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4349A - 카세트수납케이스 - Google Patents

카세트수납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4349A
KR19990044349A KR1019980701591A KR19980701591A KR19990044349A KR 19990044349 A KR19990044349 A KR 19990044349A KR 1019980701591 A KR1019980701591 A KR 1019980701591A KR 19980701591 A KR19980701591 A KR 19980701591A KR 19990044349 A KR19990044349 A KR 199900443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sette
reel rotation
rotation stop
storage case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1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모토 야타베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8178138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17062A/ja
Priority claimed from JP8179458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24983A/ja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19990044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434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23Containers for magazines or cassettes
    • G11B23/0233Containers for a single casset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하반부(1)와 상반부(2)와로 합체식으로 구성되는 케이스 일측면에 카세트삽입구(3)를 가지고, 상반부(2)의 상면에 카세트 취출을 위한 손가락삽입용 개구부(24)를 형성하고, 하반부(1)의 저면(底面)상에 콤팩트카세트(30)의 릴허브공과 계합되는 기복(起伏) 가능한 한쌍의 릴회전정지편(11,11)이 베이스판(10)으로부터 세워 형성된 릴회전정지부재(9)가 고정되고, 릴회전정지편(11,11)이 세워 형성된 베이스판(10) 부분에 ㄷ자형의 슬릿홈(13)을 형성하고, 휨변형하는 가요(可撓)베이스판(10c)을 가지는 릴회전정지부재에 형성했다. 또 카세트삽입구(3)와는 반대측의 근처에서 카세트상자체의 내벽면에, 수납상태의 카세트 배면의 오소거(誤消去)방지클릭(22)의 요부(22a)가 계합되는 캔틸레버형의 탄성기능을 가지는 카세트이탈방지부재(19)를 배설했다.
인용부호의 설명
1 : 하반부, 1a : 두께부, 1b : 박부(薄部), 2 : 상반부, 2a : 두께부, 2a′: 짧은 두께부, 2b : 박부, 3 : 카세트삽입구, 8a,8b : 가이드홈, 9 : 릴회전정지부재, 10 : 베이스판, 10a,10b : 코킹고정공(固定孔), 11 : 릴회전정지편(片), 11a : 릴회전정지편부, 12 : 절결부(切缺部), 13 : 슬릿홈, 15 : 요부(凹部), 16 : 안내리브, 16a : 테이퍼면, 17a,17b : 코킹핀, 18a,18b,18c : 위치결정편, 19 : 카세트이탈방지부재, 20 : 카세트이탈방지편, 21 : 이탈방지철부(凸部), 22 : 카세트의 오소거(誤消去)방지클릭, 24 : 손가락삽입용 개구부, 24a : 슬로프면, 28 : 카세트수납부, 30 : 콤팩트카세트

Description

카세트수납케이스
종래, 이 종류의 카세트수납케이스의 일측부에 형성한 카세트삽입구로부터 콤팩트카세트를 길이방향으로 출입할 수 있는 카세트수납케이스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실개소(實開昭) 57(1982)-201675호 공보, 실개소 58(1983)-148774호 공보, 실개평(實開平) 4(1992)-118388호 공보 및 특개평(特開平) 4(1992)-311483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있다.
여기서, 종래예의 카세트수납케이스의 일예를 일본국 실개평 4(1992)-118388호 공보에 기재된 것을 도 20∼도 2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0은 카세트수납케이스의 상면판을 파단(破斷)하여 내부가 보이도록 한 사시도, 도 21은 콤팩트카세트의 사시도, 도 22는 수납상태의 카세트를 가상선으로 나타낸 카세트수납케이스의 평면도, 도 23은 카세트수납상태의 수납케이스를 카세트삽입구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먼저, 도 21에 있어서 콤팩트카세트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콤팩트카세트(30)는 카세트상자체내에 도시하지 않은 한쌍의 테이프릴이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고, 카세트상자체의 상하면에 각각 형성한 한쌍의 개구부(31a,31b)에 릴허브공(32a,32b)이 일치하고 있다. 또, 콤팩트카세트(30)의 일측부에는 카세트의 마우스를 구성하는 사다리꼴의 팽출부(膨出部)(33)를 가지는 동시에, 이 팽출부(33)측의 카세트상자체의 양 측면에 가이드돌기(통칭, 이부(耳部)라고도 함)(34)를 배설하고 있다.
그런데, 카세트수납케이스는 플라스틱성형품으로 이루어져 일측면에 카세트삽입구(35)를 가지고, 그 외는 저면판(底面板)(36a), 상면판(36b), 좌우측면판(36c,36d) 및 배면판(36e)으로 이루어지는 편평상자형(偏平箱型) 형상으로 구성되고, 카세트삽입구(35)로부터 콤팩트카세트(30)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식으로 출입된다. 카세트삽입구(35)의 저면판(36a) 및 상면판(36b) 부분에는 각각 절결부(切缺部)(35a,35b)가 형성되고, 카세트수납케이스내에 수납된 콤팩트카세트(30)를 취출할 때에,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결부(35a,35b)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카세트 끝부를 잡아 꺼내도록 되어 있다.
저면판(36a)에는 카세트삽입구(35)의 대략 중앙부에서 깊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탄성작용에 의해 기복 가능한 2개의 설편형(舌片形)의 릴회전정지편(37a,37b)이 일체성형되어 있다. 이 릴회전정지편(37a,37b)은 깊이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되고, 릴회전정지편(37a,37b)의 간격은 콤팩트카세트(30)의 릴허브공(32a,32b)의 간격에 대응하고 있다.
또, 저면판(36a)에는 릴회전정지편(37a,37b)을 좌우로부터 사이에 두는 위치에서 깊이방향으로 수납가이드(38a,38b)가 두께형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수납가이드(38a,38b)와 대향하도록 상면판(36b) 부분에도 수납가이드(39a,39b)가 두께형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도 23참조).
또한, 저면판(36a) 및 상면판(36b)의 카세트삽입구(35) 근처에서, 수납가이드(38a,38b 및 39a,39b)의 외측부분에 스토퍼편(40a,40b 및 41a, 41b)이 상하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카세트수납케이스는 카세트삽입구(35)로부터 콤팩트카세트(30)를 가이드돌기(34)측으로부터 삽입하면, 릴회전정지편(37a,37b)이 카세트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넘어지지만, 카세트가 가장 깊은 속까지 삽입되었을 때 릴회전정지편(37a,37b)이 릴허브공(32a,32b)과 대응하게 되고, 이로써, 릴회전정지편(37a,37b)이 탄성복귀하여 상승릴허브공(32a,32b)에 계합하므로 릴의 회전정지를 행할 수 있다.
또, 카세트수납케이스내에의 콤팩트카세트(30)의 수납상태에 있어서는, 저면판(36a) 및 상면판(36b)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수납가이드(38a,38b 및 39a,39b)에서 카세트(30)의 팽출부(33) 이외의 상하면이 지지되므로,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납케이스내에서 콤팩트카세트(30)를 진동없이 안정되게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콤팩트카세트(30)의 수납상태에 있어서는,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팽출부(33)의 측단부가 스토퍼편(40a,41a)에 계합되므로, 수납케이스로부터 콤팩트카세트(30)의 이탈이 방지되고 있다.
전술한 수납케이스는 콤팩트카세트(30)를 좌우 반전시킨 상태에서도 전술한 경우와 동일하게 삽입시켜 수납할 수 있지만, 이 경우에는 콤팩트카세트(30)의 팽출부(33)의 측단부가 다른 쪽의 스토퍼편(40b,41b)에 계합되어 이탈이 방지되게 된다.
또, 카세트수납케이스내로부터 콤팩트카세트(30)를 취출할 때에도 릴회전정지편(37a,37b)이 탄성 변형하여 넘어져 릴허브공(32a,32b)으로부터 이탈하고, 카세트의 취출 후는 릴회전정지편(37a,37b)은 탄성복귀하여 다시 일어난다.
그런데, 전술한 릴회전정지편(37a,37b)은 콤팩트카세트(30)의 출입 때마다 그 기부 근처로부터 탄성 변형하여 넘어지지만, 릴회전정지편(37a,37b)의 반복된 굽힘변형이 집중하여 가해지면 재료 자체에 탄성피로가 생겨 기복작용이 불가능하게 되고, 이 후, 릴의 회전정지기능이 곤란해 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이 종류의 릴회전정지로서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PP(폴리프로필렌)로 성형되고, 베이스판(42)상에 설편형의 한쌍의 릴회전정지편(43,43)을 일체적으로 직립시키고, 베이스판(42)의 복수의 코킹공(42a)을 수납케이스의 저면에 코킹고정하도록 하거나 릴회전정지부재의 경우, 릴이 회전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릴회전정지편(43,43)의 폭치수를 릴허브공의 내경에 대략 일치시킬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카세트의 취출시 릴허브공과 릴회전정지편이 서로 계합하여 카세트 취출의 조작성이 저하하게 된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이 릴회전정지편(43)과 릴허브공과의 관계는 중요하지만, 예를 들면 릴허브공의 중앙부에 릴회전정지편이 걸려 들어가도록 하면, 릴허브공을 록(lock)하기 위해 릴회전정지편의 높이를 허브공의 상부 근처까지 길게 할 필요가 생기지만, 이와 같이 하면, 카세트가 수납케이스내로 깊은 곳까지 삽입되었을 때에는 넘어진 릴회전금지편이 허브공의 에지부에 걸려 허브공내로 일어날 수 없다고 하는 치명적인 문제가 있다.
한편, 전술한 카세트수납케이스는 콤팩트카세트가 수납된 상태에서는, 카세트삽입구(35)의 근처의 저면판(36a) 및 상면판(36b)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스토퍼편(40a,41a 또는 40b,41b)에 콤팩트카세트(30)의 팽출부(33)의 측단부(33a)가 계합되어, 당해 콤팩트카세트(30)의 이탈방지의 기능을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이 종류의 스토퍼편은 그 자체에는 탄성작용은 없고, 콤팩트카세트(30)의 반복된 출입 때마다 팽출부(33)의 표면을 마찰하면서 미끄러지므로, 팽출부(33)에 찰상(擦傷)이 발생하는 동시에 절삭분이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고, 특히 팽출부(33)와의 마찰로 스토퍼편이 마모되어 그 돌출높이가 낮아 지면, 팽출부(33)와의 계합작용이 저하하여 콤팩트카세트의 이탈방지기능이 불가능하게 된다.
또, 콤팩트카세트의 다른 이탈방지기구로서, 여기서는 도시하지 않지만 카세트수납케이스의 측면벽에 이탈방지돌기를 배설하고, 이 이탈방지돌기에 콤팩트카세트의 배면에 배설되어 있는 오소거방지클릭의 움푹 들어간 부분을 계합하여 이탈방지를 도모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 경우도 이탈방지돌기가 카세트의 출입에 의한 마찰작용으로 마모되어, 전술과 동일하게 카세트의 이탈방지기능이 불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카세트의 출입시에 있어서의 릴회전정지편의 기복변형작용에 대한 내구성을 높이고, 또한 수납상태의 카세트의 이탈방지를 장기에 걸쳐 확실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 케세트수납케이스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오디오용의 콤팩트카세트를 수납하는데 적합한 카세트수납케이스에 관한 것이고, 이 종류의 수납케이스는 케이스 일측부에 배설된 카세트삽입구로부터 콤팩트카세트를 길이방향으로 하여 슬라이드식으로 출입할 수 있는 카세트수납케이스이고, 콤팩트카세트의 수납상태에 있어서 케이스 저면에 장착되어 있는 릴회전정지부재에 카세트의 릴허브공(孔)을 계합시켜 테이프릴의 회전을 방지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또, 수납상태의 콤팩트카세트의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구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카세트수납케이스의 주요부(主要部)의 사시도.
도 2는 상반부를 배면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3은 카세트수납케이스의 확대종단면도.
도 4는 동일하게 카세트수납케이스의 확대횡단면도.
도 5는 하반부와 릴회전정지부재의 분리상태의 단면도.
도 6은 콤팩트카세트가 수납된 카세트수납케이스의 평면도.
도 7은 위치결정편과 가이드돌기와의 관계의 확대도.
도 8은 이탈방지부재와 콤팩트카세트와의 계합상태를 단면으로 나타낸 카세트수납케이스의 평면도.
도 9는 카세트수납케이스의 평면도.
도 10은 콤팩트카세트의 수납 도중의 카세트수납케이스의 확대종단면도.
도 11은 콤팩트카세트 취출초의 카세트수납케이스의 평면도.
도 12는 릴회전정지부재가 공급되는 모양의 파트피더(part feeder)의 사시도.
도 13은 릴회전정지부재가 서로 겹쳐 바람직하지 않은 상태의 사시도.
도 14는 슬릿홈이 크랭크형의 굴곡홈으로 형성된 릴회전정지부재의 평면도.
도 15의 (A)는 굴곡홈의 다른 예의 평면도이고, (B)는 굴곡홈의 또 다른 예의 평면도.
도 16은 콤팩트카세트 수납시에 상반부에 마찰이 발생하는 모양을 나타낸 카세트수납케이스의 단면도.
도 17은 마찰이 발생하는 부분을 사선으로 나타낸 상반부를 배면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8은 개량된 상반부를 배면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9는 개량된 카세트수납케이스에의 콤팩트카세트 수납시의 확대종단면도.
도 20은 종래의 카세트수납케이스를 일부 파단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21은 콤팩트카세트의 사시도.
도 22는 종래의 카세트수납케이스의 평면도.
도 23은 동일하게 카세트수납케이스를 카세트삽입구로부터 본 정면도.
도 24는 종래의 릴회전정지부재의 사시도.
본 발명에 의한 카세트수납케이스는, 상반부와 하반부와로 합체식으로 된 카세트상자체의 일측면에 카세트가 슬라이드식으로 출입되는 카세트삽입구를 가지고, 상반부 상면에 카세트 취출을 위한 손가락삽입용 개구부를 구비한 카세트수납케이스에 있어서, 하케이스 저면상에 기복 가능한 한쌍의 릴회전정지편을 베이스판으로부터 세워 형성한 릴회전정지부재가 장착되어 있고, 릴회전정지편이 세워 형성된 베이스판 부분을 ㄷ자형의 슬릿홈을 형성하여 휨변형하는 가요베이스판으로 했다.
이로써, 릴회전정지편에 생기는 기복동작과 함께 가요베이스판도 동시에 휘어 부하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고, 릴회전정지편의 반복된 기복동작에 대한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카세트수납케이스는, 상반부와 하반부와로 합체식으로 된 카세트상자체의 일측면에 카세트가 슬라이드식으로 출입되는 카세트삽입구를 가지고, 상반부 상면에 카세트 취출을 위한 손가락삽입용 개구부를 구비한 카세트수납케이스에 있어서, 카세트삽입구와는 반대측의 카세트상자체의 내벽면에 카세트 배면의 요부가 계합되는 캔틸레버형의 탄성기능을 가지는 카세트이탈방지부재를 배설했다.
이로써, 카세트수납케이스내에의 카세트의 수납시에 카세트측 및 카세트이탈방지부재의 쌍방이 마모되지도 않고, 장기에 걸쳐 카세트의 이탈방지작용을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카세트수납케이스는, 상반부와 하반부와로 합체식으로 된 카세트상자체의 일측면에 카세트가 슬라이드식으로 출입되는 카세트삽입구를 가지고, 상반부 상면에 카세트 취출을 위한 손가락삽입용 개구부를 구비한 카세트수납케이스에 있어서, 하케이스 저면상에 기복 가능한 한쌍의 릴회전정지편을 베이스판으로부터 세워 형성한 릴회전정지부재가 장착되고, 릴회전정지편이 세워 형성된 베이스판 부분을 ㄷ자형의 슬릿홈을 형성하여 휨변형하는 가요베이스판으로 하고, 또한, 카세트삽입구와는 반대측의 카세트상자체의 내벽면에 카세트 배면의 요부가 계합되는 캔틸레버형의 탄성 기능을 가지는 카세트이탈방지부배를 배설했다.
이로써, 릴회전정지편의 반복된 기복동작에 대한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동시에, 장기에 걸쳐 카세트의 이탈방지작용을 얻을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의한 카세트수납케이스의 실시의 형태를 오디오용의 콤팩트카세트의 수납케이스를 예로 들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카세트수납케이스의 주요부를 분리한 사시도, 도 2는 상반부를 배면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3은 카세트수납케이스의 조립상태의 확대종단면도, 도 4는 동일하게 확대횡단면도이다.
카세트수납케이스는 하반부(1)와 상반부(2)와의 합체식으로 구성되고, 하반부(1)는 예를 들면 HIPS(고충격성 폴리스티렌)의 플라스틱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상반부(2)는 예를 들면 GPPS(일반용 폴리스티렌)의 플라스틱성형품으로 이루어진다.
하반부(1)와 상반부(2)의 일측부는 반할형(半割形)의 카세트삽입구(3a,3b)가 형성되고, 도 3에 나타낸 합체된 양 반부(1,2)에 의해 형성되는 카세트삽입구(3)로부터 도 21에 나타낸 콤팩트카세트(30)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식으로 출입된다. 그러므로, 상, 하반부(1,2)에는 카세트삽입구(3a,3b)가 깊이방향으로 콤팩트카세트(30)의 팽출부(33)가 안내되는 가이드홈(8a,8b)을 가지고 있다.
하반부(1)의 상세한 구성
먼저, 하반부(1)에 대하여 설명하면, 하반부(1)는 가이드홈(8a)이외의 저면에서는, 당해 가이드홈(8a)측의 깊이방향으로부터 카세트삽입구(3a)측 및 측벽면(1d)의 깊이방향에 걸쳐 전체가 ㄷ자형 플레임형의 두께부(1a)로 형성되고, 이 두께부(1a)로 에워쌓인 저면부분은 박부(薄部)(1b)로 형성되어, 이른바 두께감소되고 있다. 일예로서 두께부(1a)는 두께 2.4mm, 박부(1b)는 두께 1.6mm이고, 이 경우, 전술한 가이드홈(8a)의 두께는 0.8mm이다. 또, 박부(1b)는 하반부(1)의 벽면을 구성하는 두께와 대략 동일한 두께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하반부(1)는 전체로서 약간 박형이지만 ㄷ자 형상의 두께부(1a)에 의해 보강되어 있다.
전술한 박부(1b)로 이루어지는 저면에는 릴회전정지부재(9)를 위치결정하기 위한 깊이방향으로 긴 장원형(長圓形)의 안내리브(16)가 일체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리브(16)는 두께부(1a)와 동일 평면 이하의 높이로 형성되고, 안내리브(16)의 내주면은 테이퍼면(16a)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안내리브(16)로 에워싸이는 박부(1b)상에 그 중심에 1개의 코킹핀(17a)과 양단측에 2개의 코킹핀(17b,17b)이 형성되어 있다.
또, 하반부(1)에는 카세트삽입구(3a)와는 반대측에서, 하반부(1)의 안벽면(1c)의 양 코너부분에 상반부(2)가 합체될 때의 위치결정편(18a,18b)이 당해 하반부(1)의 상에지보다 돌출하도록 일체성형되고, 또한 위치결정편(18a,18b)의 선단부 외측에 테이퍼면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위치결정편(18a,18b)은 수납상태의 콤팩트카세트(30)의 측단면(側端面)의 맞대기면도 겸해 있고, 그러므로, 콤팩트카세트(30)의 맞대기상태에서는 가이드돌기(34)가 안벽면(1c)에 충돌하지 않도록 위치결정편(18a,18b)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 가이드돌기(34)를 보호하고 있다(도 7 참조). 따라서, 가이드돌기(34)가 안벽면(1c)에 충돌하지 않도록 당해 안벽면(1c)의 두께를 얇게 하도록 하는 구성에 비해 안벽면(1c)의 강도를 향상할 수 있다.
릴회전정지부재(9)의 구성
릴회전정지부재(9)는 예를 들면 PP(폴리프로필렌)의 플라스틱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판(10)의 중심에 전술한 코킹핀(17a)과 대응하는 환공(丸孔)으로 이루어지는 1개의 코킹고정공(10a)과, 베이스판(10)의 양 단부에 코킹핀(17b,17b)와 대응하는 장공으로 이루어지는 2개의 코킹고정공(10b, 10b)이 형성되어 있다. 이 코킹고정공(10b,10b)은 코킹핀(17b,17b)의 설계상의 구멍위치보다 외측으로 확대된 장공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베이스판(10)에는 그 두께보다 얇은 두께로 탄성 작용에 의해 기복 가능한 설편형의 한쌍의 릴회전정지편(11,11)이 세워 형성되고, 이 릴회전정지편(11,11)이 콤팩트카세트(30)의 릴허브공(32a,32b)내에 계합되어 릴의 회전정지가 된다. 릴회전정지편(11,11)은 콤팩트카세트(30)의 릴허브공(32a,32b)의 구멍중심으로부터 카세트삽입구측으로 약간 어긋난 위치로 되어 있다(도 6 참조). 그리고, 각각의 릴회전정지편(11)에는 그 중앙부에 선단부로부터 근원부(根元部), 즉 베이스판(10)에 달하는 절결부(12)를 형성하고, 이에 따라, 릴회전정지편(11)이 세폭형(細幅形)으로 좌우로 분리된 회전정지편부(11a,11a)로 되어 있다.
전술한 릴회전정지부재(9)의 베이스판(10)에는 릴회전정지편(11,11)의 각각의 외측에 접하도록 하여 ㄷ자형의 슬릿홈(13)을 형성하고, 이에 따라, 베이스판(10)의 일부를 상하방향으로 휨변경 가능한 가요베이스판(10c,10c)으로 하고, 가요베이스판(10c,10c)의 단부로부터 릴회전정지편(11,11)이 세워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또, 가요베이스판(10c,10c)이 대응하는 하반부(1)의 저면부분에 요부(15,15)가 형성되어 있다.
카세트이탈방지부재의 구성
하반부(1)의 안벽면(1c)측에서 전술한 다른 쪽의 위치결정편(18b)측에 카세트이탈방지부재(19)가 배설되어 있다. 이 카세트이탈방지부재(19)는 위치결정편(18b)에 캔틸레버형으로 고정된 상태로 측벽면(1d)과는 평행으로 카세트이탈방지편(20)이 일체성형되고, 이 카세트이탈방지편(20)의 선단부에 반부 내측으로 돌출하는 이탈방지철부(凸部)(2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이탈방지철부(21)는 케이스내에 수납되었을 때의 콤팩트카세트(30)의 배면에 배설되어 있는 오소거방지클릭(22)의 전면(前面)의 일단(一段) 낮게 되어 있는 요부(22a)(도 8 참조)와 계합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부호(23)는 이탈방지편(20)과 대략 평행한 면에서 측벽면(1d)에 따라 배설되어 있는 카세트가이드편이다.
상반부의 구성
상반부(2)에는 그 깊이방향으로 장공형의 손가락삽입용 개구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삽입용 개구부(24)는 전술한 하반부(1)의 저면에 형성된 안내리브(16)의 상방에 대응하고, 이 손가락삽입용 개구부(24)로부터 전술한 릴회전정지부재(9)의 베이스판(10)을 평면으로 한 자세상태에서 삽통(揷通) 가능하다. 따라서, 손가락삽입용 개구부(24)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판(10)의 형상보다 크고, 또한 안내리브(16)의 내주부와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크기를 가지고 있다. 또, 손가락삽입용 개구부(24)에는 카세트삽입구(3a)와는 반대측의 개구에지에 완만한 슬로프면(slope)(24a)이 형성되어 있다(도 3 참조).
또, 상반부(2)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홈(8b)이외의 반부면에서는 당해 가이드홈(8b)측의 깊이방향으로부터 카세트삽입구(3b) 및 측벽면의 깊이방향에 걸쳐 전체가 ㄷ자형 프레임형의 두께부(2a)로 형성되고, 이 두께부(2a)로 에워싸인 반부면 부분은 박부(2b)로 형성되어, 이른바 두께감소되고 있다. 두께부(2a)는 일예로서 두께 2.4mm, 박부(2b)는 두께 1.6mm이고, 이 경우, 전술한 가이드홈(8b)의 두께는 0.8mm이다. 또, 박부(2b)는 상반부(2)의 벽면을 구성하는 두께와 대략 동일한 두께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상반부(2)는 전체로서 약간 두께가 얇은 형이지만 ㄷ자 형상의 두께부(2a)에 의해 보강되어 있다, 또한, 상반부(2)의 손가락삽입용 개구부(24)의 배면 주위에 보강리브(25)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반부(2)의 안벽면 중앙부에 하반부(1)와 합체될 때의 위치결정편(18c)이 당해 상반부(2)의 하에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도록 일체성형되고, 또한 위치결정편(18c)의 선단부 외측에 테이퍼면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반부(2)의 카세트삽입구(3b)측에서 가이드홈(8b) 이외의 두께부(2a)의 내에지부에 경사면(26)이 형성되고, 동일하게 하반부(1)의 카세트삽입구(3a)측에서 가이드홈(8a)이외의 두께부(1a) 부분의 내에지부에 경사면(27)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하반부(1,2)를 합체하여 일체화한 수납케이스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세트삽입구(3)의 상하개구부가 경사면(26,27)에 의해 광구형(廣口形)으로 개구된 상태로 된다.
카세트수납케이스의 조립
하반부(1)의 2개의 위치결정편(18a,18b)과 상반부(2)의 1개의 위치결정편(18c)과를 이용하여 양 반부(1,2)를 안벽면측으로부터 합체하므로, 양 반부(1,2)의 에지부가 위치결정편(18a,18b 및 18c)의 선단부의 테이퍼면에서 끌어 들어져 정확한 위치에 합체할 수 있다. 이 양 반부(1,2)의 합체상태에서는, 하반부(1)의 위치결정편(18a,18b)과 상반부(2)의 위치결정편(18c)과에 의해 양 반부(1,2)가 서로 계합하고, 이로써, 합체상태인 채 다음의 공정으로 반송하는 경우라도 양 반부(1,2)가 위치변위하는 일도 없다.
이렇게 하여, 양 반부(1,2)의 접합면은 초음파용착하므로 일체화된 수납케이스가 구성되지만, 하반부(1)의 저면에의 릴회전정지부재(9)의 고정은, 양 반부(1,2)를 합체하기 전에 하반부(1)의 3개의 코킹핀(17a,17b,17b)에 릴회전정지부재(9)의 베이스판(10)의 코킹고정공(10a,10b,10b)을 통해 위치결정하고 초음파에 의해 코킹고정하는 방법과, 양 반부(1,2)를 합체한 후 상반부(2)의 손가락삽입용 개구부(24)로부터 릴회전정지부재(9)를 삽입하고 베이스판(10)의 코킹고정공(10a,10b,10b)을 코킹핀(17a,17b,17b)을 통해 초음파에 의해 코킹고정하는 방법과의 어느 경우라도 된다. 후자의 경우를 채용하므로 카세트수납케이스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 릴회전정지부재(9)의 양단부의 코킹고정공(10b,10b)을 코킹핀(17b,17b)의 설계상의 구멍위치보다 외측으로 확대한 장공으로 하므로, 릴회전정지부재(9)의 성형 후에 열수축이 생겨도 코킹핀(17b,17b)에 대하여 코킹고정공(10b,10b)을 확실하게 계합시킬 수 있어, 릴회전정지부재(9)의 조립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의한 카세트수납케이스에의 콤팩트카세트의 수납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카세트수납시의 릴회전정지부재의 기능
콤팩트카세트(30)를 그 사다리꼴의 팽출부(33)를 가이드홈(8a,8b)측에 대응하여 카세트삽입구(3)로부터 삽입하면, 릴회전정지부재(9)의 릴회전정지편(11,11)이 카세트의 삽입에 의해 탄성변형하여 넘어지지만, 카세트가 가장 깊은 속까지 삽입되었을 때 릴회전정지편(11,11)이 카세트의 릴허브공(32a,32b)과 대응하게 되고, 이로써, 릴회전정지편(11,11)이 탄성복귀하여 상승릴허브공(32a,32b)내에 걸려 들어가고, 허브공의 주위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는 돌기(32c,32d)에 계합하여 릴의 회전정지가 도모되고, 이 상태가 카세트수납케이스내에 콤팩트카세트(30)가 완전히 수납된 상태로 된다(도 6 참조).
여기서, 전술한 릴회전정지편(11,11)의 기복동작을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콤팩트카세트(30)가 수납케이스내에 삽입되어 릴회전정지편(11,11)이 카세트삽입방향으로 넘어졌을 때,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납케이스의 안쪽의 릴회전정지편(11)에서는 가요베이스판(10c)이 요부(15)측으로 휘는 동시에, 릴회전정지편(11)의 일부가 슬릿홈(13)에 면하는 베이스판(10)의 단면에 접촉하도록 하여 탄성변형한다. 즉, 릴회전정지편(11)에 받는 부하응력은 가요베이스판(10c)의 근원부인 제1의 지점 a과, 베이스판(10)의 단면과의 접촉부인 제2의 지점 b과로 분산할 수 있으므로, 릴회전정지편(11)의 특히 파손되기 쉬운 근원부에 받는 탄성 피로를 경감하여, 반복된 기복동작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다.
한편, 수납케이스의 카세트삽입구(3)측의 릴회전정지편(11)에서는 가요베이스판(10c)이 요부(15)측으로 휘는 동시에, 가요베이스판(10c)의 근원부로부터 탄성변형한다. 이 경우, 가요베이스판(10c)이 요부(15)측으로 휨으로써 릴회전정지편(11)의 넘어지는 각도가 완만하게 되므로, 근원부에 받는 부하응력을 적게 하고 탄성피로를 경감하여, 반복된 기복동작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가요베이스판(10c,10c)에 대응하는 요부(15,15)가 하반부(1)의 저면에 구성되어 있지 않은 구성이라도, 릴회전정지편(11,11)의 탄성변형작용과 함께 가요베이스판(10c,10c)도 동시에 휘므로, 릴회전정지편에 받는 변형부하력이 분산되어, 반복된 기복동작에 대한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릴회전정지편(11,11)의 릴허브공(32a,32b)에의 걸려 들어가는 위치를 카세트삽입구(3)측으로 어그난 위치에서 걸려 들어가도록 했으므로, 릴허브공(32a,32b)의 중심의 공경(孔徑)에 대하여 릴회전정지편(11,11)의 폭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즉, 콤팩트카세트(30)가 삽입되어 넘어진 릴회전정지편(11,11)이 릴허브공(32a,32b)의 에지부에 걸리는 일 없이 용이하게 상승릴허브공내에 걸려 들어가도록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콤팩트카세트의 취출시에 있어서도 릴허브공(32a,32b)으로부터 릴회전정지편(11,11)의 이탈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카세트이탈방지부재(19)의 기능
콤팩트카세트(30)의 삽입시는 카세트의 배면(30a)이 카세트가이드편(23)에 가이드되어 삽입되고, 카세트의 수납직전에 있어서 카세트배면(30a)이 카세트이탈방지부재(19)의 이탈방지철부(21)와 접촉함으로써 카세트이탈방지편(20)이 탄성변형하여 후퇴하고, 그 후, 카세트의 수납상태에 있어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탈방지철부(21)에 카세트의 오소거방지클릭(22)의 전면의 일단 낮게 되어 있는 요부(22a)를 계지(係止)시킬 수 있고, 이로써, 콤팩트카세트(30)는 수납상태에 있어서 유지되고, 수납케이스에 진동이나 충격이 생겨도 카세트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수납상태의 콤팩트카세트(30)는 릴회전정지부재(9)에 의한 릴회전정지와, 카세트이탈방지부재(19)에 의한 이탈방지의 양쪽의 기능에 의해 콤팩트카세트가 수납케이스내에서 진동되는 일도 없이 안정되게 수납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카세트이탈방지부재(19)는 카세트삽입구(3)와는 반대측의 안벽면(1c)의 코너부분에 캔틸레버형으로 배설됨으로써, 콤팩트카세트(30)가 수납케이스내에 깊게 삽입되었을 때에 삽입단측의 오소거방지클릭(22)이 일단 낮게 되어 있는 요부(22a)가 이탈방지철부(21)에 계합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콤팩트카세트(30)의 삽입시에 카세트이탈방지부재(19)에 작용하는 외력(外力)은 순간적으로 생길 뿐이고, 따라서, 카세트이탈방지부재(19)의 강도가 저하되는 일도 없이 내구성을 장기에 걸쳐 유지할 수 있다.
또, 콤팩트카세트(30)와 카세트이탈방지부재(19)가 마찰에 의한 절삭분의 발생이 거의 없으므로, 카세트내의 자기테이프에 영향을 미치는 일도 없다.
또, 카세트이탈방지부재(19)에 계지되는 콤팩트카세트측의 계지부는 전용의 계지부를 새로 형성하지 않고 오소거방지클릭(22)의 요부(22a)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콤팩트카세트를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카세트이탈방지부재(19)의 성형은, 하반부(1)의 성형금형에 대하여 그 부분의 코어블록을 부가하는 것만으로 가능하므로, 기존의 금형을 그대로 유용할 수 있다.
또, 콤팩트카세트(30)가 삽입되는 카세트삽입구(3)는 상,하반부의 삽입구(3a,3b)의 개구에지에 경사면(26,27)을 형성하여 광구형으로 되도록 형성했으므로, 카세트삽입구(3)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다소 경사진 자세로 콤팩트카세트(30)가 삽입되었다고 해도, 카세트삽입측 단부가 경사면(26,27)에 의해 삽입구(3)내에 끌어 들여져 카세트는 자연히 수평의 자세상태로 되어 스무쓰하게 삽입할 수 있다. 이로써, 카세트 삽입시에 수납케이스에 무리한 외력이 생기는 일도 없어 수납케이스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또, 카세트측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카세트수납케이스로부터 콤팩트카세트의 취출
콤팩트카세트(30)를 수납케이스로부터 취출하는데는, 손가락삽입용 개구부(24)의 슬로프면(24a)에 엄지손가락의 볼록한 부분을 얹고, 카세트의 릴허브공(32a)에 손가락끝을 건 상태에서 콤팩트카세트(30)를 카세트삽입구(3)측으로 밀어냄으로써, 릴허브공(32a,32b)이 릴회전정지편(11,11)을 넘어뜨려 이탈하게 하고, 그 후는 카세트삽입구(3)로부터 돌출되는 카세트를 잡아 꺼냄으로써 취출할 수 있다. 이로써, 콤팩트카세트의 취출을 조작성 양호하게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카세트수납케이스의 외관의 디자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카세트 취출시의 릴회전정지부재의 기능
릴회전정지편(11,11)으로부터 릴허브공(32a,32b)이 이탈될 때는, 2개의 릴회전정지편(11,11)에 받는 부하응력은 전술한 카세트 삽입시의 경우와 역의 관계로 되고, 따라서, 릴회전정지편(11,11)에 생기는 탄성 피로는 거의 받는 일이 없다.
또, 릴허브공(32a)이 릴회전정지편(11)으로부터 이탈되는 동작을 도 6 및 도 11에 대하여 한쪽의 릴허브공(32a)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릴회전정지편(11)이 릴허브공(32a)내에 계합되어 있는 도 6의 상태로부터 카세트(30)가 이탈되면, 릴회전정지편(11)의 회전정지편부(11a,11a)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릴허브공(32a)의 돌기(32c)에 밀려 대략 「ハ」자형으로 변형되어 넘어진다. 즉, 회전정지편부(11a,11a)는 「ハ」자형으로 휨변형하므로 릴회전정지편(11)의 상단측의 폭길이가 좁아지고, 따라서, 릴회전정지편(11)이 릴허브공(32a)으로부터 원활하게 이탈될 수 있다.
그리고, 카세트의 취출동작의 도중에서는 릴허브공(32a)이 카세트삽입구(3)측의 릴회전정지편(11)에 일시적으로 계합되지만, 카세트의 이탈이 이동중이므로 릴허브공(32a)은 릴회전정지편(11)을 순간적으로 넘어뜨려 통과한다. 그리고, 콤팩트카세트(20)의 취출 후의 릴회전정지편(11,11)은, 그 자체의 탄성 복원작용에 의해 다시 직립한다.
여기서, 상,하반부(1,2) 그 자체의 특징부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상,하반부(1,2)는 전술한 바와 같이 ㄷ자형 프레임형의 두께부(1a,2a)이외가 박부(1b,2b)로 성형되어 있는 것이다.
하반부(1)의 경우에서는, 그 저부를 구성하는 면적이 넓은 부분이 박형의 가이드홈(8a)과 이보다 약간 두께가 있지만 두께 감소된 박부(1b)로 이루어지므로, 두께의 변화가 없어져 거의 균일하게 되고, 하반부(1)의 사출성형시에 금형캐비티내에의 수지의 흐름이 좋게 되어 두께수축의 발생을 거의 없앨 수 있다. 또, 하반부(1)의 가이드홈(8a) 이외의 저부에는 그 깊이방향으로부터 카세트삽입구(3a)에 걸쳐 ㄷ자 형상의 두께부(1a)를 형성함으로써, 하반부(1) 전체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특히, 카세트삽입구(3a)의 부분을 두께부(1a)로 보강했으므로, 카세트삽입구 부분의 강도를 높여 삽입구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두께부(1a)는 폭이 좁은 프레임형이므로, 두께부(1a)의 부분에 두께수축이 거의 생기는 일은 없다.
또, 박부(1b)로 이루어지는 하반부(1)의 저부 중앙부에는 릴회전정지부재(9)의 안내리브(16)가 성형되어 있음으로써, 이 안내리브(16)가 박부(1b)의 보강을 겸할 수 있어, 하반부저면이 외력에 의해 휘게 되는 것을 해소할 수 있다.
한편, 상반부(2)의 경우도, 그 저부를 구성하는 면적이 넓은 부분이 박형의 가이드홈(8b)과 이보다 약간 두께가 있지만 두께 감소된 박부(2b)로 이루어지므로, 두께의 변화가 없어져 거의 균일하게 되고, 상반부(2)의 사출성형시에 금형캐비티내에의 수지의 흐름이 좋게 되어 두께수축의 발생을 거의 없앨 수 있다. 또, 상반부(2)의 가이드홈(8b) 이외의 저부에는 그 깊이방향으로부터 카세트삽입구(3b)에 걸쳐 ㄷ자 형상의 두께부(2a)를 형성했으므로, 상반부(2) 전체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또한 카세트삽입구(3b)의 부분을 두께부(2a)로 보강했으므로, 카세트삽입구 부분의 강도를 높여 삽입구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또, 상반부(2)의 상면의 손가락삽입용 개구부(24)는 박부(2b)에 형성되지만, 이 손가락삽입용 개구부(24)의 배면 주위에 보강리브(25)를 형성했으므로, 손가락삽입용 개구부(24)의 보강과 함께, 상반부(2) 상면이 외력에 의해 휘게 되는 것을 해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카세트수납케이스는, 상,하반부의 성형시의 두께수축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써, 형상의 변형이나 치수의 차질을 회피할 수 있고, 나아가, 수납케이스가 외력에 대하여 쉽게 휘지 않도록 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 수납케이스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으므로, 플라스틱원재료의 사용량이 적게 되어 성형품의 코스트다운화를 도모할 수 있다.
슬릿홈의 다른 실시형태
릴회전정지부재(9)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진동하는 파트피더(54)내에 괴(塊)상태로 수용되고, 여기서부터 직진슈터(shooter)(55)의 가이드홈(55a)에 계합된 상태에서 1매씩 반송되어 하반부(1)의 안내리브(16)에 자동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릴회전정지부재(9)는 파트피더(54)의 진동작용으로 슬릿홈(13)에 다른 릴회전정지부재(9)의 릴회전정지편(11)이 끼워진다고 하는 사태가 발생한다. 이 원인은 슬릿홈(13)이 직선홈이므로 다른 릴회전정지편(11)이 끼워지기 쉬운 것을 들 수 있다. 특히, 릴회전정지편(11)의 배면측의 슬릿홈(13)에 릴회전정지편(11)이 끼워지기 쉽고, 최악의 경우에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릴회전정지부재(9,9)가 서로 겹친 상태로 된다. 예를 들면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회피하는 하나의 방법으로서 슬릿홈(13)의 홈의 간극을 릴회전정지편(11)의 두께보다 가늘게 하여 끼어지기 어렵게 하는 것도 고려되지만, 파트피더(54)의 진동 등의 영향에 의해 서서히 끼워져 결정적인 대책으로는 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겹친 상태의 릴회전정지부재(9)가 발생하면, 직진슈터(55)를 통과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그러므로, 릴회전정지부재는 직진슈터의 입구측에서 막히게 되고, 이 후, 릴회전정지부재의 공급이 정지되어 조립의 생산라인이 스톱되어 버린다. 그러므로 현 상태에서는 파트피더(54)를 감시할 작업자가 필요하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파트피더(54)내에 있어서의 릴회전정지부재의 겹침의 발생을 회피하기 위한 대책으로서, ㄷ자형의 슬릿홈(13)에 있어서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릴회전정지편(11)의 배면측의 슬릿홈(13)이 예를 들면 크랭크형으로 되도록 하는 굴곡홈(60)으로 형성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당연히, 굴곡홈(60)의 각 직선부의 길이 a는 릴회전정지편(11)의 폭길이 b보다 대략 1/3로 짧게 되어 있다. 따라서, 굴곡홈(60)에 다른 릴회전정지부재의 직선형이 릴회전정지편(11)이 무리하게 밀어넣어지도록 하는 외력이 생겼다고 해도 상호 서로 돌출하는 편부(60a)에 충돌하여 끼어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슬릿홈(13)은 ㄷ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릴회전정지편(11)의 측면측의 슬릿홈(13)에도 다른 릴회전정지편(11)이 끼어들어가는 일도 있으므로, 측면측의 슬릿홈도 전술과 동일한 크랭크형의 슬릿홈을 형성함으로써 완벽한 끼어들어가는 것의 방지대책으로 된다.
그리고, 굴곡홈(60)의 형상은 크랭크형으로 형성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그밖에, 도15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호형(圓弧形)의 굴곡홈(61)이나 도 15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角) 형상의 굴곡홈(62)으로 형성하는 것이라도 동일하게 릴회전정지편의 끼어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슬릿홈을 굴곡홈으로 형성함으로써, 파트피더(54)내에서 릴회전정지부재(9)끼리의 겹침을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으므로, 릴회전정지부재가 파트피더(54)로부터 직진슈터(55)로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어 조립의 생산라인에 지장을 초래하는 일도 없다. 따라서, 파트피더(54)를 감시할 작업자는 불필요하게 된다.
상반부두께부(2a)의 다른 실시형태
전술한 카세트수납케이스는 콤팩트카세트(30)가 카세트삽입구(3)로부터 삽입되었을 때,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릴회전정지부재(9)의 릴회전정지편(11)이 탄성변형하여 넘어진다. 이 때, 콤팩트카세트(30)는 릴회전정지편(11)의 탄성복귀력에 의해 상반부(2)측으로 밀어 올려지면서 삽입된다. 이 때 콤팩트카세트(30)는 팽출부(33)와는 반대측의 카세트 상면이 카세트의 진동을 방지하기 위한 작용을 겸하고 있는 도 17에 사선으로 나타낸 케이스 측면측의 두께부(2a)에 마찰하게 된다. 특히 이 마찰은 콤팩트카세트(30)의 선단부의 에지부분이 두께부(2a)에 닿게 되어 많이 발생한다. 그리고, 이 마찰작용은 콤팩트카세트의 출입 때마다 발생하고, 이것이 쌍방에 찰상과 함께 마찰분을 발생하여 기능상 및 제품성을 손상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전술한 측면측의 두께부(2a)는 가이드홈(8b)측의 두께부(2a)보다 폭이 있고, 나아가, 박부(2b)와 두께의 차가 존재하므로, 상반부(2)의 사출성형시에 쌍방의 경계부분에 두께수축이 발생하고, 특히 상반부 성형시에 수지를 공급하는 게이트가 두께부(2a)의 케이스 외측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도 17의 파선으로 나타낸 게이트 G부근의 두께부(2a) 및 게이스 부분에 큰 두께수축이 발생하고, 이 두께수축부가 성형품의 표면으로부터 용이하게 확인될 수 있으므로 제품가치가 손상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콤팩트카세트의 출입에 따르는 찰상 및 마찰분의 발생을 회피하고, 또 두께부 및 케이스 부분에 있어서의 두께수축이 생기는 일이 없는 카세트수납케이스의 상반부(2)를 도 18에 나타낸다.
이 상반부(2) 는 프레임형의 두께부(2a)를, 가이드홈(8b)과는 대향측의 두께부(2a)의 깊이길이를 카세트삽입구로부터 깊이방향으로 짧은 두께부(2a')에 형성하고, 그 이외는 박부(2b)에 형성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짧은 두께부(2a')의 깊이측의 단부는 도 3에 나타낸 카세트수납케이스의 단면도에 있어서 하반부(1)의 저면에 코킹고정한 릴회전정지부재의 카세트삽입구(3)측에 가까운 릴회전정지편(11)과 평행하는 위치에 거의 달하는 길이로 되어 있다.
또, 전술한 짧은 두께부(2a')의 연장상인 상반부(2)의 가장 깊은 부분에 경사면(28a)을 가지는 짧은 카세트수납부(28)가 형성되어 있다. 이 카세트수납부(28)의 두께는 두께부(2a')와 동일두께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카세트수납케이스를 상반부(2)에서는 두께부(2a')로부터 절단한 단면도를 도 19에 나타낸다.
카세트삽입구(3)로부터 콤팩트카세트(30)가 삽입되면, 사다리꼴의 팽출부(33)가 가이드홈(8a,8b)에 안내되는 동시에, 팽출부(33)와 반대측의 카세트 상하면이 상,하반부(1,2)의 두께부(1a,2a)에 안내된다. 그리고, 콤팩트카세트(30)가 입구측의 릴회전정지편(11)을 탄성변형시켜 넘어뜨려 그 위를 이동하는 동시에, 콤팩트카세트(30)는 릴회전정지편(11)의 탄성복귀력에 의해 상반부(2)측으로 밀어 올려진다. 콤팩트카세트(30)가 릴회전정지편(11)에 의해 밀어 올려진 시점에서는, 카세트선단부가 짧은 두께부(2a′)를 통과하여 박부(2b)측으로 이동하고 있으므로, 카세트 상면과 상반부(2)의 내면과의 사이에 충분한 공간 d이 생겨, 카세트삽입시에 있어서의 카세트 상면이 상반부(2)에 마찰하는 일도 없고, 이로써, 쌍방에 찰상이나 마찰분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작용은 카세트수납케이스에 콤팩트카세트(30)가 출입될 때마다 동일하게 행해진다.
그리고, 콤팩트카세트(30)가 수납케이스내에 완전히 수납되는 시점에서는, 카세트의 선단부가 상반부(2)의 가장 깊은 부분에 형성된 경사부(28a)을 미끄러지고, 도 19의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카세트(30)의 상면이 카세트수납부(28)의 면에 접촉하게 된다. 즉, 수납상태의 카세트(30)는, 사다리꼴형의 팽출부(33)와는 반대측의 카세트 부분에서는, 카세트 하면에서는 하반부(1)의 두께부(1a)에서 가이드되고, 카세트 상면에서는 상반부(2)의 짧은 두께부(2a')와 카세트수납부(28)에서 가이드되고 있으므로, 수납케이스에서 카세트가 상하방향으로 진동되는 일도 없이 안정되게 수납될 수 있다.
한편, 상반부(2)에 있어서,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세트삽입구(3)측으로부터 깊이방향으로 짧은 두께부(2a')로 하고, 그 이외의 부분은 박부(2)와 동일한 두께로 함으로써, 상반부(2)의 성형시에 두께부(2a')와 박부(2b)와의 경계부분에서의 두께수축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은 두께부(2a')가 짧고 수지량이 적은 것과, 수지가 공급되는 게이트 G로부터 떨어져 있으므로 두께부(2a')의 부분이 균일하게 식는 것을 들 수 있다. 그리고, 도 18에 나타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두께형의 카세트수납부(28)측의 케이스 외면에 게이트 G를 가지는 경우에서는, 카세트수납부(28)의 수지량이 적으므로 게이트 G부근에 있어서의 케이스 부분의 두께수축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카세트수납케이스에 의하면, 카세트 출입시의 마찰에 의한 찰상이나 마찰분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수납상태의 카세트의 진동도 없이 안정되게 수납할 수 있게 된다. 또, 상반부 성형시의 두께부의 두께수축이 발생하는 일도 없어, 카세트수납케이스의 기능 및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이 발명의 카세트수납케이스는, 오디오용의 콤팩트카세트 등을 슬라이드식으로 출입하는 수납케이스에 적합하다.

Claims (32)

  1. 케이스측면에 카세트가 슬라이드식으로 출입되는 카세트삽입구를 가지고, 상기 카세트삽입구의 한쪽에 당해 카세트삽입구로부터 케이스 깊이방향으로 카세트의 사다리꼴의 팽출부(膨出部)가 안내되는 요면형(凹面形)의 가이드홈을 구비하고 있는 상반부와 하반부와로 합체식으로 구성되는 카세트상자체이고,
    상기 상반부 상면에 케이스 깊이방향으로 장공형(長孔形)으로 된 카세트 취출을 위한 손가락삽입용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반부 저면상에 상기 카세트의 릴허브공(孔)과 계합되는 기복(起伏) 가능한 한쌍의 릴회전정지편이 베이스판으로부터 세워 형성된 릴회전정지부재가 고정되고, 상기 릴회전정지편이 세워 형성된 상기 베이스판 부분에 ㄷ자형의 슬릿홈을 형성하고, 휨변형하는 가요(可撓)베이스판을 가지는 릴회전정지부재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수납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 이외의 상기 카세트삽입구의 개구 내에지에 경사면을 형성하여 광구형(廣口形)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수납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반부 및 하반부는, 상기 가이드홈 이외의 반부면을 깊이방향으로부터 카세트삽입구에 걸쳐 ㄷ자형 프레임형의 두께부로 하고, 이 두께부 이외의 반부면을 박부(薄部)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수납케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반부 저면에 상기 릴회전정지부재의 상기 베이스판 주위를 포위하는 안내리브를 가지고, 그 내주부에 상기 베이스판을 안내하여 위치결정하는 테이퍼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수납케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삽입용 개구부는 상기 릴회전정지부재의 상기 베이스판의 외형상보다 크게 하고, 릴회전정지부재가 당해 손가락삽입용 개구부로부터 삽입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수납케이스.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삽입용 개구부에는 상기 카세트 삽입구측과는 반대측의 개구에지에 완만한 슬로프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수납케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회전정지편은 그 선단부로부터 상기 베이스판에 달하는 슬릿을 형성하고, 복수로 분할된 가요성을 가지는 릴회전정지편부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수납케이스.
  8.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베이스판과 대응하는 상기 하반부 저면 부분에, 상기 릴회전정지편의 전도(顚倒)변형을 흡수하는 요부(凹部)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수납케이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회전정지편은 상기 카세트의 릴허브공과의 계합위치가 허브공의 중심으로부터 카세트삽입구측으로 어긋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수납케이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회전정지부재는, 상기 베이스판의 양단부에 형성한 최소한 2개의 코킹고정공이 상기 하반부 저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코킹핀에 끼워 통하여 코킹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수납케이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의 상기 코킹고정공은, 상기 코킹핀에 대한 설계상의 구멍위치보다 외측으로 확대한 장공(長孔)으로 하고, 상기 릴회전정지부재의 열수축에 의해 생기는 상기 코킹핀과의 위치편차를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수납케이스.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홈의 최소한 상기 릴회전정지편의 배면측에 대응하는 슬릿홈을 굴곡홈으로 형성하고, 상기 릴회전정지부재의 자동공급시에 있어서, 다른 릴회전정지부재의 회전정지편이 상기 굴곡홈으로 끼어드는 것을 방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수납케이스.
  13. 케이스측면에 카세트가 슬라이드식으로 출입되는 카세트삽입구를 가지고, 상기 카세트삽입구의 한쪽에 당해 카세트삽입구로부터 케이스 깊이방향으로 카세트의 사다리꼴의 팽출부가 안내되는 요면형의 가이드홈을 구비하고 있는 상반부와 하반부와로 합체식으로 구성되는 카세트상자체이고,
    상기 케이스 상면에 케이스 깊이방향으로 장공형으로 된 카세트 취출을 위한 손가락삽입용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카세트삽입구와는 반대측의 근처에서 상기 카세트상자체의 내벽면에, 수납상태의 상기 카세트 배면의 요부가 계합되는 캔틸레버형의 탄성기능을 가지는 카세트이탈방지부재를 배설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수납케이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 이외의 상기 카세트삽입구의 개구 내에지에 경사면을 형성하여 광구형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수납케이스.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반부 및 하반부는, 상기 가이드홈 이외의 반부면을 깊이방향으로부터 카세트삽입구에 걸쳐 ㄷ자형 프레임형의 두께부로 하고, 이 두께부 이외의 반부면을 박부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수납케이스.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반부 저면에 상기 릴회전정지부재의 상기 베이스판 주위를 포위하는 안내리브를 가지고, 그 내주부에 상기 베이스판을 안내하여 위치결정하는 테이퍼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수납케이스.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삽입용 개구부는 상기 릴회전정지부재의 상기 베이스판의 외형상보다 크게 하고, 릴회전정지부재가 당해 손가락삽입용 개구부로부터 삽입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수납케이스.
  18. 제13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삽입용 개구부에는 상기 카세트 삽입구측과는 반대측의 개구에지에 완만한 슬로프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수납케이스.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이탈방지부재는 상기 카세트상자체의 측벽측에 위치하고, 카세트 삽입방향과 병행하는 면으로 되는 카세트 배면에 가지는 오소저(誤消去)방지클릭의 요부가 계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수납케이스.
  20. 케이스측면에 카세트가 슬라이드식으로 출입되는 카세트삽입구를 가지고, 상기 카세트삽입구의 한쪽에 당해 카세트삽입구로부터 케이스 깊이방향으로 카세트의 사다리꼴의 팽출부가 안내되는 요면형의 가이드홈을 구비하고 있는 상반부와 하반부와로 합체식으로 구성되는 카세트상자체이고,
    상기 상반부 상면에 케이스 깊이방향으로 장공형으로 된 카세트 취출을 위한 손가락삽입용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반부 저면상에 상기 카세트의 릴허브공과 계합되는 기복 가능한 한쌍의 릴회전정지편이 베이스판으로부터 세워 형성된 릴회전정지부재가 고정되고, 상기 릴회전정지편이 세워 형성된 상기 베이스판 부분에 ㄷ자형의 슬릿홈을 형성하고, 휨변형하는 가요베이스판을 가지는 릴회전정지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카세트삽입구와는 반대측의 근처에서 상기 카세트상자체의 내벽면에, 수납상태의 상기 카세트 배면의 요부가 계합되는 캔틸레버형의 탄성기능을 가지는 카세트이탈방지부재를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수납케이스.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 이외의 상기 카세트삽입구의 개구 내에지에 경사면을 형성하여 광구형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수납케이스.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상반부 및 하반부는, 상기 가이드홈 이외의 반부면을 깊이방향으로부터 카세트삽입구에 걸쳐 ㄷ자형 프레임형의 두께부로 하고, 이 두께부 이외의 반부면을 박부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수납케이스.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하반부 저면에 상기 릴회전정지부재의 상기 베이스판 주위를 포위하는 안내리브를 가지고, 그 내주부에 상기 베이스판을 안내하여 위치결정하는 테이퍼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수납케이스.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삽입용 개구부는 상기 릴회전정지부재의 상기 베이스판의 외형상보다 크게 하고, 릴회전정지부재가 당해 손가락삽입용 개구부로부터 삽입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수납케이스.
  25. 제20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삽입용 개구부에는 상기 카세트 삽입구측과는 반대측의 개구에지에 완만한 슬로프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수납케이스.
  26.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릴회전정지편은 그 선단부로부터 상기 베이스판에 달하는 슬릿을 형성하고, 복수로 분할된 가요성을 가지는 릴회전정지편부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수납케이스.
  27. 제20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베이스판과 대응하는 상기 하반부 저면 부분에, 상기 릴회전정지편의 변형을 흡수하는 요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수납케이스.
  28.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릴회전정지편은 상기 카세트의 릴허브공과의 계합위치가 허브공의 중심으로부터 카세트삽입구측으로 어긋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수납케이스.
  29.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릴회전정지부재는, 상기 베이스판의 양단부에 형성한 최소한 2개의 코킹고정공이 상기 하반부 저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코킹핀에 끼워 통하여 코킹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수납케이스.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의 상기 코킹고정공은, 상기 코킹핀에 대한 설계상의 구멍위치보다 외측으로 확대한 장공으로 하고, 상기 릴회전정지부재의 열수축에 의해 생기는 상기 코킹핀과의 위치편차를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수납케이스.
  3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홈의 최소한 상기 릴회전정지편의 배면측에 대응하는 슬릿홈을 굴곡홈으로 형성하고, 상기 릴회전정지부재의 자동공급시에 있어서, 다른 릴회전정지부재의 회전정지편이 상기 굴곡홈으로 끼어드는 것을 방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수납케이스.
  3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이탈방지부재는 상기 카세트상자체의 측벽측에 위치하고, 카세트 삽입방향과 병행하는 면으로 되는 카세트 배면에 가지는 오소거방지클릭의 요부가 계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수납케이스.
KR1019980701591A 1996-07-08 1997-06-24 카세트수납케이스 KR199900443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178138 1996-07-08
JP8178138A JPH1017062A (ja) 1996-07-08 1996-07-08 カセット収納ケース
JP17945796 1996-07-09
JP8179458A JPH1024983A (ja) 1996-07-09 1996-07-09 カセット収納ケース
JP96-179457 1996-07-09
JP24044296 1996-09-11
JP96-240442 1996-09-11
JP96-179458 1997-07-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4349A true KR19990044349A (ko) 1999-06-25

Family

ID=27474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1591A KR19990044349A (ko) 1996-07-08 1997-06-24 카세트수납케이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286676B1 (ko)
EP (1) EP0854097A4 (ko)
KR (1) KR19990044349A (ko)
CN (1) CN1199376A (ko)
ID (1) ID17949A (ko)
TW (1) TW433263U (ko)
WO (1) WO19980013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1579A (ja) * 1997-04-18 1998-11-04 Sony Corp カセット収納ケース
JP2000025874A (ja) * 1998-07-09 2000-01-25 Sony Corp カセット収納ケース
JP2000025875A (ja) 1998-07-09 2000-01-25 Sony Corp カセット収納ケース
JP2000025873A (ja) 1998-07-09 2000-01-25 Sony Corp カセット収納ケース
JP2000025872A (ja) * 1998-07-09 2000-01-25 Sony Corp カセット収納ケース
TW476062B (en) * 1999-08-17 2002-02-11 Sony Corp Cassette storage case
US6405860B1 (en) * 2001-05-07 2002-06-18 Charles Raucci, Jr. Storage container for compact disk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60937A (en) * 1972-04-20 1973-09-25 Wyngarden R Van Interconnecting storage holder for tape cartridge
FR2306498A1 (fr) 1975-04-03 1976-10-29 Sony Corp Coffret de conservation d'une cassette magnetique
US4406369A (en) * 1980-07-21 1983-09-27 Unique Designs, A General Partnership Tape cassette holder
JPS6115017Y2 (ko) * 1981-06-18 1986-05-10
JPS609182Y2 (ja) 1981-06-18 1985-04-02 アルファレコ−ド株式会社 カセツトテ−プケ−スマガジン
JPS5865679A (ja) 1981-10-14 1983-04-19 Oosakafu サ−マルヘツド
JPS5865679U (ja) * 1981-10-27 1983-05-04 仲川 弘 録音済み磁気テ−プカ−トリツジの盗難防止兼用保護ケ−ス
JPS60118672A (ja) 1983-11-28 1985-06-26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セラミツク焼結体組成物
JPS60118672U (ja) * 1984-01-20 1985-08-10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カセツト収納ケ−ス
JPS62574U (ko) * 1985-06-19 1987-01-06
JPS62574A (ja) 1985-06-26 1987-01-06 Nitto Electric Ind Co Ltd 一液型弾性シ−ラント
DE3816384A1 (de) * 1988-05-13 1989-11-23 Fischer Artur Werke Gmbh Behaelter mit einer durch eine behaelteroeffnung eingeschobenen magnetbandkassette
NL9002653A (nl) * 1990-12-04 1992-07-0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Houder voor een rechthoekige cassette.
DE9300553U1 (de) * 1993-01-18 1993-03-25 BASF Magnetics GmbH, 6800 Mannheim Behälter, im wesentlichen von Quaderform, für wenigstens zwei Gegenstände
JPH1077087A (ja) * 1996-07-09 1998-03-24 Sony Corp カセット収納ケース
JPH10291579A (ja) * 1997-04-18 1998-11-04 Sony Corp カセット収納ケー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99376A (zh) 1998-11-18
ID17949A (id) 1998-02-12
EP0854097A4 (en) 1998-09-30
EP0854097A1 (en) 1998-07-22
WO1998001369A1 (fr) 1998-01-15
TW433263U (en) 2001-05-01
US6286676B1 (en) 2001-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11368B2 (en) Buckle
KR950000953B1 (ko) 디스크 카트리지
KR100402814B1 (ko)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
US6663036B1 (en) Magnetic tape cartridge
KR19990044349A (ko) 카세트수납케이스
JPS6339997B2 (ko)
KR960007237B1 (ko) 비디오 카세트 더스트 도어 래치
JPH075143B2 (ja) 電子部品収納容器
JP2560466Y2 (ja) シートベルト取出し用スライドプレートの取付構造
JP3867333B2 (ja) カセット収納ケース
JP3977585B2 (ja) 基板収容ケース
JP3776671B2 (ja) 取付構造及びオーディオ装置
US4108398A (en) Magnetic recording tape cartridge
JPH0214441Y2 (ko)
JP2001290046A (ja) 光コネクタプラグの防塵キャップ
JP7448440B2 (ja) コネクタのハウジング
US20040001416A1 (en) Disk mechanism
MXPA98001764A (en) Box to accommodate case
JPH10139087A (ja) カセット収納ケース
JP2719206B2 (ja) デイスクカートリツジ
JP2006294138A (ja) テープカートリッジ
JP2000258103A (ja) 巻尺ケース
JPH0419645Y2 (ko)
JP2001080279A (ja) 替え芯ケース
KR20000011608A (ko) 카세트수납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