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5119U - 숯불화덕 - Google Patents

숯불화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5119U
KR19990035119U KR2019990009607U KR19990009607U KR19990035119U KR 19990035119 U KR19990035119 U KR 19990035119U KR 2019990009607 U KR2019990009607 U KR 2019990009607U KR 19990009607 U KR19990009607 U KR 19990009607U KR 19990035119 U KR19990035119 U KR 1999003511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coal
oven
oven body
contain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96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환
Original Assignee
김경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환 filed Critical 김경환
Priority to KR20199900096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5119U/ko
Publication of KR199900351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5119U/ko

Links

Abstract

숯불에 의해 발생된 열기를 용이하게 분산 또는 차단시킬 수 있는 숯불 화덕이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숯불 화덕은, 하부에 제1 계단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 제2 계단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계단부의 상단부에는 그 상단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를 구비하는 화덕 본체; 상기 화덕 본체에 배치되며, 하부에는 계단부가 형성되어 있고 중앙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숯불 용기를 지지하는 받침대; 그리고 상기 숯불 용기 아래의 상기 화덕 본체의 제1 계단부에 위치되어, 상기 숯불 용기로부터 배출되는 재를 수용하는 한편 숯불의 열기가 상기 화덕 본체의 바닥면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격판을 구비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숯불 화덕은, 상기 화덕 본체의 바닥면과 상기 제1 계단부 사이의 화덕 본체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의 통기공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통기공과 상기 화덕 본체의 바닥면 사이는 물로 채울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숯불 화덕은, 숯불 용기에 담긴 숯불로부터 화덕 본체의 바닥면으로 전달되는 열기를 격판이 차단할 수 있다. 또한, 화덕 본체의 벽면을 통해 화덕 본체의 바닥면으로 전달되는 열기는 화덕 본체 바닥면에 담긴 물과 통기공을 통해 화덕 본체내로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 분산된다. 따라서, 화덕 본체가 가열되어 화덕이 놓이는 사물이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숯불 화덕{burner using charcoals}
본 고안은 숯불 화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숯불에 의해 발생한 열기가 화덕의 바닥면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숯불의 열기를 용이하게 분산 또는 차단시킬 수 있는 숯불 화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숯불 화덕은 음식물 등을 조리하는데 이용되는 기구의 하나로 잘 알려져 있다. 숯불 화덕은, 연료로는 숯을 사용하며 그 화덕내에서 숯을 연소시켜 발생하는 화기나 열기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삶거나, 끓이거나, 굽는데 사용된다.
통상적으로, 숯불 화덕은, 황토 등으로 빚어 토기 가마에서 고온으로 구워 제작하였다. 그러나, 산업이 발달하면서, 근래에는 주로 스테인리스 스틸 등 다양한 종류의 철재 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숯불 화덕을 제작한다.
철재 판을 가공하여 제작한 종래 기술에 따른 숯불 화덕은, 중간 부분에 계단부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 그리고 본체에 배치되며, 중앙에 숯불 용기를 지지하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받침대를 포함한다. 본체의 계단부와 바닥면 사이의 본체 외주에는 본체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통기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통기구에는 공기의 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한 슬라이딩 도어가 배치된다. 한편, 상기 화덕 본체의 상단부에는 석쇠 등이 배치되어, 조리될 음식물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숯불 화덕에서, 숯불은 숯불 용기에 담겨지며, 숯불이 담긴 숯불 용기는 상기 받침대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내로 삽입되어 숯불 용기의 상단부가 상기 관통공의 연부에 걸치도록 배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숯불 용기가 상기 화덕에 배치되면, 상기 화덕 본체의 상단부에 석쇠를 배치한다. 그 후, 상기 석쇠에 놓인 음식물에 대한 조리 조건에 적합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도어를 조절하여 화덕 본체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한다. 따라서, 숯불 화덕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적절히 조리할 수 있다.
그런데, 음식물을 조리하는 동안에, 상기 숯불 용기에 담긴 숯불로부터 발생한 열기가 화덕 본체로 전달되게 된다. 따라서, 화덕 본체에 전달된 열기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숯불 화덕을 전용 지지대에 위치시켜 사용한다.
그러나, 가정에서는 목재 식탁 또는 마루 바닥 등에 놓고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전용 지지대를 사용하지 않고 숯불 화덕을 식탁 또는 마루 바닥 등에 놓고 사용하는 경우에, 숯불 화덕이 놓인 식탁 또는 마루가 숯불 용기로부터 숯불 화덕 본체의 바닥면에 전달된 열기에 의해 타게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숯불 화덕내에 배치된 숯불의 열기가 화덕의 바닥면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화덕이 놓이는 사물이 화덕의 열기로 인해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숯불 화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숯불 화덕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숯불 화덕이 조립된 상태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하부에 통기공이 형성되어 있는 따른 숯불 화덕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숯불 화덕에 물이 채워져 있는 상태의 종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하부에 제1 계단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 제2 계단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계단부의 상단부에는 그 상단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를 구비하는 화덕 본체;
상기 화덕 본체에 배치되며, 하부에는 계단부가 형성되어 있고 중앙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숯불 용기를 수용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 그리고
상기 숯불 용기 아래의 상기 화덕 본체의 제1 계단부에 위치되어, 상기 숯불 용기로부터 배출되는 재를 수용하고 숯불의 열기가 상기 화덕 본체의 바닥면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격판을 포함하는 숯불 화덕을 제공한다.
상기 화덕 본체의 바닥면과 상기 제1 계단부 사이의 화덕 본체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기공과 상기 화덕 본체의 바닥면 사이는 물이 채워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숯불 화덕은, 숯불 용기에 담긴 숯불로부터 화덕 본체의 바닥면으로 전달되는 열기를 격판이 차단할 수 있다. 또한, 화덕 본체의 벽면을 통해 화덕 본체의 바닥면으로 전달되는 열기는 화덕 본체 바닥면에 담긴 물과 통기공을 통해 화덕 본체내로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 분산된다. 따라서, 화덕 본체의 바닥면이 가열되어 화덕이 놓이는 사물이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숯불 화덕(1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숯불 화덕(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숯불 화덕(100)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숯불 화덕(100)은, 하부에 제1 계단부(116)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 제2 계단부(118)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계단부(118)의 상단부에는 그 상단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119)를 구비하는 화덕 본체(110); 상기 화덕 본체(110)에 배치되며, 하부에는 계단부(126)가 형성되어 있고 중앙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숯불 용기(130)를 지지하는 받침대(120); 그리고 상기 숯불 용기(130) 아래의 상기 화덕 본체(110)의 제1 계단부(116)에 위치되어, 상기 숯불 용기(130)로부터 배출되는 재를 수용하고 숯불의 열기가 상기 화덕 본체(110)의 바닥면(112)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격판(140)을 포함한다.
상기 화덕 본체(110)는 스테인리스 스틸 등의 철재 판을 소정 크기로 원형으로 절단한 후, 프레스 가공하여 제작한다. 상기 화덕 본체(110)는, 그 단면이 원형 형상으로, 단면적이 하부에서 상부로 가면서 점점 넓어지도록 가공한다.
한편, 상기 화덕 본체(110)의 바닥면(112)으로부터 소정 거리 만큼 이격된 화덕 본체의 벽면(114)에는 제1 계단부(116)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화덕 본체(110)의 상단부로부터 소정 거리 만큼 이격된 화덕 본체(110)의 벽면(114)에는 제2 계단부(118)를 형성한다. 상기 제1 계단부(116) 및 제2 계단부(118)는 상기 화덕 본체(110)의 종축선에 대하여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한다.
또한, 상기 화덕 본체(110)의 벽부(114) 상부는 상기 화덕 본체(110)의 종축선에 대하여 반경방향 외측으로 절곡시켜 플랜지부(119)를 형성하며, 상기 플랜지부(119)의 연부는 하방으로 절곡하고 다시 화덕 본체(110)의 벽부(114)를 향해 절곡하여, 상기 플랜지부(119)의 하면에 밀착시켜 마감한다.
상기 화덕 본체(110)의 상기 제1 계단부(116)와 제2 계단부(118) 사이의 본체 벽부(114)에는, 소정 위치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통기구(111)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통기구(111)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통기구(111)에 대응하도록 상기 본체 벽부(114)에 슬라이딩 도어(113)를 장착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113)를 열고 닫음으로써, 상기 통기구(111)의 단면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상기 통기구(111)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화덕 본체(110)의 벽부(114) 상부의 소정 위치에는, 본 고안에 따른 숯불 화덕(100)을 용이하게 파지하여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쌍의 손잡이(도시 않됨)를 대향 부착한다.
도 2를 재차 참조하면, 상기 숯불 용기(130)를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120)가 상기 화덕 본체(110)의 제2 계단부(118) 및 플랜지부(119)에 접하도록 배치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숯불 용기 받침대(120) 또한 스테인리스 스틸 등의 철재 판을 소정 크기로 원형 형상으로 절단한다. 그 후, 원형 철재 판의 중앙부를 소정 크기로 블랭킹 가공한다. 블랭킹 가공시, 가공 부분은 원형 형상을 갖도록 가공한다. 그 다음에, 블랭킹 가공된 원형 철재 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숯불 용기 받침대(120)를 제작한다.
숯불 용기 받침대(120)를 가공할 시, 숯불 용기 받침대(120)의 바닥면(122)은 상기 화덕 본체(110)의 제2 계단부(118)와 대응하도록 가공한다. 한편, 상기 숯불 용기 받침대(120)의 벽부(12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덕 본체(110)의 플랜지부(119)에 맞대하는 계단부(126)를 구비한다. 상기 받침대(120)의 계단부(126)는, 높이가 상기 화덕 본체(110)의 제2 계단부(118)의 상면에서 상기 플랜지부(119)의 상면까지의 높이와 일치하며, 폭은 상기 화덕 본체(110)의 플랜지부(119)의 폭과 일치한다.
상기 받침대 벽부(124)의 상부는, 상단부에서 소정 거리 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받침대(120)의 종축선에 대하여 반경방향 외측으로 절곡시켜 소정의 폭을 갖는 플랜지부(128)를 형성한다. 상기 받침대(120)의 플랜지부(128) 또한 그 연부를 하방 및 벽부 측으로 두 번 절곡하여 그 하면에 밀착시켜 마감한다. 상기 받침대(120)의 플랜지부(128)는, 석쇠(도시 않됨)가 배치될 시 석쇠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대(120)의 바닥면(122)은 그 중앙부가 블랭킹 가공되어 있는 바, 프레스 가공시, 상기 블랭킹 가공된 부분의 바닥면을 상기 받침대(120)의 내측 상방으로 절곡한다. 이때, 절곡되는 바닥면(122a)의 폭은 상기 받침대 계단부(126)의 높이와 일치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가공함으로써, 상기 받침대(120)의 바닥면(122)에는, 단면이 상기 숯불 용기(130)의 상부 단면과 동일하거나 약간 큰 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격판(140)은 상기 화덕 본체(110) 및 상기 숯불 용기 받침대(120)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스테인리스 스틸 등의 철재 판을 원형으로 절단가공하여 제작한다. 상기 격판(140)은, 단면적이 상기 화덕 본체(110)의 제1 계단부(116)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단면적과 같거나 약간 작게 제작한다. 또한, 상기 격판(140)을 상기 화덕 본체(110)의 제1 계단부(116)에 위치시키거나 상기 화덕 본체(110)의 상기 제1 계단부(116)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격판(140)의 상면에 소정의 높이를 갖는 손잡이(도시 않됨)를 부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작된 상기 격판(140)은, 상기 숯불 용기(130) 아래의 상기 화덕 본체(110)의 제1 계단부(116)에 위치되어, 상기 숯불 용기(130)로부터 배출되는 재를 수용하는 한편 숯불의 열기가 상기 화덕 본체(110)의 바닥면(112)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숯불 용기(130)는 통상적으로 여러 종류의 철재 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제작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숯불 용기(130)는 바닥면에 다수의 관통공(도시 않됨)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관통공을 통해 상기 화덕 본체(110)내로 공급된 공기가 최종적으로 숯불에 공급된다. 상기 숯불 용기(130)의 하부는 상부 보다 단면적이 작다. 따라서, 단면적이 상기 숯불 용기(130)의 상부 보다 작고 하부 보다는 크며, 다수의 구멍을 구비한 지지판(132)을 상기 숯불 용기(130)내에 배치함으로써, 연료로서 사용되는 숯을 지지할 뿐만 아니라 숯이 연소하여 발생한 재가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그러나,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에 따른 숯불 화덕(100)에 종래 기술에 따른 다양한 숯불 용기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도 3과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숯불 화덕(100)의 종단면도로, 도 3은 본체 벽부(114)에 다수의 통기공(150)이 형성되어 있는 숯불 화덕(100)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상기 통기공(150)과 바닥면(112) 사이에 물이 채워져 있는 숯불 화덕(10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숯불 화덕(100)에 있어서, 상기 화덕 본체(110)의 벽부(114)에는, 상기 제1 계단부(116)와 상기 바닥면(112) 사이의 상기 제1 계단부(116)에 인접한 외주면에 다수의 통기공(150)을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통기공(150)을 통해 외기가 상기 숯불 화덕 본체(110)의 바닥면(112)과 격판(140) 사이의 공간내로 유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숯불 용기(130)로부터 전달된 열기에 의해 가열된 상기 격판(140) 및 상기 화덕 본체(110)의 벽부(114)를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 내지 도 4와 관련하여, 상기 화덕 본체(110)의 바닥면(112)을 물로 채울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상기 화덕 본체(110)의 바닥면(112)에 물을 채울 시, 상기 화덕 본체(110)의 벽부(114)에 통기공(150)이 형성된 경우에는, 통기공(150)이 위치한 높이 이하가 되도록 물을 채운다. 이와는 달리, 상기 화덕 본체(110)의 벽부(114)에 통기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1 계단부(116) 바로 아래 위치까지 물을 채울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숯불 화덕(100)의 각 구성 요소의 작동 관계를 상세히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숯불 화덕(100)에 있어서, 상기 화덕 본체(110)의 바닥면(112)에 물을 채운 후, 상기 화덕 본체(110)의 제1 계단부(116)에 상기 격판(140)을 배치한다. 그 후, 상기 숯불 용기 받침대(120)의 바닥면(122)의 일부와 계단부(126)가 상기 화덕 본체(110)의 제2 계단부(118) 및 플랜지부(119)와 각각 맞대어 접하도록 배치한다. 이어서, 숯불이 들어 있는 숯불 용기(130)를 상기 받침대(120)의 바닥면에 형성된 관통공(150)내로 삽입 배치하고, 상기 받침대(120)의 상부에 형성된 플랜지부(128)에 석쇠를 배치한다. 최종적으로, 조리할 음식물을 석쇠 위에 놓고 조리한다.
상술한 상태로 음식물을 조리하는 동안에, 숯불 용기 받침대(120) 및 화덕 본체(110)는 숯불 용기(130) 내의 숯불의 열기에 의해 가열된다. 또한, 숯불의 열기가 하방으로 전달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화덕 본체(110)의 하방으로 전달되는 숯불의 열기는 상기 화덕 본체(110)의 제1 계단부(116)에 배치된 격판(140)에 의해 차단되어 상기 화덕 본체(110)의 바닥면(112)에 미치지 못하게 된다. 한편, 상기 화덕 본체(110)를 통해 본체(110)의 하방으로 전달되는 열기는 본체(110)의 바닥면(112)에 채워진 물에 의해 차단 분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화덕 본체(110)의 벽부(114)에 통기공(150)이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통기공(150)을 통해 유동하는 외기에 의해 상기 숯불의 열기에 의해 가열된 격판(140) 및 화덕 본체(110)의 벽부(114)가 냉각된다. 이 경우에도, 상기 화덕 본체(110)의 바닥면(112)에 물을 채우면, 물에 의해서도 상기 본체 벽부(114)를 냉각시킴으로써 상기 본체 벽부(114)를 통해 전달되는 열기를 차단 분산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숯불 화덕은, 숯불 용기에 담긴 숯불로부터 화덕 본체의 바닥면으로 전달되는 열기를 격판이 차단할 수 있다. 또한, 화덕 본체의 벽면을 통해 화덕 본체의 바닥면으로 전달되는 열기는 화덕 본체 바닥면에 담긴 물과 통기공을 통해 화덕 본체내로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 분산된다. 따라서, 화덕 본체가 가열되어 화덕이 놓이는 사물이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등록청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만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변형 및 변경가능함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Claims (2)

  1. 하부에 제1 계단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 제2 계단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계단부의 상단부에는 그 상단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를 구비하는 화덕 본체;
    상기 화덕 본체에 배치되며, 하부에는 계단부가 형성되어 있고 중앙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숯불 용기를 지지하는 받침대; 그리고
    상기 숯불 용기 아래의 상기 화덕 본체의 제1 계단부에 위치되어, 상기 숯불 용기로부터 배출되는 재를 수용하고 숯불의 열기가 상기 화덕 본체의 바닥면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격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화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덕 본체의 바닥면과 상기 제1 계단부 사이의 화덕 본체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기공과 상기 화덕 본체의 바닥면 사이는 물이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화덕.
KR2019990009607U 1999-06-02 1999-06-02 숯불화덕 KR1999003511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9607U KR19990035119U (ko) 1999-06-02 1999-06-02 숯불화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9607U KR19990035119U (ko) 1999-06-02 1999-06-02 숯불화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5119U true KR19990035119U (ko) 1999-09-06

Family

ID=54757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9607U KR19990035119U (ko) 1999-06-02 1999-06-02 숯불화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511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728Y1 (ko) * 2017-04-25 2018-02-13 소정현 숯불 신선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728Y1 (ko) * 2017-04-25 2018-02-13 소정현 숯불 신선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94671B2 (en) Flame focusing ring for stovetop gas burner and universal wok support
CA2639471A1 (en) High temperature bake oven
US20220322877A1 (en) Modular cooking appliance
WO2017078762A1 (en) Biomass stove with combustion chamber, vent door, and ash drawer
US5584232A (en) Portable oven
KR101932451B1 (ko) 복합기능을 갖는 구이기
KR19990035119U (ko) 숯불화덕
KR100796321B1 (ko) 구이 장치
KR101669920B1 (ko) 수랭식 다기능 불판
KR101154028B1 (ko) 직화 조리기
KR200185547Y1 (ko) 고기 구이기 열판
KR200198639Y1 (ko) 숯불구이용 화덕
JP3240092U (ja) 薪ストーブ用オーブン及びオーブン付き薪ストーブ
JP2018185138A (ja) 炭、練炭、豆炭等の固形燃料用の火起こし装置および火起こし装置を内蔵した卓上調理具
JPH0436762Y2 (ko)
KR200196668Y1 (ko) 가스레인지 겸용 고기구이기
KR200185653Y1 (ko) 육류 구이기
KR102073752B1 (ko) 바베큐 오븐
JPS589122Y2 (ja) グリル付テ−ブルコンロ
KR101308233B1 (ko) 원적외선 방사형 조리장치
JP3116019U (ja) 蒸し焼き窯
KR200213347Y1 (ko) 숯을 사용하는 구이장치
KR101938531B1 (ko) 구이판
KR101825153B1 (ko) 조리용 다기능 로스터
JPH041164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