR12)의 출력으로부터 인서트되어 있는 두장의 유니트중 어느 한 유니트가 서비스 또는 예비 상태로 결정되게 하는 제1,2예비 또는 서비스 유니트 결정부(SR21,SR22)와 상기 제1,2예비 또는 서비스 유니트 결정부(SR21,SR22)의 예비 또는 서비스 유니트 결정 제어신호에 따라 전송 데이터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출력을 제어하는 제1,2전송 데이터 출력부(SR13,SR23)와, 상기 제1,2예비 또는 서비스 유니트 결정부(SR21,SR22)의 출력상태에 따라 서비스 상태 또는 내부 장애상태를 표시하는 제1,2알람부(AR11,AR1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장치에서의 유니트(1:1)절체회로.
KR1019920000089A 1992-01-07 1992-01-07 데이타 전송장치에서의 유니트(1:1) 절체회로 KR940010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0089A KR940010206B1 (ko) 1992-01-07 1992-01-07 데이타 전송장치에서의 유니트(1:1) 절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0089A KR940010206B1 (ko) 1992-01-07 1992-01-07 데이타 전송장치에서의 유니트(1:1) 절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7339A KR930017339A (ko) 1993-08-30
KR940010206B1 true KR940010206B1 (ko) 1994-10-22

Family

ID=19327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0089A KR940010206B1 (ko) 1992-01-07 1992-01-07 데이타 전송장치에서의 유니트(1:1) 절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102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3467B1 (ko) * 1996-10-01 1999-12-01 윤종용 동기식 디지털 마이크로웨이브 전송시스템에서 프로텍션유니트를 워킹유니트로 절체하기 위한 절체요인 검출 및 절체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7339A (ko) 1993-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40157A (en) Distributed control methodology and mechanism for implementing automatic protection switching
JP2008097164A (ja) 複数の機能要素から構成されるシステムの故障監視方法
KR940010206B1 (ko) 데이타 전송장치에서의 유니트(1:1) 절체회로
US7058170B2 (en) Method for operating and apparatus for a back-plane supporting redundant circuit cards
JP3549704B2 (ja) スター型光加入者伝送システム
JPH09274575A (ja) 統合システム管理方式
KR100328758B1 (ko) 유한상태머시인을 이용한 동기식 광전송 장치의 보호절체 방법
JP3813909B2 (ja) 電子連動装置
JP2007266708A (ja) ケーブル誤接続検出装置及び方法
KR950011478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신호 단말 상태 관리 방법
KR970001623B1 (ko) 통신 시스템에서의 이상상태 처리 방법
KR0161163B1 (ko)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이중화된 게이트웨이노드에 대한 글로벌버스 이중화구조
JP2000134244A (ja) リング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伝送装置
KR920009097B1 (ko) 공통선 신호장치의 신호단말 그룹 유지보수장치
KR100285718B1 (ko) 억세스망서브시스템과스위치망서브시스템간에이중화링크구조를가지는전전자교환기
KR100220228B1 (ko) 이중화구조에 있어서 상태천이제어장치
JPH0451723A (ja) 回線切替システム
JPH10242889A (ja) 二重化装置の相互監視方法
JPH02244861A (ja) 回線障害表示装置
JPS60109945A (ja) 多重伝送系の自動切替装置
KR950003685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가입자 신호기 및 국간중계 신호기의 상태 관리 방법
JPH0667915A (ja) 信号伝送システムの多重化方式
KR100439240B1 (ko) 디지털 회선분배 장치의 절체구조 및 그 운용방법
JPH05199646A (ja) ディジタルリレーの監視制御装置
JPS60144842A (ja) 他系中央処理装置の異常判定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2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