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3622A - 파이프 고정용블럭 - Google Patents

파이프 고정용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3622A
KR19990053622A KR1019970073283A KR19970073283A KR19990053622A KR 19990053622 A KR19990053622 A KR 19990053622A KR 1019970073283 A KR1019970073283 A KR 1019970073283A KR 19970073283 A KR19970073283 A KR 19970073283A KR 19990053622 A KR19990053622 A KR 199900536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assage
pipe fixing
main body
vertical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3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희성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70073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53622A/ko
Publication of KR19990053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3622A/ko

Links

Landscapes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에어콘파이프와 같이 2개의 파이프라인을 형성하는 각각의 파이프를 차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파이프 고정용블럭에 관한 것으로써, 전방을 향해 개방된 개구부(13)를 갖는 수용홈(11), 수직통로부(12a) 및 수평통로부(12b)가 상호 직각으로 연통 형성된 통로(12), 및 상기 수직통로(12a)에 연통 형성되는 파이프 고정부(14)를 구비하는 본체(10): 및 상기 본체(10)의 수용홈(11)에 삽설 고정되며, 수직통로부(22a) 및 전방면(23)으로 개방된 수평통로부(22b)가 상호 직각으로 연통 형성된 통로(22), 및 상기 수직통로(22b)에 연통 형성되는 파이프고정부(24)를 구비하는 보조부재(20):로 이루어지며, 상호 연통되어야 하는 각각의 2개의 라인을 형성하는 각각의 파이프를 1개의 라인씩 별도록 연통 고정시킨후 하나의 조립체로 일체화 시킬 수 있어 파이프의 장착작업이 용이하고 신속함은 물론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여 작업성이 형성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파이프 고정용블럭
본 발명은 파이프 고정용블럭에 관한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한적이진 않지만 에어콘 파이프를 차체에 용이하게 상호 연결 고정시킬 수 있음은 물론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한 파이프고정용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에어콘이 제공되어 있으며 또한 이 에어콘에는 그 곳에서 냉기를 실내에 공급하기 위해 실내로 연통되는 덕트가 연결 되어있어 여름철에 실내의 공기를 쾌적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이같은 에어콘의 성능 및 덕트의 설치구조상 후방시트의 탑승자에게 공급되는 냉기는 비교적 제한적이어서, 최근에는 도 1 도시된 바와같이 리어쿨러(1)를 자동차에 설치하고 있는바, 이같은 리어쿨러(1)에는 에어콘 시스템으로 부터의 냉매의 입출을 위한 리어쿨러 파이프(2)가 연계되어 있으며, 이같은 리어쿨러파이프(2)는 블록(3)에의해 자동차의 하부 차체를 형성하는 후방 플로어 패널(4)에 고정된다.
즉, 자동차의 전방으로부터 플로어 패널(4)의 하부로 연장되어 배치되는 에어콘 파이프(5)가 상기블럭(3)에 일체로 형성되며, 이같은 블럭(3)이 플로어 패널(4)의 제 위치에 볼트 및 너트에 의해 고정된후, 전술된 바와같이 리어쿨러(1)에 연결된 리어쿨러 파이프(2)의 단부가 상기 블럭(3)에 고정됨으로써 차체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리어쿨러 파이프(2)와 에어콘 파이프(5)는 각각 흡입파이프(2a:5a)와 배출파이프(2b:5b)로 구부되어 냉매를 흡입 및 배출시키는 방식으로 냉매를 순환시킨다.
이에따라 블럭(3)에서는 리어쿨러 파이프(2)의 흡입파이프(2a)는 에어콘 파이프(5)의 흡입파이프(5a)에 연결되고 또한 리어쿨러 파이프(2)의 배출파이프(2b)는 에어콘파이프(5)의 배출파이프(5b)에 연결되도록 2개의 구멍(3a,3b)이 형성되어 있다.
이같은 블럭(3)에 대한 각각의 파이프(2:5)의 결합 방식은 대개 용접에 의해 달성되는바, 실제로 블럭(3)은 알미늄과 같은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블럭(3)을 일정시간이후 가열한 후 용접 해야하므로 작업시간이 과도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2개의 파이프(2a:2b)를 각각 상부면에 용접해야 하는바, 이때 후에 용접되는 파이프의 용접부가 다른 파이프의 용접부에 간섭되어 용이하고 정확하게 용접시킬 수 없으며 이에따라 제품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이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파이프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파이프고정용 블럭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파이프를 정확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흡입파이프와 배출파이프를 분리하여 고정 작업한후 일체화 시킬 수 있으며,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한 파이프고정용 블럭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에어콘 파이프 고정용블럭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콘 파이프 고정용블럭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콘 파이프 고정용블럭이 결합된 상태에서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체 11: 수용홈
12: 통로 13: 개구부
14: 파이프고정부 20: 보조부재
21: 몸체 22: 통로
23: 전방면 24: 파이프고정부
이같은 목적들은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되는바,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자동차의 에어콘파이프와 같이 2개의 파이프라인을 형성하는 각각의 파이프를 차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파이프 고정용블럭에 있어서, 전방을 향해 개방된 개구부를 갖는 수용홈, 수직통로부 및 수평통로부가 상호 직각으로 연통 형성된 통로, 및 상기 수직통로에 연통 형성되는 파이프 고정부를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수용홈에 삽설 고정되며, 수직통로부 및 전방면으로 개방된 수평통로부가 상호 직각으로 연통 형성된 통로, 및 상기 수직통로에 연통 형성되는 파이프고정부를 구비하는 보조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중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고정용블럭을 상세히 보여주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고정용블럭에 파이프가 고정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고정용블럭은 본체(10) 및 보조부재(2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체(10)는 체결홈(11)이 천공 형성되며, 또한 내측에는 통로(12)가 천공 형성되는바, 상기통로(12)는 수직통로부(12a)와 수평통로부(12b)가 상호 각각으로 연통 형성된다.
상기 체결홈(11)의 일측은 전방을 향해 개방된 개구부(13)가 형성되며, 통로의 수직통로(12a)상에는 그 통로와 연통하는 파이프고정부(14)가 본체(10)의 상부면을 통해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체결홈(11)의 상부에는 고정단(11a)이 형성되며 또한 상기개구부(13)의 내측주변에는 블록부(11b)가 돌출 형성된다.
물론, 상기 본체의 양측에는 차체의 제위치에 예컨대 볼트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편(15)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본체(10)에는 보조부재(20)가 삽설 체결되는바, 상기 보조부재(20)는 상기 체결홈(11)에 해제 가능하여 삽설되는 몸체(21)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21)의 상부에는 상기 본체(10)의 체결홈(11)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단(11a)에 재치 고정되는 쇼울더부(21a)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21)의 내측에는 수직통로부(22a) 및 수평통로부(22b)가 상호 직각 연통하는 통로(22)가 천공 형성되며, 상기 수평통로부(22b)는 전방면(23)을 통해 개방되고 상기 수직통로부(22a)에는 파이프고정부(24)가 일체로 연통 형성되어 몸체(21)의 상부면으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방면(23)의 주변에는 상기 본체(10)에 형성된 블록부(11b)에 대응하는 오목부(21b)가 형성된다.
이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용블럭의 사용방식 및 작용모드에 의하면, 먼저 작업자는 상부면으로 돌출된 파이프고정부(14)에 제 1파이프(P1)를 용접 또는 체결 고정시키고 또한 상기 파이프(P1)에 연통되어야 하는 제 2파이프(P2)를 본체(10)의 전방면으로 개방된 통로(12)의 수평통로(12b)에 삽설 체결시킨다.
이후, 작업자는 제 3파이프(P3)를 보조부재(20)의 고정부(24)에 체결 또는 용접고정 시키고 또한 상기 제 3파이프(P3)와 연통 되어야하는 제 4파이프를 몸체(21)의 전방면으로 개방된 통로(12)의 수평통로(22b)에 삽설 체결시킨다.
이때, 상기 보조부재(20)의 몸체에 형성된 쇼울더부(21a) 및 오목부(21b)와 상기 본체(10)의 고정단(11a) 및 볼록부(11b)는 상호 각각 계합됨으로써 견고한 체결 상태를 유지 하게된다.
이후 보조부재(20)의 몸체(21)를 본체(10)의 수용홈(11)에 삽설 시킴으로써 각각의 파이프가 고정블럭에 고정되며, 최종적으로 차체의 제 위치에 본체(10)의 양측단에 일체로 형성된 고정편(15)을 이용하여 예컨대 볼트 고정 시킴으로서 차체에 에어콘파이프 고정블럭이 고정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고정용블럭에 의하면, 상호 연통되어야 하는 각각의 2개의 라인을 형성하는 각각의 파이프를 1개의 라인씩 별도록 연통 고정시킨후 하나의 조립체로 일체화 시킬 수 있어 파이프의 장착작업이 용이하고 신속함은 물론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여 작업성이 형성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2)

  1. 자동차의 에어콘파이프와 같이 2개의 파이프라인을 형성하는 각각의 파이프를 차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파이프 고정용블럭에 있어서, 전방을 향해 개방된 개구부(13)를 갖는 수용홈(11), 수직통로부(12a) 및 수평통로부(12b)가 상호 직각으로 연통 형성된 통로(12), 및 상기 수직통로(12a)에 연통 형성되는 파이프 고정부(14)를 구비하는 본체(10): 및
    상기 본체(10)의 수용홈(11)에 삽설 고정되며, 수직통로부(22a) 및 전방면(23)으로 개방된 수평통로부(22b)가 상호 직각으로 연통 형성된 통로(22), 및 상기 수직통로(22b)에 연통 형성되는 파이프고정부(24)를 구비하는 보조부재(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고정용블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수용홈(11)의 상부에는 고정단(11a)이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13)의 내측 주변에는 블록부(11b)가 형성되며, 상기 보조부재(20)의 몸체(21)의 상부주변에는 상기 고정단(11a)에 계합되는 쇼울더부(21a)가 형성되고 상기 전방면(23)의 주변에는 상기 블록부(11b)에 계합하는 볼록부(21b)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고정용블럭.
KR1019970073283A 1997-12-24 1997-12-24 파이프 고정용블럭 KR199900536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3283A KR19990053622A (ko) 1997-12-24 1997-12-24 파이프 고정용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3283A KR19990053622A (ko) 1997-12-24 1997-12-24 파이프 고정용블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3622A true KR19990053622A (ko) 1999-07-15

Family

ID=66099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3283A KR19990053622A (ko) 1997-12-24 1997-12-24 파이프 고정용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5362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9891B1 (ko) * 2009-02-23 2012-06-25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 배관용 조인트 플랜지 및 그 제조방법
WO2022263876A1 (en) * 2021-06-15 2022-12-22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Connection arrangement device and method for fluid line
WO2023106774A1 (en) * 2021-12-09 2023-06-15 Hanon Systems Connection element for connecting lines for conducting a flui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9891B1 (ko) * 2009-02-23 2012-06-25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 배관용 조인트 플랜지 및 그 제조방법
WO2022263876A1 (en) * 2021-06-15 2022-12-22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Connection arrangement device and method for fluid line
WO2023106774A1 (en) * 2021-12-09 2023-06-15 Hanon Systems Connection element for connecting lines for conducting a flu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27129B2 (en) Vehicle-mounted structure for heat exchanger
US6296303B1 (en) Vehicle cockpit module
CN101311011B (zh) 用于公共汽车的车顶空调
JP2003326945A (ja) 自動車用空調装置
JP2003104235A (ja) 自動車の車体前部構造およびそれに使用されるラジエータコアサポートメンバ
JP2004237884A (ja) 自動車用冷凍装置の冷媒管の配管構造
KR19990053622A (ko) 파이프 고정용블럭
KR200206161Y1 (ko) 리어쿨러 파이프 고정용블럭
JP2002154318A (ja) コンデンサの取付構造
JP3938619B2 (ja) ダッシュパネルのシール構造
JP2004189041A (ja) ステアリングメンバ
JPH06106956A (ja) 自動車用空調ダクトの結合部構造
JP2007118654A (ja) 車両用空調装置の配管シール構造
JP4051962B2 (ja) 車両用空調ユニットの取付構造
JP2003081136A (ja) 車両のフロントエンド構造
JP3820732B2 (ja) 空調用配管接続装置
JP2003127642A (ja) 車両用空調装置の取付方法
JPH09156353A (ja) 空調装置
JP3308112B2 (ja) 自動車の車体前部構造
KR100398264B1 (ko) 프레임바디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설치구조
JP2607882Y2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の配管構造
KR0180837B1 (ko) 레저네이터와 에어 덕트의 체결구조
JP2592408Y2 (ja) 車両用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の取付構造
JP4029682B2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用ダクト
KR200200664Y1 (ko) 덕트의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