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6966A - 필기구 - Google Patents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6966A
KR19990036966A KR1019980042151A KR19980042151A KR19990036966A KR 19990036966 A KR19990036966 A KR 19990036966A KR 1019980042151 A KR1019980042151 A KR 1019980042151A KR 19980042151 A KR19980042151 A KR 19980042151A KR 19990036966 A KR19990036966 A KR 199900369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ink
rear end
vent
writing instru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2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9559B1 (ko
Inventor
타케히코 요코스카
타카오 이나바
히데유키 타나카
Original Assignee
우에스기 사치나리
파이롯트잉크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에스기 사치나리, 파이롯트잉크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우에스기 사치나리
Publication of KR19990036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6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9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95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02Ink reservoirs; Ink cartridges
    • B43K7/08Preventing leakage

Landscapes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필기구 뒷단에서의 잉크누출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앞단에 펜끝(2)을 갖춘 축통(3)내부에 직접 잉크(11)와, 이 잉크(11)의 소비에 따라 전진하는 추종체(12)를 수용한다. 바닥이 있는 통체로 이루어지는 외미전(外尾栓)(4)을 축통(3) 후부외면에 끼워부착한다. 축통(3) 후부외면과 외미전(4) 내면 사이에 축통(3)의 뒷단개구부를 거쳐 축통(3)내부와 연통하는 통기로(6)를 형성한다. 또한 통기로(6)와 외기를 연통시키는 통기구(61)는 축통(3)의 뒷단개구부보다 앞쪽에 마련한다.

Description

필기구
본 발명은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더욱 더 상세하게는 앞단에 펜끝을 갖춘 축통내부에 직접 잉크 및 이 잉크의 소비에 따라 전진하는 추종체를 수용한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런 종류의 필기구에 있어서 예를들면 일본국 특개평 6-115291호 공보에는 축통안에 직접 잉크 및 추종체를 수용하고, 상기 축통의 뒷단개구부 내면에 통기수단을 갖춘 미전(尾栓)(본 발명의 내미전에 상당)을 끼워부착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 개시되고 있다.
특히 축통안에 직접 잉크 및 추종체를 수용하는 것에 있어서는 대용량의 잉크를 수용할 수 있다고 해도 펜끝을 위쪽으로 하면 대용량 잉크자체무게에 의해 잉크가 역류(즉 잉크가 하강)되기 쉽다. 그 때문에 상기 종래의 필기구에서는 펜끝이 위쪽상태에 있을 때 잉크의 역류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상기 미전내에 자체무게에 의해 작동하는 볼밸브로 이루어지는 역류방지 밸브장치가 마련되어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필기구는 미전의 뒷단에 통기공이 개구되어있기 때문에 상기 미전의 통기공내로 외부에서 먼지가 들어오기 때문에 역류방지 밸브장치의 밸브기능을 저해할 염려가 있었다. 혹시 상기 역류방지 밸브장치가 정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 상기 통기공에서 외부로 잉크가 누출될 염려가 있고 또한 이 때 필기구를 의복주머니에 꽂고있으면 누출된 잉크에 의해 의복이 더러워지게 된다. 즉 종래 이런종류의 필기구에 있어서 역류방지 밸브장치가 작동불량이 되었을 때 어떠한 안전대책을 취할 수 없어 필기구 뒷단에서 잉크가 누출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대용량의 잉크를 수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필기구 뒷단에서의 잉크누출을 확실하게 방지하고, 잉크누출사고에 대해 안전한 필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앞」은 펜끝쪽을 나타내고, 「뒤」는 미전쪽을 나타낸다.
(개요)
본 발명은 앞단에 펜끝(2)을 갖춘 축통(3) 내부에 직접 잉크(11)와, 이 잉크(11)의 소비에 따라 전진하는 추종체(12)를 수용한 필기구(1)로서, 바닥이 있는 통체로 이루어지는 외미전(4)을 축통(3) 후부외면에 끼워부착하고, 상기 축통(3) 후부외면과 상기 외미전(4) 내면 사이에 축통(3)의 뒷단개구부를 거쳐 축통(3) 내부와 연통하는 통기로(6)를 형성하며, 상기 통기로(6)와 외기를 연통시키는 통기구(61)를 상기 축통(3)의 뒷단개구부보다 앞쪽에 마련한 것(청구항 1)을 요건으로 한다. (도1, 도 7, 도 8 및 도 9에 대응)
상기 구성(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미전(4)을 축통(3) 후부외면으로 끼워부착하는 것에 의해 축통(3)의 뒷단개구부의 외주면이 덮이고, 통기구(61)가 축통(3)의 뒷단개구부보다 앞쪽에 위치한다. 그에 따라 통기로(6)가 축통(3)의 뒷단개구부에서 앞쪽으로 우회되므로 혹시 잉크(11)가 축통(3)의 뒷단개구부에서 누출된다고 해도 외미전(4)의 바닥부(폐쇄벽부(42))에 의해 필기구(1)의 뒷단에 구멍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필기구(1) 뒷단에서 외부로의 잉크(11)누출을 방지할 수 있어 잉크누출에 대한 안전성이 향상된다.
또 상기 통기로(6)가 통기구(61)를 통해 외기와 연통함과 동시에 축통(3)의 뒷단개구부를 통해 축통(3)내부 (즉 축통(3)내부의 추종체(12) 뒤쪽의 공간)와 연통하고 있기 때문에 축통(3) 내부가 상시 대기압이 되어 필기시 잉크(11) 소비에 따른 잉크(11) 및 추종체(12)의 전진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또 상기 외미전(4)은 한쪽에 개구단부(41)를 갖추고, 다른쪽에 폐쇄벽부(42)를 갖추는 바닥이 있는 통체가 바람직하다.
(그립부)
상기 청구항 1의 필기구(1)에 있어서 외미전(4) 앞쪽의 축통(3) 외면에 그립부(32)를 마련하고, 상기 그립부(32)의 뒤쪽에 통기구(61)를 마련한 구성(청구항 2)이 바람직하다.(도1, 도7, 도8 및 도9에 대응)
상기 구성(청구항 2)에 의해 외미전(4)은 축통(3) 앞부분에 그립부를 남겨두도록 축통(3)후부에 장착되기 때문에 그립부(32)의 외경은 외미전(4)의 외경에 상관없이 손에 잡기 쉬운 두께로 자유로이 설정할 수 있으며 또한 축통(3) 전부를 외미전(4)으로 덮지 않기 때문에 축통(3)을 굵게하여 잉크수용량을 크게 할 수 있다. 만약 외미전(4) 외주면에 그립부(32)를 구성한 경우에는 외미전(4)에 의해 축통(3) 앞부분이 덮이기 때문에 축통(3)이 작아져 잉크수용량이 적어지게 된다.
또 통기구(61)를 그립부(32)뒤쪽에 배치하기 때문에 필기시 손가락으로 통기구(61)를 막지 않아 통기로(6)의 통기성능을 방해하지 않는다.
또 상기 그립부(32)는 필기시 통상, 사용자가 검지손가락과 엄지손가락 사이에 잡히는 곳으로, 구체적으로는 축통(3)의 앞부분에 요철부(예를들면 환상돌기, 환상홈, 나선상돌기, 나선상홈, 점상볼록부, 점상요입부)나 탄성재료로 이루어지는 미끄럼방지부를 축통(3)과 일체로 또는 별도로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립부로서의 기능을 하는 것이라면 평활면이라도 상관없다.
또 필기시, 그립부(32)가 손가락사이에 끼워짐과 동시에 외미전(4)의 외면은 통상 검지와 엄지손가락 사이에 지지된다. 지간(指間)에 의해 상기 외미전(4)의 외면을 적정하게 지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외미전(4)을 비가요성의 통체, 예를들면 금속이나 합성수지 등의 재료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속부)
또 상기 청구항 1 또는 2의 필기구(1)에 있어서 축통(3)외면과 외미전(4) 내면의 접속부(5)에 축통(3)의 뒷단개구부를 거쳐 외기와 축통(3) 내부를 연통시키는 통기로(6)를 관통시킨 구성(청구항 3)이 바람직하다. (도 1, 도 7, 도 8 및 도 9에 대응)
상기 구성(청구항 3)에 의해 외미전(4)을 축통(3)에 끼워부착할 때 외미전(4) 내부(즉, 축통(3) 내부의 추종체(12) 뒤쪽공간)의 압력상승을 피하고, 펜끝(2)에서의 잉크누출을 방지한다.
또 상기 외미전(4) 내면은 축통(3) 후부 외면에 끼워부착되지만 외미전(4) 내면과 축통(3) 외면을 접속시키는 접속부(5)의 구체적인 구조는 예를들면 감착(嵌着), 나착(螺着), 접착, 용착 등을 들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감착이 제조조립이 용이한 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감착구조라 함은 예를들어 압입감합 등이다.
또 상기 접속부(5)의 접속구조가 감착일 때 상기 접속부(5)에 통기로(6)를 마련하는 수단으로서는 축통(3)외면에 또는 외미전(4) 내면에 감합용 돌기를 마련하고 거기에 통기홈을 마련하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통기구)
상기 청구항 1,2 또는 3의 필기구(1)에 있어서, 상기 통기구(61)로서 외미전(4)의 외측면에 가로구멍을 뚫어도 좋지만 통기구(61)를 외미전(4)의 개구단부(41)에 위치시키는 구성(청구항 4)이 바람직하다. (도 1,도 7, 도 8 및 도 9에 대응)
상기 구성(청구항 4)에 의해 통기구(61)를 될 수 있는 한 필기구(1)뒷단에서 떨어진 앞쪽에 위치시킴으로써 통기로(6)의 길이(즉 축통(3) 뒷단에서 통기구(61)까지의 긴쪽길이)를 길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잉크누출을 한층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통기구(61)를 마련하기 위해 외미전(4)의 외측면에 가로구멍을 개구시킬 필요가 없어 간단한 구조로 제조가 쉬워진다.
또 상기 청구항 1,2,3 또는 4의 필기구(1)에 있어서 통기구(61)를 여러개(즉 2개이상)로 하는 것(청구항 5)이 바람직하다. (도1, 도7, 도8 및 도 9에 대응)
왜냐하면 필기시 사용자가 필기구(1)를 손가락사이에 끼울 때 2개이상의 통기구(61)를 동시에 손가락으로 막을 수 없고, 특히 그립부(32)의 뒤쪽에 통기구(61)를 마련한 경우(청구항 2)는 2개이상의 통기구(61)를 손가락으로 동시에 막는 경우는 거의 있을 수 없기 때문이다. 즉 손가락으로 하나의 통기구(61)를 막았다고 해도 다른쪽의 통기구(61)가 개구되어있기 때문에 모든 통기구(61)를 손가락으로 막을 염려가 없어 필기시 통기로(6)의 통기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추종체)
추종체(12)는 잉크(11)의 뒷단에 접촉·배치되고, 필기시 잉크(11)의 소비에 따라 전진하며 또한 펜끝이 위쪽을 향할 때 잉크(11)의 역류를 방지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그리스상 물질(난(難)휘발성 또는 불휘발성 용제에 겔화제를 배합한 것 등의 점성 또는 점탄성상을 나타내는 것을 포함함), 탄성재로 이루어지는 피스톤, 상기 그리스상 물질과 병용되는 피스톤 또는 상기 그리스상 물질과 병용되는 봉형 또는 통형의 합성수지 성형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특히 청구항 1의 필기구(1)에 있어서 추종체(12)가 그리스상인 것(청구항 6)이 바람직하다. (도 1, 도 7, 도 8 및 도 9에 대응)
상기 그리스상 추종체(12)는 피스톤에 비해 축통(3)의 뒷단개구부에서 외부로 누출되기 쉽지만 청구항 1의 구성(즉 바닥이 있는 통체로 이루어지는 외미전(4) 내주면을 축통(3) 후부 외주면에 끼워부착하는 구성)과 서로 어울려 필기구(1) 뒷단에서 잉크누출은 피할 수 있다.
또 일반적으로 추종체(12)가 그리스상인 경우 제조공정에서 축통(3) 뒷단 외주면에 그리스상 물질이 부착되기 쉬워 종래에는 그것을 닦아내는 작업이 필요했지만 상기 청구항 1의 구성에 의해 외미전(4)으로 축통(3) 뒷단외주면이 덮이기 때문에 그리스상 물질을 닦아내는 작업이 필요없게 되며 그 결과 제조공정이 간소화될 뿐 아니라 축통(3) 외주면에 가식(加飾)인쇄를 갖는 경우 닦아낼 때 그 가식인쇄를 손상시키는 경우가 없다.
(내미전(內尾栓))
또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6의 필기구(1)에 있어서, 축통(3)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통기공(74)을 갖춘 내미전(7)을 축통(3)의 뒷단개구부 내면에 끼워부착한 것(청구항 7)이 바람직하다. (도 1, 도 8, 도 9에 대응)
그에 따라 잉크(11), 또는 잉크(11)와 그리스상 추종체(12)가 역류했을 때 우선 내미전(7)에 의해 축통(3) 뒷단개구부에서의 잉크누출을 억제할 수 있고, 외미전(4)의 잉크누출방지 작용과 더불어 한층 잉크누출에 대한 안전성이 향상된다.
(역류방지 밸브장치)
또 청구항 1,6 또는 7의 필기구에 있어서, 필기시에 개구하고 필기하지 않을 때 폐쇄하는 역류방지 밸브장치(9)를 펜끝(2)내부, 축통(3)내부의 펜끝(2) 근방 또는 축통(3) 내부의 추종체(12) 뒤쪽에 마련한 구성(청구항 8)이 바람직하다. (도 8 및 도 9에 대응)
상기 구성(청구항 8)의 역류방지 밸브장치(9)에 의해 축통(3)안에 있어서 잉크의 역류가 억제되기 때문에 외미전(4)의 필기구 뒷단에서의 잉크누출 방지작용과 더불어 잉크누출에 대한 안전성이 보다 더 향상된다.
상기 역류방지 밸브장치(9)는 구체적으로는 펜끝(2)이나 홀더(8)의 잉크유통구멍(82a)안 또는 내미전(7)의 통기공(74)안에 펜끝이 위쪽에 있을 때 폐쇄하고, 펜끝이 아래쪽을 향할 때 개구하는 밸브장치나 또는 볼펜끝인 경우에 펜끝의 볼(즉 볼밸브)을 스프링 등으로 앞쪽으로 부세하고, 필기시 필압에 의해 상기 볼밸브를 개구시키는 밸브장치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예를들면 도 8에는 상기 역류방지 밸브장치(9)를 홀더(8)안에 마련한 구성을 나타내고, 도 9에는 상기 역류방지 밸브장치(9)를 내미전(7)안에 마련한 구성을 나타낸다. 또 도시하지 않지만 상기 역류방지 밸브장치(9)를 홀더(8)안 및 내미전(7)안 양쪽에 배치할 수도 있다.
(잉크)
본 발명에 있어서 잉크(11)는 수성잉크 또는 유성잉크, 전단감점성(剪斷減粘性)을 갖춘 수성잉크 또는 유성잉크 등이 적당하다.
(펜끝)
본 발명에 있어서 펜끝(2)은 볼펜끝, 섬유다발의 수지가공체, 섬유다발의 열융착가공체, 펠트가공체, 합성수지제 연속기공체, 축방향의 잉크도출로를 갖는 합성수지의 압출성형체 또는 사출성형체, 만년필모양 판상펜체, 작은관모양 펜체, 모필(毛筆)모양 펜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펜끝은 축통(3)의 앞단에 직접 고착되어도 좋고, 홀더(8) 등의 다른 부재를 통해 간접적으로 고착되어도 좋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확대 A-A단면도.
도 3은 도 1의 확대 B-B단면도.
도 4는 도 1의 확대 C-C단면도.
도 5는 도 1의 축통의 요부외관도.
도 6은 도 1의 외미전의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필기구 11: 잉크
12: 추종체 2: 펜끝(볼펜끝)
3: 축통 31: 선단원추부
32: 그립부 33: 삽입부
34: 단차부 34a: 요입부
4: 외미전(外尾栓) 41: 개구단부
42: 폐쇄벽부 43: 지지부
5: 접속부 51: 다수의 감합용 돌기
52: 환상의 감합용 돌기 6: 통기로
61: 통기구 7: 내미전(內尾栓)
71: 소경부 72: 대경부
72a: 환상돌기 73: 플랜지부
74: 통기공 75: 환상공간
8: 홀더 81: 원추모양부
81a: 부착공 82: 통모양부
82a: 잉크유통구멍 9: 역류방지 밸브장치
91: 볼밸브 92: 접촉부
93: 밸브자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1) 제 1실시예
도 1∼도 6에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다.
제 1실시예의 필기구(1)는 볼펜끝(2)과, 이 볼펜끝(2)을 앞단에 갖춘 홀더(8)와, 이 홀더(8)를 앞단에 고착시키고 내부에 잉크(11) 및 추종체(12)를 수용한 축통(3)과, 이 축통(3)의 뒷단개구부의 내면을 끼워부착되는 내미전(7)과, 이 축통(3)의 뒷단개구부 외면을 포함하는 후부외면에 끼워부착되는 외미전(4)으로 이루어지는 볼펜이다.
(축통)
상기 축통(3)은 합성수지(예를들면 폴리프로필렌 등)의 사출성형에 의해 얻어지는 원통체이며, 펜끝(2)이 고착되는 선단원추부(31)와, 이 선단원추부(31)의 뒤쪽의 앞부외주면에 마련된 그립부(32)와, 이 그립부(32)보다 작은 지름의 삽입부(33)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그립부(32)는 축통(3)의 앞부외주면에 다수의 요철조가 주(周)모양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미끄럼방지기능을 갖는다.
상기 축통(3)의 내부에는 전단감점성을 갖는 수성잉크(11) 및 이 잉크의 뒷단에 그리스상의 추종체(12)가 충전된다.
상기 그립부(32)와 상기 삽입부(33) 사이에는(즉 삽입부(33)의 기단) 외미전(4)의 개구단부(41)가 접촉하는 단차부(3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단차부(34)에는 등간격으로 2곳에 지름방향 바깥쪽 및 축방향 뒤쪽으로 개구하는 요입부(34a)가 형성된다(도 2 및 도 5참조). 그에 따라 외미전(4)을 축통(3) 후부 바깥쪽에 끼우면 외미전(4)의 개구단부(41)가 단차부(34)에 접촉함과 동시에 외미전(4)의 개구단부(41)와 단차부(34) 사이에 2개의 통기구(61)가 형성된다.
또 상기 축통(3)의 삽입부(33)의 기단근방 외주면에는 접속부(5)를 구성하기 위해 주모양으로 간격을 둔 다수개(여기서는 4개)의 감합용 돌기(51)가 2열로 일체로 형성된다(도 3 및 도 5참조).
통기구(61)는 정방형의 형상을 이루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그 축방향(세로치수)은 통상 0.2mm∼0.4mm로서, 그 주방향(가로치수)은 통상 1mm∼3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외미전)
상기 외미전(4)은 한쪽에 개구단부(41)를 갖추고 다른 쪽에 폐쇄벽부(42)를 갖춘 바닥이 있는 원통체이며, 합성수지(예를들면 폴리프로필렌 등)의 사출성형에 의해 얻어진다. 상기 외미전(4)의 개구단부(41)에서 외미전(4)내부에 축통(4)의 삽입부(33)가 삽입된다. 또 상기 외미전(4)의 외주면에는 전사인쇄에 의해 가식이 실시된다.
또 상기 외미전(4)의 개구단부(41) 근방의 내주면에는 접속부(5)를 구성하는 환상의 감합용 돌기(52)가 일체로 형성된다(도 6참조).
상기 외미전(4)과 상기 축통(3)을 접속하는 접속부(5)는 축통(3)의 뒷단개구부와 통기구(61)사이에 배치되고 외미전(4)이 축통(3)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지며, 상기 축통(3)의 외주면에 마련한 다수의 감합용 돌기(51)와 상기 외미전(4) 내주면에 마련한 환상의 감합용 돌기(52)로 이루어진다. 상기 축통(3)의 삽입부(33) 외면에 상기 외미전(4)을 감착했을 때 상기 다수의 감합용 돌기(51)가 외미전(4)의 내주면과 압접함과 동시에 상기 환상의 감합용 돌기(52)가 상기 다수의 감합용 돌기(51)의 뒤쪽과 감합하고 있다. 그로써 필기시 축통(3)에서 외미전(4)이 쉽게 분리되지 않는 강고한 연결구조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 외미전(4)의 접속부(5) 및 지지부(43)를 제외한 내경은 축통(3)의 삽입부(33)의 접속부(5)를 제외한 외경보다 크게 설정되고, 접속부(5) 및 지지부(43)를 제외한 외미전(4) 내면과 축통(3) 외면 사이에 통모양의 통기로(6)가 형성된다.
통기로(6)는 축통외면과 외미전 내면 사이의 통모양의 공간이다. 외미전(4)의 내경은 통상 7.6mm∼8.3mm이며, 축통(3)의 삽입부(33)의 외경은 통상 7.4∼7.8mm이다. 즉 외미전(4)의 내경과 축통(3)의 삽입부(33)의 외경차는 0.2∼0.5mm로서 외미전(4)의 내면과 축통(3) 외면의 거리는 0.1mm∼0.25mm가 된다.
또 축통(3)의 삽입부(33) 외면에 외미전(4) 내면을 감착했을 때 상기 외미전(4) 내면의 환상의 감합용 돌기(52)는 축통(3) 외주면과 접촉하지 않고 또 다수의 감합용 돌기(51)의 상호간의 간극에 의해 외미전(4) 내면과 축통(3) 외면 사이에 통기로(6)가 형성된다(도 3참조). 즉 접속부(5)에 축통(3)의 뒷단개구부에서 통기구(61)에 이르는 통기로(6)가 관통된다.
또 상기 외미전(4)의 폐쇄벽부(42) 근방 내면에는 다수(여기서는 6개)의 리브로 이루어지는 지지부(43)가 지름방향 안쪽으로 일체로 돌설된다(도 4 및 도 6참조). 상기 지지부(43)는 축통(3) 뒷단(즉 삽입부(33) 뒷단) 외주면과 감합하여 축통(3) 뒷단 외주면을 지름방향으로 지지하고, 필기시 외미전(4)과 축통(3)의 덜컹거림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리브 상호간에 통기로(6)를 형성하고 있다. 또 상기 지지부(43)의 축통(3) 뒷단에서 뒤쪽부분은 지름방향 안쪽으로 더욱 돌출되고, 축통(3)의 뒷단개구부에 부착되는 내미전(7)의 뒷단 근방(즉 플랜지부(73) 뒷단면 근방)에 위치하며 그에 따라 축통(3)의 뒷단개구부에서 내미전(7)이 탈락하는 것을 방지한다.
(내미전)
축통(3)의 뒷단개구부 내면에는 내미전(7)이 끼워부착된다. 상기 내미전(7)은 합성수지(예를들어 폴리프로필렌 등)의 사출성형에 의해 얻어지고, 앞단의 소경부(71)와, 이 소경부(71)의 뒷단에 연결된 대경부(72)와, 이 대경부(72)의 뒷단에 연결된 플랜지부(73)로 이루어진다. 상기 대경부(72)에는 그 외주면에 환상돌기(72a)가 일체로 마련되고, 그것이 축통(3)의 뒷단개구부 내주면에 압접한다. 또 상기 플랜지부(73)는 그 앞면이 축통(3) 뒷단면과 접촉하고 있다.
상기 소경부(71) 외주면과 축통(3) 내주면 사이에는 환상공간(75)이 형성된다. 상기 환상공간(75)은 잉크(11) 및 그리스상 추종체(12)가 하강했을 때 잉크(11) 및 그리스상 추종체(12)를 일시적으로 고정하여 잉크(11) 및 그리스상 추종체(12)의 누출을 억제하고 있다. 또 상기 내미전(7)에는 축심에 통기공(74)이 관통되고, 특히 앞단에 있는 소경부(71)의 통기공(74)은 내경 1.4mm로 비교적 소경이므로 그리스상 추종체(12)의 유출을 억제한다.
(볼펜끝)
상기 볼펜끝(2)은 금속제(구체적으로는 스테인레스강제)의 파이프를 바깥쪽에서 압착변형하고, 다수의 안쪽 돌출부를 형성하며, 상기 안쪽 돌출부를 볼받이 자리로 한 파이프방식의 볼펜끝이다. 그리고 상기 볼받이 자리의 앞면에는 초경합금제의 볼(초경합금제·외경 0.5mm)이 회전가능하게 포지(抱持)된다. 이 외에도 상기 볼펜끝(2)은 금속재료의 절삭가공 및 브로치가공에 의해 볼받이 자리를 형성하는 타입의 볼펜끝으로 할 수도 있다.
(홀더)
상기 홀더(8)는 합성수지(예를들어 폴리프로필렌 등)의 사출성형체로서, 볼펜끝(2)이 압입고착되는 부착공(81a)을 갖춘 원추모양부(81)와, 축통(3)의 선단원추부(31)의 선단구멍 내면과 액밀감합하여 내부에 잉크유통구멍(82a)을 갖춘 통모양부(82)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2) 제 2실시예
도 7에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는 상기 제 1실시예(도 1∼도 6)의 필기구(1)의 구성에서 내미전(7)을 뺀 구성으로, 그에 따라 제 1실시예의 필기구(1)보다도 부품점수를 감소시킨 간단한 구성으로 할 수 있으며 필기구 뒷단에서의 잉크(11) 및 그리스상 추종체(12)의 누출을 방지한 필기구를 싼 값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성은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3) 제 3실시예
도 8에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낸다. 이는 제 1실시예(도 1∼도6)의 필기구(1)의 구성에 있어서 홀더(8)의 잉크유통구멍(82a)안에 역류방지 밸브장치(9)를 배치하는 구성으로 다른 구성은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상기 역류방지 밸브장치(9)는 잉크유통공(82a)안을 전후방향으로 여유있게 움직일 수 있는 볼밸브(91)와, 펜끝이 아래쪽일 때 상기 볼밸브(91)의 잉크유통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접촉부(92)와, 펜끝이 위쪽일 때 상기 볼밸브(91)가 밀접함에따라 폐쇄하는 밸브자리(93)로 이루어진다.
상기 역류방지 밸브장치(9)에 의해 펜끝이 위쪽일 때 잉크(11)의 역류가 억제됨과 동시에 또한 낙하 등의 강한 충격에 의해 잉크(11)가 역류한다고 해도 상기 외미전(4)에 의해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필기구(1) 뒷단에서의 잉크누출은 확실히 방지된다.
(4) 제 4실시예
도 9에 본 발명의 제 4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는 제 1실시예(도 1∼도 6)의 필기구(1)에 있어서 내미전(7)의 통기공(74)안에 역류방지 밸브장치(9)를 배치한 구성이다.
상기 역류방지 밸브장치(9)는 제 3실시예(도 8)와 마찬가지로 통기공(74)안을 전후방향으로 여유있게 움직일 수 있는 볼밸브(91)와, 펜끝이 아래쪽일 때 상기 볼밸브(91)의 잉크유통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접촉부(92)와, 펜끝이 위쪽일 때 상기 볼밸브(91)가 밀접함에 따라 폐쇄하는 밸브자리(93)로 이루어진다.
상기 역류방지 밸브장치(9)에 의해 펜끝이 위쪽일 때 잉크의 역류 및 낙하 등의 강한 충격에 의한 잉크의 역류가 발생했다고 해도 축통(3)의 뒷단개구부에서의 잉크(11)나 그리스상 추종체(12)의 누출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외미전(4)의 피착에 의해 내미전(7)의 통기공(74)안으로 먼지등이 들어오지 않고, 적정한 밸브기능을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역류방지 밸브장치(9)가 작동불량인 경우에도 축통(3) 뒷단에서의 잉크누출은 확실하게 방지된다.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구성(즉, 바닥이 있는 통체로 이루어지는 외미전을 축통 후부외면에 끼워부착하고, 상기 축통후부외면과 상기 외미전 내면 사이에 축통의 뒷단개구부를 거쳐 축통내부와 연통하는 통기로를 형성하며, 상기 통기로와 외기를 연통시키는 통기구를 상기 축통의 뒷단개구부에서 앞쪽에 마련한 구성)에 의해 대용량의 잉크를 수용할 수 있고 또한 필기구 뒷단에서의 잉크누출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잉크누출 사고에 대한 안전성이 현저히 향상된다.
본 발명은 청구항 2의 구성(즉 외미전 앞쪽의 축통외면에 그립부를 마련하고, 상기 그립부의 뒤쪽에 통기구를 마련한 구성)에 의해 그립부의 외경을 외미전의 외경에 상관없이 손으로 잡기 쉬운 굵기로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음과 동시에 축통 전체를 외미전으로 덮지 않기 때문에 축통을 굵게하여 잉크수용량을 크게할 수 있다. 또 통기구를 그립부의 뒤쪽에 배치함으로써 필기시 손가락으로 통기구를 막는 것을 방지하여 통기로의 통기성능을 방해하는 일은 생기지 않는다.
본 발명은 청구항 3의 구성(즉, 축통외면과 외미전내면의 접속부에 통기로를 마련한 구성)에 의해 외미전을 축통에 끼워부착할 때 외미전 내부의 압력상승을 피할 수 있어 펜끝에서의 잉크누출을 방지한다.
본 발명은 청구항 4의 구성(즉, 외미전의 개구단부에 통기구를 마련한 구성)에 의해 통기구를 될 수 있는 한 필기구 뒷단에서 떨어진 앞쪽에 위치시키고, 그에 따라 통기로의 길이를 길게 형성할 수 있어 보다 더 잉크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간단한 구조때문에 제조가 용이하다.
본 발명은 청구항 5의 구성(즉, 통기구가 여러개인 구성)에 의해 모든 통기구를 손가락으로 막을 염려가 없어 필기시 통기로의 통기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청구항 6의 구성(즉, 추종체가 그리스상인 구성)은 청구항 1의 구성과 더불어 그리스상 추종체가 필기구 뒷단에서 누출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음과 동시에 축통후부 외주면에 부착한 그리스상 물질을 닦아내는 작업이 필요없게 되어 제조공정이 간소화된다.
본 발명은 청구항 7의 구성(즉, 축통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통기구멍을 갖춘 내미전을 축통의 뒷단개구부 내면에 끼워부착한 구성)에 의해 내미전으로 축통의 뒷단개구부에서의 잉크누출을 억제할 수 있고, 외미전의 잉크누출 방지작용과 더불어 보다 더 잉크누출 사고에 대한 안전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청구항 8의 구성(즉, 역류방지 밸브장치를 펜끝 내부, 축통내부의 펜끝 근방 또는 축통내부의 추종체 뒤쪽에 마련한 구성)에 의해 축통내에 있어서 잉크의 역류가 억제되기 때문에 외미전의 잉크누출방지 작용과 더불어 보다 더 잉크누출사고에 대한 안전성이 향상된다.

Claims (9)

  1. 앞단에 펜끝(2)을 갖춘 축통(3)내부에 직접 잉크(11)와 이 잉크(11)의 소비에 따라 전진하는 추종체(12)를 수용한 필기구로서, 바닥이 있는 통체로 이루어지는 외미전(4)을 축통(3) 후부외면에 끼워부착하고, 상기 축통(3) 후부외면과 상기 외미전(4) 내면 사이에 축통(3)의 뒷단개구부를 거쳐 축통(3) 내부와 연통하는 통기로(6)를 형성하며, 상기 통기로(6)와 외기를 연통시키는 통기구(61)를 상기 축통(3)의 뒷단개구부보다 앞쪽에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1).
  2. 제 1항에 있어서,
    외미전(4) 앞쪽의 축통(3) 외면에 그립부(32)를 마련하고, 상기 그립부(32) 뒤쪽에 통기구(61)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축통(3) 외면과 외미전(4) 내면의 접속부(5)에 통기로(6)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1).
  4. 제 1항,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외미전(4)의 개구단부(41)에 통기구(61)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1).
  5. 제 1항, 제 2항,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통기구(61)는 여러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1).
  6. 제 1항에 있어서,
    추종체(12)가 그리스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1).
  7. 제 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축통(3)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통기공(74)을 갖춘 내미전(7)을 축통(3)의 뒷단개구부 내면에 끼워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1).
  8. 제 1항,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역류방지 밸브장치(9)를 펜끝(2) 내부, 축통(3) 내부의 펜끝(2) 근방, 또는 축통(3) 내부의 추종체(12) 뒤쪽에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1).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다수의 감합용 돌기와 환상의 감합용 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1).
KR10-1998-0042151A 1997-10-15 1998-10-09 필기구 KR1004695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299383 1997-10-15
JP29938397A JP3929571B2 (ja) 1997-10-15 1997-10-15 筆記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6966A true KR19990036966A (ko) 1999-05-25
KR100469559B1 KR100469559B1 (ko) 2005-05-17

Family

ID=17871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2151A KR100469559B1 (ko) 1997-10-15 1998-10-09 필기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010269A (ko)
EP (1) EP0911181B1 (ko)
JP (1) JP3929571B2 (ko)
KR (1) KR100469559B1 (ko)
CN (1) CN1152787C (ko)
CA (1) CA2250440C (ko)
DE (1) DE69810734T2 (ko)
HK (1) HK1018600A1 (ko)
TW (1) TW40910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2573B1 (ko) * 1997-07-31 2003-12-31 미쓰비시 펜슬 가부시키가이샤 수성볼펜 용 잉크추종체및 그의 제조방법
JPH1148675A (ja) * 1997-07-31 1999-02-23 Mitsubishi Pencil Co Ltd 水性ボールペン用インキ追従体の製造方法
US6360595B1 (en) * 2001-03-16 2002-03-26 Ethicon Endo-Surgery, Inc. Liquid measuring device and method of using
JP4852148B2 (ja) * 2007-05-23 2012-01-11 ゼブラ株式会社 接手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ボールペン
JP5363961B2 (ja) * 2009-12-11 2013-12-11 三菱鉛筆株式会社 筆記具
CN104101769A (zh) * 2013-04-10 2014-10-15 成都振中电气有限公司 一种能够增大摩擦功能的验电笔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491286A (ko) * 1948-09-23
DE816966C (de) * 1949-10-27 1951-10-15 A W Faber Castell Fuellhalterf Kugelschreiber
DE1110548B (de) * 1953-04-02 1961-07-06 Henry George Martin Schreibgeraet mit Schreibkugel und Tintenbehaelter
US2871824A (en) * 1956-10-03 1959-02-03 Scripto Inc Leakproof ink tube for ball point pen
JPH06115291A (ja) 1992-09-30 1994-04-26 Zebura Kk ボールペン
JP2607457Y2 (ja) * 1992-10-29 2001-09-04 ぺんてる株式会社 筆記具における軸筒
DE69413744T2 (de) * 1993-03-18 1999-06-02 Mitsubishi Pencil Co Kugelschreiber
WO1997022483A1 (fr) * 1995-12-19 1997-06-26 Kabushiki Kaisha Pilot Cartouche de rechange pour crayon a bill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11181A1 (en) 1999-04-28
US6010269A (en) 2000-01-04
CN1152787C (zh) 2004-06-09
JPH11115366A (ja) 1999-04-27
EP0911181B1 (en) 2003-01-15
CN1215667A (zh) 1999-05-05
TW409102B (en) 2000-10-21
CA2250440A1 (en) 1999-04-15
DE69810734D1 (de) 2003-02-20
JP3929571B2 (ja) 2007-06-13
CA2250440C (en) 2008-02-19
DE69810734T2 (de) 2003-10-02
HK1018600A1 (en) 1999-12-30
KR100469559B1 (ko) 2005-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96258A (en) Writing pen with space behind nib
JP4762905B2 (ja) 複合筆記具
KR100932571B1 (ko) 직액식 필기구
CA2153589C (en) A ball-point pen
US5655847A (en) Ball-point pen
US6102602A (en) Liquid container cap
US6176632B1 (en) Liquid container
KR100469559B1 (ko) 필기구
JP2000233592A (ja) 直液式筆記具
US4522525A (en) Writing instrument having a needle slidably mounted in a tubular tip
US4776718A (en) Writing implement
EP1666272B1 (en) Applicator
JP4061049B2 (ja) 筆記具
JPH09267594A (ja) 筆記具
JP3927083B2 (ja) ノック式ボールペン
JP3926008B2 (ja) 塗布具
JP7142055B2 (ja) 筆記具
JPH07251593A (ja) ボールペンのリフィール
CN110536801B (zh) 书写工具
JP2003341276A (ja) 塗布具
JPH0733680U (ja) ボールペン
JPH0834193A (ja) 塗布具
JP3682992B2 (ja) 低粘度油性ボールペン
JPH08142578A (ja) ノック式ボールペン
JPH08244394A (ja) ノック式のボールペ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