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9660A - 자동차의 진공 청소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진공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9660A
KR19990049660A KR1019970068632A KR19970068632A KR19990049660A KR 19990049660 A KR19990049660 A KR 19990049660A KR 1019970068632 A KR1019970068632 A KR 1019970068632A KR 19970068632 A KR19970068632 A KR 19970068632A KR 19990049660 A KR19990049660 A KR 199900496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vacuum cleaner
drive shaft
suction motor
cle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8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명진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70068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49660A/ko
Publication of KR19990049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9660A/ko

Links

Landscapes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엔진룸내에 설치하여 엔진 구동력에 의해 필요시 수시로 차량의 내부를 청소할 수 있어 언제든지 차량 실내의 청결을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진공 청소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엔진 구동축에 벨트 결합되어 동반 회동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회동에 의해 작동되는 흡입 모터와, 몸체 일측은 상기 흡입 모터의 일측에 관 연결되고 몸체 타측은 차실 내에 위치되는 먼지 유도관과, 상기 흡입 모터와 먼지 유도관 사이에 설치되어 찌꺼기를 걸려 내는 미세 필터를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진공 청소기
본 발명은 자동차용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엔진룸내에 설치하여 엔진 구동력에 의해 필요시 수시로 차량의 내부를 청소할 수 있어 언제든지 차량 실내의 청결을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체의 프레임은 새시를 구성하는 각 장치나 바디를 장치하는 골격을 이루는 것으로 장치한 부품이나 바디에서 전달되는 하중, 전후의 차축에서의 반력을 지지하는 주요한 부분이다. 그 때문에 프레임은 자동차가 주행중에 받는 노면에서의 충격이나 하중 등에 의해 생기는 굽힘, 비틀림, 텐션, 진동 등에 충분히 경딜 수 있는 강도와 강성을 가짐과 동시에 경량인 것이 필요하게 된다.
특히 자원절감을 강하게 부르짖고 있는 현재, 승용차 등에서는 프레임과 바디를 일체구조로 하는 것이 주류로 되어 있다. 이 형식은 차량 중량을 가볍게 할뿐만 아니라, 자동차의 앞부분 또는 뒤부분을 구성하는 프레임과 바디를 적절히 조립함으로써 충돌 등의 충격력을 가능한 한 흡수하여 승차원의 보호, 다른차(사람)에의 충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바디는 사람이 타는 부분이 주체이며 이것에 도어, 펜더 등의 외장부분이나 시트 등의 내장부분을 장착한 것으로서 운전자 및 승차원에 필요한 안정성, 공간, 쾌적함 등의 요소를 갖추고 있어야 한다.
앞으로 프레임 및 보디에 요구되는 역할로서는 1974년부터 시작된 ESV차(Experimentation Safety Vehicle의 약자이며 국제적으로 안전성을 추구하기 위하여 개발된 자동차를 말한다)의 개발사상에도 있는 것과 같이 안전성이 충분히 고려한 기구를 갖추고 있어야 한다.
차체 바디는 사람이 타는 부분을 구성하는 부분이며, 크게 나누면 외부 구성부분, 내부 구성부분 및 내장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외부 구성부분에는 자동차의 외부에서 보이는 부분으로 승용차에서는 승차원의 승차석을 위시하여 엔진이나 트렁크 등에 필요한 공간과 주행중에 받는 외력에 대하여 필요한 강도를 확보하고 있는 부분이다. 또, 트럭에서는 운전석을 구성하는 캡과 적하하는 부분인 리어 보디로 이루어져 있다.
내부 구성부분은 자동차의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 부분이지만, 앞에서 설명한 외부 구성부분을 지지하여 보디 전체의 강도를 확보하고 있는 부분이며 승용차에서는 외부 패널의 안쪽에 설치하는 각 패널이며 루프 패널 및 플로어 팬과 접합되는 보디의 골격이 되는 부분이다. 또 타이어의 부분에는 휠 하우스라는 패널이 접합된다.
플로어 팬(바닥판)은 언더 보디(하부차체)라고도 하며, 일반적으로 프런트 팬, 리어 팬으로 나누어져 있다. 앞과 뒤의 각 팬에는 강도를 갖게 하기 위해 판면에 가늘고 긴 오목이나 돌출부를 설치하거나, 뒷면에 보강재 등을 용접하고 있다. 이들의 여러개의 팬은 내부 구성 패널과 함께 보디를 형성하고 있다.
내장부분은 도어 등의 안쪽 패널을 덮기 위한 트림 패드(내장)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기타 열차단, 방음, 거주성, 미화 등을 도모하기 위하여 각종 카폐트, 사일렌서, 같은 내장품이 장치되어 있다.
도어는 승용차, 트럭에 관계없이 일반적으로 웨더 스트립, 가이드, 창틀, 도어 웨이트 가이드, 커버, 바깥 패널, 안쪽 패널, 도어 윈도우 가이드, 도어 트림 보드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으며 바깥 패널과 안 패널이 주요부분이다.
인 패널과 바깥 패널은어느 것이나 모두 강판제이며, 안 패널이 도어의 골조로 작용하여 강도를 유지하고 있다. 안 패널에는 도어, 레귤레이터, 도어 록 기구 등을 장착하기 위한 단(턱)이나 구멍이 설치되며 하중이 걸리는 부분에는 보강판이 장치되어 있다. 또 안쪽에는 구멍을 덮기 위한 커버 및 도어 트림 보드가 장치되어 있다.
바깥 패널에는 바깥 핸들 및 도어 로크용의 키를 장치하는 구멍이 설치되어 있다.
도어 유리는 도어 레귤레이터에 의해 지지되어 상하로 이동하는데 이때 창틀이 있는 타입과 창틀이 없는 타입이 있다. 창틀이 있는 타입은 안, 바깥 패널 사이에 설치된 가이드 프레임 및 창틀 안을 유리가 접동하여 상하로 유동하도록 되어 있다. 창틀이 없는 타입은 유이앞, 후단부에 유리 브래킷을 고무 시트를 거쳐서 볼트로 고정하여 이 브래킷이 도어 윈도 가이드의 안을 상하로 유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창틀이 있는 타입에 비하여 충분한 강성을 가지고 있다.
도어 레귤레이터는 일반적으로 도어 레귤레이터 핸들에 의해 계란형(부채꼴) 기어를 돌려 유리를 상하로 유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 바깥쪽 패널의 안쪽 주위에는 비나 먼지가 실내로 들어오지 않도록 웨더 스트립이라고 하는 고무가 장착되어있다.
시트에는 앞용과 뒤용의 시트가 있으며 앞용 시트에는 세퍼레이트식과 벤지치식이 있다. 리어용 시트에는 일반적으로 벤치식이 사용되고 있다. 벤치식 시트로, 시트 쿠션 하부에는 조정 레버가 있어서 시트의 위치를 전후로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시트 백의 상부에는 추돌시의 안전확보를 위해 헤드 레스트가 설치되며 시트 쿠션과의 연결부에는 시트 백의 기울기를 미세 조정하는 리크라이닝 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차실의 후방측 공간인 트렁크의 트렁크 리드는 승용차의 후부 트렁크에 화물을 꺼내고 넣기 위한 도어이며 래게이지 컴파트먼트(하물실) 도어라고도 한다. 안, 바깥 양 패널로 이루어져 있으며 힌지부가 안쪽에 장치되어 있다. 힌지부에는 도어 패널이 열기 쉽도록 2개의 토션 바가 조립되어 있다. 트럭 리드의 잠금은 로크가 스트라이커에 결합하여 잠기게 된다.
이러한 차량의 내부 공간에는 차량의 주행에 의해 발생되는 온갖 먼지들이 들어차게 되어 운전자는 일정 시간마다 차량의 내부 공간인 차실내부와 트렁크 공간을 청소해 주어야 한다.
그러나, 차량 내부용 핸디타입의 종래 진공 청소기로는 차실 내부에 얹혀져 있는 먼지들을 빨아 들이는 흡입력이 약해 먼지가 깨끗하게 제거되지 않았고, 진공 청소기를 항상 트렁크 공간에 넣고 다녀야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차량의 엔진룸내에 설치하여 엔진 구동력에 의해 필요시 수시로 차량의 내부를 청소할 수 있어 언제든지 차량 실내의 청결을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진공 청소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엔진 구동축에 벨트 결합되어 동반 회동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회동에 의해 작동되는 흡입 모터와, 몸체 일측은 상기 흡입 모터의 일측에 관 연결되고 몸체 타측은 차실 내에 위치되는 먼지 유도관과, 상기 흡입 모터와 먼지 유도관 사이에 설치되어 찌꺼기를 걸려 내는 미세 필터를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 자동차용 진공 청소기의 구동 모습을 보인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 자동차용 진공 청소기의 설치 구조를 보인 설명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흡입 모터 11: 미세 필터
12: 먼지 유도관 14: 흡입 노즐
20: 단속 클러치 22: 구동축
30: 벨트 40: 엔진 구동축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자동차용 진공 청소기의 구동 모습을 보인 설명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자동차용 진공 청소기의 설치 구조를 보인 설명도로, 엔진 구동축(40)은 구동축(22)을 거쳐서 진공 청소기의 흡입 모터(10)와 벨트(30)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게 연결된다. 진공 청소기의 흡입 모터(10)는 필요에 의해 구동시킬 수 있도록 단속 클러치(20)에 의해 작동된다.
엔진 구동축(40)에 벨트(30)에 의해 연결되는 구동축(22)은 흡입 모터(10)의 동작이 가능한 또는 충분한 흡입력을 학보할 수 있을 정도의 가속비를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흡입 모터(10)의 타측에는 흡입되는 찌꺼기를 거르는 미세 필터(11)가 장착되고 미세 필터(11)에는 먼지가 유도되는 먼지 유도관(12)이 결합된다. 먼지 유도관(12)의 선단부는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어 흡입 노즐(14)을 통해 차량 내부의 먼지를 필요에 따라 흡입시킨다.
흡입 노즐(14)은 플렉시블하게 설치하여 차량내 구석구석을 청소할수 있게 한다.
이처럼 구성된 본 발명 자동차의 진공 청소기는 운전자가 차량 내부에 설치된 진공 청소기 작동 스위치(도시않음)를 "온"시키면 차량의 엔진룸 내부에서는 단속 클러치(20)가 작동되어서 엔진 구동축(40)의 구동력을 벨트(30)를 통해 구동축(22)으로 전달받아 흡입 모터(10)를 작동시킨다.
흡입 모터(10)가 가동되면 흡입 모터(10) 내부에는 부압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서로 연결된 먼지 유도관(12)의 흡입 노즐(14)을 통해 차량 내부의 먼지는 유입되어 미세 필터(11)에 필터링된다.
이렇게 차량 내부의 먼지를 없앤 후에는 진공 청소기 작동 스위치를 "오프"시켜서 단속 클러치(20)로 엔진 구동축(40)과 흡입 모터(10)와의 동력 전달을 끊음으로써 필요에 따라서 언제든지 차량 실내의 청결을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엔진룸내에 설치하여 엔진 구동력에 의해 필요시 수시로 차량의 내부를 청소할 수 있어 언제든지 차량 실내의 청결을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엔진 구동축(40)에 벨트 결합되어 동반 회동되는 구동축(22);
    상기 구동축(22)의 회동에 의해 작동되는 흡입 모터(10);
    몸체 일측은 상기 흡입 모터(10)의 일측에 관 연결되고 몸체 타측은 차실 내에 위치되는 먼지 유도관(12); 및
    상기 흡입 모터(10)와 먼지 유도관(12) 사이에 설치되어 찌꺼기를 걸려 내는 미세 필터(11)를 구비하는 자동차의 진공 청소기.
KR1019970068632A 1997-12-13 1997-12-13 자동차의 진공 청소기 KR199900496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8632A KR19990049660A (ko) 1997-12-13 1997-12-13 자동차의 진공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8632A KR19990049660A (ko) 1997-12-13 1997-12-13 자동차의 진공 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9660A true KR19990049660A (ko) 1999-07-05

Family

ID=66088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8632A KR19990049660A (ko) 1997-12-13 1997-12-13 자동차의 진공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4966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33059B2 (ja) 自動車用ルーフラックマウンティング構造
KR19990049660A (ko) 자동차의 진공 청소기
KR19990055834A (ko) 자동차 차체의 도색작업 흐름방법
JP4623458B2 (ja) 自動車用ドア
KR0140310Y1 (ko) 차체 바디 강성을 위한 선 루프의 루프 구조
KR19990024696U (ko) 원 프레스 가공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센터 필러 리인포스먼트
KR19990055832A (ko) 도색된 자동차 차체의 이송 흐름 방법
JPH0699852A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JP3380746B2 (ja) 自動車のサイドドア構造
KR19990055827A (ko) 이송 조절 구조를 갖는 차체 이송 장치
KR19990049661A (ko) 패널 안내용 작동 게이지의 충격 완충장치
KR19990055833A (ko) 자동차 차체의 상도 도색작업 흐름방법
KR930001084Y1 (ko) 자동차 안테나 설치부위의 패널(panel)보강구조
KR19990029050U (ko) 회동 헤드 레스트를 갖는 자동차의 백시트
KR200140894Y1 (ko) 자동차 도어 인사이드 핸들의 완충 구조
KR19990029061U (ko) 차체 전착 도장시 차체 스키드의 대기 시간 단축장치
KR0138385Y1 (ko) 더블 캐빈용 화물차의 센터마운팅
KR19980047231U (ko) 제진 및 방음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카페트
KR19990024714U (ko) 자동차 룸 미러의 다용도 보관함
KR0135439Y1 (ko) 측면충격 대응을 위한 리어필러 강성보강구조
KR19990024716U (ko) 자동차 엔진의 출력 유지 장치
JPH057588U (ja) スペアタイヤの支持装置
KR200146879Y1 (ko) 자동차의 프런트 도어 힌지 레인포스먼트 패널 보강 구조
KR19990021739A (ko) 자동차 도어 처짐 시험장치
KR19990030513U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도어 트림의 팔걸이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