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5604A - 재봉틀 또는 자수기의 재봉실크램프에 대한 릴리스장치 - Google Patents

재봉틀 또는 자수기의 재봉실크램프에 대한 릴리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5604A
KR19990045604A KR1019980050957A KR19980050957A KR19990045604A KR 19990045604 A KR19990045604 A KR 19990045604A KR 1019980050957 A KR1019980050957 A KR 1019980050957A KR 19980050957 A KR19980050957 A KR 19980050957A KR 19990045604 A KR19990045604 A KR 199900456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ease device
cover
carrier plate
sewing thread
f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0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9610B1 (ko
Inventor
죠르그-우베 숄츠
Original Assignee
후란쯔 말그라프, 엑카르트 로렌쯔-메이어
뒬코프 아들러 악틴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란쯔 말그라프, 엑카르트 로렌쯔-메이어, 뒬코프 아들러 악틴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후란쯔 말그라프, 엑카르트 로렌쯔-메이어
Publication of KR19990045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56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9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96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47/00Needle-thread tensioning devices; Applications of tensometers
    • D05B47/04Automatically-controlled tension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47/00Needle-thread tensioning devices; Applications of tensomete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30Detail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11/00Devices for guiding, feeding, handling, or treating the threads in embroidering machines; Machine needles; Operating or control mechanisms therefor
    • D05C11/08Thread-tensioning arrangements
    • D05C11/10Guides, e.g. resilient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11/00Devices for guiding, feeding, handling, or treating the threads in embroidering machines; Machine needles; Operating or control mechanisms therefor
    • D05C11/08Thread-tensioning arrangements
    • D05C11/14Stop motions responsive to thread tension or break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재봉틀-또는 해지자수틀의 재봉실 실 크램프(clamping Device)에 대한 릴리스(relese)장치에 있어서 릴리스장치(18)는 격막시린더(83)로 된 공압구동장치를 가지고 있는데 두께가 8㎜정도인 캐리어 판(10)내에 들어 있다. 본 릴리즈 장치(18)는 재봉실크램프(14)와 공동으로 작용하는데 이때 릴리스장치(18)는 캐리어판(10)의 한측에 재봉실크램프(14)는 다른한측(16)에 배설되어 있다. 본 릴리즈장치(18)는 상당한 공간절감형 구조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소수의 구성부품으로 이루어지고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개발에 따라 캐리어판(10)에 배설되어 있는 다수의 릴리스장치에 있어서는 주요부품을 공용할수 있다.

Description

재봉틀 또는 자수기의 재봉실크램프에 대한 릴리스장치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상위개념에 따르는 재봉틀 또는 자수틀의 재봉실크램프(clamp)에 대한 릴리스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청구항 1에 따르는 상위개념에 따른 릴리스장치에 있어서 그의 제시되어 있는 제반특징에 따라 행하여진다. 이러한 제반특징은 다음의 장점을 가지게 된다.
· 작은 공간
· 기계하우징의 구멍리밍(reaming) 가공생략
· 기계하우징의 기밀을 유지하기위한 조치 생략
· 구성부품수 감소
· 저렴한 비용(부품의 제작-및 조립비)
· 작동신뢰도의 증대
청구항 2에 따르는 특징을 가진 릴리스장치의 형태는 구성부품의 수량을 현저히 감소시킨다. 청구항 3에의한 개발에의하여 보다 공간절약형 구조를 얻을수 있다.
청구항 4 내지 11의 제반특징에 따르는 릴리스장치의 또 다른 형태들은 아주 간단하면서도 잘 만들수 있는 해결방안을 제시한다. 청구항 12의 특징을 가진 형태는 격막의 응력을 작게 받게 함으로서 릴리스장치의 수명을 보다 연장시켜준다.
청구항 13의 제반특징을 가진 해지장치는 주요부품을 동시에 다수의 해지장치에 이용/동원 될수 있으므로 구성부품수가 줄어들고 공간 절감형으로 보다 효과적이다. 청구항 14에 따르는 개발은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채널의 구조를 보다 간편하게 한다.
청구항 15의 특징은 해지장치의 상이한 그룹의 독자적인 제어를 제공한다. 청구항 16에 대한 특징을 가진 해지장치의 개발형은 또 다른 마모감소를 초래한다.
종래의 재봉틀-또는 자수틀의 재봉실크램프에 대한 해지장치의 제반단점을 제거함으로서 공간을 보다 줄이고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한 당해 해지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상위개념에 따르는 재봉틀 또는 자수틀의 재봉실크램프장치에 대한 해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해지장치는 출원자(여자, 듈코프아들러 분류번호 171)에 의하여 공지되어 있다. 여기서 해지장치는 격막시린더의 형태로 캐리어(carrier)판뒤에 배설되어 있으며 그의 전면에는 재봉실크램프가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유형의 장치는 캐리어판에 의하여 재봉틀의 팔(arm)전면에서 나사로 조여 있다. 이러한 구조를 이루기 위하여서는 재봉실 실크램프가 마찰이 작은 재봉실의 이송에대하여 유리한 위치에서 또는 재봉틀의 거의 외벽에 설치되어 있어서 격막시린더는 재봉틀의 팔 안으로 삽입되며 이를 위하여 직경이 2㎝정도의 관통구멍으로 구성이 되어 있다.
상이한 재봉실 크램프의 개별설정을 위하여 복수개의 실크램프를 배치할 경우에는 이에 따르는 다수의 유닛트(unit)와 이에 따르는 관통구멍을 재봉틀 앞에 가춘다.
공지된 해지장치의 단점을 들면 다음과 같다.
· 구조공간이 비교적 크다.
· 격막시린더 하우징의 리밍구멍
· 하우징의 기밀유지를 위한 추가조치
· 하우징의 내부공간에는 격막시린더에 대한 일정한 공간을 요한다.
· 구성부품수(부품의 제작 및 조립비)
· 부품수에의한 조건부로 제한된 작동신뢰도
· 요구되는 구조공간으로 인한 복수-배열은 조건부로만 가능
· 해지장치를 포함한 재봉실크램프의 교체는 기계하우징의 보정작업으로만 가능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은 보다 작은공간을 요하면서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는 재봉틀- 또는 자수틀의 해지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과제를 기본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보다 광범위한 특징, 장점 및 상세는 도면에의한 실시예의 다음 명세에 제시되어 있으며 도면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도 1 재봉틀의 일부
도 2 도 1의 절단선 Ⅱ-Ⅱ에 따른 확대 단면
도 3 도 2의 절단선 Ⅲ-Ⅲ에 따라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부분도
도 4 도 2의 Ⅳ화살표방향에 따른 부분도
도 5 도 2의 절단선 Ⅴ-Ⅴ에 따르는 부분도
도 6 도 5의 절단선 Ⅵ-Ⅵ에 따르는 부분도
도 7 도 4의 절단선 Ⅶ-Ⅶ에 따른 확대단면도
도 8 도 2에 따르는 다른 전환위치에 있어서 해지장치의 확대 부분도
도 9도 도 8에서 화살표방향 Ⅸ에 따른 구성부품도
도 10 도에서 절단선 Ⅹ-Ⅹ에 따르는 확대단면도
도 11 축소 구성부품도
재봉틀(1)은 한개의 팔(2)로 구성되어 있으며 헤드(3)에서 끝난다. 헤드(3)내에는 바늘대를 돌려주기 위한 크랑크어세이(crank assay)가 들어 있으며 이때 크랑크와는 재봉실레버(4)가 구동될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암(2) 에서 헤드(3)에 이르는 전환부에는 암(2)에 재봉실크램프(5)가 나사(6)로 조여져 있다. 도 1에 따라서 재봉실크램프(5) 상부에는 재봉실가이드(guide) 판(7)이 고정되어 있어서 이에 의하여 재봉실 꾸리에서 공급된 재봉실(8 및 9)이 공급된다. 재봉실크램프 장치(5)는 캐리어 판(10)을 가지며 여기에 재봉실크램프(11, 12, 13 및 14)가 배설되어 있다. 캐리어 판(10)은 두께가 약 8㎜인 강판으로 제작되어 있다. 도 1에 따라서 재봉실(8)은 재봉실가이드판(7)을 통하여 재봉실크램프(11)에 이르며 그로부터 재봉실방향전환장치(15)로 이동한다. 이때 재봉실크램프(12)는 주크램핑장치를 구성하며 재봉실크램프(11)는 보조크램핑장치를 형성한다. 재봉실(9)은 재봉실가이드판(7)을 통하여 재봉실크램프에 이르며 그로부터 나와 재봉실크램프에 이르며 거기서부터 더 나아가 재봉실방향전환장치(15)에 이른다. 이때 재봉실크램프(14)는 주크램핑 장치를 형성하며 재봉실크램프(13)는 보조크램프 장치를 형성한다.
도 2에 따라서 재봉실크램프(11, 12, 13 및 14)는 캐리어판(10)의 전면측, 다음측(16)으로 되어 배열되어 있다. 캐리어판(10)의 배면, 다음측에서는(17)로 되어 해지장치(18)가 부착되어 있다.
캐리어판(10)은 도 9에 따라서 4개의 나사구멍(19, 20, 21 및 22)을 가지고 있어서 각기 벽(23, 24, 25 및 26)을 통하여 뻗어 있다. 캐리어판(10)은 또한 시린더형의 홈(27, 28, 29 및 30)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소위 나사구멍(19)내지 (22)에 동심으로 뻗어 있다. 나사구멍(19)내지 (22) 또 홈(27)내지 (30)의 동심원상에서 캐리어판(10)내에 나사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다. 모든것을 대변하기 위해 나사구멍(31)이 나타나 있다. 도 4와 9에서 나사구멍은 부호로 십자선에의하여 표시되어 있으며 나사구멍(31) 유형의 해당 나사구멍의 위치를 제시하고 있다.
캐리어판(10)은 또한 패인 홈(32)으로 되어 있다. 도 4에 따라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패인 홈(32)은 각각 나사구멍(19 내지 22)주위로 뻗어 있는 궁형부위(33)와 이를 서로 연이은 직선부위(34)를 가지고 있다.
도 4와 7에서 보는 바와같이 짧은 구멍(35)과 긴구멍(36)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아래 모서리(37)로부터 캐리어판(10)내로 뻗어 있다. 도 7의 구멍(35)에의하여 구멍(35)은 구멍(38)과 연결되어 패인 홈(32)과 통한다. 동일한 형상에서 구멍(36)은 구멍(39)과 연결되며 동시에 패인 홈(32)과 통한다. 구멍(38, 39)은 둘다 나사구멍(19 및 21 또는 20 및 22)의 곧은 연결선상에 배열되어 있다. 구멍(35)와 (36)은 모서리(37)의 거의 단부에서 각각 보다 큰 직경으로 되어 있는데 여기에서 앵글형 파이프조인트(40, 41)가 고정연결되어 있다. 파이프조인트(40, 41)의 자유단에는 호수(Hose)의 단부(42, 43)가 삽입되어 도 4의 약도에 따라 점선에의하여 공압제어(46)의 밸브(44)와 (45)로 연결되어 있다. 밸브(44, 45)는 스프링 또는 전자석에의하여 제어가능하다. 밸브(44, 45)는 도관(47) 또는 (48)을 거쳐서 압축공기 공급원(표시되어 있지 않음)과 연결되어 있다.
도 2와 8에 나타나 있는 바와같이 홈(27) 내지 (30)에서 각각 수㎜의 유격을 가지고 강판두께가 2㎜인 와셔(washer)(49)가 들어있다. 또한 와셔(49)는 원통형 홈(50)으로 구성되어 있다.
패진 홈(32)에는 포일(51)이 격막으로 수용되어 있어서 외관상 패인 홈(32)의 것과 일치하며 두께가 약 0.5㎜가 된다. 포일(51)은 평탄하고 탄성을 가지면서 기밀재료 예컨대 고무접착 섬유조직으로 제조되어 있다. 또한 포일(51)은 구멍(52)으로 되어 있어서 그위치에서 나사구멍(31)과 일치한다. 또한 포일(51)은 구멍(53, 54)이 있어서 그의 위치에서 구멍(38, 39)과 일치한다.
도 5 및 6에 따라 카버판(55)이 외관상 1㎜정도의 일정한 유격을 제외하고는 패인 홈(32)의 형상과 일치하는 형태로 되어 있다. 카버판(55)과 포일(51)은 그의 두께에 대하여 패인 홈(32)의 깊이와 대략 일치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카버판(55)은 싱킹(sinking)구멍(56)으로 되어 있으며 나사구멍(31)의 해당위치에 감안되어 있다. 도 5에는 당해위치가 동시에 작은 십자로 표시되어 있다.패인 홈(32)에는 포일(51)과 카버판(55)이 들어 있어서 납작머리나사(57)로 고정되어 있음으로 포일(51)은 이제 카버판(55)과 패인 홈(32)사이에서 응력을 받는 상태이다. 또한 카버판(55)은 깊이(58, 59, 60 및 61)로 되어 있어서 카버판(55)의 한 쪽(62)으로부터 깊이(t)를 가지고 카버판(55)안으로 뻗어 있다. 깊이(58)내지 (61)은 원형단면을 가지며 해직경 및 위치에서 홈(27)내지 (30)에따라 구성되어 있다. 또한 카버판(55)에는 채널(63)과 (64)가 형성되어 있어서 측면(62)으로부터 깊이(u)로 카버판(55)안으로 뻗어 있다. 깊이(u)는 깊이(t)보다 약 1㎜이상 깊은 것을 알수 있다.
카버판(55)과 패인 홈(32)사이에서 신장되어 있는 포일(51)의 상기 배열로 홈(27)내지 (30)에는 유일한 격막(포일 51)과 유일한 덮개(카버판 55)를 사용하여 다수의 격막 시린더가 이루어 진다. 도 2와 8에서 시린더는 격막시린더(83)로 표시되어 있다. 격막시린더는 일반적으로 비교적 큰 유효면적을 가진 짧은 행정-시린더로 제작된다. 이들은 또한 각각의 누설이 저지되며 거의 마찰손실이 없이 작동하는 특징을 가진다.
다음에는 재봉실크램프(14)가 보통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는 재봉실크램프(11)내지 (13)을 대신하여 도2, 3 및 8에 따라 기술하고자 한다. 이러한 재봉실크램프는 예컨대 DE-PS 559 592 나 또는 US-PS 1.805, 205로 공지되어 있다. 이에 따라서 다음에는 주요한 부품의 설명만으로 제한한다. 나사구멍(22)안에는 핀(65)이 단단히 끼워져 있다. 두터운 부분(66)에는 2가지의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에서 전도된 상태로 배열되어 있는 와셔(67 및 68)가 유격을 가지고 취해져 있다. 와셔(67)는 축방향에 따라 직접 캐리어판(10)(도 8)의 측면(16)에 접해 있거나 또는 와셔(67)는 핀(65)위에 추가로 배열되어 있는 스페이서(spacer)에 지지되어 있다. 스페이서는 캐리어 판(10)의 측면(16)에대하여 재봉실(9)의 자리를 잡아주기 위한 스페이서로서의 역활만 한다. 스페이서(69)는 해지장치(18)와 이를 작동시키는 재봉실크램프(14)의 작동방식에 관한한 중요하지 않다.
와셔(68)는 버섯형와셔(70)와 부착되어 있어서 여기에 카버판(71)이 접해 있다. 이것은 구멍(72)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브리지(다리)(73)가 들어가 있다. 구멍(72)과 다리(73)는 핀(65)을 통하여 횡측으로 뻗어있는 홈(74)에 들어 있으며 이때 카버판(71)은 가볍게 축 방향으로 스라이딩(섭동)한다. 핀(65)의 내부에서 홈(74)에 안구멍(75)이 연결되어 있으며 그안에 핀(76)이 유격을 가지고 끼어 있다. 카버판(71)에 테퍼형 압축스프링(77)의 단부가 접해 있으며 그의 자유단은 조정너트(78)에서 지지되어 있다. 조정너트(78)는 핀(65)의 자유단부 나사(79)에의하여 조여져 있다. 조정나사(78)를 틀어서 압축스프링(77)의 응력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재봉실크램프(14)는 핀(65), 와셔(67, 68), 압축스프링(77)및 조정나사(78)와 같은 주요부품들로 재봉실(9)의 제동장치(80)와 연결된다. 압축판(71)과 조정너트(78)사이의 압축스프링(77) 배설에의하여 압축스프링(77)의 압축이 이루어짐으로 압축판(71) 또는 조정나사(78)에 힘을 가해준다. 내부구멍(75)에 끼인 핀(76)은 와셔(67)과 (68)사이에 재봉실이 없는(도8) 상태에서 와셔(49)가 좌단부를 취하도록 하는 길이에서 정해진다. 따라서 핀(76)은 근소한 유격을 도외시 하고 한쪽단부에서는 홈(50)안의 다른 한쪽단에서는 다리(73)에 접해 있다. 이에 따라서 포일(51)은 탄성으로 인하여 홈안으로 들어간다. 이에 반하여 포일(51)의 우단상태가 도2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때 여기서 핀(76)은 압축스프링(77)들어올림에 따라 와셔(67, 68)를 해지시킨다.
도 8의 표시에 따라서 격막시린더(83)의 상기부품의 크기 결정은 치수 V가 치수 W의 ½이 되도록 선정한다. 이에 따라서 포일(51)은 좌우 단부에서 치수 V의 동일크기 형상을 취한다. 이는 포일(51)의 보호조치를 취하도록 한다. 재봉실크램프(12)와 (14)는 제 1그룹(81)을 형성하며 재봉실크램프(11)과 (13)은 제 2그룹을 형성한다. 채널(63)과 (64)는 보조재봉실크램프의 독자적인 제어를 제공한다. 해지장치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와셔(67)과 (68)사이의 재봉실크램프(14)에 재봉실(9)이 들어 있으며 이때 압축스프링(77)의 힘이 재봉실에 가해짐으로 이송중에 재봉실크램핑장치(5)에의하여 크램핑이 된다. 이때 공압제어(46)는 구멍(35)에 압축공기가 전혀 공급되지 않은 상태이다.
밸브(44, 45)의 전류공급으로 제어(46)장치가 가동하면 구멍(35, 36)에 압축공기가 공급되도록 조정된다. 압축공기는 구멍(38, 39)을 거쳐 포일(51)내 구멍(53, 54)을 통하여 채널(63, 64)로 유입되고 이로부터 홈(58)에서 (61)에이르러 배분된다. 압축공기 유입에의하여 와셔(49)가 다른 홈에 있는 와셔(49)가 같이 내벽(23)내지 (26)에서 장치에 이를때까지 우측으로 민다(도 8). 이에 따라서 핀(76)의 축방향에 따라 밀리며 이제 압축판(71)의 다리(73)에서 자유단으로만 지지된다. 따라서 힘의 작용이 제거됨으로 재봉실(8, 9)을 개별 재봉실크램프(11)내지 (14)가 거의 힘을 받지 안고 이송할수 있도록 한다.
도 5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같이 재봉실크램프(11, 13)는 공동채널(63)에의해서 이루어지고 재봉실크램프(12, 14)는 공동채널(64)에의하여 이루어진다. 이점에 있어서 재봉실크램프(12)와 (14)는 제 1그룹(81)을 이루며 재봉실크램프(11)과 (13)은 제 2그룹(82)을 이루고 있다. 그룹(81, 82)에 속한 재봉실크램프는 상이한 응력을 받는 압축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재봉실(8)과 (9)에는 상이한 힘을 가할수가 있음으로 밸브(44, 45)의 전환상태에 따라서 재봉실(8)과 (9)에 상이한 장력을 가할수 있게된다.
재봉틀이나 자수틀의 릴리스(release)장치에서 선행기술에 비하여 보다 작은 공간만을 요하며 기계가공의 단순화와 부품수를 줄여서 제조비용을 경감시켜줌과 아울러 본 장치의 신뢰도를 증대시켜준다.

Claims (16)

  1. 캐리어판(10)의 한측(17)에 배설되어 있으며 재봉실크램프(14)는 캐리어판(10)의 다른측(16)에 배설되어 있는데 이때 재봉실크램프(14)는 내측구멍(75)이 수용하는 핀(65)과 스프링(77)힘에의하여 하중을 받는 재봉실(9) 제동장치(80)를 가지며 이때 릴리스장치(18)는 핀(65)의 내측구멍(75)에 삽입되어 있는 핀(76)과 힘의 작용을 받지 않도록 하기위하여 이에따라 작동되도록 연결되어 있는 격막시린더(83)를 가지는 재봉틀 또는 자수틀의 재봉실크램프의 릴리스장치(18)에 있어서,
    - 캐리어판(10)은 홈(3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 당해 홈(30)은 캐리어판(10)으 한측에서 제 1카버(55)와 그사이에 끼워진 탄성 밀폐 포일(51)에의하여 덮여 있으며
    - 당해 홈(30)은 캐리어판(10)의 다른 측에서 제 2카버(26)로 덮여 있으며
    - 제 1카버(55)는 포일(51)로 향한 측에서 압축공기의 공급을 위한 채널(64)로 구성되어 있으며
    - 제 2카버(26)는 캐리판(10)과 반대측(16)에서 핀(65)과 결합되어 있는데 이때 핀(76)은 포일(51)측으로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스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제 2카버(26)와 캐리어판(10)은 일체형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스장치.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제 1카버(5)는 포일(51)쪽으로 향한 측(62)에서 홈(30)으 하나에 해당하는 단면을 가진 홈(61)과 더불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스장치.
  4. 제 1항 내지 3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제 2카버(26)와 핀(65)은 나사(22)에의하여 서로 결합이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스장치.
  5. 제 1항 내지 4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채널은 홈(64)을 가지고 있으며 제 1카버(55)의 포일(51)쪽으로 향한측(62)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스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포일(51)은 홈(64)의 확장부위에서 구멍(38)을 가지고 있어서 캐리어판(10)내의 구멍(35)으로 연결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스장치.
  7. 제 1항 내지 6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포일(51), 캐리어판(10)및 적어도 카버(55, 26)중의 제 1카버(55)는 고정수단(나사 57)을 수용하기위하여 이와 일치하는 구멍(31, 56)으로 구성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스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구멍(31, 56)중의 일부는 홈(30)의 주위에 배열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스장치.
  9. 제 7항 또는 8항에 있어서,
    구멍(31, 56)안에는 나사(57)가 처져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스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캐리어판(10)내 구멍(31)은 나사구멍으로 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스장치.
  11. 제 9항 및 10항에 있어서,
    제 1카버(55)의 구멍(56)은 납작머리나사(57)를 수용하기 위한 카운터싱킹(counter sinking)으로 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스장치.
  12. 제 1항 내지 14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격막시린더(83)는 포일(51)이 한쪽 또는 다른쪽의 단부에서 동일한 치수형(V)을 취하고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스장치.
  13. 제청구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 캐리어판(10)은 복수개의 홈(27, 28, 29, 30)과 이에대한 재봉틀크램프(11, 12, 13, 14)로 되어 있으며
    - 포일(51)과 제 1카버(55)는 전체 홈(27, 28, 29, 30)에 걸쳐있는 치수로 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스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채널(35, 36, 63, 64)은 제 1카버(55)에 형성되어 있는 홈(58, 59, 60, 61)에 이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스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홈(27, 28, 29, 30)은 분리되어 있는 채널(35, 64 및 36, 63)이 감안되어 있는 적어도 2개그룹(81, 82)으로 나뉘어져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스장치.
  16. 제청구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포일(51)과 제 2카버(26)사이의 홈(30)안에는 와셔(49)가 감안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스장치.
KR1019980050957A 1997-11-29 1998-11-26 재봉틀또는자수기의재봉실크램프에대한릴리스장치 KR1005396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53107.5 1997-11-29
DE19753107A DE19753107C2 (de) 1997-11-29 1997-11-29 Auslöseeinrichtung für einen Fadenspanner einer Näh- oder Stickmas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5604A true KR19990045604A (ko) 1999-06-25
KR100539610B1 KR100539610B1 (ko) 2006-05-16

Family

ID=7850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0957A KR100539610B1 (ko) 1997-11-29 1998-11-26 재봉틀또는자수기의재봉실크램프에대한릴리스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H11239687A (ko)
KR (1) KR100539610B1 (ko)
CN (1) CN1093577C (ko)
DE (1) DE19753107C2 (ko)
TW (1) TW48775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70797B2 (ja) * 2002-02-15 2007-01-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糸調子装置
DE10344982A1 (de) * 2003-09-27 2005-04-21 Duerkopp Adler Ag Fadenspann-Vorrichtung für eine Nähmaschine
TW201035402A (en) 2009-03-25 2010-10-01 Chee Siang Ind Co Ltd Thread-releasing device of sew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013933B (it) * 1974-05-06 1977-03-30 Necchi Spa Gruppo regolatore della tensione del filo superiore con dispositi vo di rilascio automatico della tensione
DE3529329A1 (de) * 1985-08-16 1987-02-26 Kochs Adler Ag Vorrichtung an einer naehmaschine zum aufbringen einer zugspannung in einem dem naehprozess zuzufuehrenden material
DE3529369C1 (de) * 1985-08-16 1986-11-27 Pfaff Industriemaschinen Gmbh, 6750 Kaiserslautern Naehmaschine mit einer Einrichtung zur Spannung des Nadelfadens
JPH01244796A (ja) * 1987-12-08 1989-09-29 Suzuki Seisakusho:Kk ミシンの糸調子器
JPH01317477A (ja) * 1988-06-17 1989-12-22 Mitsubishi Electric Corp 自動ミシンの上糸張力調節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3577C (zh) 2002-10-30
KR100539610B1 (ko) 2006-05-16
TW487757B (en) 2002-05-21
CN1218857A (zh) 1999-06-09
DE19753107C2 (de) 1999-11-11
JPH11239687A (ja) 1999-09-07
DE19753107A1 (de) 1999-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3692B1 (ko) 벨트 가이드기구
JPH07310706A (ja) スライドテーブル付アクチュエータ
US5473971A (en) Rodless cylinder
KR19990045604A (ko) 재봉틀 또는 자수기의 재봉실크램프에 대한 릴리스장치
JPH079670A (ja) 印刷版の固定装置
KR960014691A (ko) 스풀밸브
DE60217851D1 (de) Fadenklemme für eine webmaschine und webmaschine mit einer solchen fadenklemme
ATE212263T1 (de) Werkstückspannvorrichtung
DK1430242T3 (da) Höjtrykstætningsindretning
JP3546422B2 (ja) ベースと駆動装置の連結構造及び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AU2002358420A8 (en) Mechanism for positioning a cylinder dressing
ATE176424T1 (de) Rakelklemmanordnung für eine druckmaschine
ATE39866T1 (de) Klemmstahlhalter mit eingesetzter schneidplatte.
KR100204376B1 (ko) 환편기에 사용되어 니들에 실을 안내하는 세라믹재를 이용하는 얀가이드
SE9300915L (sv) Högtryckspress
KR950033085A (ko) 무클러치 편측 피스톤식 가변용량 압축기
US5862600A (en) Multi-position guide bar fastening for chain saw
FR2540214B1 (fr) Perfectionnements apportes aux distributeurs de fluide
KR20020077084A (ko) 유체 동력 파지기
KR102616988B1 (ko) 하이드로 척
KR960003773Y1 (ko) 인젝션파이프용 클램프
BR0202395A (pt) Unidade de esmerilhamento, conjunto de unidades de esmerilhamento, e, método para montar um conjunto de unidade de esmerilhamento
KR100240009B1 (ko) 재봉기 보빈 교환장치
GB2267292A (en) Sinker cam arrangement for knitting machine
DE29710128U1 (de) Differenzdruck-Schaltvent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