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2061A - 자동차의 도어체커 겸용 도어힌지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도어체커 겸용 도어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2061A
KR19990032061A KR1019970052991A KR19970052991A KR19990032061A KR 19990032061 A KR19990032061 A KR 19990032061A KR 1019970052991 A KR1019970052991 A KR 1019970052991A KR 19970052991 A KR19970052991 A KR 19970052991A KR 19990032061 A KR19990032061 A KR 199900320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bent
wall portions
vertical direction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2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23113B1 (ko
Inventor
차진수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70052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3113B1/ko
Publication of KR19990032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20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3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31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207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for attachment to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24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어의 회전중심을 지지하는 축으로 이용되는 도어힌지와 도어의 열림량을 제어하는 도어체커를 일체화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몸체의 양측부에는 수직한 방향으로 절곡된 외측벽부(11,12)가 나란하게 형성되고, 이 외측벽부(11,12)에는 소정크기로 관통된 체결공(13,14)이 형성되며, 하부면에는 차체프레임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수평한 방향으로 절곡된 체결판(15)이 형성된 차체고정브래킷(10)과; 상기 외측벽부(11,12)의 내측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밀착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내측벽부(21,31)가 각각 형성되고, 이 내측벽부(21,31)의 몸체에는 상기 체결공(13,14)에 대응되는 관통공(22,32)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내측벽부(21,31)에는 도어프레임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수직한 방향으로 절곡된 고정판(23,33)이 각각 형성된 제1,2도어고정브래킷(20,30); 상기 체결공(13,14)과 상기 관통공(22,32)을 관통하여 삽입설치되는 회동힌지(40) 및; 상기 차체고정브래킷(10)의 내주면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장착됨과 동시에 몸체에는 폭방향을 따라 다단계로 절곡된 절곡부(51)가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폭방향을 따라 회동힌지(40)에 걸리도록 된 걸림턱(52)이 형성되며, 하단부에는 상기 체결판(15)과 대응되는 탄성판(53)이 일체로 형성된 판스프링(50)으로 이루어져, 설치비 및 제작비가 절감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도어체커 겸용 도어힌지(A door checker and door hinge of an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를 다단계 개폐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어의 회전중심을 지지하는 축으로 이용되는 도어힌지와 도어의 열림량을 제어하는 도어체커를 일체화하여 제작비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도어체커 겸용 도어힌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도어는 프레스로 가공한 얇은 판의 도어패널이 안쪽과 바깥부분으로 되어 상자모양으로 점용접되어 있는데, 이러한 도어가 차체에 대해 회전식으로 개폐되어질 수 있도록 도어힌지에 의해 차체의 필라부분에 연결설치되어 있고, 이 도어가 어느 한도 이상 열리지 않도록 제한할 수 있도록 도어체커가 중심차체의 필러부분과 도어중간에 리벳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빗물이나 먼지가 차실로 들어가지 않도록 고무로 만든 웨더스트립이 도어의 외측 패널 안쪽으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도어힌지를 이용하여 도어를 한쪽방향을 중심으로하여 개폐하게 됨과 아울러 자동차의 측면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도어의 변형을 방지하게 되며, 상기한 도어체커를 이용하여 힌지를 축으로하여 도어가 회전하여 개폐될 때 도어와 차체 사이에 연결된 스트랩에 의해 도어가 순차적으로 개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한 도어의 개폐작용은 실제로 도어체커에 의해 열림량이 제어되는 반면에 상기 도어힌지는 단순하게 도어의 회전중심을 지지하는 축으로만 이용되기 때문에, 예컨대 상기 도어체커와 도어힌지를 별도로 제작하기에는 그 기능과 역할에 비해 설치비와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생산비가 많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도어의 회전중심을 지지하는 축으로 이용되는 도어힌지와 도어의 열림량을 제어하는 도어체커를 일체화하여 제작비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도어체커 겸용 도어힌지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몸체의 양측부에는 수직한 방향으로 절곡된 외측벽부가 나란하게 형성되고, 이 외측벽부에는 소정크기로 관통된 체결공이 형성되며, 하부면에는 차체프레임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수평한 방향으로 절곡된 체결판이 형성된 차체고정브래킷과; 상기 외측벽부의 내측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밀착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내측벽부가 각각 형성되고, 이 내측벽부의 몸체에는 상기 체결공에 대응되는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내측벽부에는 도어프레임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수직한 방향으로 절곡된 고정판이 각각 형성된 제1,2도어고정브래킷; 상기 체결공과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삽입설치되는 회동힌지 및; 상기 차체고정브래킷의 내주면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장착됨과 동시에 몸체에는 폭방향을 따라 다단계로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폭방향을 따라 회동힌지에 걸리도록 된 걸림턱이 형성되며, 하단부에는 상기 체결판과 대응되는 탄성판이 일체로 형성된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체커와 도어힌지가 일체로 형성되어지므로, 구조가 단순화되어 설치비 및 제작비가 절감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체커 겸용 도어힌지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체커 겸용 도어힌지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체커 겸용 도어힌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차체고정브래킷 11,12 : 외측벽부
13,14 : 체결공 15 : 체결판
20,30 : 제1,2도어고정브래킷 21,31 : 내측벽부
22,32 : 관통공 23,33 : 고정판
40 : 회동힌지 50 : 판스프링
51 : 절곡부 52 : 걸림턱
53 : 탄성판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체커 겸용 도어힌지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체커 겸용 도어힌지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체커 겸용 도어힌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로서,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의 양측부에는 수직한 방향으로 절곡된 외측벽부(11,12)가 나란하게 형성되고, 이 외측벽부(11,12)에는 소정크기로 관통된 체결공(13,14)이 형성되며, 하부면에는 차체프레임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수평한 방향으로 절곡된 체결판(15)이 형성된 차체고정브래킷(10)과; 상기 외측벽부(11,12)의 내측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밀착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내측벽부(21,31)가 각각 형성되고, 이 내측벽부(21,31)의 몸체에는 상기 체결공(13,14)에 대응되는 관통공(22,32)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내측벽부(21,31)에는 도어프레임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수직한 방향으로 절곡된 고정판(23,33)이 각각 형성된 제1,2도어고정브래킷(20,30); 상기 체결공(13,14)과 상기 관통공(22,32)을 관통하여 삽입설치되는 회동힌지(40) 및; 상기 차체고정브래킷(10)의 내주면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장착됨과 동시에 몸체에는 폭방향을 따라 다단계로 절곡된 절곡부(51)가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폭방향을 따라 회동힌지(40)에 걸리도록 된 걸림턱(52)이 형성되며, 하단부에는 상기 체결판(15)과 대응되는 탄성판(53)이 일체로 형성된 판스프링(50)으로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차체고정브래킷(10)은 차체프레임과 도어를 연결하는 힌지축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으로, 양측부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일정한 각도로 절곡된 ⊂자형상의 외측벽부(11,12)가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고, 이 외측벽부(11,12)의 몸체에는 소정위치에 보울트와 같은 체결수단이 삽입설치되는 체결공(13,14)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면에는 차체프레임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일정한 각도로 절곡된 체결판(15)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2도어고정브래킷(20,30)은 상기 차체고정프레임(10)과 도어를 연결하는 힌지축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 외측벽부(11,12)의 내측면을 따라 직접 밀착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내측벽부(21,31)가 형성되어 있고, 이 내측벽부(21,31)의 몸체에는 소정위치에 상기 체결공(13,14)과 대응되는 관통공(22,32)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측벽부(21,31)에는 도어프레임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수직한 방향으로 절곡된 고정판(23,33)이 각각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물론, 상기 고정판(23,33)에는 다수개의 체결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고정판(23,33)이 보울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매개로하여 도어프레임에 고정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동힌지(40)는 상기 차체고정브래킷(10)과 상기 제1,2도어고정브래킷(20,30)을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차체고정브래킷(10)의 체결공(13,14)과 상기 제1,2도어고정브래킷(20,30)의 관통공(22,32)을 관통하여 삽입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 판스프링(50)은 상기 차체프레임과 도어를 다단계로 조절하여 주는 것으로, 상기 차체고정브래킷(10)의 내주면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장착되어 있으되, 몸체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폭방향으로 절곡된 다단계의 절곡부(51)가 형성되어 있고, 상단부에는 폭방향을 따라 상기 회동힌지(40)에 걸릴 수 있도록 된 걸림턱(5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부에는 상기 체결판(15)에 대응되는 고정판(53)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물론, 상기 체결판(15)에는 다수개의 체결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판(53)에도 다수개의 체결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보울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매개로하여 상기 체결판(15)과 고정판(53)을 차체프레임의 측부에 장착하게 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한 도어를 개방하게 되는 경우에, 상기 차체고정프레임(10)에 상기 회동힌지(40)를 축으로하여 연결설치된 상기 1,2도어고정프레임(20,30)이 일측방향으로 축회전하게 되므로, 상기 회동힌지(40)를 통해 도어가 자연스럽게 개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도어가 회동힌지(40)를 축으로하여 회전하다가 상기 차체고정프레임(10)의 내주면에 상하방향을 따라 설치된 상기 판스프링(50)의 탄성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다단계로 개방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체커 겸용 도어힌지에 의하면, 상기 도어체커와 도어힌지가 일체로 형성되어지므로, 구조가 단순화되어 설치비 및 제작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몸체의 양측부에는 수직한 방향으로 절곡된 외측벽부(11,12)가 나란하게 형성되고, 이 외측벽부(11,12)에는 소정크기로 관통된 체결공(13,14)이 각각 형성되며, 하부면에는 차체프레임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수평한 방향으로 절곡된 체결판(15)이 형성된 차체고정브래킷(10)과;
    상기 외측벽부(11,12)의 내측면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밀착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내측벽부(21,31)가 각각 형성되고, 이 내측벽부(21,31)의 몸체에는 상기 체결공(13,14)에 대응되는 관통공(22,32)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내측벽부(21,31)에는 도어프레임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수직한 방향으로 절곡된 고정판(23,33)이 각각 형성된 제1,2도어고정브래킷(20,30);
    상기 체결공(13,14)과 상기 관통공(22,32)을 관통하여 삽입설치되는 회동힌지(40) 및;
    상기 차체고정브래킷(10)의 내주면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장착됨과 동시에 몸체에는 폭방향을 따라 다단계로 절곡된 절곡부(51)가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폭방향을 따라 상기 회동힌지(40)에 걸리도록 된 걸림턱(52)이 형성되며, 하단부에는 상기 체결판(15)과 대응되는 탄성판(53)이 일체로 형성된 판스프링(5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체커 겸용 도어힌지.
KR1019970052991A 1997-10-16 1997-10-16 자동차의 도어체커 겸용 도어힌지 KR100223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2991A KR100223113B1 (ko) 1997-10-16 1997-10-16 자동차의 도어체커 겸용 도어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2991A KR100223113B1 (ko) 1997-10-16 1997-10-16 자동차의 도어체커 겸용 도어힌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2061A true KR19990032061A (ko) 1999-05-06
KR100223113B1 KR100223113B1 (ko) 1999-10-15

Family

ID=19522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2991A KR100223113B1 (ko) 1997-10-16 1997-10-16 자동차의 도어체커 겸용 도어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31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3974B1 (ko) * 2005-10-06 2006-01-23 한국기술개발 주식회사 하천제방의 후면부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23113B1 (ko) 1999-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61915A (en) Door for an automotive vehicle
US20170241179A1 (en) Door support structure of automotive vehicle
CN108621760B (zh) 后尾门结构
CN110017074B (zh) 铰链机构
US9677311B2 (en) Tailgate counterbalance with dual torque rods
KR100223113B1 (ko) 자동차의 도어체커 겸용 도어힌지
KR960016478B1 (ko) 자동차용 도어힌지
KR100432063B1 (ko) 자동차의 도어 체커 겸용 도어 힌지 구조
KR100705131B1 (ko) 도어힌지구조
JP3852313B2 (ja) バックドア用ヒンジ
JPH0737747U (ja) 自動車のドア取付装置
KR0125711Y1 (ko) 체커 일체형 차량용 도어의 힌지장치
JPH084366A (ja) 自動車用ドアのアウタサイドハンドル構造
KR100215665B1 (ko) 도어 첵 취부 구조
KR100535557B1 (ko) 슬라이딩 도어 도장용 힌지 조립체 구조
KR0155208B1 (ko) 자동차의 도어힌지
KR19990005051A (ko) 체커 기능을 구비한 도어 힌지
KR100243638B1 (ko) 차량의 도어 체커 장착구조
KR20020052310A (ko) 차량의 도어체크겸용 도어힌지
KR0126072Y1 (ko) 차량의 테일게이트 처짐방지를 위한 브라켓 설치구조
KR200148144Y1 (ko) 자동차의 후방도어 힌지 구조
KR100192267B1 (ko) 자동차의 도어힌지구조
KR0112378Y1 (ko) 자동차의 쿼터 윈도우(Quater window)용 핸들구조
JPH0455123A (ja) 車両のドアアシスト装置
KR20010002074U (ko) 자동차의 후방문 힌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0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