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8068U - 배지 재배용 베드 조립체 - Google Patents

배지 재배용 베드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8068U
KR19990038068U KR2019980004003U KR19980004003U KR19990038068U KR 19990038068 U KR19990038068 U KR 19990038068U KR 2019980004003 U KR2019980004003 U KR 2019980004003U KR 19980004003 U KR19980004003 U KR 19980004003U KR 19990038068 U KR19990038068 U KR 1999003806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um
plate
bed
drainage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40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77795Y1 (ko
Inventor
김범식
Original Assignee
김범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범식 filed Critical 김범식
Priority to KR20199800040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7795Y1/ko
Publication of KR199900380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80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77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77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Hydropon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지 재배용 베드 조립체에 관한 것이며, 소정의 거리(A)를 두고 쌍을 이루면서 일정 간격(B)을 두고 종렬로 배열되며 각 쌍의 상단이 종방향으로 구배를 가지도록 각각의 하단이 지면에 매립되는 다수의 기둥(10); 상기 각 기둥(10)의 대략 지면에 대응하는 높이에 상하로 이동 및 고정 가능하게 설치되는 함몰 방지판(20); 상기 기둥들 상단의 각 쌍 사이에 걸쳐서 고정되고 상부가 오목하게 형성된 다수의 가로 지지대(30); 상기 다수의 가로 지지대들 위에 꼭 맞게 걸쳐지도록 상부가 오목하게 형성되고 그 오목부가 배지를 수용하는 공간을 이루는 배지 지지판(40); 및 상기 배지 지지판(40)의 상기 오목부에 올려져서 배수로(51)를 형성하는 배수로 형성판(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지 재배용 베드 조립체가 제공되고, 이로써 간단한 조작으로 배지 재배용 베드를 조립 시공할 수 있고, 장기간 작물 재배에도 베드의 구배가 어긋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 구배가 어긋난다 하더라도 용이하게 교정할 수 있으며, 배양액의 원활한 배수로 작물을 양호하게 생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배지 재배용 베드 조립체
(기술 분야)
본 고안은 배지 재배용 베드 조립체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작물의 뿌리를 고형의 배지에 지탱하여 배양액을 공급하므로써 작물을 생육하는 배지 재배에 있어서 배지를 수용하는 데 사용되는 베드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과학 기술의 발달로 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각종 영양소가 밝혀지면서 작물의 생육에 반듯이 토양이 필요한 것이 아니라는 사실이 알려진 이후, 토양 없이 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영양소를 포함한 배양액(영양액)의 공급만으로 작물을 생육시키는 수경 재배법이 개발되었으며, 이런 수경 재배법은 농업 분야에서 널리 실용화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영양 재배, 무토양 재배, 용액 재배 등의 명칭이 혼용되는 수경 재배(nitri-culture)는, 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물과 양분을 토양으로부터 공급받는 것이 아니라, 작물의 성장에 필요한 여러 가지 양분을 적당한 비율로 물에 용해시켜 배양액을 만들어 공급하고, 작물이 배양액을 잘 흡수할 수 있는 환경을 인위적으로 조성하여 작물을 재배하는 경작 방법을 의미한다.
좁은 의미의 수경 재배는 작물의 뿌리가 전혀 지지되지 않는 담액수경이나 피막수경 재배 등을 의미하지만, 넓은 의미로는 작물의 뿌리를 지탱할 수 있는 고형 배지를 재배상(베드)에 채우고 베드에 배양액을 공급하여 작물을 재배하는 배지 재배(고형 배지경 재배)를 포함한다.
배지 재배는, 자갈, 암면, 모래, 톱밥, 피트, 버미큐라이트, 퍼라이트, 경석 등과 같이 영양공급과는 무관한 재료들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작물의 뿌리를 지지하는 배지를 만들고, 이 배지를 콘크리트, 플라스틱 시트 또는 필름, 널판지 등으로 제작한 베드에 담아, 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배양액을 적절히 공급하는 재배법이다.
이와 같이 배지 재배를 위해서는 배지를 수용하기 위한 베드가 필요한 바, 베드는 사용되는 배지의 종류와 재배되는 작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구조가 사용되고 있다. 자갈을 배지로 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지면에 일정 간격으로 콘크리트 벽을 만들고 콘크리트 벽 사이의 바닥에 플라스틱 시트를 깔고 바닥에 배수구를 형성하여 그 위에 배지를 채우는 베드 구조가 사용되고 있으며, 모래를 배지로 하는 경우에는, 예컨대 두 나무 판자 사이에 플라스틱 필름 시트를 깔고 그 위에 배액통을 설치한 후 배지를 채우는 베드 구조가 사용되고 있다. 최근 비용이 저렴하고 제작이 용이하며 중량이 가볍고 수명이 긴 장점 등으로 인해, 플라스틱 수지로 된 베드를 사용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도4는 배지 재배에 사용되는 종래 베드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5는 도4의 베드를 이용하여 작물을 재배하는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배지 재배용 베드(151)는 발포 스티렌 수지(예, 스티로폴TM)와 같은 플라스틱 수지를 성형하여 제작되고 상부에 오목부(153)가 형성된 긴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베드(151)를 이용하여 배지 재배를 할 때에는, 강재로 된 받침대(155) 위에 상기 발포 스티렌 베드(151)를 올려놓고, 상기 베드(151)의 오목부(153)에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염화비닐수지와 같은 플라스틱 필름 시트(157)를 깐 후에, 상기 오목부(153)에 배지(159)를 채운 다음, 배지(159)에 작물(161)을 파종하고, 적절한 배양액을 공급하는 방식으로 작물(161)을 생육하게 된다.
받침대(155)는 베드(151)를 지면으로부터 적정 높이로 이격시켜 배수가 잘되게 하고 작업자가 보다 편안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배지(159)에는 작물(161)의 뿌리가 지탱되며, 배지(159)를 통과한 배양액의 배수는 상기 받침대(155)에 구배를 주므로써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배지 재배용 베드(151)는, 이를 비닐 하우스 등과 같은 온상에 설치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베드(151)로부터 배양액의 배수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즉, 종래의 베드(151)는 상기 오목부(153)가 단지 배지(159)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으로서만 작용할 뿐, 별도의 배수구가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비록 받침대(155)에 구배를 두어 배지(159)를 통과한 배양액이 구배를 따라 베드(151)의 한쪽으로 흘러내리도록 하고 있지만, 이것만으로 충분한 배수가 이루어지지 않아, 작물이 습해를 입게 될 염려가 있다.
한편, 상기 베드(151)가 설치되는 지면(163)은, 베드(151), 받침대(155), 배지(159) 및 작물(161)의 중량에 의해 침하될 수 있으며, 이런 지면(163)의 침하는 전체 베드(151)를 통하여 불균일하게 발생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어느 정도의 시간이 경과하면 받침대의 다리(156)가 지면 내로 불균일하게 함몰하여 베드(151)의 구배가 어긋나게 되고, 결국 배수가 불완전하게 되어 작물의 정상적인 생장이 저해되게 된다.
따라서, 베드가 적절한 구배로 유지되도록 주의하여야 하지만, 종래의 베드(151)에 있어서는 받침대(155)에 다리(156)의 함몰을 방지하는 구조가 없어서 받침대의 함몰이 발생기 쉬울 뿐만 아니라, 함몰된 후 베드(151)의 구배를 적절한 상태로 교정하는 작업도 용이하지 않다.
추가하여 종래의 발포 스티렌으로 만든 베드의 경우, 발포 스티렌은 그 제조상의 문제로 소정의 길이 이상으로는 제작할 수 없기 때문에 베드를 충분히 긴 길이로 설치하기 어렵다는 단점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배지 재배용 베드가 지니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양액의 배수가 잘 될 뿐만 아니라, 지면 침하에 의해 베드의 구배가 어긋나는 것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어긋난 베드의 구배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으며, 비닐 하우스와 같은 베드가 설치되는 시설에 맞게 자유롭게 충분한 길이로 제작할 수 있는, 배지 재배용 베드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배지 재배용 베드 조립체의 일 예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2는 도1에 따른 배지 재배용 베드 조립체를 이용하여 작물을 재배하는 상태의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배지 재배용 베드 조립체의 다른 예를 이용하여 작물을 재배하는 상태의 단면도.
도4는 배지 재배에 사용되는 종래 베드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5는 도4의 베드를 이용하여 작물을 재배하는 상태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베드 조립체 2: 배지
3: 지면 4: 작물
10: 기둥 20: 함몰 방지판
30: 가로 지지대 40: 배지 지지판
50: 배수로 형성판 60: 부직포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소정의 거리(A)를 두고 쌍을 이루면서 일정 간격(B)을 두고 종렬로 배열되며 각 쌍의 상단이 종방향으로 구배를 가지도록 각각의 하단이 지면에 매립되는 다수의 기둥, 상기 각 기둥의 대략 지면에 대응하는 높이에 상하로 이동 및 고정 가능하게 설치되는 함몰 방지판, 상기 기둥들 상단의 각 쌍 사이에 걸쳐서 고정되고 상부가 오목하게 형성된 다수의 가로 지지대, 상기 다수의 가로 지지대들 위에 꼭 맞게 걸쳐지도록 상부가 오목하게 형성되고 그 오목부가 배지를 수용하는 공간을 이루는 배지 지지판, 및 상기 배지 지지판의 상기 오목부에 올려져서 배수로를 형성하는 배수로 형성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지 재배용 베드 조립체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배지 재배용 베드 조립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고안에 따른 배지 재배용 베드 조립체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배지 재배용 베드 조립체의 일 예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에 따른 배지 재배용 베드 조립체를 이용하여 작물을 재배하는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배지 재배용 베드 조립체의 다른 예를 이용하여 작물을 재배하는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배지 재배용 베드 조립체(1)는 다수의 기둥(10), 다수의 함몰 방지판(20), 다수의 가로 지지대(30), 배지 지지판(40) 및 배수로 형성판(5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다수의 기둥들(10)은 배지(2)를 지면(3)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유지하기 위한 수직 프레임으로서, 예컨대 통상적인 20-25mm의 강관을 소정 길이로 절단하여 제작한다. 이들 기둥들(10)은,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두 개의 기둥(10)이 소정의 거리(A)를 두고 서로 마주보게 위치하여 하나의 쌍을 이룸과 동시에 각 인접한 쌍들은 일정 간격(B)을 두고 종렬로 배열된 상태로 지면(3)에 매립되어 고정된다.
각 쌍의 대항하는 두 기둥(10) 사이의 거리(A)는 재배되는 작물의 종류에 따르며, 예를 들어 오이나 호박과 같은 과채류 작물을 재배하기 위한 베드 조립체인 경우 20-40cm 정도이고, 상추나 미나리와 같은 엽채류를 재배하기 위한 베드 조립체인 경우 200-300cm 정도이다. 인접하는 기둥(10)의 전후 사이의 간격(B)은 이들 기둥들(10)이 지탱하게 되는 하중에 의존한다. 즉, 하중이 큰 경우 간격을 좁게 하고 하중이 작은 경우 간격을 넓게 하며, 예를 들어 70cm 정도의 간격을 가지도록 매립할 수 있다.
이들 기둥들(10)은 비닐 하우스 등의 바닥에 그 하단을 소정의 깊이로 매립하여 고정되며, 각 기둥들(10)은 작업자가 작물을 종자를 파종 및 관리하기 편한 높이로 지면에 견고하게 매립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는 바, 예를 들어 오이를 재배하는 경우 대략 지상의 높이가 10-50cm 정도 되는 길이로 할 수 있다.
이들 기둥들(1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배양액의 원활한 배수를 위하여, 그 상단이 종방향으로 소정의 구배를 가지도록 매립된다.
상기 각 기둥(10)에는 기둥(10)이 지면의 침하에 의해 아래로 함몰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함몰 방지판(20)이 대략 지면에 대응하는 높이에 설치된다. 상기 각각의 기둥(10)은 이들이 지탱하는 배지(2), 가로 지지대(30), 배지 지지판(40), 작물(4) 등의 하중으로 인하여 지면(3) 쪽으로 힘을 받을 뿐만 아니라 기둥(10)의 하단이 대체로 뾰족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지면(3) 안으로 쉽게 함몰될 수 있는 바, 상기 함몰 방지판(20)은 상기 기둥(10)이 지면(3)에 가하는 힘을 표면적이 넓은 판에 의해 분산시키므로써 기둥(10)의 함몰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함몰 방지판(20)은, 중앙에 관통홀(21)이 형성되어 이 홀(21)을 통해 기둥(10)에 끼워지며, 기둥(10)을 따라 상하로 이동 및 고정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함몰 방지판(20)을 기둥(10)에 고정하는 구조는 특히 제한되지 않으나,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몰 방지판(20)에 상기 홀(21)로 관통되게 수평으로 나사공(22)을 형성하고, 이 나사공(22)에 나비볼트와 같은 고정볼트(23)를 체결하여 이 고정볼트(23)를 조임으로서 함몰 방지판(20)을 기둥(10)의 적절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함몰 방지판(20)의 고정 위치는 상기 기둥들(10)을 구배를 가지도록 지면에 매립한 상태에서 함몰 방지판(20)이 지면에 압착되는 위치이다.
상기 쌍을 이루는 두 기둥(10) 사이에는, 그 상단에 상기 배지 지지판(40)을 지탱하는 가로 지지대(30)가 설치된다. 가로 지지대(30)는 배지 지지판(40), 배지(2), 작물(4) 등의 하중을 견딜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가지는 소재, 예를 들어 철근과 같은 바소재를 상부로 오목하게 굴곡하여 제작한다.
가로 지지대(30)의 오목부(31)는 오목하게 형성된 배지 지지판(40)을 수용하여 받쳐주기 위한 것이며, 이 오목부(31)의 형상은 여기에 꼭 맞게 걸쳐지는 배지 지지판(40)의 하부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다.
쌍을 이루는 두 기둥(10) 사이에 가로 지지대(30)를 고정하는 방법으로는, 용접이나 리벳팅에 의해 기둥(10)과 가로 지지대(30)를 영구적으로 연결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본 고안에 따른 배지 재배용 베드 조립체(1)를 전체적으로 조립 방식으로 구성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기둥(10)의 상단과 가로 지지대(30)의 양단 사이를 공지의 체결 구조로 연결할 수 있고, 특히 별도의 체결 구조 없이, 가로 지지대(30)의 양단을 굴곡하여 형성한 고리(32)를 파이프로 된 기둥(10)의 상단 구멍(11)에 바로 끼워 고정하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이때 가로 지지대(30)의 고리(32)에 수나사(33)를 형성하고 여기에 상기 기둥(10)의 구멍(11)의 직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너트(34)를 체결해 둠으로써, 상기 나사(33)를 따라 상기 너트(34)를 이동시킴에 따라 지면(3)에 대한 가로 지지대(30)의 높이를 상기 수나사(33)의 길이 범위 내에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수의 가로 지지대들(30)의 상부에는 배지 지지판(40)이 꼭 맞게 걸쳐진다. 배지 지지판(40)은 배지(2)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부재로서, 이를 위해 상부로 오목한 형상으로 구성된다. 배지 지지판(40)의 오목부(41)와 가로 지지대(30)의 오목부(31)는 서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어서 가로 지지대(30)에 배지 지지판(40)이 포개어 졌을 때, 가로 지지대(30)의 상면 전체에 배지 지지판(40)이 접하게 되며, 이로써 배지 지지판(40)의 하중이 가로 지지대(30)에 균일하게 가해지게 된다.
배지 지지판(40)의 소재로서는 상기 오목부(41)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부식 방지처리가 되어 있는 철판이 바람직하지만, 플라스틱 수지판도 사용될 수 있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구체예는 오이와 같은 과채류를 재배하기 적합한 베드 조립체로서, 가로 지지대(30)와 배지 지지판(40)이 대략 V자 형상으로 되어 있는 예가 도시되어 있는 바, V자의 하부 공간은 배수로용 공간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배지 지지판(40)의 상기 오목부(41)에는 배수로 형성판(50)이 올려지며, 이로써 배지 지지판(40)의 V자 형상의 하부 공간과 배수로 형성판(50)의 하부에 의해 제한되는 공간은 배수로(51)로 이용된다.
상기 배수로 형성판(50)은 예들 들어 발포 스티렌 수지(스티로폴TM)와 같은 플라스틱 수지를 성형하여 제작되고, 여기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규칙적으로 배수구(52)가 형성되어 있어서 배지(2)를 통과한 배양액을 배수로(51)로 유도한다.
또한, 배수로 형성판(50)의 양단은 이들이 접하는 배지 지지판(40)의 경사에 대응하는 경사(53)를 가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배수로 형성판(50)을 배지 지지판(40)에 보다 안정되게 위치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구체예에서 배지 지지판(40)과 배수로 형성판(50)의 상면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에는 작물을 지지하는 배지(2)가 수용된다. 배지(2)는 상기 공간에 바로 채워 넣을 수도 있지만, 배지 지지판(40)과 배수로 형성판(50)의 표면에 투수성이 강한 부직포(60)를 깐 후에 채워 넣는 것이 배양액에 의해 흘러내린 배지(2)에 인하여 배수로(51)나 배수구(52)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구체예에 따라 배지 재배용 베드 조립체(1)에 의해 작물(4)을 배지 재배할 때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지면(3)에 일정한 거리(A)와 간격(B)으로 기둥들(10)을 매립하여 배수가 잘 될 수 있을 정도의 구배를 맞춘 다음 각 기둥(10)에 함몰 방지판(20)을 고정한다. 다음에 쌍을 이루는 기둥(10) 간에 가로 지지대(30)를 고정한 후 가로 지지대(30) 위에 배지 지지판(40)을 설치한다. 이어서 배지 지지판(40)의 오목부(41) 내에 배수로 형성판(50)을 올려놓고 부직포(60)를 깐 다음 퍼라이트, 자갈, 암면, 모래, 톱밥, 피트, 버미큐라이트, 경석 등의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배지(2)를 채운다. 작물(4)은 상기 배지(2)에 뿌리를 내리고 생육하게 된다.
도3은 상추와 같은 엽채류를 재배하기 적당한 본 고안에 따른 배지 재배용 베드 조립체를 보여주는 것이다. 본 구체예는 앞서 설명한 도1과 도2의 구체예와 기본적인 구성이 동일하지만, 엽채류의 재배에 적당하도록 상기 가로 지지대(30)와 배지 지지판(40)을 V자가 아닌 ㄷ자형으로 하고, 배지 지지판(40)의 상면 바닥에 배수로(51)가 형성된 배수로 형성판(50)을 깔았다는 점이 다르다.
도3의 구체예에 따른 베드 조립체로 작물을 재배할 때에는, 상기 배수로 형성판(50)에 재식구(71)가 형성된 스티로폼재의 재식판(70)을 깔고, 상기 재식구(71)에 스펀지 등을 끼워 넣어 이 스펀지(72)에 파종을 한 다음 그 위에 배지(2)를 채워 넣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베드 조립체(1)에 작물을 재배하는 경우, 작물(4)에 공급된 배양액 중 작물(4)에 의해 흡수되지 않고 배수로(51)로 흘러내린 배양액은, 기둥(10)의 구배에 의해 형성된 배지 지지판(40)의 구배로 인하여, 베드 조립체(1)의 한쪽 말단으로 흘러 배양액 회수 탱크(도시되지 않음)로 모이게 된다.
또한, 사용 중 기둥(10)이 함몰하여 베지 조립체(1)의 구배가 어긋나게 되면, 상기 함몰 방지판(20)의 고정볼트(23)를 풀어서 기둥(10)의 구배를 조절한 다음, 함몰 방지판(20)이 지면에 압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고정볼트(23)를 다시 조임으로써, 조립체(1)의 구배를 교정할 수 있다.
추가하여, 베드 조립체(1)가 설치되는 비닐 하우스와 같은 시설의 크기(길이)에 따라, 기둥(10)과 가로 지지대(30)의 수를 조정하고 배지 지지판(40)을 대응하는 길이로 제작하므로써, 시설의 크기에 맞는 길이로 자유로이 베드 조립체를 설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배지 재배용 베드 조립체(1)에 의하면, 간단한 조작으로 배지 재배용 베드를 원하는 길이로 자유롭게 조립 시공할 수 있고, 장기간 사용에도 베드의 구배가 어긋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 구배가 어긋난다 하더라도 용이하게 교정할 수 있으며, 배양액의 원활한 배수로 작물을 양호하게 생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소정의 거리(A)를 두고 쌍을 이루면서 일정 간격(B)을 두고 종렬로 배열되며 각 쌍의 상단이 종방향으로 구배를 가지도록 각각의 하단이 지면(3)에 매립되는 다수의 기둥(10); 상기 각 기둥(10)의 대략 지면(3)에 대응하는 높이에 상하로 이동 및 고정 가능하게 설치되는 함몰 방지판(20); 상기 기둥들 상단의 각 쌍 사이에 걸쳐서 고정되고 상부가 오목하게 형성된 다수의 가로 지지대(30); 상기 다수의 가로 지지대들 위에 꼭 맞게 걸쳐지도록 상부가 오목하게 형성되고 그 오목부(41)가 배지를 수용하는 공간을 이루는 배지 지지판(40); 및 상기 배지 지지판(40)의 상기 오목부(41)에 올려져서 배수로(51)를 형성하는 배수로 형성판(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지 재배용 베드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지지대(30)와 배지 지지판(40)은 V자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배지 지지판(40)의 V자 형상의 하부 공간과 상기 배수로 형성판(50)의 하부에 의해 제한되는 공간은 배수로(51)를 형성하며, 상기 배지 지지판(40)과 배수로 형성판(50)의 표면에 부직포(60)가 피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지 재배용 베드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지지대(30)와 배지 지지판(40)은 ㄷ자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배수로 형성판(50)의 상면에 배수로(5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로 형성판(50)의 상면에는 재식구(71)를 구비하는 재식판(70)이 올려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지 재배용 베드 조립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 방지판(20)에는, 상기 기둥(10)이 끼워지는 중앙의 관통홀(21), 상기 관통홀(21)로 관통되게 수평으로 형성된 나사공(22), 및 상기 나사공(22)에 체결되는 고정볼트(23)를 포함하고, 상기 기둥(10)은 강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로 지지대(30)는 그 양단에 형성된 고리(32)를 상기 강관의 상단 구멍(11)에 끼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지 재배용 베드 조립체.
KR2019980004003U 1998-03-18 1998-03-18 배지 재배용 베드 조립체 KR2001777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4003U KR200177795Y1 (ko) 1998-03-18 1998-03-18 배지 재배용 베드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4003U KR200177795Y1 (ko) 1998-03-18 1998-03-18 배지 재배용 베드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8068U true KR19990038068U (ko) 1999-10-15
KR200177795Y1 KR200177795Y1 (ko) 2000-04-15

Family

ID=19532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4003U KR200177795Y1 (ko) 1998-03-18 1998-03-18 배지 재배용 베드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779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017Y1 (ko) * 2009-12-10 2012-12-07 시게루 다나카 플랜터 및 농업용 베드
WO2018070595A1 (ko) * 2016-10-12 2018-04-19 김남준 수경 재배가 가능한 다목적 작물 재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4706B1 (ko) * 2010-11-15 2013-11-29 이길세 수경재배용 지지대
KR101624300B1 (ko) 2014-06-10 2016-05-25 이은석 양액재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017Y1 (ko) * 2009-12-10 2012-12-07 시게루 다나카 플랜터 및 농업용 베드
WO2018070595A1 (ko) * 2016-10-12 2018-04-19 김남준 수경 재배가 가능한 다목적 작물 재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7795Y1 (ko) 200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86693B2 (en) Plant surface structure and modules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US20050047868A1 (en) Modular, self contained, engineered irrigation landscape and flower bed panel
US7743696B2 (en) Root and water management system for potted plants
KR200177795Y1 (ko) 배지 재배용 베드 조립체
JP4948034B2 (ja) トマトの栽培方法とその装置
JP4928992B2 (ja) 底面潅水用給水パネル及び同パネル用の栽培ポット並びにそれらを用いた栽培システム
JP2009165400A (ja) 植栽用ユニットとそれを用いる緑化用植栽ユニット及びそのシステム
JPH08205700A (ja) 養液栽培装置
KR19980064547A (ko) 고설(高設)재배장치
KR101314769B1 (ko) 양액 재배용 베드
JP3050745U (ja) 高設栽培装置
JP4814463B2 (ja) 植物栽培方法および植物栽培具
KR100203620B1 (ko) 식물 재배용 베드
JP2010029096A (ja) 多段容器式栽培装置
JP2002153134A (ja) 高設栽培容器
JPH10178946A (ja) 養液栽培装置
JP2003000066A (ja) 栽培容器用補助具
GB2534411A (en) Living wall
JP2004049226A (ja) プランタ及び緑化システム
KR102571949B1 (ko) 포복형 식물의 수경재배용 정식판
KR19990002502U (ko) 배지 재배용 베드
KR200486793Y1 (ko) 농작물 재배용 베드
KR0128857Y1 (ko) 비닐하우스 식물재배용 암면받침판
JP2022126385A (ja) 養液栽培システム及び養液栽培方法
JP2023026781A (ja) 植物の栽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