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1991U - 자동차 콘솔박스와 변속레버커버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콘솔박스와 변속레버커버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1991U
KR19990041991U KR2019980009078U KR19980009078U KR19990041991U KR 19990041991 U KR19990041991 U KR 19990041991U KR 2019980009078 U KR2019980009078 U KR 2019980009078U KR 19980009078 U KR19980009078 U KR 19980009078U KR 19990041991 U KR19990041991 U KR 1999004199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lever
console box
lever cover
vehicle
coupl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90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경
Original Assignee
이관기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관기,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관기
Priority to KR20199800090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41991U/ko
Publication of KR199900419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1991U/ko

Links

Landscapes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고안은 자동차 콘솔박스와 변속레버커버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변속레버커버가 콘솔박스(10)의 상방으로 돌출하는 형상의 자동차에 적용되며, 변속레버삽입천공부(21)를 가지는 변속레버커버(20)를 별도의 부재로서 사출성형하여 상기 콘솔박스(10)의 상방에 개방공으로 형성된 장착공(11)의 내주연(G)을 따라서 끼움하여 고정하는 자동차 콘솔박스와 변속레버커버의 결합구조에 있어서;상기 변속레버커버(20)와 일체로 성형되는 외주연부(20') 상을 따라서 다수점의 돌출한 가이드접속돌기부(40)를 두께가 있는 돌출체로서 일체로 사출성형하여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본고안의 자동차 콘솔박스와 변속레버커버의 결합구조는, 종래 선접속하는 콘솔박스의 장착공과 변속레버커버를 다수점의 점접촉으로 변경함으로서 그 장착 및 고정을 안정적으로 수행하게 하는 유용성을 가진다.

Description

자동차 콘솔박스와 변속레버커버의 결합구조
본고안은 자동차 콘솔박스와 변속레버커버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자동차의 콘솔박스와 협동하여 변속레버의 커버부를 구성하는 커버부재의 결합구성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중, 상당수의 차량은 자동차 실내 중앙부에 돌출하는 변속레버를 은폐하고 또한 음료수수납공간등의 각종의 편의시설을 형성하기 위하여 플라스틱등으로 성형된 하우징형의 수납체인 콘솔박스를 장착하고 있다.
이러한 형태의 콘솔박스는 기본적인 수용공간 및 형태를 가지는 상당한 정도의 부피를 가지는 사출성형체로 구성되어 차량의 플로어샤시와 협동하여 볼트등의 수단으로 고정장착된다.
특히, 변속레버가 이 콘솔박스를 관통하여 상방으로 돌출되는 형식의 차량에 서는 콘솔박스의 중앙부에 변속레버가 돌출하는 개방공을 형성하고 변속레버의 작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공을 가지는 별도의 부재인 변속레버커버를 역시 사출성형하여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의 변속레버커버를 콘솔박스의 개방된 장착공에 장착하는 것은 상당히 불안정한 기구적인 구성을 가지게 되는 바, 그 이유는 콘솔박스 및 변속레버커버가 상당한 면적 및 체적을 가지는 사출성형체로서 사출시의 변형 또는 사출이후의 온도변화의 단부누적값이 크게 되어 장착시에 설계된 치수대로 존재하지 않게 됨으로서 부가적인 수작업등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 구성적인 특성상, 정확한 치수로서 가공된 변속레버커버와 콘솔박스를 구성하기 어려움에 따라서 실제 장착시에는 상당한 수작업이 요구되게 된다.
특히 변속레버커버를 개방공인 콘솔박스의 장착공에 삽입하게 되면 설계치수대로 접속하지 않고 장착공 내방에서 유동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이것은 콘솔박스의 장착공내주연을 따라서 끼움되는 변속레버커버는 장착공의 내주연과는 연속적인 선접촉을 하기 때문으로 변형에 의하여 일부 연속선의 접속이 없게 되면 그 장착상태가 대단히 불안하게 되는 문제를 가진다.
도 1 은 본고안의 자동차 콘솔박스와 변속레버커버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자동차 콘솔박스부 및 변속레버커버부를 도시하는 분해상태에서의 사시도.
도 2 는 종래의 자동차 콘솔박스와 변속레버커버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측면도.
도 3 은 본고안의 자동차 콘솔박스와 변속레버커버의 결합구조에 사용되는 변속레버커버를 도시하는 평면도 및 측면도.
도 4 는 본고안의 자동차 콘솔박스와 변속레버커버의 결합구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변속레버커버의 포지셔닝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콘솔박스
20: 변속레버커버
40: 가이드접속돌기부
상기하는 종래로부터의 자동차 콘솔박스와 변속레버커버의 결합구조구성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고안의 자동차 콘솔박스와 변속레버커버의 결합구조에서는 콘솔박스의 장착공에 삽입장착되는 변속레버커버의 접속을 다수의 점접속점으로서 함으로서 치수의 상당한 정도의 변형을 흡수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고안의 자동차 콘솔박스와 변속레버커버의 결합구조는;
변속레버커버가 콘솔박스의 상방으로 돌출하는 형상의 자동차에 적용되며, 변속레버삽입천공부를 가지는 변속레버커버를 별도의 부재로서 사출성형하여 상기 콘솔박스의 상방에 개방공으로 형성된 장착공의 내주연을 따라서 끼움하여 고정하는 자동차 콘솔박스와 변속레버커버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변속레버커버와 일체로 성형되는 외주연부 상을 따라서 다수점의 돌출한 가이드접속돌기부를 두께가 있는 돌출체로서 일체로 사출성형하여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의 부수된 도면과 함께 본고안의 자동차 콘솔박스와 변속레버커버의 결합구조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종래 구성과 비교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고안의 자동차 콘솔박스와 변속레버커버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자동차 콘솔박스부 및 변속레버커버부를 도시하는 분해상태에서의 사시도, 도 2 는 종래의 자동차 콘솔박스와 변속레버커버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측면도, 도 3 은 본고안의 자동차 콘솔박스와 변속레버커버의 결합구조에 사용되는 변속레버커버를 도시하는 평면도 및 측면도,도 4 는 본고안의 자동차 콘솔박스와 변속레버커버의 결합구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변속레버커버의 포지셔닝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 에서와 같이,
변속레버커버(도시하지 아니함)가 콘솔박스(10)의 상방으로 돌출하는 형상의 자동차에서,
콘솔박스(10)의 상방에 개방공으로 형성된 장착공(11)에는 돌출하는 변속레버의 원호상의 작동공간인 변속레버삽입천공부(21)를 가지는 변속레버커버(20)를 별도의 부재로서 사출성형하여 장착공(11)의 내주연(G)을 따라서 끼움하여 별도의 볼트 또는 나사등으로 고정하게 된다.
상기하는 종래로부터의 구성의 자동차 콘솔박스와 변속레버커버의 결합구조에서는,
콘솔박스(10)의 상방에 개방공으로 형성된 장착공(11)과 변속레버커버(20)의 외주연부(20')는 선접속하도록 치수가 설계되어 성형됨으로서 상술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즉, 도 2 에서와 같이 선접속하는 접속면(S)을 가짐으로서 장착공(11)의 어느 한부분에서의 치수변형등이 유발되는 경우, 변속레버커버(20)는 콘솔박스(10) 내방에서 유동하거나 이격부가 유발되어 미관이 저해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30 은 변속레버이다.
본고안의 구성의 자동차 콘솔박스와 변속레버커버의 결합구조를 도 1 및 도 3 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콘솔박스(10)의 개방된 장착공(11)에 접속하는 변속레버커버(20)와 일체로 성형되는 외주연부(20') 상에 다수의 돌출한 가이드접속돌기부(40)를 두께가 있는 돌출체로서 일체로 사출성형하여 구비하게 한다.
상기의 가이드접속돌기부(40)는 외방으로 돌출하는 돌기체로서 구성되고 외주연부(20')를 따라서 각각의 면부에 다수점 구성하여 가진다.
가이드접속돌기부(40)의 돌출높이는 장착공(11)의 내방 내주연부보다 근소하게 외방으로 연장되는 정도로서 하는 것이 좋다.
상기하는 구성의 변속레버커버(20)는 콘솔박스(10)의 개방된 장착공(11)에 삽입되는 경우,
변속레버커버(20)와 일체인 가이드접속돌기부(40)가 장착공(11)에 내주연을 따라서 다수개의 점에서 접속하게 되므로 안정적인 장착이 이루어지고 만일,
어느 한부분에서의 내치수의 변형이 있더라도 그 변형량은 당연히 미소한 것이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가이드접속돌기부(40)측으로 밀려지게 되어 안정적인 포지셔닝이 수행된다.
이것은 도 4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콘솔박스(10)의 장착공(11)에 만일 과장되게 도시하는 변형부(Q)가 존재하면 종래 구성에서는 전체적인 안착이 이루어지지 아니하는 상태에서 고정이 이루어지나,
본고안의 구성의 경우는 점(P1)에서의 가이드접속돌기부(40)의 반력에 의하여 점(P2)로 어느정도 밀려나게 하여 장착공(11) 내방에서의 보정된 위치의 결정, 즉 포지셔닝이 이루어짐으로서 변속레버커버(20)의 장착공(11) 내에서의 유동이 최소화되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따라서, 별도의 수공정없이 안정된 압입을 수행하여 안착고정할 수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실시예의 본고안의 자동차 콘솔박스와 변속레버커버의 결합구조는, 종래 선접속하는 콘솔박스의 장착공과 변속레버커버를 다수점의 점접촉으로 변경함으로서 그 장착 및 고정을 안정적으로 수행하게 하는 유용성을 가진다.

Claims (2)

  1. 변속레버커버가 콘솔박스(10)의 상방으로 돌출하는 형상의 자동차에 적용되며, 변속레버삽입천공부(21)를 가지는 변속레버커버(20)를 별도의 부재로서 사출성형하여 상기 콘솔박스(10)의 상방에 개방공으로 형성된 장착공(11)의 내주연(G)을 따라서 끼움하여 고정하는 자동차 콘솔박스와 변속레버커버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변속레버커버(20)와 일체로 성형되는 외주연부(20') 상을 따라서 다수점의 돌출한 가이드접속돌기부(40)를 두께가 있는 돌출체로서 일체로 사출성형하여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콘솔박스와 변속레버커버의 결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접속돌기부(40)는 외방으로 돌출하는 돌기체로서 외주연부(20')를 따라서 각각의 면부에 다수점 구비하며 그 돌출높이는 장착공(11)의 내방 내주연부보다 근소하게 외방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콘솔박스와 변속레버커버의 결합구조.
KR2019980009078U 1998-05-22 1998-05-22 자동차 콘솔박스와 변속레버커버의 결합구조 KR1999004199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9078U KR19990041991U (ko) 1998-05-22 1998-05-22 자동차 콘솔박스와 변속레버커버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9078U KR19990041991U (ko) 1998-05-22 1998-05-22 자동차 콘솔박스와 변속레버커버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1991U true KR19990041991U (ko) 1999-12-27

Family

ID=69505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9078U KR19990041991U (ko) 1998-05-22 1998-05-22 자동차 콘솔박스와 변속레버커버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41991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5919B1 (ko) * 2002-10-22 2005-03-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콘솔 박스 어셈블리
KR100828604B1 (ko) * 2006-10-26 2008-05-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콘솔박스의 조립체
KR101123779B1 (ko) * 2010-06-30 2012-03-16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콘솔박스와 변속레버커버 결합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5919B1 (ko) * 2002-10-22 2005-03-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콘솔 박스 어셈블리
KR100828604B1 (ko) * 2006-10-26 2008-05-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콘솔박스의 조립체
KR101123779B1 (ko) * 2010-06-30 2012-03-16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콘솔박스와 변속레버커버 결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39724B2 (ja) 自動車のハンドルカバー
US9200676B2 (en) Fitting structure of cylindrical member
US5649783A (en) Retainer for seat
KR19990041991U (ko) 자동차 콘솔박스와 변속레버커버의 결합구조
JPH0649480Y2 (ja) 合成樹脂製の中空板体
JP5109315B2 (ja) 自動車用ボディパネルと取付部品との取付構造、及びロッカパネルとロッカプロテクタとの取付構造
US7279648B2 (en) Automotive combination switch
JPH11291835A (ja) カバーの取付け構造
JP3531235B2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カバー
JP4816485B2 (ja) 車両用外装部品
JP3891385B2 (ja) カップホルダの構造
CN215474691U (zh) 可拆卸式杯托组件和汽车
JPH0726206Y2 (ja) 自動車用複合型リレーボックス
KR102272504B1 (ko)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JP2926011B2 (ja) 配管取付け具
JPH0239879Y2 (ko)
JPS6346280Y2 (ko)
JP7360713B2 (ja) ワイパアームのカバー取付構造
JP2004314661A (ja) ウォッシャタンクの取付構造
KR940007888Y1 (ko) 자동차의 범퍼사이드 지지구조
JPH10338090A (ja) 自動車の前部構造
JP2000261935A (ja) 電気接続箱
JPH10151998A (ja) 係止部を有する樹脂成形品
JP3983442B2 (ja) 自動車用ドアトリム構造
JPS5811637Y2 (ja) 樹脂カ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