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8788A - 경질표면용 액체 세정제 조성물 및 경질표면의 세정방법 - Google Patents

경질표면용 액체 세정제 조성물 및 경질표면의 세정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8788A
KR19990028788A KR1019980700088A KR19980700088A KR19990028788A KR 19990028788 A KR19990028788 A KR 19990028788A KR 1019980700088 A KR1019980700088 A KR 1019980700088A KR 19980700088 A KR19980700088 A KR 19980700088A KR 19990028788 A KR19990028788 A KR 19990028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liquid
hard surface
composition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0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치오 요코스카
마사시 요시카와
준이치로 니시와키
마사키 도사카
요시유키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가오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오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오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90028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8788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008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aqueous liquid non soap compositions
    • C11D17/0013Liquid compositions with insoluble particles in suspens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7Polymers
    • C11D3/370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1D3/37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silic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7Polymers
    • C11D3/370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1D3/37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silicones
    • C11D3/3734Cyclic silic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7Polymers
    • C11D3/370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1D3/37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silicones
    • C11D3/3742Nitrogen containing silic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50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2111/00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objects to be cleaned; 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non-standard cleaning or washing processes
    • C11D2111/10Objects to be cleaned
    • C11D2111/14Hard surfa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예비세정 없이, 또한 다량의 물·세제를 쓰지 않고도 고체입자 오염이 존재하는 경질표면을 상처내지 않고 청정하게 할수 있고, 세정과정을 매우 간편하게 하고, 가해지는 노력을 현저히 저감함과 동시에 피세정 표면의 미관을 손상하지 않고 마무리할 수 있는 경질표면용 세정제 조성물 및 경질표면의 세정방법을 제공한다.
고체입자 오염이 존재하는 경질표면에 적용하고, 오염을 닦아냄으로써 그 경질표면을 청정하게 하기 위한 경질표면용 액체 세정제 조성물에 있어서, 액체 세정매체와 그 액체 세정매체에 불용인 평균입경 0.01∼15㎛의 구상입자를 함유하고, 조성물중의 구상입자 함유량이 0.1∼30중량%이며, 균일하게 교반한 상태로 20℃에 있어서의 점도가 2∼500cps인 경질표면용 액체 세정제 조성물 및 이 세정제 조성물을 사용한 경질표면의 청정방법.

Description

경질표면용 액체 세정제 조성물 및 경질표면의 세정방법
종래, 실내먼지, 토양·토사(土砂) 등에 유래하는 고체입자 오염이 존재하는 경질표면, 가령 자동차 보디 등의 세정을 행할 때, 고체입자 오염에 따른 경질표면에의 상처를 방지하면서 표면을 세정하기 위해서는 과잉의 물 또는 세제액으로 고체입자 오염을 제거하면서, 또는 미리 제거하면서 다른 오염의 세정을 행할 필요가 있었다. 또, 세정시에 사용하는 닦음질재(포, 종래, 부직포, 스폰지 등)에 의해서도 경질표면에 상처가 생기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세정대상인 경질표면이 존재할 경우는 대량의 물사용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고, 또, 가능하다 하더라도 다량의 물사용에 의해 작업성이 현저히 손상되고 있었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해당 용도의 경질표면용 세정제 모두에 대해 말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고체입자/경질표면간의 마찰에 의한 경질표면에의 손상을 방지하는 방법으로 윤활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으나 일반 윤활에 있어서는 고체입자 표면과 경질표면에 윤활제가 흡착하여, 내국압성(耐局壓性)의 윤활막을 형성함으로써 훼상을 방지한다. 따라서, 접촉하는 고체입자/경질표면 쌍방에의 흡착력이 높고, 또한 국압하(局壓下)에서 흡착막이 파괴되지 않는 윤활제가 필요하고, 그것을 위해서는 윤활제의 분자구조가 접촉에 따른 국압하에서 변형하지 않을 것, 및 윤활분자 끼리 마찰력이 작을 것이 될 수가 있다.
그러나, 이것으로는 피세정 표면에의 윤활제 흡착량을 증대시켜, 훼상 방지능을 높일수록 윤활제 자체가 오염되어 잔류하게 된다. 예컨대, 훼상 방지에 유리하다고 생각되는 그리스를 사용할 경우, 수작업으로 닦아내는 작업을 가하면 훼상방지 효과가 낮음과 동시에 그리스가 오염으로 잔류해 버려, 오염제거가 달성되지 않게 된다. 또, 국압하에서 윤활막을 파괴되기 어렵게 함으로써 훼상방지능을 높일수록, 포 등으로 닦아내기 작업을 행할 경우의 섬유에 의한 윤활제의 전단(剪斷) 저항도 과대해져서 0.1㎡ 정도의 닦아내기 세정으로도 실질상 작업불능일 정도로 작업성이 저하된다.
JP-A-58-154774는 입경 100미크론 이하의 구형 혹은 거의 구형에 가까운 형상의 유기성 미분말을 함유하는 광택제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JP-A-61-159474는 (A) 왁스 및 (B)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으로 조성되는 광택제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JP-A-2-117979는 왁스 및/또는 왁스상 물질과 실리콘 파우다를 함유하는 광택제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기술은 왁스류를 주체로한 광택제 조성물로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고체입자 오염이 존재하는 표면세정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자동차 보디 등의 경질재료 표면을 세정하기 위한 경질표면용 액체 세정제 조성물 및 경질표면 세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고체입자 오염이 존재하는 경질표면을 물 등으로 예비세정 없이, 또한 매우 소량의 액량으로 직접 세정할 수 있는 그 경질표면에 대하여 고체입자 오염에 따른 상처 등을 내지 않고 그 표면을 청정하게 할 수 있는 경질표면용 액체 세정제 조성물 및 경질표면의 청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예비세정 없이, 또한, 다량의 물·세제를 쓰지 않고도 고체입자 오염이 존재하는 경질표면을 훼손하지 않고 세정할 수 있고, 세정 과정을 대단히 간편하게 하며, 가해지는 노력을 현저히 저감함과 동시에 피세정 표면의 미관을 손상하지 않고 마무리할 수 있는 경질표면용 세정제 조성물 및 경질표면의 청정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고체입자 오염이 존재하는 경질표면을 예비세정 없이 소량의 액체로 훼손하지 않도록 닦아내어 세정한다는 관점에서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특정한 구상입자를 함유하고, 특정 점도로 조정한 조성물에 의한 닦아내기 세정이 훼상방지에 높은 성능을 가짐과 동시에 양호한 작업성과 세정력을 가지고, 피세정 표면의 미관유지에 아주 큰 효과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고체입자 오염이 존재하는 경질표면에 적용하고, 오염을 닦아냄으로써 그 경질표면을 청정하게 하기 위한 경질표면용 액체세정제 조성물에 있어서,
(a) 액체세정매체와,
(b) 그 액체 세정매체에 불용(不溶)인 평균입경 0.01∼15㎛의 구상입자를 함유하고, 조성물중의 (b)성분 함유량이 0.1∼30중량%이고, 균일하게 교반한 상태로 20℃에 있어서의 점도가 2∼500cp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질표면용 액체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a)와 (b)성분에 더하여 다시 (c)성분으로서 액상윤활 성분을 (b)성분과 (c)성분과의 배합비율이 (c)/(b)(중량비)= 0.01∼10이 되게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경질표면용 액체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a), (b) 및 (c) 성분에 더하여 다시 (d)성분으로서 계면활성제 또는 고분자분산제 또는 그 혼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경질표면용 액체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또 본 발명은 상기 세정제 조성물을 고체입자 오염이 존재하는 경질표면에 적용하여 오염과 함께 닦아냄으로써 그 경질표면을 청정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질표면 청정방법, 특히
(a) 액체 세정매체와,
(b) 그 액체세정매체에 불용인 평균입경 0.01∼15㎛의 구상입자와,
(c) 20℃에서 액상인 폴리오르가노실록산오일을 함유하고, 조성물중의 (b)성분 함유량이 0.1∼30중량%,
(b)성분과 (c)성분의 배합비율이 (c)/(b)(중량비) = 0.01∼10이고, 균일하게 교반한 상태로 20℃에 있어서의 점도가 2∼500cps인 액체 세정제 조성물을 예비세정 없이 고체입자 오염이 존재하는 자동차 보디에 적용하여 오염과 함께 닦아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보디의 청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운동성이 높은 구상입자가 손에 의한 가압하에 고체오염 입자를 휩쓰는 모양으로 순환운동한다. 그 결과, 피세정 표면인 경질표면에의 접촉율을 극한 까지 저하시키는 것(순환희석 효과), 다량의 입자가 세정액중에서 자유운동을 행함으로써 손에 의한 응력을 분산시키는 것으로 연마입자 접촉시의 접촉압을 저하시키는 것(접촉압 저감효과)의 2점에 의해 방상(防傷) 효과가 나타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사용하는 입자의 자유운동이 충분히 행해지는 것이 충분한 방상효과를 나타내기 위하여 중요하다. 그것을 위해서는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 계(系)의 20℃에 있어서의 점도가 2∼500cps와 저점도일 것; 및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중의 입자는 상호작용이 적고, 액중에서의 응집이 생기기 어려운 형상, 즉 구상일 것; 및 평균입경이 고체입자 오염과 거의 같은 정도 크기(0.01∼15㎛)인 것이 가장 중요하고, 또, 동시에 표면에너지가 낮은 것이 더욱 효과적이다.
또, 더 효과적으로 방상효과를 실현하기 위하여는 구상입자의 진비중이 경질표면에의 적당한 접촉률과 세정액중에서의 적당한 순환 운동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0.5∼2.5로 적당한 값일 것, 또한 닦아낼 때의 압력이 가해질 때에, 그 입자가 변형하지 않고 자유운동을 확보하기 위하여, 탄성률이 10㎏/㎟ 이상이고, 또한 그 입자 자체에 의한 피세정 표면에 상처가 생기지 않기 위하여 탄성률이 1000㎏/㎟ 이하인 것이 유효하다.
또한,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중의 입자는 고체오염 입자 및 피세정 표면에 흡착되기 어려운 구상입자의 액상 윤활성분, 바람직하게는 폴리오르가노실록산오일을 첨가함으로써 본 발명의 방상효과의 기본이 되는 구상입자의 자유운동을 향상시키고, 또한 방상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구상입자는 오염 닦아내기에 사용하는 재료의 비표면적을 의사적(擬似的)으로 확대하고, 또한 상기 이유에 의한 자유운동이 큰 사실로 인해 피세정 표면을 훼상하지 않고 오염만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 액체 세정매체로서 물을 사용함으로써 방상·세정력이 더욱 높아진다. 일반 경질표면상에 잔류하는 고체입자 오염은 실내먼지·토양·토사에서 유래하기 때문에 입자오염 표면은 친수성이고, 계중(系中)에 물이 일정 이상 존재함으로써 세정액중에 효과적으로 입자오염을 분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구상입자의 자유운동은 특히 유성오염에 기인하는 고점도의 유성성분, 가령 산화중합한 유지, 배기가스 유래의 고점도 유상물질에 의해 저해된다. 따라서, 그 입자의 자유운동을 방해하지 않고, 상처를 내지 않고 피세정표면의 세정력을 높이기 위하여 액체세정매체로서 물에 더하여 다시 유기용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 유기용제는 상기 액상윤활성분, 가령, 폴리오르가노실록산오일과 병용하는 것은 액상윤활성분의 점도를 저하시켜, 그 입자의 운동성을 더욱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방상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계면활성제나 고분자 분산제를 배합하면 그 입자의 응집을 막아 실질적인 자유운동을 확보함과 동시에, 고체입자 오염의 분산을 촉진하고, 방상·세정력 쌍방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a) 성분으로서 액체 세정 매체를 함유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액상 세정 매체란, 비점 300℃ 미만으로, 고체입자 오염을 탈리하기 쉽게 하는 액체매체로서, 구체적으로는 물, 비점 70∼300℃의 유기용제, 비점 300℃ 미만의 실리콘오일(환상실리콘, 휘발성 디메틸실록산 등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들수 있다. 이 중에서도, 물 또는 물과 유기용제의 혼합물이 바람직하고, 물과 유기용제의 혼합물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물과 유기용제의 혼합물의 혼합비율은 물:유기용제(중량비) = 5∼20:1이 바람직하다. 또한, 혼합물 형태는 유화계, 가용화계, 분리계 등, 어느 형태라도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기용제는 탄소수 8∼20의 탄화수소계 용제 및 하기 화학식 Ⅲ으로 표시되는 에테르계 용제를 들수 있다.
CH3(CH2)pO(CH2CH2O)q(C3H6O)r(CH2)SR4
(식중 R4는 H, CH3또는 OH를 나타내고, p, q, r 및 s는 각각 0∼20의 정수를 나타낸다.)
이들 유기용제의 구체예로는, 데칸, 운데칸, 도데칸, 트리데칸, 테트라데칸, 이소파라핀 등의 탄화수소계 용제,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등의 에테르계 용제를 들수 있다. 탄화수소계 용제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b)성분으로 상기 액체 세정매체에 불용인 평균입경 0.01∼15㎛의 구상입자를 함유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구상입자란, 진구(眞球)만이 아니라 타원체 형상도 포함하는 개념이나, 하기로 정의되는 진구도(眞球度)가 높은 것이 입자의 운동성 및 비응집성에 관여하고 있으며, 진구도 90이상의 것이 바람직하다.
(진구도)
주사형 전자현미경으로 고체입자의 전자현미경 사진을 촬영하고, 입자 끼리 중합되지 않은 것 100개를 무작위로 선출하여 입자의 투영상이 진원, 또는 투영상의 외접원을 묘사하여, 외접원 반경의 90%의 반경을 갖는 동심원과 외접원 사이에 투영상 윤곽이 모두 포함되는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의 수를 가지고 입자의 진구도로 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구상입자의 평균입경은 0.01∼15㎛이고, 바람직하게는 0.1∼10㎛, 더욱 바람직하게는 1∼5㎛이다. 평균입경 0.01∼15㎛ 범위내이면 단위 중량당 입자수에 따른 효율이나 피세정면인 경질표면 일반에 존재하는 고체입자 오염 크기와 동등하고, 이 고체입자 오염에 대한 세정 효율이 양호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구상입자의 평균입경이란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으로 측정한 것이다.
(평균입경의 측정방법)
입자를 물, 메탄올, 1% C12H25O(CH2CH2O)6H 수용액의 어느 한 분산매중에서 초음파에 의해 완전히 분산시킨 다음, 광확산형 입경분포측정기(HORIBA LA-500 등)에 의해 입경을 측정한다.
또한, 입자/분산매 중량비는 입경분포측정기의 농도 지시치가「최적」이라 표시되는 데까지 분산매에 입자를 가하는 것으로 정하였다.
얻은 입경에서 체적 기준의 평균입경을 산출하고,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평균입경으로 한다. 단, 평균입경을 a로 할 때, 측정된 입경의 최대치가 a+a/2 이상, 또는 최소치가 a-a/2 이하일 경우, 측정한 입자의 표준편차 δ를 토대로 a-δ에서 a+δ 범위의 입경을 갖는 입자 만으로 재차 체적기준의 평균입경을 산출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평균입경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구상입자 비중은 세정시에 세정액 중에서의 경질표면에 대한 적당한 접촉률과 세정액중에서의 적당한 순환운동성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진비중이 0.5∼2.5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5∼1.5이다. 또, 동일하게 그 경질표면상에서의 운동성을 높이기 위하여 입자 끼리의 응집력이 낮은 것이 바람직하고, 이것을 달성할 수 있는 입자의 구성재의 표면에너지는 60dyne/㎝ 이하의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표면에너지는 하기 측정방법으로 측정되는 값을 말한다.
(고체의 표면에너지 측정방법)
표면장력 γ은 론돈(London) 분산력에 기인하는 항(γd)과 타극성력에 기인하는 항(γp)의 합으로 된다고 생각한다.
또, γd와 γp의 알고 있는 2종류의 액체(증류수와 요오드화메틸렌)의 접촉각을 각각 측정함으로써 고체표면 γd와 γp가 계산에 의해 구해진다.
a1= (1/4)γ1(1+cosθ1) a2= (1/4)γ2(1+cosθ2)
b1= γ1 db2= γ2 d
c1= γ1 pc2= γ2 p
θ1: 증류수의 고체표면상의 접촉각
θ2: 요오드화메틸렌의 고체표면상의 접촉각
·증류수의 표면장력
γ1= 72.8dyne/㎝
γ1 d= 22.1dyne/㎝
γ1 p= 50.7dyne/㎝
· 요오드화메틸렌의 표면장력
γ2= 50.8dyne/㎝
γ2 d= 44.1dyne/㎝
γ2 p= 6.7dyne/㎝
수학식 2 및 수학식 3에서 고체의 표면장력의 분산력성분(γd)과 극성력 성분(γp)을 산출하고 수학식 1에 대입하여 고체의 표면장력, 즉 표면에너지를 산출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구상입자는 닦아내기시의 압력이 가해질 때라도 변형되지 않고, 자유운동을 유지하며, 충분한 방상 효과가 얻어지고, 또한, 그 입자 자체에 의한 피세정 표면에의 상처가 생기지 않으려면, 그 탄성률이 10∼1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50∼500㎏/㎟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300㎏/㎟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탄성률은 이하의 표시방법으로 측정한 것이다.
(탄성률 측정방법)
분체용 미소압축 시험기 PCT-200((주) 시마즈 제작소제)을 사용하여 입자 1개에 대하여 압축변위를 측정하고, 입자경 10% 변형시의 하중에서 하기식을 사용하여 산출한 값(E)을 입자의 탄성률로 한다.
단, 측정은 20∼25℃에서 행하고, 측정하는 입자는 입경 3∼10㎛의 것을 사용한다. 만일, 입경이 이 범위에 있지 않은 입자의 경우, 같은 재질로 되는 입경 3∼10㎛의 입자로 측정을 행하고, 그 입자의 탄성률로 한다.
F: 압축력(㎏)
S: 압축변형량(㎜)
E: 입자의 압축탄성률(탄성률, ㎏/㎟)
R: 입자반경(㎜)
본 발명의 구상입자에 대해 상기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한 구성재로는 하기 (1)∼(8)로 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구성성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2), (4), (6), (7), (8)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2) 및 (4)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알킬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알킬기의 탄소수 1∼8), 모노 및 디-알킬(알킬기의 탄소수 1∼5) 이타코네이트 및 푸마레이트, 말레산 무수물, 비닐리덴클로라이드, 스티렌, 디비닐벤젠, 염화비닐, 아세트산비닐, 비닐아세탈, 에틸렌, 프로필렌, 부텐, 이소부틸렌, 메틸펜텐, 부타디엔, 비닐톨루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아크릴아미드,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푸마르산, 시트라콘산, 크로톤산, β-아크릴로일옥시프로피온산, 히드록시알킬(알킬기의 탄소수 1∼6)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로 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를 중합하여 얻는 폴리머
(2) 하기 화학식 I 및 화학식 I'로 표시되는 구성단위로 되는 실리콘수지[가령, 트레필 R-925, R-930, R-935 (도레다우코닝(주)제)]
(식중, R1, R2및 R3은 동일 또는 상이하고, 탄소수 1∼100의 알킬기, 알콕시기, 히드록시알킬기, 수산기, 실록시기, 카르복실기, 카르복시알킬기, N-(2-아미노알킬)아미노알킬기, 아미노알킬기, 아미노기, 에폭시알킬기, 에폭시기, 메틸폴리옥시에틸렌알킬기, 히드록시폴리옥시에틸렌알킬기, 메틸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기, 히드록시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기, 알킬폴리옥시에틸렌기, 폴리옥시에틸렌기, 페닐기 또는 플루오로알킬기를 나타낸다.)
(3)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에폭시, 아미노알키드, 우레탄, 폴리아세탈 또는 폴리카보네이트의 어느 1종 이상의 수지
(4) 메틸트리알콕시실란 또는 그 부분가수분해·축합물을 암모니아 또는 아민류의 수용액중에서 가수분해·축합하여 얻는 폴리오르가노실세스퀴옥산[가령, 토스퍼얼 103, 105, 108, 120, 130, 145, 2000B (도시바 실리콘(주)제), KMP-590, KMP-590C (신에츠화학공업(주)제)]
(5) 실리카 또는 다공질 실리카
(6) 상기 (1) 기재의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와 상기 화학식 I 및 화학식 I'로 표시되는 구성단위로 되는 실리콘 유도체 모노머를 공중합시킨 폴리머
(7) 상기 (3)의 수지, (4)의 폴리오르가노실세스퀴옥산, 또는 (5)의 실리카 또는 다공질실리카를 상기 (1) 기재의 에틸렌성 불포화모노머 및/또는 상기 일반식 (I) 및 (I')로 표시되는 구성단위로 되는 실리콘유도체 모노머로 변성시킨 폴리머[가령, 폴리오르가노세스퀴옥산/실리카/다공질 실리카 표면에 존재하는 실라놀기를 이용하여,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트리메틸히드록시실록산 등을 부가중합하여 얻는 폴리머 등]
(8) 상기 (3)의 수지의 주쇄에, 상기 (1) 기재의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 또는 상기 화학식 I 및 화학식 I'로 표시되는 구성단위로 되는 실리콘 유도체 모노머가 수용되어 조성되는 폴리머[가령, 주쇄의 부분산화, 에폭시기의 부가 반응 등으로 반응부위를 작성한 후,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트리메틸히드록시실록산을 부가 중합하여 얻는 폴리머 등]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상기 구상입자를 0.1∼30중량% 함유한다. 구상입자 함유량이 0.1중량% 미만이면 피세정면에 일반적으로 존재하는 고체입자 오염에 비해 그 입자가 적고, 본 발명의 주지(主旨)인 훼상방지성이 현저히 저하하여 좋지 않다. 30중량% 초과면, 그 입자가 배합액에 비해 과대하고, 그 입자의 운동성이 손상되며, 훼손방지성이 저하함과 동시에, 세정후의 그 입자의 제거도 곤란하며, 작업성이 손상되므로 좋지 않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의 점도는 구상입자의 자유운동성을 높이고, 방상을 더욱 효율적으로 행하기 위하여 균일하게 교반한 상태로 20℃에 있어서의 점도가 2∼500cps 범위가 필요하고, 바람직하게는 3∼100cps, 더욱 바람직하게는 3∼50cps 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점도는 하기 방법으로 측정한 값이다.
(점도 측정방법)
점도 측정용 비커(내경 ø3.6㎝, 높이 13㎝)에 샘플 100ml을 취하고, 20℃의 항온수조에 30분 이상 침지하여 샘플 액온이 20℃가 된 것을 확인 후, 탭 등으로 덮개를 하여 심하게 30회 이상 상하로 진탕시켜서 전체를 균일하게 한다. 진탕후, 10초이내에 B형 점도계(Tokimec Inc제) No.1 로터를 60rpm로 회전시켜, 1분후의 지침의 지시하는 수치를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점도(cps)로 한다.
세정제 조성물의 20℃에 있어서의 점도가 2cps 미만이면 구상입자의 운동성이 너무 높고, 닦음질재에 의해 구상입자 자체를 닦아내기 어렵게 되어, 결과적으로 세정력 저하와 함께 손으로 부터의 응력을 분산시키기 전에 입자가 이동해 버려 방상효과가 저하된다. 또, 500cps 보다 높으면 구상입자의 운동이 저해되어 희석효과, 국압분산 효과가 저하됨과 동시에 닦음질재의 미끄럼 이동성이 악화되기 때문에 작업시에 요하는 힘이 현저히 증대하고, 또한 닦음질재를 유지하는 힘도 증대하는 결과, 경질표면에 대하여 수직 응력이 증대하고, 훼상을 촉진하는 결과가 된다. 또, 500cps 보다 높으면 조성물 자체의 닦음질성도 악화하여 작업성 저하와 아울러 세정력도 저하시킨다.
본 발명의 세정조성물을 스프레이 용기에 넣어서 사용할 경우는 스프레이 용기에서는 좁은 분무구에서 토출시킴으로써, 확산성을 갖는 분사가 가능해지기 때문에 인력(人力) 또는 가정에서 일반적으로 사용가능한 가압가스(10㎏/㎠이하)로 토출시키기 위해서는 조성물 점도가 200 cps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cps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cps 이하가 바람직하다. 200cps를 초과하면 상기 이유에 의해 사실상 토출불능이 된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세정에 사용하는 세정액 효과를 더욱 높이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c) 성분으로서 액상윤활 성분을 함유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액상윤활 성분이란, 비점 300℃ 이상으로, 점도 500cps 이하의 저점도의 액상성분을 말하고, 구체적으로는 20℃에서 액체이며, 비점 300℃ 이상의 실리콘오일, 가령 폴리오르가노실록산오일을 들수 있다. 이 (c) 성분에는, 이른바 왁스류, 구체적으로는 카르나우바왁스, 면랍 등의 식물성왁스; 밀랍, 양모랍(라놀린)등의 동물성왁스; 몬탄왁스, 셀레신왁스등의 광물성왁스, 고형파라핀,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폴리에틸렌왁스 및 이들의 산화왁스등의 석유왁스 또는 합성왁스등은 포함되지 않는다.
이와같은 왁스류는 오히려 오염을 수용하기 쉽게 되어 세정제로서의 성능을 떨어뜨리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c) 성분으로 사용되는 20℃에서 액상인 폴리오르가노실록산오일로는 상기 화학식 I 및 화학식 I'로 표시되는 구성단위로 되는 것을 들수 있고, 폴리오르가노실록산오일의 오르가노기가 탄소수 1∼80의 알킬기, 아미노알킬기, N-(2-아미노알킬)아미노알킬기, 메틸폴리옥시에틸렌알킬기, 알콕시기, 에폭시알킬기, 카르복시알킬기 또는 페닐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구상입자의 운동성을 높이기 위하여는 그 폴리오르가노실록산오일의 25℃에 있어서의 점도가 2∼5000cps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오르가노실록산오일의 구체예로는 디알킬실록산, 알킬페닐실리콘, 알킬변성실리콘, 알콕시변성실리콘, 히드록시변성실리콘, 카르복시변성실리콘, 에폭시변성실리콘, 아미노변성실리콘 등을 들수 있고, 하기 화학식 Ⅱ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식중, n1및 n2는 1∼100, m은 1∼5000의 정수를 나타낸다.)
이들 폴리오르가노실록산오일은 가령, KF56, KF-412, KF-413, KF-414, KF50, KF53, KF54, KF56, KF994, KF995, KF9937, X22-161AS, X22-161A, X22-161B, KF8012, KF393, KF859, KF860, KF861, KF867, KF869, KF880, KF8002, KF8004, KF8005, KF858, KF864, KF865, KF868, KF8003, KF-105, X22-163A, X22-163B, X22-163C, KF-1001, KF101, X22-169AS, X22-169B, KF-102, X22-162A, X22-162C, X22-3701E, X22-3710, X22-160AS, KF6001, KF6002, KF6003, X22-4015, KF-857, KF862, KF8001, X22-3667, X22-3939A (신에츠화학공업(주)제), TSF-451, TSF4700, TSF4701 (도시바 실리콘(주)제)등의 상품명으로 시판되고 있어, 이들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중의 (c)성분 함유량은 상기 (b)성분과의 중량비가 (c)/(b)=0.01∼10이 되는 비율이 좋고, 0.1∼5가 되는 비율이 더 좋다. 또,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a)성분으로서 비점 70∼300℃의 유기용제 1∼10중량%와 물 50∼97중량%, (b)성분의 구상입자 1∼10중량% (c)성분으로 폴리오르가노실록산오일 1∼10중량%를 함유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또한 (d)성분으로서 계면활성제 또는 고분자분산제 혹은 그 혼합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구상입자 단독, 또는 상기 구상입자에 폴리오르가노실록산오일 등의 액상윤활성분/유기용제의 어느 하나 또는 쌍방을 첨가한 상태로, 계면활성제 및 고분자 분산제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을 사용하여 수중에서 유화, 분산 또는 구상입자의 재분산을 쉽게하여 조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계면활성제 함유량은 0.001∼5중량%가 바람직하고 0.01∼2중량%가 더 바람직하다. 또 고분자 분산제 함유량은 0.001∼3중량%가 바람직하고, 0.01∼1중량%가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로는 아니온성 또는 노니온성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알킬벤젠술폰산염, 알킬술폰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술폰산염, 알킬폴리글리코시드, 지방산염, 알킬수크로스 에스테르, 솔비탄알킬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스테르로 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들수 있고, 평균알킬쇄길이가 탄소수 8∼18 범위의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고분자 분산제로는 알킬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알킬기의 탄소수 1∼8), 모노 및 디-알킬(알킬기의 탄소수 1∼5) 이타코네이트 및 푸마레이트, 말레산무수물, 비닐리덴클로라이드, 스티렌, 디비닐벤젠, 염화비닐, 아세트산비닐, 비닐아세탈, 에틸렌, 프로필렌, 부텐, 이소부틸렌, 메틸펜텐, 부타디엔, 비닐톨루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아크릴아미드,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프마르산, 시트라콘산, 크로톤산, β-아크릴로일옥시프로피온산, 히드록시알킬(알킬기의 탄소수 1∼6)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 비닐피롤리돈 및 그 유도체로 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를 함유하는 모노머를 중합하여 얻는 것을 들수 있다. 이들 고분자 분산제의 분자량은 100∼10만의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5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3000∼1만이다.
또, 본 발명의 고분자 분산제로서 이하의 증점성 다당류 (1)∼(3)을 사용할 수 있다.
(1) 구아검, 로카스트빈검, 퀸스시드검, 타라검, 카라기난, 알르긴산(또는 그 염), 포르셀란, 한천, 아라비노갈락탄검, 아라비아검, 트라가칸트검, 카라야검, 펙틴, 전분, 크산탄검, 크산코트, 크산플로, 가드런, 숙시노글루칸, 쉬조필란, 펄룰란, 제란검, 웰란검, 람탄검, 갈락토만난, 히알루론산(또는 그 염), 콘드로이틴황산(또는 그 염), 키틴, 키토산.
(2) 상기 다당류의 산화, 메틸화, 카르복시메틸화, 히드록시에틸화, 히드록시프로필화, 황산화, 인산화 또는 카티온 유도체.
(3)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메틸셀룰로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히드록시에틸프로필셀룰로스 등의 수용성 셀룰로스 유도체. 이상 (1)∼(3)의 다당류의 분자량은 10만∼1000만의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 주된 다당류를 표로 나타낸다.
본 발명의 경질표면의 청정방법은 상기와 같은 세정제 조성물을 고체입자 오염이 존재하는 경질표면에 적용하여 오염과 함께 닦아냄으로써 그 경질표면을 청정하게 하는 방법이나, 본 발명 청정방법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a) 액체세정매체와, (b) 그 액체세정매체에 불용의 평균입경 0.01∼15㎛의 구상입자와 (c) 20℃에서 액상인 폴리오르가노실록산오일을 함유하고, 조성물중의 (b) 성분 함유량이 0.1∼30중량%, (b) 성분과 (c) 성분과의 배합비율이 (c)/(b) (중량비)=0.01∼10이고, 균일하게 교반한 상태로 20℃에 있어서의 점도가 2∼500cps인 액체세정제 조성물을 예비세정 없이 고체입자 오염이 존재하는 자동차 보디에 적용하여 오염과 함께 닦아냄으로써 그 자동차 보디를 청정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세정제 조성물을 경질표면에 적용하는 방법은 특히 한정되지 않으나, 가령 클린와이핑 재료를 사용하여 도포하거나 스프레이로 살포하는 등의 방법을 들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경질표면 세정시는 상기 구상입자가 경질표면의 일정면적 이상 또는 오염량에 대하여 일정비율 필요한 것이 판명되어 있고, 그 세정시의 그 구상입자량이 경질표면에 대하여, 중량의 경우는 0.05∼5g/㎠, 투영면적의 경우는 경질표면의 표면적에 대한 구상입자의 총투영면적이 30∼300% 범위가 가장 효과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중량으로 0.2∼2g/㎠, 총투영면적으로 50∼200% 범위로 세정하는 것이 좋다.
또한, 총투영면적은 이하의 방법으로 산출하였다.
(총투영면적 산출방법)
고체입자의 조성물중의 배합량 a%
세정을 행하는 경질표면면적 b㎠
세정에 사용하는 조성물양 cg
입자 1g당 평균투영면적*d㎠/g으로 할 때,
* 입자 1g당 평균투영면적 d㎠/g은 하기식으로 구한다.
입자의 평균입경을 e㎝
입자밀도를 fg/㎤로 할 때
(입자 1g당 체적) = f×1g = f㎤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의 pH는 특히 한정되지 않으나, pH=3∼12 범위가 바람직하고, 또한 5∼10 범위가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의 사용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트리거식 스프레이어로 사용에 제공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피세정면에 스프레이될 때의 세정제 조성물 성상은 포상(泡狀), 무상(霧狀), 액상등 여러 가지를 생각할 수 있고 성상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세정시의 작업성 점에서 무상 또는 액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청정방법으로 청정해지는 경질표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유리, 스테인레스, 인공대리석, 아크릴·ABS 등의 플라스틱, 금속·목재·플라스틱 등의 수지 도장 또는 금속도금된 표면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주거내·외의 벽, 바닥, 다다미, 천정, 지붕 등의 세정, 부엌벽, 바닥, 렌지주변, 환기팬 등의 세정, 식기선반, 장롱, 테이블, 책상, 의자, 책장 등의 가구 세정, 냉장고, TV, 퍼스널컴퓨터, 스테레오, 에어콘, 전자렌지, 세탁기, 건조기, 조명기구 등의 전자제품의 표면세정, 주거의 창, 도어, 가구의 문, 자동차윈도 등에 사용되고 있는 유리의 세정, 방충망 세정, 화장실 바닥, 벽, 문, 세정기능 있는 좌변기, 난방좌변기 등의 세정, 식기, 조리기구 세정, 자동차, 자전거, 오토바이 등의 도장표면 및 플라스틱제 표면 세정, 자동차 호일 세정, 엑스테리어 현관주변, 테라스, 담, 펜스, 문주변 세정, 기타 고체입자 오염이 존재하는 경질표면 전반의 세정에 적합하다. 또한, 자동차 보디 도장면, 플라스틱제 부품표면, 윈도글라스, 호일 세정에 적합하고, 특히 자동차 보디 세정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하는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로 각종 물질을 배합할 수 있다. 그와 같은 것의 예로는 향료, 안료, 염료, 살균제, 곰팡이 방지제, 가용화제, 킬레이트제, 산화방지제, pH 조정제, 표백제, 감점제, 분산제, 자외선 흡수제 등을 들수 있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을 사용하면, 실내먼지/토양·토사 유래 등의 고체입자 오염이 존재하는 경질표면을 예비세정 없이, 또한 대상면에 도포/살포 또는 닦음질재에 함침시켜서 사용하는 양이 경질표면 1㎡당 50g 이하의 소량으로, 포/부직포/종이/스폰지/피혁/합성피혁 또는 이에 준하는 닦음질 소재로 오염 닦아내기를 행하여도 경질표면에의 훼상이 방지된다.
이하,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표 1에 표시한 구상입자 및 표 2에 표시한 배합성분을 사용하여 본 발명 및 비교의 세정제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즉, 표 3∼6에 표시한 본 발명 배합계 1∼42 및 비교 배합계 1∼30에 있어서의 배합성분 1로 하여 표 1에 표시한 본 발명에 관한 구상입자를 배합하고, 표 7∼10에 표시한 세정제 조성물(잔부는 물)을 조제하고, 그 방상성능을 하기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7∼10에 표시한다. 또, 동일하게 조제한 세정제 조성물의 20℃에 있어서의 점도를 표 11∼14에 표시한다.
<닦음질 세정시의 방상성능 평가방법>
흑색 아크릴판에 유채유:카본블랙 = 9:1 (중량비) 비율로 혼합한 것을 1g/㎠가 되게 도포하고, 60℃에서 1개월 건조시킨다. 이 건조한 아크릴판에「JIS시험용 더스트 7종」(IWAMOTO MINERAL CO.제) 0.1% 에탄올 분산액을 10g/㎡가 되게 살포하고, 60℃에서 24시간 건조시킨다. 여기에 각종 세정제 조성물을 10g/㎡가 되게 살포하고, 10g중(重)/㎠의 가중을 걸고 면파일지 타월로 시험용 더스트를 완전 제거하기 까지 닦음질 세정하였다.
상기 세정제 조성물 처리를 행한 아크릴판과 물만으로 처리한 아크릴판에 대하여 60°의 광택도(JIS Z 8741 기재의 경면 광택도 측정장치를 사용)를 측정하여 하기 계산식으로 방상지수를 산출하였다.
(미처리 아크릴판 광택도) = Gl
(물 처리시의 광택도) = GW
(배합액 처리시의 광택도) = Gt로 할 때
[표 1]
[표 2a]
[표 2b]
[표 2c]
[표 3]
[표 4]
[표 5]
[표 6]
[표 7]
[표 8]
[표 9]
[표 10]
[표 11]
[표 12]
[표 13]
[표 14]
(실시예 2)
표 15∼17 표시입자 및 표 18 표시 배합성분을 사용하여 본 발명 및 비교 세정제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즉, 표 19∼20 표시 배합계 1∼37에 있어서의 배합성분 31로서 표 15∼17 표시 본 발명에 관한 구상입자 또는 비교입자를 배합하여 표 19∼20 표시 세정제 조성물을 조제하고, 그 방상성능을 실시예 1과 동일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1∼26에 표시한다.
[표 15]
[표 16]
[표 17]
[표 18a]
[표 18b]
[표 19]
[표 20]
[표 21]
[표 22]
[표 23]
[표 24]
[표 25]
[표 26]
(실시예 3)
표 27에 표시한 구상입자를 사용하여 이하 표시의 배합비율로 배합하여 표 28에 표시한 세정제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이 세정제 조성물의 20℃에 있어서의 점도 및 실시예 1과 동일 방법으로 평가한 방상지수를 표 28에 표시한다.
(세정제 배합조성)
입자 7.0%
디메틸실록산 (500cst, 25℃) 5.0%
이소파라핀, 비점 262℃ 10.0%
알킬글루코시드 (C12-14) 2.0%
폴리아크릴산 Na (분자량 3000) 0.5%
이온교환수 잔부
[표 27]
[표 28]
(실시예 4)
표 29에 표시한 각성분을 표 29 표시 비율로 배합하여 표 29에 표시한 본 발명 또는 비교 세정제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얻은 세정제 조성물의 20℃에 있어서의 점도 및 하기 방법으로 평가한 세정력 및 작업성 평점을 표 29에 표시한다.
(세정력 평가방법)
실시예 1의 방상성능 평가방법과 동일 수법으로 같은 오염(유채유/카본블랙, JIS 시험용 더스트 7종)을 같은 양, 10cm×20cm의 백색 아크릴판에 부착시켰다. 여기에 각종 세정제 조성물을 10g/㎡이 되게 살포하고, 2×5cm의 면파일재질의 타월을 길이방향으로 둘로 접은 것으로 10g중/㎡의 하중을 걸어 전면을 균일하게 3회 닦아냈다. 이때의 오염 제거율을 하기 기준으로 5단계로 육안 판정하고, 다시 이 평가를 5회 반복하여 평점의 평균을 산출하고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세정력 평점으로 한다.
1: 오염이 전혀 제거되지 않는다.
2: 오염이 제거된 부분과 제거되지 않은 부분의 면적비가 1/4이상
3: 오염이 제거된 부분과 제거되지 않은 부분의 면적비가 2/4이상
4: 오염이 제거된 부분과 제거되지 않은 부분의 면적비가 3/4이상
5: 오염이 완전히 제거된다.
(작업성 평가방법)
각종 세정제 조성물을 1m×1m의 흑색 아크릴판에 10g/㎡가 되게 살포하고, 40cm×40cm의 면파일재질 타월을 넷으로 접은 것으로 신장 155∼165cm, 체중 45∼50kg의 여성 패널러 5명게 세정제 조성물을 완전히 닦아내는 작업을 시켰다. 이 때의 작업성을 하기 평가 기준으로 5단계 평가시켜, 5명의 평균을 가지고 본 발명의 작업성 평점으로 한다.
1: 완전히 닦아내기 불가능
2: 물 닦음질 보다 어렵다
3: 물 닦음질과 동등
4: 물 닦음질 보다 쉽다
5: 마른 닦음질과 동등
[표 29]

Claims (15)

  1. 고체입자 오염이 존재하는 경질표면에 적용하고, 오염을 닦아냄으로써 그 경질표면을 청정하게 하기 위한 경질표면용 액체 세정제 조성물에 있어서,
    a 액체 세정매체와,
    b 그 액체 세정매체 a에 불용인 평균입경 0.01∼15㎛의 구상입자
    를 함유하고, 조성물 중의 b 성분 함유량이 0.1∼30중량%이고, 균일하게 교반한 상태로 20℃에 있어서의 점도가 2∼500cp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질표면용 액체 세정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다시 c 액상윤활성분을 함유하고, 조성물중의 b성분과 c성분의 배합비율이 c/b (중량비)=0.01∼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질표면용 액체 세정제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다시 (d) 계면활성제 또는 고분자 분산제 또는 그 혼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질표면용 액체 세정제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구상입자의 구성재의 표면에너지가 60dyn/c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질표면용 액체 세정제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구상입자의 진비중이 0.5∼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질표면용 액체 세정제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구상입자의 탄성률이 10∼1000k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질표면용 액체 세정제 조성물.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구상입자의 구성재가 하기 화학식 I 및 화학식 I'로 표시되는 구성단위로 구성되는 실리콘수지 또는 메틸트리알콕시실란 또는 그 부분가수분해·축합물을 암모니아 또는 아민류 수용액 중에서 가수분해·축합하여 얻는 폴리오르가노실세스퀴옥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질표면용 액체 세정제 조성물.
    (화학식 I)
    (화학식 I')
    (식중, R1, R2및 R3은 동일 또는 상이하고, 탄소수 1∼100의 알킬기, 알콕시기, 히드록시알킬기, 수산기, 실록시기, 카르복실기, 카르복시알킬기, N-(2-아미노알킬)아미노알킬기, 아미노알킬기, 아미노기, 에폭시알킬기, 에폭시기, 메틸폴리옥시에틸렌알킬기, 히드록시폴리옥시에틸렌알킬기, 메틸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기, 히드록시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기, 알킬폴리옥시에틸렌기, 폴리옥시에틸렌기, 페닐기 또는 플루오로알킬기를 나타낸다.)
  8.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a)성분의 액체 세정매체가 물 또는 물과 유기용제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질표면용 액체 세정제 조성물.
  9. 제 2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c)성분의 액상 윤활성분이 20℃에서 액상 폴리오르가노실록산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질표면용 액체 세정제 조성물.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경질표면이 자동차 보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질표면용 액체 세정제 조성물.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중 어느 한항 기재의 세정제 조성물을 고체입자 오염이 존재하는 경질표면에 적용하여 오염과 함께 닦아냄으로써 그 경질표면을 청정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질표면의 청정방법.
  12. (a) 액체 세정매체와,
    (b) 그 액체 세정매체에 불용인 평균입경 0.01∼15㎛의 구상입자와,
    (c) 20℃에서 액상인 폴리오르가노실록산오일을 함유하고, 조성물중의 (b)성분 함유량이 0.1∼30중량%, (b) 성분과 (c) 성분의 배합비율이 (c)/(b) (중량비)=0.01∼10이고, 균일하게 교반한 상태로 20℃에 있어서의 점도가 2∼500cps인 액체 세정제 조성물을 예비세정 없이 고체입자 오염이 존재하는 자동차 보디에 적용하여 오염과 함께 닦아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보디 청정방법.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경질표면에 대하여 구상입자가 0.05∼5g/㎡ 범위인 비율로 세정조성물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방법.
  14.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경질표면의 표면적에 대한 전구상입자의 총투영면적이 30∼300% 범위가 되게 세정제 조성물을 경질표면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방법.
  15. 제 11 항 내지 제 14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경질표면 1㎡당 50g 이하의 소량의 세정제 조성물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방법.
KR1019980700088A 1996-05-07 1997-04-18 경질표면용 액체 세정제 조성물 및 경질표면의 세정방법 KR199900287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112787 1996-05-07
JP11278796 1996-05-07
JP97-013860 1997-01-28
JP1386097 1997-01-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8788A true KR19990028788A (ko) 1999-04-15

Family

ID=26349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0088A KR19990028788A (ko) 1996-05-07 1997-04-18 경질표면용 액체 세정제 조성물 및 경질표면의 세정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117830A (ko)
EP (1) EP0843003A4 (ko)
KR (1) KR19990028788A (ko)
CN (1) CN1196752A (ko)
WO (1) WO19970422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719362T2 (de) * 1996-12-09 2003-10-16 Kao Corp Mit reinigungsmitteln imprägnierter gegenstand
US6703027B2 (en) * 1998-04-30 2004-03-09 Shiseido Company, Ltd. Composition for external use
DE60038458T2 (de) * 1999-12-08 2009-04-02 Unilever N.V. Verwendung von polymerem material zur behandlung harter oberflächen
US7326676B2 (en) * 2003-07-11 2008-02-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iquid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s with silicone fabric care agents
US7326677B2 (en) * 2003-07-11 2008-02-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iquid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s comprising a silicone blend of non-functionalized and amino-functionalized silicone polymers
CN1823157B (zh) * 2003-07-14 2010-11-10 花王株式会社 Cip用洗涤剂组合物
CA2560587C (en) * 2004-04-16 2011-09-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iquid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s with silicone blends as fabric care agents
US7378382B2 (en) * 2004-05-05 2008-05-27 The Clorox Company Rheologically stabilized silicone dispersions comprising a polydimethylsiloxane mixture
DE102007039652A1 (de) * 2006-12-05 2008-06-12 Henkel Kgaa Mittel zur Behandlung harter Oberflächen
US7994111B2 (en) 2008-02-15 2011-08-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iquid detergent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ernal structuring system comprising a bacterial cellulose network
US11053464B2 (en) 2014-03-22 2021-07-06 United Laboratories International, Llc Solvent composition and process for removal of asphalt and other contaminant materials
US11946021B2 (en) * 2014-03-22 2024-04-02 United Laboratories International, Llc Solvent composition and process for removal of asphalt and other contaminant materials
CN112030100A (zh) * 2020-08-31 2020-12-04 宁波江丰电子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铜铝材料pvd镀膜前表面处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5756A (en) * 1975-03-14 1976-06-29 Valles Alfredo E Multi-speed and leverage motor
US4005030A (en) * 1975-04-22 1977-01-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Organosilane-containing anionic detergent composition
US4005028A (en) * 1975-04-22 1977-01-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Organosilane-containing detergent composition
JPS5474808A (en) * 1977-11-29 1979-06-15 Ono Tsuneo Material serving both as cleaner wax and as strong detergent
JPS5475808A (en) * 1977-11-29 1979-06-18 Sanshin Kensetsu Kogyo Kk Method of construction of removing anchor
JPS557840A (en) * 1978-07-01 1980-01-21 Shinkiyoku Kogyo Kk Glass cleaning solution
JPS58154774A (ja) * 1982-03-10 1983-09-14 Rinrei:Kk 艶出剤組成物
US4481126A (en) * 1982-07-26 1984-11-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No rinse liquid car cleaner with solid polymers
US4512677A (en) * 1982-07-26 1985-04-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No rinse liquid car cleaner kit with liquid cleaner and bristle pad
JPS61159474A (ja) * 1984-12-29 1986-07-19 Toshiba Silicone Co Ltd つや出し剤組成物
JPS61192799A (ja) * 1985-02-22 1986-08-27 石原薬品株式会社 門型洗車機用の水アカ洗浄組成物
DE3533531A1 (de) * 1985-09-20 1987-04-02 Henkel Kgaa Reinigungsmittel fuer harte oberflaechen
JPS6440600A (en) * 1987-08-06 1989-02-10 Dia Chem Kk Cleanser
US4977912A (en) * 1988-02-29 1990-12-18 Tokyo Tatsuno Co., Ltd. Finely pulverized component added in vehicle spray washing water and apparatus for recovering thereof
GB8813552D0 (en) * 1988-06-08 1988-07-13 Unilever Plc Thickening system
JPH02117979A (ja) * 1988-10-27 1990-05-02 Johnson Kk 垢付着防止性の艶出し剤組成物
CA2001870C (en) * 1988-11-29 1999-01-19 Keiji Yoshida Polish containing a silicone rubber powder
JPH0397799A (ja) * 1989-09-12 1991-04-23 Koji Mizutani 複合洗浄剤
JPH0751718B2 (ja) * 1990-02-07 1995-06-05 シーシーアイ株式会社 自動車用洗浄剤
JPH07103395B2 (ja) * 1990-09-26 1995-11-08 ユシロ化学工業株式会社 車輌外板用液体洗剤組成物
EP0504952A1 (en) * 1991-02-15 1992-09-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table liquid amidoperoxyacid bleach
US5316692A (en) * 1991-06-13 1994-05-31 Dow Corning Limited Silicone containing hard surface scouring cleansers
DE4209923A1 (de) * 1992-03-27 1993-09-30 Henkel Kgaa Flüssige Reinigungsmittel für harte Oberfläch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43003A1 (en) 1998-05-20
WO1997042296A1 (fr) 1997-11-13
EP0843003A4 (en) 2000-04-26
CN1196752A (zh) 1998-10-21
US6117830A (en) 2000-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1303B1 (ko) 세정제 함침 물품
US6987074B2 (en) Paintwork coating composition and coating cloth
KR19990028788A (ko) 경질표면용 액체 세정제 조성물 및 경질표면의 세정방법
WO1992018600A1 (en) Low voc cleaning compositions and methods
JP4116763B2 (ja) 塗装面のコーティング組成物
JPH1088196A (ja) 洗浄剤組成物
JP2826097B2 (ja) スプレー式容器入り液体洗浄剤組成物
JP2826099B2 (ja) 硬質表面用液体洗浄剤組成物及び硬質表面の清浄方法
JP4921766B2 (ja) 車両表面用コーティング剤組成物
JP2007211205A (ja) 水性研磨洗浄剤組成物及びその用途
JP3148675B2 (ja) 洗浄剤含浸物品
JP4936240B2 (ja) 車両表面のコーティング剤および車両表面のコーティング方法
JP2786624B1 (ja) 硬質表面用つや出し剤組成物及び硬質表面のつや出し方法
TW415964B (en) Liquid detergent composition for hard surface and method for cleaning hard surface
US11820907B2 (en) Tire dressing composition and methods of making thereof
JP2006124590A (ja) 塗装面の艶出し洗浄剤
JP3354859B2 (ja) 硬質表面用液体洗浄剤組成物
CN102816658B (zh) 一种环保型清洁乳液及其制备方法
JP6236654B2 (ja) コーティング処理前の水性乳化バフ研磨用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下地処理方法
JP2001081443A (ja) 研磨剤組成物
JP2920288B2 (ja) 液体洗浄剤組成物
JP4106044B2 (ja) 塗装面の艶出し洗浄剤
JPH10287899A (ja) 洗浄剤含浸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