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6083A - 스틸 빌렛을 제조하기 위한 판 주형 - Google Patents

스틸 빌렛을 제조하기 위한 판 주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6083A
KR19990036083A KR1019980700749A KR19980700749A KR19990036083A KR 19990036083 A KR19990036083 A KR 19990036083A KR 1019980700749 A KR1019980700749 A KR 1019980700749A KR 19980700749 A KR19980700749 A KR 19980700749A KR 19990036083 A KR19990036083 A KR 199900360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chambers
walls
temperatur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0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96188B1 (ko
Inventor
프리쯔-페터 플레쉬우취니히
Original Assignee
프레드 퀴글러, 요르크 모저
만네스만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레드 퀴글러, 요르크 모저, 만네스만 아게 filed Critical 프레드 퀴글러, 요르크 모저
Publication of KR19990036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60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6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61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4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open-ended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4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open-ended moulds
    • B22D11/0408Moulds for casting thin sla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4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open-ended moulds
    • B22D11/055Cooling the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B22D11/22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for cooling cast stock or mou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 Heat Treatments In General, Especially Conveying And Cooling (AREA)
  • Coating With Molten Metal (AREA)
  • Metal Rolling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 Metal Extraction Processes (AREA)
  • Ropes Or Cables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틸 빌렛, 특히 얇은 슬래브를 제조하기 위한 판 주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판 주형은 광면벽들 사이에 삽입될 수 있는 수냉각되는 협면벽을 가진다. 상기 광면벽들은 서로 독립적인 최소한 세 개가 옆으로 나란히 위치하는 냉각 세그먼트들(11 내지 13, 21 내지 23)로 구성된다. 상기 냉각 세그먼트들은 상기 주형의 중심축에 대하여 대칭으로 나뉘고, 상기 주형 출구(29)의 영역에서는 액상의 냉각 매체를 독립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분리 연결부들(51, 53, 55)을 가진다.

Description

스틸 빌렛을 제조하기 위한 판 주형
DE 24 15 224에는 슬래브를 위한 판 주형이 개시되어 있는데, 상기 판 주형의 주형벽들은 일정한 냉각영역들을 포함하는 냉각 챔버들을 가진다. 상기 광면의 물 유입관 및 유출관에는 유출되는 열량 또는 냉각능력을 규정하기 위한 측정장치들이 연결된다. 더 나아가서 상기 측정장치들에서는 동시에 냉각챔버의 냉각능력의 평균값이 산출되고, 상기 평균값은 상기 협면들의 테이퍼 비율(taper ratio)을 조절할 수 있는 제조자에게 전달된다.
DE 41 17 073 C2에는 슬래브 주형, 특히 사각형 또는 물결 모양의 얇은 슬래브 주형의 열량 측정계의 도움으로 각각의 개별 동판(銅板)에 본질적이면서 고유한 열 전달을 결정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스틸을 향하는 동판의 면, 소위 핫 페이스(hot face)에서 특히 상기 협면의 수냉각되는 면으로의 전열면 열부하(heat flux)를 상기 두 개의 광면의 전열면 열부하와 비교하는 "원-라인(one-line)"은 상세하게 선택된 주조 파라미터(parameter)들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상기 협면의 테이퍼 비율의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지 않게도 앞에서 언급된 판 주형에서는 상기 주형 폭에 의한 부분 전열면 열부하에 대하여 달리 차별되는 점이 언급될 수 없다. 이밖에도 주조속도가 1.5 m/min이상일 때 장착된 온도 감지기는 안정된 주조에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은 스틸 빌렛, 특히 얇은 슬래브를 제조하기 위한 판 주형(plate mould)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판 주형은 광면벽(broad side wall)들 사이에 끼워 넣어질 수 있는 수냉각되는 협면벽(narrow side wall)과, 협면벽 및 광면벽으로 형성된 중공 및 주조 원추형을 다양한 빌렛 규격으로 조절하기 위한 장치들 및 진동 장치를 가진다.
도 1은 판 주형 구조의 횡단면의 개략도.
도 2는 이의 종단면도.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조속도가 1.5 내지 8 m/min인 동종의 판 주형을 창출해내는 데 있으며, 상기 판 주형은 침지 주괴(Tauchausguss(獨文))의 영역에 광면의 중간부를 포함하여 간단하면서도 안정된 온도유도를 가능케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허 청구항 1에 나타난 특징들을 통하여 달성된다. 후속하는 청구항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추가 형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광면벽들은 주조방향으로 서로 독립적인 최소한 세 개의 냉각 세그먼트들로 나뉜다. 상기 외부 냉각 세그먼트들은 각각의 동일한 구조를 나타내며, 그 사이에 다수의 영역으로 나뉠 수 있는 중간 세그먼트를 포함하도록 배열된다.
이러한 배열로 인하여 상기 주형 폭에 의한 부분 전열면 열부하에 대하여 차별되는 점이 언급될 수 있다. 이것으로 상기 슬래브 폭에 의한 전열면 열부하 편차가 고려되기 때문에, 근간을 이루는 측정치들이 상기 주형 폭과 주형 높이의 부분에 걸쳐 본질적으로 파악될 수 있다. 특히 주조속도가 1.5 내지 8 m/min일 경우, 슬래브, 특히 얇은 슬래브의 안정된 주조를 위해서는, 특히 상기 슬래브 중앙의 상기 광면 고유의 열전달에 대한 지식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서 나머지 광면들과 협면들에 비하여 상기 침지 주괴의 영역에서 전체 주형 폭과 전체 슬래브 폭에 걸친 한결 같은 냉각작용이 이루어 질 수 있고, 하기하는 영향력에 의해 야기되는 장애요인들을 방지할 수 있다:
- 침지 주괴로 인한 흐름 방해
- 주조 파우더에서 주조 슬래그로의 용련을 위해 상기 슬래브 폭의
감소된 유효 두께로 인한 상대 슬래그량 및 이로 이한 유막
- 상기 슬래브 중앙에서 빌렛셸의 높은 멤브레인(membrane) 작용
- 주조 방향에서의 빌렛의 중심축에 대하여 흐름 대칭
- 상기 슬래브 폭에 의한 주조 레벨의 난류
상기 주형 폭과 협면의 영역 또는 슬래브에 의한 차별되는 고유의 전열면 열부하 정도를 결정하고, 이로 인해 안정된 주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하기하는 내용의 조절을 목적으로 장착된다.
- 테이퍼 비율
- 침지 주괴 위치, 이와 아울러 주조 중의 침지깊이
- 침지 주괴에서 경우에 따라, 예를 들어 산소층으로 인한 흐름 변화의
판단
이밖에도 침지 주괴뿐만 아니라 주형형태가 개별적이고도 공통적으로 최적화될 수 있다.
개별적인 세 개의 영역 내에서 상기 물의 유출 온도를 유입 온도에 비교하여 측정함으로써 냉각수 조절을 최적화할 수 있다. 각각의 영역에서 물의 유입, 유출 온도 및 물의 양도 측정되고, 상기 물의 양들도 서로 독립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최소한 세 개의 영역에의 배열과 이러한 영역들에서의 고유의 전열면 열부하를 서로 비교함은 특히 침지 주괴 영역에서 비대칭임을 인식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주형 내의 스틸의 난류로 인한 불규칙한 열 전달도 마찬가지로 알 수 있다.
상기 주형 중앙의 가능한 편차는 상기 빌렛의 표면에 세로 균열과 함께 파손(접착)을 수반한다. 상기 세로 균열은 상기 침지 주괴 영역의 중심축 이외에도 특히 슬래브의 중앙 영역, 즉 비교적 얇은 슬래그 유막의 영역에서 발생한다. 상기 비교적 얇은 슬래그 유막은 증가된 두께, 감소된 온도 및 증가된 수축현상의 관점에서 상승된 전열면 열부하와 이로 인한 불규칙한 빌렛셸의 부분 형성으로 이어진다. 상기 불규칙한 빌렛셸의 부분 형성은 세로 균열로 이어지고, 극단적인 경우에는 상기 주형의 광면의 중간부의 빌렛의 접착 및 파손으로 이어진다. 상기 빌렛셸의 장애요인에 병행하여 동판에 체류시간을 감소시키는 부분 온도 부하가 발생한다. 더 나아가서 테이퍼 비율의 조절로 인해 반작용을 할 수 있는 장치는 현가장치(suspender)로 인한 파손 위험성과 함께 상기 빌렛이 상기 협면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나타낸다.
양쪽 영역과의 중간 영역에서 kcal/min. m2또는 MW/m2단위로 측정된 고유의 전열면 열부하의 편차는 해당하는 액츄에이터를 위한 직접적인 치수를 제공한다:
- 협면의 테이퍼 비율
- 냉각 영역마다의 냉각수량
- 주형의 진동폭, 진동수 및/또는 진동형태
- 주조 중의 침지 주괴 침지깊이
여기에서 얻어진 인식은 하기의 내용의 최적화로 이어진다:
- 주형의 형태
- 주조 슬래그
- 상기 주형과 내부뿐만 아니라 외부가 연결된 침지 주괴 형태
따라서 본 발명은 주조 중에 특히 파손될 것을 방지하기 위해 주조 파라미터의 변형을 허용할 뿐만 아니라, 최적의 시스템 "주형"을 위해 침지 주괴 형태와 함께 움직이는 상기 주형 형태와 주조 파우더를 내부뿐만 아니라 외부에서 개선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에 나타나 있다.
도면의 상부에는 상기 주형의 단면의 평면도가 나타나 있다. 도면의 왼쪽에는 슬래브의 연속주조를 위한 곧은 주형이 제시되어 있다. 상기 광면들은 제 1측면 세그먼트 11 및 중간 세그먼트 13을 가지며, 이들은 각각 챔버들 또는 냉각수를 유도하기 위한 수직으로 배열된 구멍들을 가지는 제 1세그먼트 21을 가진다.
조절장치 33에 의해 조절될 수 있는 협면들 31이 상기 광면들 사이에 끼워 넣어질 수 있다.
상기 도면의 오른쪽에는 소위 울퉁불퉁한 주형이 제시되어 있다. 상기 울퉁불퉁한 주형은 광면 세그먼트 12와 마찬가지로 중간 세그먼트 13을 가진다. 이들은 각각 냉각 챔버들 또는 냉각 구멍을 가지는 측면 세그먼트 22 및 중간 세그먼트 23을 가진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중간 세그먼트들 13 및 23이 14 및 15 또는 24 및 25의 영역으로 계속해서 나뉜다.
액츄에이터 63을 이용하여 조절장치 33을 위하여 조절될 수 있는 협면 32가 상기 광면들 12 사이에 끼워 넣어진다.
상기 광면들 11 내지 15 또는 21 내지 25 및 상기 헙면들 31 및 32는 냉각 매체가 유출입할 수 있게 하는 유입부51, 53, 55, 57 및 유출부 52, 54, 56 및 58을 가진다. 상기 주형의 내부 공간에는 침지 주조관 41 또는 42가 장착된다. 상기 내부 공간을 향하는 벽 16 또는 26 안에는 온도 감지기 61들이 배열되고, 상기 유입 및 유출관 51 내지 58 안에는 온도 감지기 64들이 배열되며, 상기 온도 감지기들은 액츄에이터 63 또는 도시되지 않은 진동장치에 작용을 마치는 조절기 62와 연결된다.
하부에는 상기 주형의 측면도가 이미 언급된 위치와 동일하게 나타나 있다. 여기에 덧붙여서 상기 협면들 31 및 32의 하부의 조절장치 34 및 36이 나타나 있다. 이밖에도 상기 주형 출구에는 참고번호 29를 붙였다.
-위치 리스트-
판 주형의 챔버를 가지는 광면들
11 곧은 주형 제 1측면 세그먼트
12 울퉁불퉁한 주형 제 2측면 세그먼트
13 중간 세그먼트 14 제 1부분 세그먼트
15 제 2부분 세그먼트 16 벽
판 주형의 구멍을 가지는 광면들
21 곧은 주형 제 1광면 세그먼트
22 울퉁불퉁한 주형 제 2광면 세그먼트
23 중간 세그먼트 24 제 1부분 세그먼트의 중간
25 제 2부분 세그먼트의 중간 26 벽
29 주형 출구
협면
31 곧은 주형 32 울퉁불퉁한 주형
33 곧은 주형의 상부 조절장치
34 곧은 주형의 하부 조절장치
35 울퉁불퉁한 주형의 상부 조절장치
36 울퉁불퉁한 주형의 하부 조절장치
침지 주조관
41 원통형 침지 주조관 42 평평해진 침지 주조관
냉각제 시스템
51 제 1측면 세그먼트 유입부 52 제 1측면 세그먼트 유출부
53 중간 세그먼트 유입부 54 중간 세그먼트 유출부
55 제 2측면 세그먼트 유입부 56 제 2측면 세그먼트 유출부
57 협면 유입부 58 협면 유출부
온도측정기
61 감지기 62 조절기
63 액츄에이터 64 냉각수 유입 또는 유출 온도 감지기
I 중심축

Claims (7)

  1. 광면벽들 사이에 끼워 넣어질 수 있는 수냉각되는 협면벽들; 상기 광면벽들은 서로 독립적인 최소한 세 개가 옆으로 나란히 위치하는 냉각 세그먼트(11 내지 13, 21 내지 23)를 나타내고, 상기 주형의 중심축(I)에 대칭으로 나뉘며, 상기 주형 출구(29)의 영역에서 액상의 냉각 매체의 독립적인 유입을 위하여 분리된 연결부들(51, 53, 55)을 나타냄,
    다양한 빌렛의 규격에 협면벽들과 광면벽들로 형성된 중공 및 주조 원추형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들 및 진동 장치;
    상기 챔버들(11 내지 13)의 상기 빌렛을 향하는 벽(16) 내에 장착되어, 최소한 개별 챔버들(11 내지 13, 12 내지 13) 또는 영역(11 내지 15) 사이의 온도 편차를 파악하는 온도 감지기들(61)과 상기 냉각제 유입 및 유출관(51 내지 58) 내에 배열된 온도 감지기들(64); 상기 온도 감지기들(61) 및 상기 온도 감지기들(64)은 액츄에이터(63)에 의해 상기 협면(31, 32)의 테이퍼 비율을 조절하며, 그리고/또는 진동 파라미터의 변형을 통해서 챔버들(11 내지 15) 또는 영역(14, 15) 마다의 고유한 전열면 열부하들을 균등하게 하는 조절기(62)와 연결됨,
    을 가지는, 스틸 빌렛, 특히 얇은 슬래브를 제조하기 위한 판 주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세그먼트들이 냉각 챔버들(11 내지 13)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 주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광면벽들의 외부 챔버들(11, 12)은 구조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며, 상기 중간 챔버(13)가 계속해서 주조방향으로 정렬된 영역(14, 15)으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 주형.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최소한 개별 챔버들(11 내지 13, 12 내지 13) 및 영역(11 내지 15) 사이의 온도 편차를 감지할 수 있는 온도 감지기(61)가 상기 챔버들(11 내지 13)의 상기 빌렛을 향하는 벽(16) 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 주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감지기(61)는 액츄에이터(63)를 통해 상기 협면들(31, 32)의 테이퍼 비율을 조절하는 조절기(62)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 주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온도 감지기(61)는 상기 진동 파라미터의 변형을 통해 챔버(11 내지 15) 또는 영역(14, 15)마다의 고유한 전열면 열부하를 서로 조절하게 하는 조절기(62)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 주형.
  7. 상기한 청구항들 중 한 항에 있어서, 냉각제 유입 및 유출관(51 내지 58) 내에 배열되는 온도 감지기(64)가 조절기(62)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 주형.
KR1019980700749A 1995-08-02 1996-07-29 스틸빌릿을제조하기위한판주형 KR1002961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529931A DE19529931C1 (de) 1995-08-02 1995-08-02 Plattenkokille zur Erzeugung von Strängen aus Stahl
DE19529931.0 1995-08-02
PCT/DE1996/001445 WO1997004900A1 (de) 1995-08-02 1996-07-29 Plattenkokille zur erzeugung von strängen aus stah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6083A true KR19990036083A (ko) 1999-05-25
KR100296188B1 KR100296188B1 (ko) 2001-10-26

Family

ID=7769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0749A KR100296188B1 (ko) 1995-08-02 1996-07-29 스틸빌릿을제조하기위한판주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176295B1 (ko)
EP (1) EP0842001B1 (ko)
JP (1) JP3034957B2 (ko)
KR (1) KR100296188B1 (ko)
CN (1) CN1075966C (ko)
AT (1) ATE199846T1 (ko)
AU (1) AU6983896A (ko)
BR (1) BR9609810A (ko)
DE (3) DE19529931C1 (ko)
ES (1) ES2155199T3 (ko)
RU (1) RU2142863C1 (ko)
WO (1) WO19970049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22877C2 (de) * 1997-05-31 1999-09-09 Schloemann Siemag Ag Flüssigkeitsgekühlte Stranggießkokille
DE19725433C1 (de) * 1997-06-16 1999-01-21 Schloemann Siemag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Durchbruchfrüherkennung beim Stranggießen von Stahl mit einer oszillierenden Kokille
DE19810672B4 (de) * 1998-03-12 2006-02-09 Sms Demag Ag Verfahren und Stranggießkokille zum Erzeugen von Brammensträngen, insbesondere aus Stahl
DE19823797A1 (de) * 1998-05-28 1999-12-09 Daimler Chrysler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Stranggießen von Werkstücken
US6415850B1 (en) * 1998-08-24 2002-07-09 Sms Schloemann-Siemag Aktiengesellschaft Method of measuring and regulating temperature and quantity of cooling water for water-coolable mold walls of a continuous casting mold
DE19918835A1 (de) * 1998-12-23 2000-07-06 Sms Demag Ag Verfahren zum Erfassen und Regeln der Füllstandshöhe des flüssigen Metalls in einer Kokille
DE19956577A1 (de) 1999-11-25 2001-05-31 Sms Demag Ag Verfahren zum Stranggießen von Brammen, insbesondere von Dünnbrammen, sowie eine Vorrichtung zu dessen Durchführung
EP1149648B1 (de) * 2000-04-25 2005-07-20 SMS Demag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thermischen Kontrolle einer Stranggiesskokille
DE10148150B4 (de) * 2001-09-28 2014-05-22 Egon Evertz Kg (Gmbh & Co.) Flüssigkeitsgekühlte Stranggießkokille
US6857464B2 (en) * 2002-09-19 2005-02-22 Hatch Associates Ltd. Adjustable casting mold
DE10304543B3 (de) * 2003-02-04 2004-05-27 Sms Demag Ag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Stranggießen von flüssigen Metallen, insbesondere von flüssigen Stahlwerkstoffen
CN102266919B (zh) * 2011-08-03 2013-09-18 田志恒 结晶器在线热调宽系统及方法
CN102581238B (zh) * 2012-03-07 2013-12-18 苏州有色金属研究院有限公司 一种铝合金半连续铸造冷却强度可变的结晶器
DE102017220616A1 (de) * 2017-11-17 2019-05-23 Sms Group Gmbh Dünnbrammengießanlage mit wechselbarem Maschinenkopf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327931A (fr) * 1962-04-13 1963-05-24 Machine pour la coulée de pièces métalliques de longueur indéterminée, en particulier de tubes en bronze
FR1493301A (fr) * 1966-09-20 1967-08-25 United States Steel Corp Lingotière de coulée continue soudée
CH552423A (de) * 1972-04-18 1974-08-15 Concast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teuern des waermeentzuges in kokillen beim stranggiessen.
CH558687A (de) * 1973-03-30 1975-02-14 Concast Ag Verfahren zum steuern der kuehlleistung von schmalseitenwaenden bei plattenkokillen beim stranggiessen und plattenkokille zur durchfuehrung des verfahrens.
SU917899A1 (ru) * 1980-09-02 1982-04-07 Всесоюзны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Автоматизации Черной Металлургии Устройство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управлени машиной непрерывного лить металла
EP0101521B1 (en) * 1982-02-24 1986-11-05 Kawasaki Steel Corporation Method of controlling continuous casting facility
FR2541606A1 (fr) * 1983-02-28 1984-08-31 Fives Cail Babcock Procede pour modifier la largeur d'une brame coulee en continu sans interrompre la coulee
JPS59199156A (ja) * 1983-04-28 1984-11-12 Nippon Steel Corp 金属の連続鋳造用鋳型の振動制御方法
FR2569361B1 (fr) * 1984-08-24 1987-02-27 Fives Cail Babcock Procede de reglage de l'inclinaison des petits cotes d'une lingotiere de coulee continue a brames
DE4117073A1 (de) * 1991-05-22 1992-11-26 Mannesmann Ag Temperaturmessung brammenkokille
RU2015806C1 (ru) * 1992-08-20 1994-07-15 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объединение "Южуралмаш" Способ непрерывной разливки металлов
AT405253B (de) * 1994-10-11 1999-06-25 Voest Alpine Ind Anlagen Stranggiesskokil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155199T3 (es) 2001-05-01
JPH11500361A (ja) 1999-01-12
BR9609810A (pt) 1999-07-06
AU6983896A (en) 1997-02-26
WO1997004900A1 (de) 1997-02-13
CN1075966C (zh) 2001-12-12
DE19529931C1 (de) 1997-04-03
DE19680629D2 (de) 1998-07-23
CN1195307A (zh) 1998-10-07
ATE199846T1 (de) 2001-04-15
DE59606639D1 (de) 2001-04-26
KR100296188B1 (ko) 2001-10-26
JP3034957B2 (ja) 2000-04-17
EP0842001A1 (de) 1998-05-20
RU2142863C1 (ru) 1999-12-20
US6176295B1 (en) 2001-01-23
EP0842001B1 (de) 2001-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6188B1 (ko) 스틸빌릿을제조하기위한판주형
US6776217B1 (en) Method for continuous casting of slab, in particular, thin slab, and a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
RU2510782C1 (ru) Способ отливки составного слитка с компенсацией изменения температуры металла
KR101047826B1 (ko) 제어 시스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장치 및 방법
KR20010012379A (ko) 강철로 이루어진 슬래브 제조 방법 및 장치
JPH021591B2 (ko)
US5242010A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taper of narrow faces of a liquid-cooled mold
EP0664173B1 (en) Twin drum type continuous casting apparatus and method
US6152209A (en)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and regulating the temperature and quantity of cooling water for water-coolable walls of a continuous casting mold
RU98103467A (ru) Пластинчатый кристаллизатор для получения слитков из стали
KR20120032917A (ko) 스트랜드 냉각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H06297101A (ja) 鋼の連続鋳造用鋳型および連続鋳造方法
JPH1177265A (ja) 連続鋳造鋳型内における溶鋼流動制御方法
JP2962788B2 (ja) 連続鋳造鋳型内における溶鋼の偏流制御方法
KR101320345B1 (ko) 턴디쉬내 용강 측온 장치 및 그 방법
US20090199993A1 (en) Cooled continuous casting mold
JPH0631418A (ja) 連続鋳造方法
JPH0459160A (ja) 連続鋳造における鋳型内湯面のレベル制御方法
KR20130099334A (ko) 고품질 주편 제조장치 및 방법
KR101159604B1 (ko) 주형 내 비대칭 유동 판별 장치 및 비대칭 유동 제어 방법
SU1197771A1 (ru) Способ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регулирования режима охлаждения непрерывного слитк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H1177263A (ja) 連続鋳造鋳型内における溶鋼流動制御方法
JPS60180654A (ja) 連続鋳造用モ−ルド内の浴面形状制御方法及び装置
JPH035052A (ja) 連続鋳造用鋳型内溶鋼の偏流制御方法
JPH05212516A (ja) 鋳型内の湯面レベル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