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6890A - 변속조작장치의 조립구조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변속조작장치의 조립구조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6890A
KR19990036890A KR1019980041799A KR19980041799A KR19990036890A KR 19990036890 A KR19990036890 A KR 19990036890A KR 1019980041799 A KR1019980041799 A KR 1019980041799A KR 19980041799 A KR19980041799 A KR 19980041799A KR 19990036890 A KR19990036890 A KR 199900368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shift
shift lever
lever device
engag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1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7520B1 (ko
Inventor
히데아키 와카바야시
Original Assignee
카와소에 카쯔히코
미쯔비시지도오샤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와소에 카쯔히코, 미쯔비시지도오샤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카와소에 카쯔히코
Publication of KR19990036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6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7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75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B60K20/08Dashboard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프트레버의 탑재위치에 불균일이 생기는 일이 없는 상태에서, 차실내에서 좌우방향으로 뻗어 있는 패널, 예를 들면, 인스트루먼트패널에 변속기의 조작조작을 행하는 시프트레버장치를 장착할 수 있는 변속조작장치의 조립구조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며, 그 구성에 있어서, 차실내에서 좌우방향으로 뻗어 있는 패널(1)에 그 변속기의 변속조작을 행하는 시프트레버장치(6)를 배설한 변속조작장치에 있어서, 상기 패널(1)의 하부쪽부분에 형성된 걸어 맞춤부분과, 상기 시프트레버장치(6)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걸어맞춤부분과 끼워맞춤함으로써 상기 시프트레버장치(6)를 걸어맞춤부분에 관해서 회동가능하게 지지가능한 피걸어맞춤부분과, 상기 시프트레버장치(6)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걸어맞춤부분과 상기 피걸어맞춤부분구멍이 끼워맞춘상태에서 상기 패널(1)의 상부쪽부분에 장착가능한 장착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변속조작장치의 조립구조 및 그 방법
본 발명은, 차실내에서 좌우방향으로 뻗어 있는 패널, 예를 들면, 인스트루먼트패널에 변속기의 조작조작을 행하는 시프트레버장치를 배설한 변속조작장치의 조립구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변속기의 변속조작을 행하는 시프트레버장치(변속조작장치)를 차량의 인스트루먼트패널에 배설하고, 차량의 바닥면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하는 일이 여러가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일본국 실개평 2-38331호 공보에는, 스티어링샤프트를 장착하는 파이프와 히터유닛을 지지하는 지지파이프에 걸쳐서 장착판을 설치하고, 장착판에 변속조작장치를 장착함으로써, 인스트루먼트패널의 중앙가까이하부에 변속조작용의 체인지레버를 배치한 구조가 표시되어 있다.
또, 일본국 실공소 60-10911호 공보나 동특개평 5-246262호 공보에는, 수동조작용의 체인지레버 또는 자동변속조작용의 시프트레버를 가진 장치본체를 핸들의 옆쪽에 있는 인스트루먼트부분에 배설한 구조가 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변속조작장치에서는, 바닥면의 위쪽에 있는 인스트루먼트부분에 체인지레버나 시프트레버 등의 조작레버를 배치하기 위하여, 조작레버를 가진 변속조작기구와 지지부재를 일체로 조합해서 1부품의 유닛으로 한 구조가 채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지지부재를 크로스덱등의 차체구성부재에 고정시킴으로써, 변속조작장치가 소정위치에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종래부터 제안되어 있는 시프트레버장치(변속조작장치)를 차량의 인스트루먼트패널에 배설하는 구조는, 장치본체와 커버종류와의 위치결정구조를 구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체인지레버나 시프트레버 등의 조작레버의 탑재위치에 불균일이 발생해 버린다.
수동조작용의 변속조작장치에서는, 체인지레버가 시프트방향 및 셀렉트방향으로 조작되는 동시에, 커버류와 체인지레버의 뿌리부위에 걸쳐서 부우츠부재가 설치되어 있음으로, 체인지레버의 탑재위치에 다소의 불균일이 있어도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자동변속조작용의 변속조작장치에서는, 시프트레버의 조작위치표시부를 구비한 시프트패널이 커버류에 장착되어, 시프트레버의 조작위치와 조작위치표시부의 해당부위(P,R,N,D등)와의 위치관계를 소정의 상태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시프트레버의 탑재위치에 불균일이 발생하면, 시프트레버와 커버류와의 위치어긋남과 시프트패널과 커버류와의 장착오차가 서로 어울려서, 시프트레버의 조작위치가 조작위치표시부의 해당부위로부터 어긋나서 볼품이 나빠질 염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상항에 비추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시프트레버의 탑재위치에 불균일이 발생하는 일이 없는 상태에서, 차실내에서 좌우방향으로 뻗어 있는 패널, 예를 들면, 인스트루먼트패널에 변속기의 조작조작을 행하는 시프트레버장치를 장착할 수 있는 변속조작장치의 조립구조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예에 관한 변속조작장치를 구비한 차량의 인스트루먼트패널주변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변속조작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변속조작장치의 단면도.
도 4는, 콘솔박스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변속조작장치의 조립공정설명도.
도 6은, 변속조작장치의 조립공정설명도.
도 7은, 변속조작장치의 조립공정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인스트루먼트패널 2: 콘솔패널
6: 시프트레버장치 8: 시프트패널
9: 시프트레버손잡이 10: 잘린부분의 구멍
11: 지지프레임 12: 받침대
13: 지지부재 14: 지지볼트
15: 가이드핀 16: 고정나사
17: 플레이트 18: 변속와이어
19: 보강부재 21: 디텐드핀
22: 디텐트 플레이트 31: 고정나사
32,33: 고정구멍 35: 위치결정구멍
본 발명은, 차실내에서 좌우방향으로 뻗어 있는 패널에 그 변속기의 변속조작을 행하는 시프트레버장치를 배설한 변속조작장치에 있어서, 상기 패널의 아래쪽부분에 형성된 걸어맞춤부분과, 상기 시프트레버장치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걸어맞춤부분과 끼워맞춤함으로써 상기 시프트레버장치를 걸어맞춤부분에 관해서 회동가능하게 지지가능한 피걸어맞춤부분과, 상기 시프트레버장치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걸어맞춤부분과 상기 피걸어맞춤부분구멍이 끼워맞춘상태에서 상기 패널의 위쪽부분에 장착가능한 장착부를 구비한 변속조작장치의 조립구조이다.
또 본 발명은, 차실내에서 좌우방향으로 뻗어 있는 패널에 변속기의 변속조작을 행하는 시프트레버장치를 배설한 변속조작장치에 있어서, 상기 패널의 하부쪽 부분에 대해서 상기 시프트레버장치의 하단부의 위치결정을 행하고, 상기 시프트레버장치의 하단부의 위치결정부분을 회동중심으로 해서 상기 시프트레버장치를 회동시켜서 상기 패널의 상부쪽부분에 대한 상기 시프트레버장치의 상단부를 장착하는 변속조작장치의 조립방법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예에 관한 조립방법을 적용한 변속조작장치를 구비한 차량의 인스트루먼트패널주변을 나타내는 정면을, 도 2에는 변속조작장치의 분해사시를, 도 3에는 변속조작장치의 단면을, 도 4에는 콘솔박스의 분해사시를 표시하고 있다.
도 1, 도 2에 표시한 바와 같이, 차실내에서 좌우방향으로 뻗어 있는 패널로서의 인스트루먼트패널(1)에는, 운전석쪽(도면중우측)에 미터패널(2)이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조수석(도면중 좌측)에 글러브박스(3)가 설치되어 있다. 인스트루먼트패널(1)의 중앙부에 있어서 핸들(4)의 옆쪽이 되는 부위에는, 옆쪽이 콘솔패널(5)에 덮어진 시프트레버장치(6)가 설치되어 있다.
콘솔패널(5)의 상부쪽은, 도 4에 표시한 바와 같이 개방되고 있으나, 그 개방부는 시프트패널(8)로 덮어지고, 시프트패널(8)에는 시프트레버장치(6)의 레버부(7)가 관통하고 있다. 시프트레버장치(6)는, 인스트루먼트패널(1)을 고정적으로 유지하는 보강부재(19)에 장착되고, 콘솔패널(5)과 시프트패널(8)에 의해서 피복된 상태로 되어 있다.
콘솔패널(5)과 시프트패널(8)에 의해서 피복된 시프트레버장치(6)의 구성을 도 2, 도 3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시프트레버장치(6)의 지지프레임(11)에는 받침대(12)가 고정되고, 받침대(12)에는 레버부(7)가 기단부(基端部)(Z)를 중심으로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회동자재하게 되도록 지지되고 있다. 레버부(7)의 상단부에는 시프트레버손잡이(9)가 장착되어 있다. 지지프레임(11)의 하단부에는 잘린 부분의 구멍(10)이 형성되고, 잘린부분의 구멍(10)은 바닥면(30)쪽의 지지부재(13)에 고정된 지지볼트(14)에 회동자재하게 위치결정지지되어 있다. 받침대(12)의 상단부는 가이드핀(15) 및 고정나사(16)를 개재해서 인스트루먼트패널(1)에 고정되고, 지지프레임(11)의 상부는 볼트(20)를 개재해서 보강부재(19)에 고정되어 있다. 또, 지지프레임(11)의 하단부는 바닥면(30)쪽에 볼트(30a)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다.
레버부(7)쪽에는 플레이트(17)가 설치되고, 플레이트(17)에는 도시생략된 변속장치쪽에 연결되는 변속와이어(18)의 단부가 장착되어 있다. 레버부(7)를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변속와이어(18)를 개재해서 도시생략의 변속장치가 소정의 상태로 조작된다.
예를 들면, 레버부(7)의 전방쪽의 회동위치로부터 차례로, 주차위치(P레인지), 후진단위치(R레인지), 중립위치(N레인지) 및 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변속단의 선택을 행하는 드라이브위치(D레인지)가 설정되어 있다. 또, 레버부(7)는 D레인지에서 차폭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고, 차폭방향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전방 혹은 후방으로 회동시킴으로써, 드라이브위치에서의 변속단을 수동조작으로 절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레버부(7)에는 도시생략의 버튼을 누름으로써 탄성력에 저항해서 하부방향으로 조작되는 디텐트핀(21)이 설치되고, 디텐트핀(21)은 버튼을 누르고 있지 않는 때에는 탄성력에 의해서 위쪽으로 힘이 붙어서 디텐트플레이트(22)의 홈(22a)에 끼워맞춤하고 있다. 디텐트플레이트(22)의 홈(22a)은, P,R,N,D에 따라서 단계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디텐트핀(21)이 디텐트플레이트(22)의 홈(22a)에 끼워맞춤함으로써, 예를 들면, D레인지와 N레인지와의 사이를 제외하여 각 레인지간에서의 레버부(7)의 회동이 규제된다. 즉, P레인지로부터 R레인지 혹은 D레인지로 레버부(7)를 조작하는 경우, 도시생략의 버튼을 눌러서 디텐트플레이트(22)의 홈(22a)에대한 디텐트핀(21)의 끼워맞춤을 해제한 상태에서 레버부(7)를 회동시킨다.
도 3, 도 4에 의거해서 변속조작장치의 지지상항을 설명한다.
도 3에 표시한 바와 같이, 시프트레버장치(6)의 지지프레임(11)의 하단부는, 차량의 바닥면쪽의 지지부재(13)에 고정된 지지볼트(14)에 회동자재하게 끼워맞춤되어, 지지프레임(11)의 하단부가 위치결정되어 있다(제 1위치결정기구). 지지프레임(11)의 하단부가 지지볼트(14)에 끼워 맞춘 상태를 기준으로 해서, 받침대(12)의 상단부에 있는 가이드핀(15)이 인스트루먼트패널(1)의 소정위치에 형성된 위치결정구멍(1b), 즉, 시프트패널(8)의 근처에 형성된 위치결정구멍(1b)에 끼워맞추고, 시프트레버장치(6)의 상단부의 위치가 인스트루먼트패널(1)에 대해서 위치결정된다(제 2의 위치결정기구).
도 4에 표시한 바와 같이, 콘솔패널(5)의 상부면부분의 전방 2개소에는 인스트루먼트패널(1)의 장착구멍(1a)에 고정나사(31)를 개재해서 고정되는 위치결정용의 고정구멍(32),(33)이 형성되고, 한쪽의 고정구멍(32)은 차폭방향으로 길다란 타원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인스트루먼트패널(1)에 대한 콘솔패널(5)의 위치결정이 행하여진다(제 3위치결정기구). 또, 콘솔패널(5)의 옆부분은 복수의 장착구멍(34)을 개재해서 인스트루먼트패널(1)에 고정된다.
따라서, 가이드핀(15)의 위치결정구멍(1b)에의 끼워맞춤에 의해, 시프트레버장치(6)가 인스트루먼트패널(1)에 대해서 위치결정되는 동시에, 고정구멍(32),(33)을 개재해서 콘솔패널(5)이 인스트루먼트패널(1)에 위치결정됨으로, 시프트레버장치(6) 및 콘솔패널(5)이 인스트루먼트패널(1)에 대해서 위치결정된다. 이 때문에, 시프트레버장치(6)에 대해서 콘솔패널(5)의 위치가 인스트루먼트패널(1)을 기준으로 해서 정확히 위치결정된다.
또, 콘솔패널(5)의 상부면부분의 뒤쪽에는 위치결정구멍(35)이 형성되고, 위치결정구멍(35)에는 시프트패널(8)의 뒷면에 형성된 핀(36)을 끼워 맞추어서 콘솔패널(5)에 대한 시프트패널(8)의 위치결정이 행하여 진다. 시프트패널(8)은 핀(36)이 위치결정구멍(35)에 걸어맞춤되는 동시에, 복수의 걸쇠부(37)가 콘솔패널(5)의 개방가장자리에 걸어맞춤됨으로써, 콘솔패널(5)의 상부쪽개방부에 장착된다.
콘솔패널(5)에 대해서 시프트패널(8)이 위치결정구멍(35)을 개재해서 위치결정되도록 되어 있음으로, 시프트레버장치(6)의 레버부(7)에 대한 시프트패널(8)의 위치가 위치결정된다. 또, 시프트패널(8)의 근처에 형성된 위치결정구멍(1b)에 스프트레버장치(6)의 가이드핀(15)을 끼워맞추어서 시프트레버장치(6)가 위치결정된다. 이 때문에, 시프트패널(8)의 표시부(8a)(P,R,N,D등)와 레버부(7)와의 어긋남을 저감할 수 있다.
다음에, 도 5 내지 도 7에 의거해서 상기 구성의 변속조작장치의 조립방법을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에는 변속조작장치의 조립공정의 상항을 표시하고 있다.
먼저, 인스트루먼트패널(1)을 보강부재(19)와 함께 차실내에 고정하고, 시프트레버손잡이(9)가 떼어내어져 있는 시프트레버장치(6)를 차체쪽 및 인스트루먼트패널(1)쪽에 고정한다. 즉, 도 5(a)에 표시한 바와 같이, 시프트레버장치(6)를 눕힌 상태에서 지지프레임(11)의 잘린 부분의 구멍(10)을 지지부재(13)의 지지볼트(14)에 끼워맞춤하고, 인스트루먼트패널(1)의 하부쪽부분에 대해서 시프트레버장치(6)의 하단부의 위치결정을 행한다.
잘린부분의 구멍(10)을 지지볼트(14)에 끼워맞춤한 후, 도 6에 표시한 바와 같이, 지지볼트(14)를 회동중심으로 해서 시프트레버장치(6)을 일으키고, 가이드핀(15)을 인스트루먼트패널(1)의 위치결정구멍(1b)에 끼워맞춤시킨다. 가이드핀(15)의 선단부는, 도 5(b)에 표시한 바와 같이, 테이퍼면을 가진 끝이 가늘어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위치결정구멍(1b)에 끼워맞추게 하는 과정에서 시프트레버장치(6)의 상단부가 인스트루먼트패널(1)의 상부쪽부분에 대해서 위치결정된다. 또한, 가이드핀(15)의 선단부를 끝이 가늘어진 형상으로 형성하는 대신에, 도 5(c)에 표시한 바와 같이, 위치결정구멍(1b)을 테이퍼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시프트레버장치(6)의 상단부를 위치결정한 후에, 고정나사(16)에 의해서 시프트레버장치(6)의 상단부를 인스트루먼트패널(1)의 상부쪽부분에 고정한다. 또, 지지프레임(11)의 하단부를 볼트(30a)에 의해서 바닥면(30)쪽에 장착하는 동시에 지지프레임(11)을 볼트(20)에 의해서 보강부재(19)에 장착하고, 시프트레버장치(6)를 인스트루먼트패널(1)과 차체쪽에 걸쳐서 고정한다.
상기한 수순으로 시프트레버장치(6)의 고정을 행함으로써, 적은 결합공수로 용이하게 또한 정밀도좋게 위치결정해서 인스트루먼트패널(1)에 고정할 수 있다. 또, 묵직한 시프트레버장치(6)를, 지지프레임(11)의 잘린부분의 구멍(10)의 부위에서 위치결정을 행하고 하중을 맡겨서, 지지볼트(14)를 중심으로 시프트레버장치(6)를 회전시켜서 일으키므로써, 상단부의 위치결정 및 장착을 행하도록 했음으로, 작업자에게 중량감을 주는 일 없이 쉽게 시프트레버장치(6)의 고정을 행할 수 있다.
시프트레버장치(6)를 인스트루먼트패널(1)과 차체쪽에 걸쳐서 고정한 후에, 도 7(a)에 표시한 바와 같이, 콘솔패널(5)을 시프트레버장치(6)의 측면부에 배치한다. 콘솔패널(5)의 상부쪽부분은, 인스트루먼트패널(1)의 장착구멍(1a)에 위치결정고정구멍(32),(33)을 위치맞춤하고, 고정나사(31)에 의해서 고정된다. 또, 측면부는 장착구멍(34)이 나사(34a)에 의해서 고정된다.
콘솔패널(5)을 인스트루먼트패널(1)에 고정한 후에, 도 7(b)에 표시한 바와 같이, 콘솔패널(5)의 상부면부분의 뒤쪽에 형성된 위치결정구멍(35)에 시프트패널(8)의 뒷면에 형성된 핀(36)을 끼워맞추는 동시에, 복수의 걸쇠부(37)를 콘솔패널(5)의 개방가장자리에 걸어맞추고, 콘솔패널(5)의 상부의 개방부에 시프트패널(8)을 장착한다. 시프트패널(8)은 위치결정구멍(35)에 핀(36)을 끼워맞춤으로써, 콘솔패널(5)에 대한 위치결정이 행하여진다.
고정구멍(32),(33)을 사용해서 콘솔패널(5)을 인스트루먼트패널(1)에 고정하고, 위치결정구멍(35)에 핀(36)을 끼워맞추어서 시프트패널(8)을 콘솔패널(5)에 고정함으로써, 시프트패널(8)을 구비한 콘솔패널(5)을 위치결정해서 인스트루먼트패널(1)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최후에, 도 7(c)에 표시한 바와 같이, 레버부(7)의 상단부에 시프트레버손잡이(9)를 끼워맞추고, 나사(9a)에 의해서 고정한다. 이상에 의해, 도 1에 표시한 바와 같이, 인스트루먼트패널(1)의 중앙의 하부쪽부분에 변속조작장치를 배치할 수 있다. 시프트레버손잡이(9)를 조립의 마지막에 고정하도록 하고 있음으로, 시프트레버손잡이(9)가 의장의 방해가 되는 일이 없고, 시프트레버손잡이(9)의 형상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상기한 변속조작장치는, 도 2 내지 도 4에서 표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핀(15)의 끼워맞춤에 의해 시프트레버장치(6)가 인스트루먼트패널(1)에 대해서 위치결정되는 동시에, 위치결정고정구멍(32),(33)을 개재해서 콘솔패널(5)이 인스트루먼트패널(1)에 위치결정된다. 이 때문에, 시프트레버장치(6) 및 콘솔패널(5)이 인스트루먼트패널(1)에 대해서 위치결정됨으로써, 시프트레버장치(6)에 대해서 콘솔패널(5)의 위치가 인스트루먼트패널(1)을 기준으로 해서 정확히 위치결정된다. 이 결과, 레버부(7)의 탑재위치에 불균일이 발생하는 일이 없는 상태에서 인스트루먼트패널(1)에 변속기의 조작조작을 행하는 시프트레버장치(6)를 배설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콘솔패널(5)에 대해서 시프트패널(8)이 위치결정구멍(35)을 개재해서 위치결정됨으로, 시프트레버장치(6)의 레버부(7)에 대한 시프트패널(8)의 위치가 정확히 위치결정된다. 또, 시프트패널(8)의 근처에 형성된 위치결정구멍(1b)에 시프트레버장치(6)의 가이드핀(15)을 끼워맞추어서 시프트레버장치(6)가 위치결정된다. 이 때문에, 시프트패널(8)의 표시부(8a)(P,R,N,D등)와 레버부(7)와의 어긋남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한 변속조작장치의 조립구조 및 그 방법은, 무거운 시프트레버장치(6)를, 지지프레임(11)의 잘린부분의 구멍(10)의 부위에서 위치결정을 행하고 하중을 맡겨서, 지지볼트(14)를 중심으로 시프트레버장치(6)를 회전시켜서 일으켜 세우므로서, 상단부의 위치결정 및 장착을 행함으로, 작업자게게 중량감을 주는 일이 없고 적은 장착공수에 의해 용이하고 또한 정밀도 좋게 시프트레버장치(6)의 고정을 행할 수 있다. 이 결과, 레버부(7)의 탑재위치에 불균일이 발생하는 일이 없는 상태에서 인스트루먼트패널(1)에 변속기의 조작조작을 행하는 시프트레버장치(6)를 배설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고정구멍(32),(33)을 사용해서 콘솔패널(5)을 인스트루먼트패널(1)에 고정하고, 위치결정구멍(35)에 핀(36)을 끼워 맞춤해서 시프트패널(8)을 콘솔패널(5)에 고정함으로써, 시프트패널(8)을 구비한 콘솔패널(5)을 인스트루먼트패널(1)에 정밀도좋게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 시프트레버손잡이(9)를 조립의 마지막에 고정하도록 하고 있음으로, 시프트레버손잡(9)가 의장의 방해가 되는 일이 없다.
상기 실시예의 제 1위치결정기구에 관하여, 지지볼트(14)와 같은 축부재를 지지프레임(11)에 배설하고, 이것에 걸어맞춤하는 잘린부분의 구멍을 바닥면쪽의 지지부재(13)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제 2위치결정기구에 관해서도, 가이드핀(15)을 인스트루먼트패널(1)에 배설하고, 이것에 끼워맞춤하는 위치결정구멍을 시프트레버장치(6)쪽의 받침대(12)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8)

  1. 차실내에서 좌우방향으로 뻗어 있는 패널에 그 변속기의 변속조작을 행하는 시프트레버장치를 배설한 변속조작장치에 있어서,
    상기 패널의 하부쪽부분에 형성된 걸어맞춤부분과,
    상기 시프트레버장치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걸어맞춤부분과 끼워맞춤함으로써 상기 시프트레버장치를 걸어맞춤부분에 관해서 회동가능하게 지지가능한 피걸어맞춤부분과,
    상기 시프트레버장치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걸어맞춤부분과 상기 피걸어맞춤부분구멍이 끼워맞춘 상태에서 상기 패널의 상부쪽 부분에 장착가능한 장착부를 구비한 변속조작장치의 조립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인스트루먼트패널이며, 상기 인스트루먼트패널에 대해서 장착되고, 또한 상기 시프트레버장치의 측면을 덮는 콘솔패널을 구비하고 있는 변속조작장치의 조립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콘솔패널에 대해서 장착되고, 또한 상기 시프트레버장치의 상부면을 덮는 시프트패널을 구비하고 있는 변속조작장치의 조립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부분은 차체쪽부재에 설치된 좌우방향으로 뻗은 축부재이며,
    상기 피걸어맞춤부분은 상기 시프트레버장치에 형성되고, 상기 축부재가 걸어맞춤가능한 잘린부분의 구멍을 가지고 있는 변속조작장치의 조립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레버장치는 하부쪽으로 뻗은 지지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걸어맞춤부분이 동지지프레임의 하단부에, 상기 장착부가 동지지프레임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변속조작장치의 조립구조.
  6. 차실내에서 좌우방향으로 뻗어 있는 패널에 변속기의 변속조작을 행하는 시프트레버장치를 배설한 변속조작장치에 있어서, 상기 패널의 하부쪽부분에 대해서 상기 시프트레버장치의 하단부의 위치결정을 행하고, 상기 시프트레버장치의 하단부의 위치결정부분을 회동중심으로 해서 상기 시프트레버장치를 회동시켜서 상기 패널의 상부쪽부분에 대한 상기 시프트레버장치를 회동시켜서 상기 패널의 상부쪽부분에 대한 상기 시프트레버장치의 상단부를 장착하는 변속조작장치의 조립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인스트루먼트패널로서, 상기 인스트루먼트패널에 대해서 상기 시프트레버장치의 측면부를 덮는 콘솔패널의 위치결정을 행하는 행정을 가진 변속조작장치의 조립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콘솔패널에 대해서 상기 시프트레버장치의 상부면을 덮는 시프트패널의 위치결정을 행하고, 그 후 상기 시프트레버장치의 레버부의 선단부에 시프트레버손잡이를 장착하는 행정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조작장치의 조립방법.
KR1019980041799A 1997-10-08 1998-10-07 변속조작장치의조립구조및그방법 KR1003175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7558197A JP3164034B2 (ja) 1997-10-08 1997-10-08 変速操作装置の組立て方法
JP1997-275581 1997-10-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6890A true KR19990036890A (ko) 1999-05-25
KR100317520B1 KR100317520B1 (ko) 2002-02-19

Family

ID=17557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1799A KR100317520B1 (ko) 1997-10-08 1998-10-07 변속조작장치의조립구조및그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167772B1 (ko)
EP (1) EP0908347B1 (ko)
JP (1) JP3164034B2 (ko)
KR (1) KR100317520B1 (ko)
DE (1) DE69806457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31917B2 (en) * 2006-06-30 2009-12-15 Nissan Technical Center North America, Inc. Vehicle shift/console arrangement
JP5124800B2 (ja) * 2008-09-26 2013-01-23 トヨタ車体株式会社 車両内装部品の組み付け構造
JP6063301B2 (ja) * 2013-02-28 2017-01-18 株式会社東芝 照明装置
CN103625280A (zh) * 2013-12-04 2014-03-12 德韧干巷汽车系统(上海)有限公司 一种面板高度可调的换档操纵机构
FR3049912B1 (fr) * 2016-04-08 2019-07-26 Renault S.A.S Console a structure flottante
JP2019177734A (ja) * 2018-03-30 2019-10-17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シフトカバーの取付け構造
CN110103708A (zh) * 2019-05-21 2019-08-09 北京福田戴姆勒汽车有限公司 卡车及其换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0911Y2 (ja) 1979-05-22 1985-04-12 日産車体株式会社 自動車の変速操作用レバ−装置
US4364450A (en) * 1981-01-06 1982-12-21 Atwood Vacuum Machine Company Apparatus for mounting a transmission selector
JPH0238331U (ko) 1988-09-07 1990-03-14
JPH05246262A (ja) 1992-03-04 1993-09-24 Mazda Motor Corp 車両用自動変速機の操作装置
JP3116547B2 (ja) * 1992-05-26 2000-12-11 スズキ株式会社 自動車用コンソールボックス
IT1259588B (it) * 1992-06-22 1996-03-20 Fiat Auto Spa Dispositivo di comando per cambi di velocita' di autoveicoli.
US5388476A (en) * 1993-06-15 1995-02-14 Agco Corporation Gearshift mechanism
DE4406598C2 (de) * 1994-03-01 1996-10-31 Daimler Benz Ag Schalteinrichtung für ein selbsttätig schaltendes Wechselgetriebe mit einer mechanischen Sperre für den Rückwärtsgang in einem Kraftfahrzeug
JP3191626B2 (ja) * 1995-07-20 2001-07-23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用変速操作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164034B2 (ja) 2001-05-08
DE69806457D1 (de) 2002-08-14
KR100317520B1 (ko) 2002-02-19
EP0908347A2 (en) 1999-04-14
JPH11105571A (ja) 1999-04-20
EP0908347A3 (en) 2000-02-23
US6167772B1 (en) 2001-01-02
DE69806457T2 (de) 2003-02-20
EP0908347B1 (en) 2002-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62314A (en) Shifting arrangement for a motor vehicle transmission
KR100380064B1 (ko) 자동변속기용 셀렉터 레버유닛의 쉬프트 스위치 조작장치
US6276749B1 (en) Position adjusting apparatus of control console for work vehicle
EP1918615B1 (en) Modular automatic transmission shifter
US4827793A (en) Forward/center control shifting apparatus for a vehicle transmission
KR100320521B1 (ko) 자동변속기용 셀렉터 레버 유닛의 쉬프트 스위치 조작 장치
KR100317520B1 (ko) 변속조작장치의조립구조및그방법
EP0575861B2 (en) A gear control system for motor vehicles
JP2000127794A (ja) シフトレバー装置
JPH0454362Y2 (ko)
US5088342A (en) Pivotable steering wheel mechanism and biasing means
US6282974B1 (en) Operating apparatus for automatic transmission
JP2914109B2 (ja) 自動車の自動変速機のシフト装置
JP2005125811A (ja) シフトレバー装置及びシフトレバー装置の取り付け構造
JP4563379B2 (ja) 車両のトランスミッションのギヤ比変更自動操作装置
JP4445241B2 (ja) シフトレバー装置
JPH07301310A (ja) 自動変速機の操作レバ−装置
JP6961399B2 (ja) 作業車輌
JP3149719B2 (ja) 自動変速機の変速操作装置
JP6961400B2 (ja) 作業車輌
JPH0236740Y2 (ko)
JP2024063566A (ja) 作業車
KR100345121B1 (ko) 자동변속기용 셀렉터 레버의 디턴트 장치
EP2487078A1 (en) Working Vehicle
JPH10114232A (ja) 移動農機における操作レバー切換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