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5694A - 자동차의 공기 주입형 시트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공기 주입형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5694A
KR19990035694A KR1019970057527A KR19970057527A KR19990035694A KR 19990035694 A KR19990035694 A KR 19990035694A KR 1019970057527 A KR1019970057527 A KR 1019970057527A KR 19970057527 A KR19970057527 A KR 19970057527A KR 19990035694 A KR19990035694 A KR 199900356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eat
tubes
drive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7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순원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70057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5694A/ko
Publication of KR19990035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5694A/ko

Links

Landscapes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시트에 공기를 수용하는 튜브를 삽설함으로써, 운전자의 체형에 따라 운전자의 몸을 적절히 지지하여 주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운전자의 승차감을 향상시킨 자동차의 공기 주입형 시트에 관한 것으로,자동차의 시트 일측부에 배설된 튜브(33,34)와,상기 튜브(33,34)에 부착되고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하는 센서(7,7')와, 상기 센서(7,7')의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8)와,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개폐작동 되며 상기 튜브(33,34)에 연결되어 있는 에어아웃렛(11,12)에 설치되어 있는 체크밸브(9)와,상기 튜브(33,34)에 연결되어 있는 에어인렛(13,14) 및 상기 에어아웃렛(11,12)과 각각 연결되며 자동차 엔진(1)의 구동력으로 작동되는 에어콤프레셔(2)가 구비되어,자동차 시트의 쿠션내의 에어튜브가 운전자의 체형 등에 따라 적절히 변형됨으로써 장거리 운행시에도 피로가 누적되는 일이 없을 뿐만 아니라 종래보다 더욱 쾌적한 승차감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공기 주입형 시트
본 발명은 자동차의 공기 주입형 시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시트에 공기를 수용하는 튜브를 삽설함으로써, 운전자의 체형에 따라 운전자의 몸을 적절히 지지하여 주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운전자의 승차감을 향상시킨 자동차의 공기 주입형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운전자 및 승객이 앉을 수 있도록 시트가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시트는 보통 철재 등으로 이루어진 시트 프레임에 탄성 스프링, 스폰지 등을 배설하고 그 외부에 섬유 또는 (인조)가죽 등이 씌워져 완성되었다.
한편, 경우에 따라서는 폴리우레탄 폼(FOAM) 등의 재질을 사용하여 시트를 완성하였는바, 이경우에 그 재질이 딱딱한 관계로 운전자 또는 승객이 승차감이 좋지않은 느낌을 받을 수 있었고, 장거리 운전시에는 피곤함이 누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대로, 그 재질을 부드럽게 하기 위하여 스폰지 등을 과도하게 사용하는 경우에는 자동차의 운행에 따라 운전자 또는 승객의 몸이 쉽게 흔들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게되어 이 역시 장거리 운전시에는 피곤함이 누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들은 시트의 쿠션이 적절히 조정됨으로써 장거리 운행시에도 피로가 누적되는 일이 없도록 함과 동시에 나아가서는 더욱 쾌적한 승차감을 줄 수 있는 시트의 개발에 대하여 고심하여 왔다.
이에 본 발명은 이같은 문제점 및 고심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 시트의 쿠션이 운전자의 체형 등에 따라 적절히 조정됨으로써 장거리 운행시에도 피로가 누적되는 일이 없도록 함과 동시에 나아가서는 더욱 쾌적한 승차감을 줄 수 있는 시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공기 주입형 시트의 사시도 및 부분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공기 주입형 시트의 에어콤프레셔 풀리의 설치위치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공기 주입형 시트의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엔진 2:에어콤프레셔
5: 시트쿠션 6:시트백
7:센서 8:제어부
9:전자식 체크벨브 11,12:에어아웃렛
13,14:에어인렛 15:벨트
21: 에어콤프레셔 풀리 22: 파워스티어링 펌프 풀리
23: 알터네이터 풀리 24: 오토 텐셔너
25:크랭크샤프트 풀리 31,32: 연결관
33:시트백튜브 34:시트쿠션튜브
이같은 목적들은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되는바,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차의 시트 일측부에 배설된 튜브와,상기 튜브에 부착되고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의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개폐작동 되며 상기 튜브에 연결되어 있는 에어아웃렛에 설치되어 있는 체크밸브와,상기 튜브에 연결되어 있는 에어인렛 및 상기 에어아웃렛과 각각 연결되며 자동차 엔진의 구동력으로 작동되는 에어콤프레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공기 주입형 시트의 사시도 및 부분 구조도이다. 운전자 또는 승객의 체형 및 몸무게 등을 감지할 수 있도록 센서(7, 7')를 배설하였다. 시트백(6)의 양측부에 각각 1개씩의 센서(7)를 설치하였고, 시트쿠션(5)의 양측부에도 각각 1개씩의 센서(7')를 설치하였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시트백(6)의 양측부에는 시트백튜브(33)를 세로방향으로 설치하였고 그 각각의 튜브(33) 일측부에 상기 센서(7)를 부착한 것이다. 마찬가지로
시트쿠션(5)의 양측부에는 시트백튜브(34)를 세로방향으로 설치하였고 그 각각의 튜브(34) 일측부에 상기 센서(7')를 부착한 것이다.
시트백(6)의 양측에 설치된 튜브(33)의 사이에는 연결관(32)이 제공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시트쿠션(5)의 양측에 설치된 튜브(34)의 사이에도 연결관(31)이 제공되어 있다. 따라서, 좌측의 시트백튜브(33)에 공기가 충만되는 경우 그 공기는 상기 연결관(32)을 통하여 우측의 튜브(33)로 이동된다.
상기 우측의 튜브(33)에는 에어아웃렛(11)이 연결되어 있고, 좌측의 튜브(33)에는 에어인렛(13)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에어인렛(13)을 통하여 공기가 주입되어 좌측의 시트백튜브(33)가 팽창되고 동시에 우측의 시트백튜브(33)도 팽창된다.
시트쿠션(5)에 설치되어 있는 튜브(34)의 경우에도 좌측의 시트백튜브(34)에 공기가 충만되는 경우 그 공기는 상기 연결관(31)을 통하여 우측의 튜브(34)로 이동된다. 상기 우측의 튜브(34)에는 에어아웃렛(12)이 연결되어 있고, 좌측의 튜브(34)에는 에어인렛(14)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에어인렛(14)을 통하여 공기가 주입되어 좌측의 시트백튜브(34)가 팽창되고 동시에 우측의 시트백튜브(34)도 팽창된다.
상기 에어아웃렛(12)은 연장되어 에어컴프레셔(2)에 연결되어 있는바, 그 중간부분에 전자식 체크밸브(9)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전자식 체크밸브(9)는 후술되는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개·폐작동 된다. 에어 컴프레셔(2)에 연결되어 있는 에어아웃렛(12') 및 에어인렛(11')은 시트백(6) 및 시트쿠션(5)에 연결되어 있는 에어아웃렛(11,12) 및 에어인렛(13,14)에 연결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공기 주입형 시트의 에어콤프레셔 풀리의 설치위치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상기 에어컴프레셔(2)에서 발생되는 공기압의 구동원은 엔진(1;도1참조)이다. 즉,엔진(1)에 연결되어 있는 크랭크샤프트 풀리(25)가 회전되면 벨트(15)에 의하여 오토텐셔너(24), 알터네이터풀리(23), 파워스티어링풀리(22), 에어콤프레셔풀리(21), 에어콘풀리(26) 등이 연동된다. 상기 에어콤프레셔풀리(21)가 회전되어 압축공기를 생성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공기 주입형 시트의 블록도이다. (중량체크)센서(7)에서 운전자 및 승객의 체형 및 몸무게를 감지하게 되고 그 감지신호를 제어부(8)에 인가하게 되면 제어부는 그 감지신호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체크밸브(9)는 구동되고 그에 따라 에어 아웃랫(12')을 통과하는 공기는 이동 또는 단절되어 정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주입형 시트를 자동차에 적용하게 되는 경우 자동차 시트의 쿠션내의 에어튜브가 운전자의 체형 및 몸무게 등에 따라 적절히 변형됨으로써 장거리 운행시에도 피로가 누적되는 일이 없을 뿐만 아니라 종래보다 더욱 쾌적한 승차감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1)

  1. 자동차의 시트 일측부에 배설된 튜브(33,34)와,상기 튜브(33,34)에 부착되고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하는 센서(7,7')와, 상기 센서(7,7')의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8)와,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개폐작동 되며 상기 튜브(33,34)에 연결되어 있는 에어아웃렛(11,12)에 설치되어 있는 체크밸브(9)와,상기 튜브(33,34)에 연결되어 있는 에어인렛(13,14) 및 상기 에어아웃렛(11,12)과 각각 연결되며 자동차 엔진(1)의 구동력으로 작동되는 에어콤프레셔(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공기 주입형 시트.
KR1019970057527A 1997-10-31 1997-10-31 자동차의 공기 주입형 시트 KR199900356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7527A KR19990035694A (ko) 1997-10-31 1997-10-31 자동차의 공기 주입형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7527A KR19990035694A (ko) 1997-10-31 1997-10-31 자동차의 공기 주입형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5694A true KR19990035694A (ko) 1999-05-15

Family

ID=66086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7527A KR19990035694A (ko) 1997-10-31 1997-10-31 자동차의 공기 주입형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569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475B1 (ko) * 2006-10-31 2008-02-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의 서포트 장치
WO2008073714A1 (en) * 2006-12-11 2008-06-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Vehicle seat sensor assembly
KR101395364B1 (ko) * 2012-11-20 2014-05-14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시트 볼스터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475B1 (ko) * 2006-10-31 2008-02-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의 서포트 장치
WO2008073714A1 (en) * 2006-12-11 2008-06-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Vehicle seat sensor assembly
KR101395364B1 (ko) * 2012-11-20 2014-05-14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시트 볼스터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52676B2 (ja) 車両用エアベルト装置
US5634685A (en) Inflatable/deflatable motorcycle seat cushion
US8714584B2 (en) Side airbag apparatus
US20100231016A1 (en) Vehicle seat
EP1462030A1 (en) Inflatable cushion assembly for seats
US7497462B2 (en) Occupant protection system
EP0788940A3 (en) Seat structure having a side impact air bag apparatus
US20200039459A1 (en) Seat cushion airbag apparatus
JP4752629B2 (ja) 自動車の側突荷重伝達構造
JP2004217109A (ja) 車両用安全シート
US11273784B2 (en) Side support block for vehicle seat
KR19990035694A (ko) 자동차의 공기 주입형 시트
JP2002264749A (ja) 乗員保護装置
KR101081192B1 (ko) 자동차용 시트백의 사이드 볼스터장치
JP2001080445A (ja) サイドエアバッグの取付構造
EP0703112B1 (en) Seat for vehicles, such as go-karts
JP2003237520A (ja) 車両のシート構造
JPH0277211A (ja) 車両のシート装置
JP2020023328A (ja) 乗物用シート
JPS6033175A (ja) 騎乗形車両用シ−ト
JP2001063509A (ja) 自動車の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S6333697Y2 (ko)
JP2024053545A (ja) 自動二輪車のシート
JPS61249843A (ja) 車両用シ−ト装置
KR100205873B1 (ko) 차량용 안전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