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6763A - 실 절단/흡입유니트를 갖춘 실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실 절단/흡입유니트를 갖춘 실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6763A
KR19990036763A KR1019980041346A KR19980041346A KR19990036763A KR 19990036763 A KR19990036763 A KR 19990036763A KR 1019980041346 A KR1019980041346 A KR 1019980041346A KR 19980041346 A KR19980041346 A KR 19980041346A KR 19990036763 A KR19990036763 A KR 199900367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ad
cutting
yarn
winding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1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0462B1 (ko
Inventor
준 타카기
가츠미 하세가와
Original Assignee
하라 데이시
토레이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라 데이시, 토레이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하라 데이시
Publication of KR19990036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6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0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04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7/00Collecting the newly-spun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7/00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 B65H57/16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formed to maintain a plurality of filaments in spaced re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7/00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 B65H57/28Reciprocating or oscillating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1Textiles threads or artificial strands of filaments
    • B65H2701/313Synthetic polymer threads
    • B65H2701/3132Synthetic polymer threads extruded from spinner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Filamentary Materials, Packages, And Safety Devices Therefor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 절단/흡입유니트를 갖춘 실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 1실공급로울러와 제 2실공급로울러, 각각의 실들을 감아주기 위한 권취기들, 실이 끊어짐을 감지하는 실 절단검출기 및, 상기 실 공급로울러의 윗쪽에 배치되어 실이 끊어졌슴이 감지되면 이 감지신호에 따라 끊어진 실이 속해있는 실 그룹을 절단하도록 된 실 절단/흡입장치를 갖추고, 상기 1개의 실 절단/흡입장치와 1개의 권취기가 각각 1개의 권취유니트를 이루고, 적어도 2개의 권취 유니트가 적어도 1개의 실 공급 로울러를 이루도록 구성되어. 실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실 절단/흡입유니트를 갖춘 실 제조장치
본 발명은 화학사(systhetic fiber)와 같은 실을 제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꾸러미(package)형태로 감겨진 방적사와 같은 실을 제조하는 장치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적기에서 방사팩(spinning pack:5,6,7,8,9,10)의 방사플레이트를(spinneret) 통해 단섬유사를 공급하기 위한 제 1실공급로울러(11) 및 제 2실공급로울러(12)를 갖추고서 냉각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지정된 비율로 냉각되어 꾸러미형태로 감겨진 방적사와, 튜브에 실을 감아주기 위한 권취기(1-A,1-B), 이 권취기(1-A)를 매개로 감겨지고 있는 적어도 1올의 실 또는 권취동작을 하고 있지 않은 권취기(1-B)를 가려내기 위한 실 절단검출기(15-a,15-B) 및, 상기 제 1실공급로울러(11)의 윗쪽에 배치되어 실 절단 감지신호에 따라 권취되고 있는 모든 실을 절단함과 동시에 실을 빨아들이도록 동작되는 실 절단/흡입장치(17)를 구비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방적기는 어떠한 이유로 인하여 실 꾸러미에서 적어도 1올이라도 끊어지게 되면 검출신호가 발생되는 실 절단검출기(15-A)에 의하여 실이 끊어졌다는 것이 감지되게 되고, 이 감지신호에 따라 실 절단/흡입장치(17)가 권취기(1-A,1-B)를 매개로 상기 제 1,2실공급로울러(11,12)를 통해 감겨지고 있는 모든 실을 신속하게 절단하고 빨아들이도록 작동되어, 비정상적인 방사작업으로 인해 제 1실공급로울러(11)와 제 2실공급로울러(12) 및 권취기(1-A,1-B)주변에 실이 역으로 감겨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방법의 경우 어느 1개의 권취기에 소속되어 있는 실 중에서 1올이라도 끊어지게 되면 모든 실을 절단하고, 대개 실이 끊어지지 않은 상태로 다른 권취기를 매개로 감겨진 실들까지도 절단해야만 하므로, 실의 생산량이 감소될 뿐 아니라 작업자가 실을 꿰어주는데에 따른 부담이 가중된다는 결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실의 생산량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고, 실이 절단되지 않고 정상적으로 작동되고 있는 권취기에 감겨진 실들이 절단됨으로 인해 야기되는 작업자의 실꿰는 작업의 증가에 따른 작업자의 부담을 덜어줄 수 있도록 된 실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 제조장치의 제 1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도 1에서의 제 1실공급로울러의 하부를 개략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적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 제조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실 유동경로들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장치의 개략도,
도 6은 상이한 위치에 장착된 실 경로 조절가이드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7은 종래의 실 제조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1-A,1-B --- 권취기, 2-1,2-2 --- 스핀들,
3 --- 로울러지지부, 4 --- 횡단운동장치,
5,6,7,8,9.10 --- 방사팩, 11 ---제 1실공급로울러,
12 --- 제 2실공급로울러, 13 --- 실 분리 가이드,
14-A,14-B --- 안내수단, 15 --- 실 절단 검출기,
16 -- 실 경로 조절가이드, 17 --- 실 절단/흡착장치,
18-A,18-B --- 가이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실 절단/흡입유니트를 갖춘 실 제조장치는 실이 형성되도록 방사팩의 방사플레이트에서 용해된 폴리머를 압출시키기 위한 방사장치와, 잡아늘여 냉각시킨 실을 지정된 속도로 공급하기 위한 실 공급로울러들, 각각의 실들을 튜브에 감아주기 위한 권취기들, 이 권취기들에 의해 감겨지고 있는 실 중 적어도 1올의 실이 끊어지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실 절단 검출기, 상기 실 공급로울러의 윗쪽에 배치되어 실 절단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끊어진 실이 속해 있는 그룹의 실을 절단과 동시에 흡입하도록 작동되는 실 절단/흡입장치를 갖추고서, 상기 1개의 실 절단/흡입장치와 1개의 권취기가 각각 1개의 권취유니트를 이루고, 적어도 2개의 권취 유니트가 적어도 1개의 실 공급 로울러를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권취기는 수직의 열을 이루도록 배열되고, 상기 2개의 실 그룹이 적어도 2개의 실 공급로울러를 순차적으로 통과하고, 후방 실그룹이 전방 실그룹을 가로지르면서 실을 꿰는 작업을 하게 되면, 후방 실그룹에서 실 절단 등으로 인하여 제 1실공급롤러를 통과하는 전방 실 그룹 위 또는 아래를 지나는 동안 후방 실 그룹이 전방지역에서 부터 후방지역으로 이동하고 난 다음, 제 2실공급롤러를 통과하는 전방 실 그룹 위 또는 아래로 이동하도록 실을 안내하는 실 경로 조정가이드를 갖추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 제조장치의 제 1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를 개략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 제조 장치는 방사팩(spinning pack : 5,6,7,8,9.10)이나 방사플레이트(spinneret)를 통해 용해된 폴리머를 압출하기 위한 방적장치(도시되지 않음)와, 상기 방사팩(5,6,7,8, 9,10)아랫쪽에 배치된 실 냉각장치(도시되지 않음), 지정된 속도로 냉각된 실을 공급하기 위한 제 1실공급로울러(11)와 제 2실공급로울러(12), 튜브에 실들을 감아주기 위한 권취기(1-A,1-B), 상기 권취기(1-A)에 감겨지고 있는 실들(51,52,61,62, 71,72)중 어느 하나의 실이 끊어짐을 감지하기 위한 실 절단검출기(15-A), 상기 권취기(1-B)에 감겨지고 있는 실들(81,82,91,92,101,102)중 어느 하나의 실이 끊어짐을 감지하기 위한 실 절단검출기(15-B), 상기 제 1실공급로울러(11)의 윗쪽에 배치되어 해당되는 실 절단 검출기가 실이 절단되었음을 감지하면 그 감지신호에 따라 실들 전부를 한꺼번에 절단함과 동시에 흡입하도록 동작되는 실 절단/흡착장치(17-A,17-B), 이 실 절단/흡입장치(17-A,17-B) 바로 아래에 배치되어 실을 2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주면서 안내해주기 위한 실 분리 가이드(13) 및, 각 권취기(1-A,1-B)의 윗쪽에 배치되어 실의 횡단운동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수단(14-A,14-B)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권취기(1-A,1-B)는 실이 횡방향으로 왔다갔다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횡단운동장치(4)와, 양쪽에 교대로 실을 감아주기 위한 1쌍의 스핀들(2-1,2-1), 이 스핀들에 형성된 패키지가 편평하고 균일하면서 적당한 경도를 갖도록 표면에 알맞는 압력이 작용되도록 하기 위한 로울러지지부(3) 및, 패키지가 정해진 크기가 되면 실이 감겨있지 않은 대기튜브로 실을 연결해 주기 위한 실 연결장치(도시되지 않음)를 갖추고서, 감겨질 실들의 숫자만큼의 설치여유를 갖도록 하나의 권취기가 다른 하나의 권취기 위에 놓여지면서 수직으로 열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방사팩(5,6,7,8,9.10)의 방사플레이트에서 압출된 1쌍의 실들(51,52,61,62,71,72,81,82,91,92,101,102)은 상기 방사플레이트 바로 아래에 일직선상에 배치된 실 냉각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응결 및 냉각되고, 작동유가 전달되면 작업중에 발생되는 이상으로 인한 실의 절단을 신속하게 감지하여 제어유니트로 제어신호를 전달하도록 된 실 절단 검출기(15)의 감지동작과 동시에 절단과 흡입을 할 수 있도록 실 절단/흡착장치(17-A,17-B)를 경유하여 상기 실 분리 가이드(13)에 의해 제 1실공급로울러(11)와 제 2실공급로울러(12)상의 지정된 위치로 실들이 공급되게 되며, 마지막으로 실들은 횡방향운동 안내수단(14)을 경유하여 권취기에 의해 감겨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실 분리 가이드(13)는 권취기(1-A,1-B)에 대응되도록 1쌍(13-A, 13-B)으로 분리형성될 수 있는 바, 이 경우 아래쪽에 위치한 권취기(1-A)에 의해 실이 감겨지도록 하려면 안내수단(14-A)을 상기 제 2실공급로울러(12)로 부터 멀리 떨어지도록 배치하고, 윗쪽에 배치된 권취기(1-B)에 의해 실이 감겨지도록 하려면 상기 안내수단(14-B)을 제 2실공급로울러(12)에 근접하게 배치하면 된다.
이점에 있어서 상기 실 분리가이드(13-A,13-B)와 안내수단(14-A,14-B)을 실꿰는 작업을 하는 동안 전방으로 끌어당길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각각의 가이드들에 실을 꿰어준 다음에 최초 위치로 되돌아올 수 있도록 하는 방법으로 배열할 수 있다.
좀더 자세하게 말한다면, 상기 방사팩(5,6,7)에서 압출된 6올의 실들(51,52,61,62,71,72)이 상기 실 절단/흡착장치(17-A)를 통과하게 되고, 상기 방사팩(8,9,10)에서 압출된 다른 6올의 실들(81,82,91,92,101,102)은 상기 실 절단/흡착장치(17-B)를 통과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실들(51,52,61,62,71,72,81,82,91,92,101,102)은 실 분리 가이드(13)를 통과함과 동시에 통과된 순서대로 배열된 위치를 유지하게 되고, 이러한 위치들은 제 1실공급로울러(11)와 제 2실공급로울러(12)상에서도 변하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하여 상기 실들(51,52,61,62,71,72)이 안내부재(14-A)를 경유하여 하부 권취기(1-A)에 감겨지게 되고 다른 실들(81,82,91,92,101,102)은 안내부재(14-B)를 경유하여 상부 권취기(1-B)에 각각 감겨지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놓고 볼 때 상기 권취기(1-A,1-B)들은 권취기 유니트를 이루도록 권취기(1-A)가 실 절단/흡착장치(17-A)와 연계하여 동작하고, 권취기(1-B)는 실 절단/흡착장치(17-B)와 각각 연계하여 동작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권취기(1-B)가 감기작업을 하는 중에 실(92)이 끊어지게 되면 실 절단검출기(15-B)가 이를 감지하여 콘트롤러(도시되지 않음)로 제어신호를 인가시키게 되고, 이 제어신호에 따라 콘트롤러는 실 절단/흡착장치(17-B)가 상기 실(92)과 동일한 그룹을 이루는 실들(81,82,91,101,102)을 절단시키면서 상기 흡착장치내에 실들을 흡착시키도록 작동하게 되어, 작업중에 실 방사시스템에 문제가 발생되는 일이 없이 동시에 상기 권취기(1-B)에 의해 감겨지고 있던 모든 실들을 절단하게 된다.
또한 몇몇 경우에는 절단된 실(92)의 이동경로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극소량의 실 부스러기가 제 1실공급로울러(11)나 제 2실공급로울러(12) 주위에 감겨지는 경우도 있으나, 이 실 부스러기는 감겨지고 있는 다른 그룹의 실들(51,52,61,62, 71,72)에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고 로울러에서 실 부스러기를 떼어낼 수 있도록 된 대나무 주걱이나 이와 유사한 도구로 로울러의 한쪽 최선단인 정면으로 쉽게 옮겨놓을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권취기(1-B)의 감기작업이 실 절단으로 인해 방해를 받게 되더라도 다른 하나의 권취기(1-A)가 정상으로 감기작업을 계속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실이 끊어지면 권취기(1-B)에 설치되어 있는 튜브를 새로운 튜브로 교체하고 교체된 튜브에 방적사를 즉시 꿰어주어야 하는데, 이때 상기 권취기(1-A)에 연속적으로 감겨진 실들(51,52,61,62,71,72)은 상기 제 1실공급로울러(11)와 제 2실공급로울러(12)의 정면부위로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실들(81,82,91,92, 101,102)은 제 1실공급로울러(11)와 제 2실공급로울러(12)의 후면부위로 슬립(slip)되게 되고, 실들(51,52,61,62,71,72)의 이동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고 로울러의 지정된 위치로 통과하게 되는 바, 이러한 상태에서의 실 꿰임작업은 다음의 조건하에서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즉, 먼저 실들(81,82,91,92,101,102)이 상기 실 절단/흡입장치(17-B)내로 흡입기(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동시에 흡입되게 되고, 상기 각각의 실들은 소정위치에 설치된 실 분리 가이드(13)에 의하여 개별적으로 분리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가 유지되고 있는 동안 상기 흡입기가 실 공급 로울러들(11,12)의 회전방향에 놓여지게 되어, 상기 흡입기가 제 2실공급로울러(12)를 통과한 다음 정상적으로 감겨지고 있는 실들의 바로 아래 지점 즉, 안내수단(14-B)의 일측에 흡입기에 설치된 실 흡입 노즐(도시되지 않음)이 도달하게 되며, 그 다음 각각의 실들은 상기 실 분리 가이드(13)가 지정한 순서대로 자동으로 자리잡게 된다. 즉, 꿰어진 실들을 상기 제 1실공급로울러(11)상에 정상적으로 감겨지고 있는 실들 위로 이동하고 후면부에 진입시키게 된다. 그러는 사이 꿰어진 실들은 상기 제 2실공급로울러(12)상에 정상적인 실들 아래로 이동하고 후면부에 진입하게 된다. 2개 그룹의 실들이 동일속도와 각도로 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각각의 실들은 엉킴이나 섬사(纖絲)의 훼손이 발생되지 않은 상태로 즉시 정상적인 위치에 자리잡을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따라 권취기(1-B)에서 다시 감기작업을 할 수 있게 된되며, 본 발명에 따른 실 제조장치는 상기 실 절단/흡착장치(17)를 사용하지 않고 기어펌프(도시되지 않음)를 사용해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실 제조장치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 바, 이 실시예는 도 4와 도 5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 절단/흡입장치(17-A)를 경유하여 이동하고 있는 실들이, 제 2실공급로울러(12)의 일측에 배치된 실 분리기(13)를 구성하고 있는 실 분리 가이드(13-A)를 통과하면서 제 1실공급로울러(11)를 돌아 이동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실 절단/흡착장치(17-B)를 경유하여 이동하고 있는 다른 그룹의 실들은, 제 2실공급로울러(12)에 대향되는 일측에 배치된 실 분리기(13)를 구성하고 있는 실 분리 가이드(13-B)를 통과하면서 제 1실공급로울러(11)를 돌아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실들이 제 1실공급로울러(11)로 진입되기 이전에 실들(51,81,52,61,91,62,92,71,101,72,102)이 순서대로 자리잡도록 실 분리 가이드(13-A,13-B)가 설치되고, 각각의 실들이 제 1실공급로울러(11)를 토과한 다음과 제 2실공급로울러(12)로 진입하기 이전에는 실들의 이동경로가 실 경로조절 가이드(16)를 매개로 조절되게 되는 바, 즉 실들(51,52,61,62,71,72)의 이동경로가 실 제조장치의 일측에 설치된 실 경로 조절가이드(16)의 가이드(16-A)에 의하여 조절되고, 다른 그룹의 실들(81,82,91,92,101,102)의 이동경로는 가이드(16-B)에 의하여 조절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실들(51,52,61,62, 71,72)은 제 2실공급로울러(12)를 빠져나간 이후 실의 위치를 결정하게 되는 가이드(18-A)를 통과하게 되며, 동시에 다른 그룹의 실들(81,82,91,92,101,102)도 실의 위치를 정하게 되는 가이드(18-B)를 통과하게 되며, 그런 다음 실들이 권취기(1-A,1-B)에 의해 각각 감겨지게 된다.
그리고 적어도 1올의 실, 예컨대 권취기(1-B)에 의해 감겨진 실(92)이 정상적인 감기작업중에 끊어지게 되면, 상기 실 절단 검출기(15-B)가 이를 감지하여 콘트롤러(도시되지 않음)로 제어신호를 인가시키게 되며, 이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콘트롤러는 실 절단/흡착장치(17-B)가 즉시 실(92)과 동일한 그룹을 이루는 실들(81,82,91,101,102)을 절단시키면서 상기 흡착장치내에 실들을 흡착시키도록 작동하게 되어, 다른 방사장치에 문제가 발생됨이 없이 상기 권취기(1-B)에 의해 감겨진 모든 실들을 즉시 절단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실이 절단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 1실공급로울러(11)와 제 2실공급로울러(12)주위의 실(92)이동로에 극소량의 실 부스러기가 감겨질 수 있으나, 이 실 부스러기는 예컨대 감겨지고 있는 다른 그룹의 실들(51,52,61,62,71,72)에 방해를 주지 않고 로울러에서 실 부스러기를 떼어낼 수 있도록 된 대나무 주걱으로 정면 즉, 로울러의 선단으로 쉽게 밀어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권취기(1-B)의 감기작업이 실 절단으로 인해 방해를 받게 되더라도 다른 권취기(1-A)로 정상적인 감기작업을 계속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실이 끊어지면 권취기(1-B)상에서 완성되지 않은 실 패키지를 새로운 튜브로 교환하고 즉시 실들을 꿰어주어야 하는데, 이때 상기 권취기(1-A)에 감겨있는 실들(51,52,61,62,71,72)은 제 1실공급로울러(11)와 제 2실공급로울러(12)를 통과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권취기(1-B)에 감겨있는 실들(81,82,91,92,101,102)은 권취기(1-A)에 방해됨이 없이 이 권취기(1-A)에 감겨있는 실들(51,52,61,62,71,72)과 교체되는 위치에 자리잡아야만 한다.
또한 이때 상기 실 꿰는 작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정면부위에서 이동하고 있는 실들이 있어도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실들(81,82,91,92,101,102)이 실 절단/흡착장치(17-B)내로 흡입기(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동시에 흡입하게 되고, 이 흡입기는 각각의 실들이 상기 실 분리가이드(13-B)의 지정된 위치에 자리잡고 있는 동안 상기 실 경로 조절가이드(16)에 도달될 때까지 제 1실공급로울러(11)의 회전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이때 각각의 실들은 정상적으로 감겨지고 있는 실들위로 통과되도록 제 1실공급로울러(11)를 따라 옆으로 움직이게 되고, 실들을 꿰어주거나 또는 조절가이드(16-B)에 안내한 다음 상기 흡입기가 제 2실공급로울러(12)의 회전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가이드(18)를 약간 지나쳐 멈춰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실공급로울러(12)의 경우, 가이드(16-A,16-B)를 지정된 위치로 동시에 밀어 실들(81,82,91,92,101,102)이 정상적으로 감겨지고 있는 실들 아래로 통과되도록 이동시키면, 상기 2개 그룹의 실들은 동일속도와 각도로 이동하고 있기 때문에 실들이 엉키거나 끊어지는 일이 없이 즉시 정상위치에 놓여지게 된다. 그 다음 권취기(1-B)가 감기동작을 실행할 수 있도록 작업자가 각각의 실들을 가이드(18)에 끼워주면 된다.
상기한 방법으로 상기 권취기(1-B)는 재작동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실공급로울러(12)상에 놓인 실의 이동로는 대개 실이 점유하게 되는 공간인 중간부위로 한정되게 된다. 만일 제 1실공급로울러(11)와 실 조절가이드(16)사이 또는 상기 제 2실공급로울러(12)와 권취기 송풍가이드사이의 간격이 너무 짧으면 마주보는 상태로 끝쪽 실 경로상에서 움직이고 있는 실들(52,102)이 중심선으로 부터 너무 큰 절단각을 갖게 되므로, 상기 제 2실공급로울러(12)에는 이와 근접되도록 제 2실 경로조절가이드(18)가 설치되어, 상기 실들이 제 2실경로조절가이드(18)를 경유하여 가이드(14)로 진압하게 되므로, 이동각도나 횡단길이와 같은 실 이동조건이 최적상태가 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제 1실시예의 경우, 제 2실공급로울러(12)에 걸려있는 실들이 가이드(14)로 직접 도달되도록 되어 있으나, 제 2실경로조절가이드는 가이드(14)와 제 2실공급로울러(12)간의 위치를 이 제 2실공급로울러(12)에 더 가깝게 하여 배치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실꿰는 작업을 원할하게 하고 장치의 크기를 줄이도록 기계의 높이를 최소화한 제 1실시예와 비교해서 상기 권취기와 제 2실공급로울러간의 거리를 줄여줄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권취기도 수직으로 배열되도록 서로 겹쳐진 상태로 설치되어, 실 제조장치의 전체 높이 뿐 아니라 기존의 제조장치와 비교하여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실 절단/흡입유니트를 갖춘 실 제조장치에 따르면, 1개의 실 절단/흡착장치와, 권취유니트를 이룬 권취기, 적어도 1개의 실 공급로울러에 설치된 최소한 2개의 권취유니트로 인하여 실이 끊어졌을 때 절단되면서 흡착되는 실들의 수가 감소되어, 실 생산량을 증가시키고 실 꿰는 작업으로 인한 작업자의 일을 경감시키게 되는 반면, 종래의 실 제조장치 경우에는 동일한 장치에서 감겨지고 있는 실들 중 어느 1올이라도 끊어지면 정상적인 감기작업중인 권취기에 감겨지고 있는 모든 실까지 절단되면서 흡착되게 되므로 실의 낭비가 심하고 실의 생산량이 저감되게 된다.
또한 권취기가 수직으로 배열되어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으며, 앞쪽부위의 실 그룹인 두 번째 실 그룹이 공지의 제 1실공급로울러를 가로질러 아래 또는 위로 통과한 다음 두 번째 실 그룹이 공지의 제 2실 공급로울러를 가로질러 위 또는 아래로 통과하는 동안, 첫 번째 실 그룹을 정면에서 후면부로 안내하고, 예컨대, 뒤쪽부위의 실 그룹에서의 실이 절단되어 앞쪽부위의 실 그룹을 가로지르는 사이 내측의 실 그룹에서 실 끼움작업을 하기 위하여 실 경로 조절가이드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권취기와 제 2실공급로울러간의 거리를 줄일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실꿰는 작업을 원할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장치의 전체높이를 줄일 수 있고 실꿰는 작업을 하기 위하여 중간층을 제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Claims (3)

  1. 실이 형성되도록 방사팩의 방사플레이트에서 용해된 폴리머를 압출시키기 위한 방사장치와, 잡아늘여 냉각시킨 실을 지정된 속도로 공급하기 위한 실 공급로울러들, 각각의 실들을 튜브에 감아주기 위한 권취기들, 이 권취기들에 의해 감겨지고 있는 실 중 적어도 1올의 실이 끊어지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실 절단 검출기, 상기 실 공급로울러의 윗쪽에 배치되어 실 절단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끊어진 실이 속해 있는 그룹의 실을 절단과 동시에 흡입하도록 작동되는 실 절단/흡입장치를 갖추고서, 상기 1개의 실 절단/흡입장치와 1개의 권취기가 각각 1개의 권취유니트를 이루고, 적어도 2개의 권취 유니트가 적어도 1개의 실 공급 로울러를 이루도록 구성된 실 절단/흡입유니트를 갖춘 실 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기가 수직의 열을 이루도록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절단/흡입유니트를 갖춘 실 제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실 그룹이 적어도 2개의 실 공급로울러를 순차적으로 통과하고, 후방 실그룹이 전방 실그룹을 가로지르면서 실을 꿰는 작업을 하게 되면, 후방 실그룹에서 실 절단 등으로 인하여 제 1실공급롤러를 통과하는 전방 실 그룹 위 또는 아래를 지나는 동안 후방 실 그룹이 전방지역에서 부터 후방지역으로 이동하고 난 다음, 제 2실공급롤러를 통과하는 전방 실 그룹 위 또는 아래로 이동하도록 실을 안내하는 실 경로 조정가이드를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절단/흡입유니트를 갖춘 실 제조장치.
KR1019980041346A 1997-10-02 1998-10-01 실절단/흡입유니트를갖춘실제조장치 KR1003304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287,829 1997-10-02
JP9287829A JPH11107031A (ja) 1997-10-02 1997-10-02 糸条製造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6763A true KR19990036763A (ko) 1999-05-25
KR100330462B1 KR100330462B1 (ko) 2002-09-25

Family

ID=17722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1346A KR100330462B1 (ko) 1997-10-02 1998-10-01 실절단/흡입유니트를갖춘실제조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210143B1 (ko)
JP (1) JPH11107031A (ko)
KR (1) KR100330462B1 (ko)
CN (1) CN1215102A (ko)
TW (1) TW45405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3939B1 (ko) * 2013-12-04 2014-02-18 오점석 냉각챔버를 갖는 방적설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00728C (zh) * 2001-09-11 2008-07-09 诺马格有限及两合公司 纺丝-拉伸-卷曲变形机
DE10235936A1 (de) * 2002-08-06 2004-02-19 Barmag Ag Vorrichtung zum Spinnen und Aufwickeln
WO2004074155A1 (de) * 2003-02-21 2004-09-02 Saurer Gmbh & Co. Kg Vorrichtung zum hertellen und aufwickeln synthetischer fäden
JP2007522056A (ja) * 2004-02-11 2007-08-09 ザウラー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ンパニー コマンディートゲゼルシャフト 複数の糸群を巻取るための装置
DE102004025680A1 (de) * 2004-05-26 2005-12-15 Saurer Gmbh & Co. Kg Vorrichtung zum Spinnen und Aufwickeln mehrerer synthetischer Fäden
DE102004039510A1 (de) * 2004-08-14 2006-02-23 Saurer Gmbh & Co. K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Schmelzspinnen, Abziehen, Behandeln und Aufwickeln mehrerer synthetischer Fäden
JP4733750B2 (ja) * 2009-01-07 2011-07-27 インビスタ テクノロジーズ エス エイ アール エル スパンディックスワインダー
DE102009013974A1 (de) 2009-03-19 2010-09-23 Oerlikon Textile Gmbh & Co. Kg Vorrichtung zum Schmelzspinnen und Aufwickeln mehrerer Fäden
DE102010007737A1 (de) 2010-02-12 2011-08-18 Oerlikon Textile GmbH & Co. KG, 42897 Vorrichtung zum Abziehen und Aufwickeln einer Vielzahl synthetischer Fäden
JP5685432B2 (ja) * 2010-12-13 2015-03-18 Tmtマシナリー株式会社 糸切断装置
JP5632774B2 (ja) * 2011-03-01 2014-11-26 Tmtマシナリー株式会社 糸切断吸引装置及び紡糸巻取機
US9127457B2 (en) * 2012-07-10 2015-09-08 King Saud University Machine for deforming and cutting plastic strips for enhancing concrete
CN103541033B (zh) * 2013-11-07 2015-11-25 恒天重工股份有限公司 一种适用于化纤设备的绕辊检测装置
CN103757726B (zh) * 2014-01-07 2015-11-04 太仓市世博纺织配件有限公司 导丝器的转向调节方法
JP6829044B2 (ja) * 2016-10-20 2021-02-10 Tmtマシナリー株式会社 糸掛けロボット
DE102017003189A1 (de) * 2017-04-01 2018-10-04 Oerlikon Textile Gmbh & Co. Kg Schmelzspinnvorrichtung
CN114671298B (zh) * 2022-05-31 2022-08-26 杭州萧山林芬纺织有限公司 一种阻燃型纱线卷绕设备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9034B2 (de) * 1969-11-25 1976-08-19 Barmag Barmer Maschinenfabrik Ag, 5600 Wuppertal Anlage zum kontinuierlichen herstellen und aufwickeln von endlosen synethetischen faeden
JPS5224129A (en) * 1975-08-05 1977-02-23 Dowa Mining Co Nonnelectrolytic gold plating method
US4522774A (en) * 1981-06-11 1985-06-11 Badische Corporation Integrated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textured polycaprolactam multifilament yarn
JPH07122167B2 (ja) * 1992-03-16 1995-12-25 村田機械株式会社 紡績装置の糸継ぎ方法
US5794868A (en) * 1994-09-21 1998-08-18 Maschinenfabrik Rieter Ag Spin winding machin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3939B1 (ko) * 2013-12-04 2014-02-18 오점석 냉각챔버를 갖는 방적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15102A (zh) 1999-04-28
JPH11107031A (ja) 1999-04-20
US6210143B1 (en) 2001-04-03
KR100330462B1 (ko) 2002-09-25
TW454051B (en) 2001-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36763A (ko) 실 절단/흡입유니트를 갖춘 실 제조장치
TWI324644B (en) Apparatus for spinning and winding multifilament yarns
RU2556473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ядения из расплава, вытягивания и наматывания нескольких комплексных нитей
EP2407408B1 (en) Filament yarn winding apparatus
JP2009536270A (ja) 合成糸の溶融紡糸、処理及び巻成のための装置
KR20080090533A (ko) 합성사를 용융 방사 및 권취하기 위한 장치
EP1928774B1 (d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arbeitsstelle einer kreuzspulen herstellenden textilmaschine
CN110869302B (zh) 卷绕机
US6890166B2 (en) Spinning-drawing-texturing machine
JP5864338B2 (ja) 紡糸巻取装置及び紡糸巻取設備
JP2020517843A (ja) 複数の紡糸された糸を仕掛け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EP2388222B1 (de)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Spinnkopsen
US6494700B1 (en) Melt spinning line for producing multifilament yarns
EP1828040B1 (de) Arbeitsstelle einer spulmaschine
US643949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inding a web of tapes or yarns
JP2007512444A (ja) 紡糸装置
EP1616829B1 (en) Yarn guide device of revolving type automatic winder
JP4169690B2 (ja) 繊維機械
EP3037374B1 (en) Textile machine
US5058398A (en) Thread supply device for a circular knitting machine
JPH033867A (ja) 個別型断糸処理装置
JP3598023B2 (ja) 断糸処理装置
JPH0627389B2 (ja) 複合糸の紡績方法
CN108411414A (zh) 纱线卷取机
JP3351085B2 (ja) トウの引取収納装置および引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