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7039A - 체액 샘플에서 분석물의 반정량 측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 Google Patents

체액 샘플에서 분석물의 반정량 측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7039A
KR19990037039A KR1019980042664A KR19980042664A KR19990037039A KR 19990037039 A KR19990037039 A KR 19990037039A KR 1019980042664 A KR1019980042664 A KR 1019980042664A KR 19980042664 A KR19980042664 A KR 19980042664A KR 19990037039 A KR19990037039 A KR 199900370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alyte
concentration
ratio
albumin
uncorr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2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0900B1 (ko
Inventor
콜린 케이. 메신저
마이클 제이. 푸기아
제인 에프. 월리스
Original Assignee
실버 멜빈 에이.
바이엘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실버 멜빈 에이., 바이엘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실버 멜빈 에이.
Publication of KR19990037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7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0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09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2Use of compounds or compositions for colorimetric, spectrophotometric or fluorometric investigation, e.g. use of reagent paper and including single- and multilayer analytical el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유체 시험 샘플 속에서의 제1 분석물의 농도를 샘플 속에 존재하는 제2 분석물(유체 샘플 속에서의 이의 농도는 제1 분석물의 농도와 임상적으로 관련있다)의 함수로서 측정하는 개선된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당해 방법은, 제1 분석물의 농도를 측정하고, 제1 분석물의 농도가 유용한 분석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이 농도를 제2 분석물의 표준 농도로 나누는 것을 포함한다. 제1 분석물의 농도와 제2 분석물의 농도를 비율화하는 당해 방법은, 부정확한 양(+)의 결과와 부정확한 음(-)의 결과가 거의 보고되지 않으면서 정확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유리하다.

Description

체액 샘플에서 분석물의 반정량 측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다양한 분석 과정 및 장치는 통상적으로 생물학적 유체[예: 뇨(尿), 전혈(whole blood), 플라즈마, 혈청, 땀 또는 침]에 존재할 수 있는 임상적으로 중요한 물질의 농도 및/또는 존재를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이러한 물질은 통상적으로 분석물을 나타내고 특정 결합 파트너(예: 항체 또는 항원, 약물 및 호르몬)를 포함할 수 있다. 시험 장치의 종류 중의 하나는 소위 딥스틱(dipstick)인데, 이는 분석물과 상호작용하고, 반정량 방법으로 유체 샘플에서 분석물의 농도 또는 존재와 관련될 수 있는 산화 환원 염료(redox dye)의 산화로 색상 변화를 야기하는 방법으로 분석물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효소를 포함한다. 보다 최근에는, 특정 분석용의 표지된 항체를 시험 유체와 표지된 항체가 모세관 현상에 의해 흐를 수 있는 흡수재인 스트립에 적용하는 면역 크로마토그래피의 원리에 입각하여 작용하는 시험 스트립이 개발되었다. 스트립의 특정 부분에서 분석물(또는 이의 유사체)을 고정시켜, 즉 포획 영역, 특정 결합에 의해 포획된 표지된 항체의 양과 시험 샘플에서의 분석물의 농도를 반정량적으로 측정한다. 표지물이 효소이고 포획 영역에서 색상 반응을 제공하기 위해 효소용 기질을 위치시키는 이러한 종류의 분석은 미국 특허 제4,446,232호에 보다 충분히 기재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4,703,017호에는, 부동화된 분석물과 입자로 표지된 항체 사이의 특정 결합 때문에 포획 영역에서 집합하여 가시적으로 탐지 가능한 반응을 제공하는, 표지물이 과립상 물질인 유사한 분석이 기재되어 있다.
다양한 분석물을 분석하기 위한 임상적 유용성은 생물학적 유체에서의 농도가 제1 분석물의 농도와 임상적으로 관련되는 제2 분석물의 농도를 측정하여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분석물의 가장 주목할 만한 예는, 크레아틴이 근육 수축을 위한 에너지원으로서 사용되는 크레아틴 포스페이트로 되는 경우, 최종 대사 산물인 크레아티닌이다. 생성된 크레아티닌은 신장 사구체로 여과되고, 이어서 재흡수 없이 뇨 속으로 분비된다. 뇨 분석의 감도를 증가시키고 뇨의 유속이 높아 뇨가 희석되는 문제를 감소시키기 위해, 분석물/크레아틴 비율은 뇨 단백질 분석에서 뇨 농도의 표준화에 사용된다. 통상적인 크레아티닌 분석은 높은 pH, 전형적으로 11.5 내지 12.5의 범위에서 작동하는 알칼리 자페법(alkaline Jaffe method)과 베네딕트-베레법(Benedict-Behre method)을 포함한다. 보다 최근에는, 뇨 샘플을 구연산염, 하이드로퍼옥사이드 및 산화가능한 염료(이는 산소 유리 라디칼과 유사과산화물의 존재하에 착색된 반응을 제공한다)의 존재하에 구리 이온과 접촉시키는 크레아티닌 분석이 개발되었다. 크레아티닌 정량은 또한 WO 제96/34271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면역학적으로 성취될 수 있다. 체액 샘플에서의 농도가 제1 분석물의 농도와 임상적으로 관련되는 제2 분석물은 뇨 속의 크레아티닌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방법으로 분석할 수 있는 단지 체액 속의 뇨에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예를 들면, 시험하고자 하는 체액은 전혈(whole blood)일 수 있고 제1 분석물은 HbA1c분석에서 치우친 인자에 대해 HbA1c의 명백한 농도를 전혈의 총 헤모글로빈 농도로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총 헤모글로빈인 제2 분석물과 함께 HbA1c일 수 있다. 정맥내 투여된 이눌린은 크레아티닌처럼 신장 흐름의 척도이다. 제2 분석물로서 크레아티닌과 함께 분석할 수 있는 기타 전형적인 제1 분석물은 잠혈(潛血), 백혈구, 단백질 및 글루코스이다. 뇨 속의 IgG 농도는 제2 분석물로서 알부민을 기준으로 하여 보정될 수 있다.
WO 제96/34271호에는, 크레아티닌 검출용 분석 스트립과 목적 분석물 검출용 제2 분석 스트립을 갖춘, 유체 시험 샘플에서 목적 분석물(제1 분석물)과 크레아티닌 측정용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크레아티닌 농도는 비색적으로 측정될 수 있거나 표지된 크레아티닌 결합 파트너의 특정 포획으로 측정할 수 있다. 목적 분석물의 농도는 수동으로 또는 예비 프로그래밍된 반사율 분석기를 사용하여 보정될 수 있는 샘플의 농도를 기준으로 하여 보정된다.
제2 분석물의 농도를 기준으로 하여 제1 분석물의 농도 측정을 보정하기 위한 선행 기술 시스템은 제2 분석물의 색상 반응에 대한 제1 분석물로부터의 색상 반응을 직접적으로 비율화하거나 우선 색상 반응을 농도 값으로 전환시키고 이들 값의 비를 산수적으로 측정함을 포함한다. 색상 반응을 직접 비율화하는 것은 색상을 흡광도 또는 반사율과 같은 수치로 전환시켜 성취한다. 반정량 분석물 측정 결과를 보정하기 위한 이러한 직접 비율화 방법의 한계는, 방법이 이의 분석 범위 끝까지 이르는 경우 발생하는 평가에서 큰 오차를 설명하지 못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방법이 이의 분석 범위 끝까지 이르는 경우에 발생하는 평가에서 오차를 고려하여 두 가지 분석물의 비율화를 포함하는 반정량 방법의 정확성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은 유체 샘플 속에서의 농도가 측정되는 제1 분석물과 유체 샘플 속에서의 농도가 제1 분석물의 농도와 임상적으로 관련되는 제2 분석물의 농도에 대하여 체액 샘플을 비색 분석하는 향상된 방법(여기서, 제2 분석물에 대한 제1 분석물의 비율은 유체 샘플 속에서의 제1 분석물의 농도 측정을 보정하는 데 사용된다) 을 포함한다. 당해 향상된 방법은,
제1 분석물의 미보정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a),
제1 분석물의 미보정 농도가 제1 분석물에 대하여 유용한 분석 범위 이내인지 또는 이를 벗어나는지의 여부를 측정하는 단계(b),
제1 분석물의 미보정 농도가 제1 분석물에 대하여 유용한 범위 이내인 경우, 제2 분석물의 농도를 측정하고, 제1 분석물로부터의 반응을 제2 분석물로부터의 반응으로 나누어 제2 분석물에 대한 제1 분석물의 비율을 정한 다음, 제1 분석물의 미보정 농도를 제2 분석물의 농도로 나누어 보정한 제1 분석물의 농도에 상응하는 산출 수준을 제2 분석물에 대한 제1 분석물의 비율로 정하는 단계(c) 또는
제1 분석물의 미보정 농도가 제1 분석물에 대하여 유용한 분석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단계(a)에서 측정한 바와 같은 제1 분석물의 미보정 농도와 제2 분석물의 표준 농도를 기준으로 하여 제2 분석물에 대한 제1 분석물의 비율을 정하는 단계(d)를 포함한다.
본 발명을 수행하는 제1 단계는 제1 분석물의 미보정 농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이것은 효소 반응의 경우에서와 같은 반응을 포함하는 스트립의 부분에 직접적으로 적용하거나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스트립의 경우에서 스트립의 포획 영역을 갖춘 유체 전달에서 샘플 적용 패드에 적용하여 샘플이 모세관 작용에 의해 포획 영역으로 유동할 수 있는 시험 스트립에 대해 유체 시험 샘플을 적용하여 성취할 수 있다. 색상 변화가 스트립의 시약과 상호작용하는 시험 유체에서 분석물에 의해 야기되는 어느 경우에나 표준 색상표, 보다 정확하게는 반사율 측정기를 사용하여 색상을 비교하여 수동으로 판독할 수 있다.
제1 분석물의 미보정 농도를 일단 측정하고, 이러한 농도가 당해 분석물에 대해 유용한 분석 범위내인 경우, 그 다음 단계를 조사한다. 유용한 분석 범위란 용어는 당해 방법으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분석물의 농도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뇨 속에서 알부민의 경우, 유용한 분석 범위는 실질적으로 더 작을 수 있는, 즉 측정된 분석물의 농도보다 3배 이상 더 작을 수 있는 측정의 오차를 기준으로 하여, 30 내지 300mg/L이다. 제1 분석물로서 알부민을 측정한 것이 이러한 범위내인 경우이면 제2 분석물, 전형적으로는 크레아티닌을 측정하고 제2 분석물에 대한 제1 분석물의 비율, 즉 [알부민]/[크레아티닌]을 계산하여 산출 수준을 제공하는데, 이의 값은 뇨 시험 샘플에서 알부민의 보정된 농도를 나타낸다.
제1 분석물의 미보정 농도가 유용한 분석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예를 들면, 30mg/L 알부민 미만 또는 300mg/L 알부민 이상이면 제2 분석물의 농도는 측정하지 않지만 그 대신 제2 분석물의 표준 농도를 사용하여 제2 분석물에 대한 제1 분석물의 비율을 측정한다. 표준 농도라는 용어는 전형적으로 건강한 사람에서 수득한 예상되는 생리학적인 값을 나타낸다. 신체가 통상적으로 1일당 1,000mg의 크레아티닌과 1L의 뇨를 배설하기 때문에, 트레아티닌의 경우에서 당해 값은 1,000mg/L이다. 이것은, 측정된 제1 분석물의 농도가 유용한 분석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표준이 아닌, 측정된 제2 분석물의 농도가 사용되는 선행 기술의 비율화 방법과 대조적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부정확하게 측정된 값은 결과에 가해진 추가의 오차가 생기지 않게 하기 때문에, 제1 분석물의 농도를 측정하는 데 있어서 더 큰 정확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을 실행하는 방법은 다음 실시예로 추가로 설명된다.
일반적인 실시예
알부민이 제1 분석물이고 농도를 측정하여 예를 들면, 신장 흐름을 보정하는 크레아티닌이 제2 분석물인 뇨의 분석에 있어서, 뇨 알부민 분석에 대해 유용한 분석 범위인 30 내지 300mg/L 알부민의 예비 측정한 범위를 정한다. 알부민 시약이 30 내지 300mg/L에 상당하는 비색 결과를 나타내는 경우, 크레아틴에 대한 알부민의 비율은 수득한 색상 비(알부민 색상/크레아티닌 색상)를 사용하여 정한다. 알부민 시약이 30mg/L 미만 또는 300mg/L 이상의 결과를 나타내는 경우, 크레아티닌에 대한 알부민의 비율은 크레아티닌 시약을 사용하지 않고 표준 크레아틴 농도를 사용하여 정한다. 이는, 당해 범위를 벗어난 결과는 오차가 크고 부정확하기 때문에, 알부민 검정의 분석 결과를 벗어나는 데 사용되는 결과를 방지한다. 분석 범위를 벗어난 결과는 30mg/L 미만 또는 300mg/L 이상의 정확도로 알려져 있고, 이는 의학적으로 중요한 정보이다.
알부민 시약이 30 내지 300mg/L의 결과를 나타내는 경우, 비율은 크레아티닌 시약에 의해 형성된 색상에 상응하는 시험 샘플 속에서 알부민에 의해 형성된 색상에 상응하는 결과를 나누어 정한다. 이어서, 색상의 비율을 적합하게 프로그래밍된 반사율 분광계로 성취할 수 있는 산출 수준으로 색상 비율의 특이도로 정해서 크레아티닌에 대한 알부민의 농도 비율로 전환시킨다.
알부민 농도가 30mg/L 미만인 경우, 한계치는 크레아틴 1g당 알부민 30mg을 나타내는 30mg/g 미만으로 정해진다. 건강한 사람에 대한 표준 비율은 30mg/g으로 여겨진다. 20mg/g 또는 10mg/g과 같은 낮은 결과는, 한계치가 30mg/g 미만의 모든 값을 나타내기 때문에, 이는 변하지 않는다. 반대로, 알부민 농도가 300mg/L 이상인 경우, 300mg/g 이상의 모든 값을 나타내는 300mg/g 이상의 한계치로 정해진다. 30mg/g 미만 300mg/g 이상의 결과는 한도를 벗어난 결과라고 언급한다.
색상은 단지 일정한 흡수 범위, 통상적으로 0.1 내지 1.0 미만의 흡수 단위 또는 10 내지 99% 미만의 흡수율내에서 측정될 수 있다고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분광 광도계와 반사율 측정기를 전형적으로 프로그래밍하여 측정기가 측정할 수 있는 가장 근접한 색상 범위를 벗어난 색상을 정한다. 예를 들면, 7% 반사율은 10% 반사율로 판독되고, 이는 측정에 사용되는 값이다.
샘플 측정을 표 1에 나타내었는데, 이는 본 방법이 두 가지의 선행 기술 방법에서 수득한 비율보다 알부민 및 크레아티닌 시약에 크게 일치함을 설명한다.
비율 방법 보정 결과의 총 수 주의
분할 70% 실시예 1
색상 비율 방법 79% 실시예 2
제한을 넘어선 결과를 삭제한 색상 비율 방법 95% 실시예 3
표 1로부터, 제한을 넘어선 결과를 삭제하지 않은 색상 비율 방법으로 또는 단순한 분할보다는 본 발명의 방법으로 더 큰 분석 정확도를 수득할 수 있음을 결정할 수 있다.
다음 실시예는 이의 색상이 가시적으로나 장치적으로나 반사율 또는 흡광도로서 판독되는 비색계 분석을 전형적으로 포함하는 뇨 스트립 시약을 포함한다. 수득한 색상은 분석 농도에 직접적으로 비례한다. 알부민의 경우, 알부민 시약의 색상이 더 형성될수록 알부민은 뇨 샘플에 더 많이 존재한다. 색상을 분석 농도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색상의 특이도를 산출 수준으로 정한다. 분석물의 산출 수준은 평가의 전형적인 오차를 나타내는 농도 범위를 정한다. 이것은 모든 뇨 시약 스트립에 대하여 통상 실행하고 다음 표 2에서 알부민 및 크레아티닌 시약에 대해 나타낸다. 예를 들면, 표준 방법으로 알부민 값이 30mg/L인 임상 샘플은 알부민 스트립 색상에 의해 측정하면 20 내지 39mg/L이지만 알부민 농도가 30mg/L로 정해질 수 있다. 측정의 오차가 더 작을수록 당해 방법은 더 정량적이 된다.
알부민(mg/l) 크레아티닌(mg/dl)
산출 값 예상 농도 범위 산출 값 예상 농도 범위
0 0-20 30 0-64.9
30 20-39.9 100 65.0-149.9
80 40-119.9 200 150.0-249.9
150 120-199.9 300 250.0-350.0
실시예 1 - 비율 두 가지 분석물에 대한 선행 기술 방법
비율 두 가지 분석물에 대한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조사한 표(하기 표 3)를 사용하는 것이다.
mg 알부민/g 크레아티닌 비율 표: 정한 산출량
크레아티닌 알부민
0mg/l 30mg/l 80mg/l 150mg/l
30mg/dl <30mg/g 30-299mg/g 30-299mg/g 300mg/g
100mg/dl <30mg/g 30-299mg/g 30-299mg/g 30-299mg/g
200mg/dl <30mg/g <30mg/g 30-299mg/g 30-299mg/g
300mg/dl <30mg/g <30mg/g <30mg/g 30-299mg/g
스트립 산출량의 각각의 배합은 예상 비율 산출량을 정한다. 예상 산출량 비율은 표 4에 나타낸 각각의 스트립의 평균 결과의 분할을 기준으로 한다.
mg 알부민/g 크레아티닌 비율 표: 각각의 스트립을 분할한 평균 값
크레아티민 알부민
0mg/l 30mg/l 80mg/l 150mg/l
30mg/dl 0 100 267 500
100mg/dl 0 30 80 150
200mg/dl 0 15 40 75
300mg/dl 0 10 27 50
각각의 평균 산출 결과가 예상 범위를 나타내고 예상 범위의 극단이 항상 정한 산출량과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당해 방법은 오차를 도입한다. 예를 들면, 30mg/L의 알부민의 최저 극단은 19.9mg/L이고 100mg/dL의 크레아티닌의 최고 극단은 150mg/dL이다. 이들 극단의 예상 비율 산출량은 30 내지 299mg/g의 정한 범위 내에 있지 않는 13mg/g이다. 이러한 잘못 정한 양은 시약이 표준 방법으로 100% 일치할지라도 미보정 비율 결과가 될 것이다.
당해 방법에서의 오차는, 스트립 결과가 275개의 입상 샘플의 표준 값과 비교되어 있는 다음의 정확한 표에 나타내었다. 크레아티닌 스트립 산출량에 대한 소정의 알부민을 정하는 임상 샘플의 범위는 당해 방법을 부정확하게 하고 비효율적이게 하는 예상 농도 범위보다 휠씬 크다. 산출량의 두 가지 수준(즉, 30mg/g 미만과 30mg/g 이상)에 대한 정확한 결과의 총 수는 스트립에 의해 30mg/g 이상이 표준 방법에 의해 30mg/g 미만인 185의 전체 결과 중 76의 결과에 의해 측정될 수 있는 부정확하게 정해진 30mg/g 초과 중 35% 이상이 70%(225 중의 86과 109)이다.
실시예 1의 방법으로 비율화하기 위한 정확한 표
표준 방법 알부민
크레아티닌 딥스틱 비율
<30mg/g >30mg/g
<30mg/g 86 76 162
>30mg/g 4 109 113
90 185 275
실시예 2
선행 기술에서 공지된 두 가지 분석물의 비율에 대한 기타 통상적인 방법은 각각의 시약에 대한 결과를 검출된 분석물의 농도로 전환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전환은 농도를 알고 있는 표준 샘플을 미지의 샘플과 비교하여 수행하고 두 가지 샘플의 색상 차이에 대해 미지의 상대 농도를 정해 수행한다. 이어서, 분석물 농도는 분할하여 농도의 비를 수득할 수 있다. 이러한 접근은 정확도가 높은 비색 분석법과 함께 매우 통상적이다. 그러나, 정확도가 낮은 비색 분석법, 예를 들면, 뇨 딥스틱 방법을 사용하면, 당해 방법은 간섭을 증가시키는 한계 오차에 대해 시약을 시간에 맞추어 첨가하고 희석시킬 수 있는 용액 방법보다 분석 범위가 더 작기 때문에 불리하다. 이러한 정량방법은 마주칠 것이라고 기대되는 농도 이상으로 확대하는 분석 범위를 갖는다.
다음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율화한 당해 방법의 결과는 단지 실시예 1에 기술한 방법보다 약간 더 작다. 산출량의 두 가지 수준에 대한 정확한 결과의 총 수는 79%( )이다.
실시예 2의 방법으로 비율화하기 위한 정확한 표
표준 방법 알부민
크레아티닌 딥스틱 비율
<30mg/g ≥30mg/g
<30mg/g 125 37 162
≥30mg/g 20 93 113
145 130 275
실시예 3
본 발명의 비율화 방법은 각각의 시약으로 형성된 색상으로 배합하여 두 가지 시약으로 형성된 색상의 분할된 결과를 사용한다.
처음에는, 제1 분석물에 민감한 시약의 색상은 제1 분석물의 농도로 전환, 즉 색상의 특이도를 산출 값으로 정한다. 산출 수준을 측정하고 수준이 유용한 분석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이는 제2 분석물의 미보정 값을 사용하여 비율을 정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면, 뇨의 30㎎/ℓ 미만 또는 300㎎/ℓ 이상의 결과를 수득하는 알부민 시약은 크레아티닌 시약 결과를 참고하지 않고 산출 비율을 정하는 대신, 1,000㎎/ℓ에서 표준 크레아틴 값을 사용한다. 30㎎/ℓ 미만의 농도에서 알부민을 30㎎/㎎ 미만의 비율로 정하고, 300㎎/ℓ 이상의 농도에서 알부민을 300㎎/㎎ 미만의 비율로 정한다. 제1 분석물의 산출량이 유용한 분석 범위 이내인 경우, 제1 분석물에 민감한 시약으로 형성된 색상은 제2 분석물에 민감한 시약으로 형성된 색상에 의해 분할된다. 이어서, 색상의 비율은 표 6에 나타낸 농도의 비율로 전화시킨다.
산출 값 색상 비율
<30 <1.5
30-300 1.5 내지 3
>300 >3
*㎎ 알부민/g 크레아티닌
예를 들면, 80㎎/ℓ의 결과를 나타내는 알부민 시약은 알부민 시약과 크레아틴 시약의 색상 비율을 기준으로 하여 산출 비율을 정하는데, 색상 비율이 1.7인 경우, 산출 비율은 30 내지 300㎎/g로 정할 수 있다.
다음 표 7은 당해 방법이 이전에 기술한 방법보다 더 크게 일치함을 나타낸다. 크게 일치하는 것은 가장 큰 오차가 종종 이의 산출 범위, 즉 최저 산출 수준 또는 최고 산출 수준을 지나는 말단에서 시약과 함께 관찰됨을 포함하기 때문이다. 분석 범위를 벗어나는 결과는 오차가 크고, 부정확하다. 최저 산출 수준 또는 최고 산출 수준이거나 이들 둘 다를 비율화된 특정 시약에 대해 제외할 수 있다. 표 7에서, 산출량의 두 가지 수준에 대한 정확한 결과의 총 수, 즉 30㎎/g 미만 또는 30㎎/g 이상은 95%이다. 이것은 샘플의 총수인 275로 나누어서 정확히 측정한 샘플의 수(149+112)로 측정할 수 있다.
실시예 2의 방법으로 비율화하기 위한 정확한 표
표준 방법 알부민
크레아티닌 딥스틱 비율
<30mg/g ≥30mg/g
<30mg/g 149 13 162
≥30mg/g 1 112 113
150 125 275
본 발명의 체액 샘플에서 분석물의 반정량 측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1 분석물의 농도와 제2 분석물의 농도를 비율화하는 당해 방법은, 부정확한 양(+)의 결과와 부정확한 음(-)의 결과가 거의 보고되지 않으면서 정확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유리하다.

Claims (10)

  1. 유체 샘플 속에서의 농도가 측정되는 제1 분석물과 유체 샘플 속에서의 농도가 제1 분석물의 농도와 임상적으로 관련되는 제2 분석물의 농도에 대하여 체액 샘플을 비색 분석하는 방법(여기서, 제2 분석물에 대한 제1 분석물의 비율은 유체 샘플 속에서의 제1 분석물의 농도 측정을 보정하는 데 사용된다)에 있어서,
    제1 분석물의 미보정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a),
    제1 분석물의 미보정 농도가 제1 분석물에 대하여 유용한 분석 범위 이내인지 또는 이를 벗어나는지의 여부를 측정하는 단계(b),
    제1 분석물의 미보정 농도가 제1 분석물에 대하여 유용한 분석 범위 이내인 경우, 제2 분석물의 농도를 측정하고, 제1 분석물로부터의 반응을 제2 분석물로부터의 반응으로 나누어 제2 분석물에 대한 제1 분석물의 비율을 정한 다음, 제1 분석물의 미보정 농도를 제2 분석물의 농도로 나누어 보정한 제1 분석물의 농도에 상응하는 산출 수준을 제2 분석물에 대한 제1 분석물의 비율로 정하는 단계(c) 또는
    제1 분석물의 미보정 농도가 제1 분석물에 대하여 유용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단계(a)에서 측정한 바와 같은 제1 분석물의 미보정 농도와 제2 분석물의 표준 농도를 기준으로 하여 제2 분석물에 대한 제1 분석물의 비율을 정하는 단계(d)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체액이 뇨(尿)이고, 제2 분석물이 신장(腎臟) 흐름에서의 변화를 보정하는 데 사용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제1 분석물이 알부민이고, 제2 분석물이 크레아티닌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제1 분석물/제2 분석물 쌍이 잠혈(潛血)/크레아티닌, 류코사이트/크레아티닌, 단백질/크레아티닌, 글루코스/크레아티닌 또는 IgG/알부민인 방법.
  5. 제1 분석물의 비색 측정용 제1 영역과 제2 분석물의 비색 측정용 제2 영역을 함유하며 유체 샘플이 흐를 수 있는 흡수재인 시험 스트립을 제공하는 단계(a),
    스트립을 유체 샘플로 처리하여 스트립을 전개시킴으로써, 유체 샘플이 제1 영역 및 제2 영역과 접촉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b),
    스트립의 제1 영역에서의 색상 변화를 판독하여 유체 샘플에서의 제1 분석물의 미보정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c),
    제1 분석물의 미보정 농도가 제1 분석물의 유용한 분석 범위 이내인지 또는 이를 벗어나는지의 여부를 측정하는 단계(d),
    제1 분석물의 미보정 농도가 제1 분석물에 대하여 유용한 분석 범위 이내인 경우, 스트립의 제2 영역을 판독하고, 제1 분석물로부터의 색상 반응을 제2 분석물로부터의 색상 반응으로 나누어 제2 분석물에 대한 제1 분석물의 비율을 정한 다음, 제1 분석물의 미보정 농도를 제2 분석물의 농도로 나누어 보정한 제1 분석물의 농도에 상응하는 산출 비율을 색상 비율의 특이도(specific degree)로 정하는 단계(e) 또는
    제1 분석물의 미보정 농도가 제1 분석물에 대하여 유용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단계(c)에서 측정한 바와 같은 제1 분석물의 미보정 농도를 제2 분석물의 표준 농도로 나눈 것을 기준으로 하여 제2 분석물에 대한 제1 분석물의 비율을 정하는 단계(f)를 포함하여, 신체 유체 샘플을 측정하여 신체 유체 샘플에 함유된 제1 분석물인 알부민과 제2 분석물의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체액이 뇨이고, 제2 분석물이 신장 흐름에서의 변화를 보정하는 데 사용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제1 분석물이 알부민이고, 제2 분석물이 크레아티닌인 방법.
  8. 시험 샘플 뿐만 아니라 분석물과 당해 분석물용의 표지된 결합 파트너를 모세관 현상에 의해 흐르게 하고 서로 유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다음 영역들(i), (ii) 및 (iii), 즉 유체 샘플을 적용하는 흡수 영역(i), 제1 분석물용의 특이 결합 파트너(여기서, 당해 결합 파트너는 가시적으로 탐지 가능한 미립상 표지물을 함유한다)를 함유하는 영역(ii), 부동화 형태의 제1 분석물을 함유하는 제1 시약 영역(iii) 및 착색된 탐지 가능한 반응(이의 강도는 유체 샘플 속에서의 제2 분석물의 농도에 비례한다)을 제공할 수 있는 제2 시약 영역(iv)을 포함하는 시험 스트립 재료를 제공하는 단계(a),
    유체 시험 샘플을 시험 스트립의 흡수 영역에 처리한 다음, 유체 시험 샘플을 스트립을 따라 모세관 현상에 의해 흐르게 하는 단계(b),
    제1 분석물의 미보정 농도를 과립상 표지물로부터의 가시적으로 탐지 가능한 신호의 강도 함수로서 측정한 다음, 제1 분석물의 미보정 농도가 제1 분석물에 대하여 유용한 분석 범위 이내인지 또는 이를 벗어나는지의 여부를 측정하는 단계(c),
    제1 분석물의 미보정 농도가 유용한 분석 범위 이내인 경우, 제2 분석물의 농도를 측정하고, 제1 분석물로부터의 색상 반응을 제2 분석물로부터의 색상 반응으로 나누어 제2 분석물에 대한 제1 분석물의 비율을 정한 다음, 제1 분석물의 보정 농도에 상응하는 산출 수준을 색상 비율의 특이도로 정하는 단계(d) 또는
    제1 분석물의 미보정 농도가 제1 분석물에 대하여 유용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단계(c)에서 측정한 바와 같은 제1 분석물의 미보정 농도를 제2 분석물의 표준 농도로 나눈 것을 기준으로 하여 제2 분석물에 대한 제1 분석물의 비율을 정하는 단계(e)를 포함하여, 체액 샘플을 분석하여 시험 샘플에서의 제1 분석물의 농도를 유체 샘플에서의 제1 분석물의 농도와 임상적으로 관련있는 체액에서의 제2 분석물 농도 비율로서 측정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제1 분석물이 알부민이고, 제2 분석물이 크레아티닌인 방법.
  10. 뇨 샘플 속의 알부민의 미보정 농도를 비색 수단으로 측정하는 단계(a) 및
    알부민의 미보정 농도가 30mg/L 미만 또는 300mg/L 이상인 경우, 미보정 농도를 1,000mg/L로 나누어 보정된 알부민 농도를 나타내는 비율을 수득하는 단계(b)를 포함하는, 뇨 샘플 속의 알부민의 비색 분석법.
KR1019980042664A 1997-10-14 1998-10-13 체액샘플에서 분석물의 준정량적 측정의 정확도를 개선시키는 방법 KR1007309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4952097A 1997-10-14 1997-10-14
US08/949,520 1997-10-14
US8/949,520 1997-10-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039A true KR19990037039A (ko) 1999-05-25
KR100730900B1 KR100730900B1 (ko) 2007-12-12

Family

ID=25489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2664A KR100730900B1 (ko) 1997-10-14 1998-10-13 체액샘플에서 분석물의 준정량적 측정의 정확도를 개선시키는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0909953B1 (ko)
JP (1) JP4226118B2 (ko)
KR (1) KR100730900B1 (ko)
CN (1) CN1177223C (ko)
AU (1) AU737300B2 (ko)
CA (1) CA2250622A1 (ko)
DE (1) DE69836713T2 (ko)
ES (1) ES2279556T3 (ko)
TW (1) TW591230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1952A (ko) * 2013-03-12 2015-12-21 에피넥스 다이아그노스틱스, 인크. 소변 알부민 및 소변 크레아티닌에 대한 신속 검사
KR20210048474A (ko) * 2019-09-30 2021-05-03 에이치플렉스 주식회사 간단한 소변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36721B1 (en) * 1997-07-25 2002-08-20 Bayer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for obtaining clinically significant analyte ratios
GB0005564D0 (en) * 2000-03-08 2000-05-03 Inverness Medical Ltd Measurjement of substances in liquid
JP2003156487A (ja) * 2001-11-22 2003-05-30 Hamamatsu Photonics Kk 悪性腫瘍の検出方法および検出用キット
EP1715347B1 (en) * 2004-01-23 2011-09-21 ARKRAY, Inc. Method of protein measurement
WO2010011460A1 (en) * 2008-07-22 2010-01-28 Siemens Healthcare Diagnostic Inc. Disease specific diagnostic aid
JP5778617B2 (ja) * 2011-04-25 2015-09-16 アークレイ株式会社 分析システム、分析方法及び分析プログラム
CN102519952B (zh) * 2011-11-25 2015-04-08 佛山市中南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试剂及用该试剂对食品中硼砂的快速测定方法
EP3276355B1 (en) * 2013-03-14 2020-05-06 Ascensia Diabetes Care Holdings AG Normalized calibration of analyte concentration determinations
CN106872379B (zh) * 2015-05-16 2019-08-27 深圳市启蒙智慧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尿液成分测量分析仪
CN106443022A (zh) * 2016-07-12 2017-02-22 昆明云大生物技术有限公司 促黄体生成素半定量排卵检测试纸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39295A (en) * 1983-06-30 1985-09-03 Beckman Instruments, Inc. Binary kinetic assay method and apparatus
GB8607101D0 (en) * 1986-03-21 1986-04-30 Serono Diagnostics Ltd Immunoassay
DE3633497A1 (de) * 1986-10-02 1988-04-14 Hoechst Ag Immunometrisches bestimmungsverfahren
US5206179A (en) * 1991-03-25 1993-04-27 Abbott Laboratories Fluorescence polarization immunoassays for multiple analytes using sequential addition of tracers
DE4309393A1 (de) * 1993-03-23 1994-09-29 Boehringer Mannheim Gmbh Verringerung des Hook-Effekts in Immuntests mit teilchenförmigem Trägermaterial
US5804452A (en) * 1995-04-27 1998-09-08 Quidel Corporation One step urine creatinine assays
US6436721B1 (en) * 1997-07-25 2002-08-20 Bayer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for obtaining clinically significant analyte ratio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1952A (ko) * 2013-03-12 2015-12-21 에피넥스 다이아그노스틱스, 인크. 소변 알부민 및 소변 크레아티닌에 대한 신속 검사
KR20210048474A (ko) * 2019-09-30 2021-05-03 에이치플렉스 주식회사 간단한 소변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7223C (zh) 2004-11-24
DE69836713D1 (de) 2007-02-08
JPH11190735A (ja) 1999-07-13
KR100730900B1 (ko) 2007-12-12
CA2250622A1 (en) 1999-04-14
JP4226118B2 (ja) 2009-02-18
AU8844698A (en) 1999-05-06
ES2279556T3 (es) 2007-08-16
DE69836713T2 (de) 2007-10-11
TW591230B (en) 2004-06-11
EP0909953A2 (en) 1999-04-21
EP0909953A3 (en) 2000-03-15
AU737300B2 (en) 2001-08-16
CN1218909A (zh) 1999-06-09
EP0909953B1 (en) 2006-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23729B2 (en) Universal testing system for quantitative analysis
JP4183308B2 (ja) 臨床的に重要な分析対象物比を得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US10132805B2 (en) Multi-application approach for photometric determination of an analyte in a fluid sample on an automated analyzer
EP1416276B1 (en) Biosensors and measurement method
Booker et al. Enzymatic immunoassay vs. gas/liquid chromatography for determination of phenobarbital and diphenylhydantoin in serum
KR100730900B1 (ko) 체액샘플에서 분석물의 준정량적 측정의 정확도를 개선시키는 방법
US6306660B1 (en) Method for improving the accuracy of the semi-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analyte in fluid samples
Sankiewicz et al. An SPR imaging immunosensor for leptin determination in blood plasma
WO2010011460A1 (en) Disease specific diagnostic aid
CA2165935C (en) Calibrating and testing immunoassays to minimize interferences
White et al. An automated procedure, with use of ferrozine, for assay of serum iron and total iron-binding capacity
KR20020066792A (ko) 면역크로마토그라피법을 이용한 당뇨 신속 진단 킷트 및분석 방법
KR20040018893A (ko) 면역크로마토그라피법을 이용한 당화혈색소 진단 킷트 및분석 방법
JP4600787B2 (ja) クロマトデバイス
JP3481894B2 (ja) 免疫学的クロマト方式を利用した測定方法
MXPA98008456A (es) Metodo para mejorar la exactitud de la determinacion semicuantitativa de analito en muestras fluidas
CN114814243B (zh) 应用于蛋白质抗原的定量检测试剂盒及方法
Pugia Technology behind diagnostic reagent strips
Kumar et al. A test strip for the estimation of urea in serum
Chowdhury et al. An image based quantitative fluorescence immunoassay reader for HbA1c testing: Calibration & repeatability study
JP3723826B2 (ja) 抗体を利用した測定方法
JP2022546531A (ja) ラテラルフロー免疫化学における定量的分析物検出
Boguslaski et al. Multilayer film immunoass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