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8606A - 기계식 직기 - Google Patents

기계식 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8606A
KR19990028606A KR1019970709928A KR19970709928A KR19990028606A KR 19990028606 A KR19990028606 A KR 19990028606A KR 1019970709928 A KR1019970709928 A KR 1019970709928A KR 19970709928 A KR19970709928 A KR 19970709928A KR 19990028606 A KR19990028606 A KR 199900286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weft
knitting
knitting needle
l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9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5890B1 (ko
Inventor
프란시스코 스페이흐
Original Assignee
뮐러 야콥
텍스틸마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뮐러 야콥, 텍스틸마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뮐러 야콥
Publication of KR19990028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8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5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58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40Forming selvedges
    • D03D47/42Forming selvedges by knitting or interlacing loops of we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Loom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상기한 직기(기계식 직기)에서는 씨실삽입침(28)이 씨실루프(30)를 직조구간(26)내에 공급한다. 직조구간의 반대측에는 씨실루프(30)를 결착하는 편침(32)이 있다. 씨실삽입침(28)과 편침(32)은, 편침(32)에 의해 포착하려는 씨실루프(30)의 씨실가닥(56)이 편침(32)의 편침헤드(62)의 높이 아래 또는 기껏해서 그 높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있다. 편침(32)의 편침헤드(62)는, 포착될 씨실가닥(56)이 씨실삽입침(28)의 후퇴시 편침헤드(62)위로 편침후크(64)의 후크궤도내에 삽입될 수 있도록, 수용위치에 있어 안내궤도(54)를 가진 안내박판(52)에 상관배치된다. 직조동작과 직조제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안내박판(52)은 편침(32)의 직조구간(26) 반대쪽에 배치되어있다.

Description

기계식 직기
리본을 제조하는 직기는 다수 알려져있다. 첨부된 도 1 내지 4는 씨실삽입침(1)에 의해 씨실루프(1)를 날실(3)로 구성된 직조구간(4)에 도입하는, 공지된 네 가지의 기본적 방법을 나타낸다. 씨실루프(1)는 직기(4)의 한쪽에서 도입되고 직기(4)의 반대쪽에서는 편침(5)이 배치되어있으며 그 편침에는 씨실루프(1)의 가닥(6)이 삽입되어 묶여있다. 도 1 내지 4에서는 같은 부재에는 같은 부호가 부여되어있고 도 1 내지 4에서의 변형 실시형들은 첨자 a 내지 d에 의해 구별되어있다.
도 1의 실시형에서는 편침(5a)이 직선적으로 왕복이동되고 씨실가닥(6a)은 승강가능한 하향가압기(7)에 의해 편침후크내에 도입된다. 이 하향가압기(7)는 추가의 구동성 기소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 기소는 직기의 구조를 복잡한 형상이 되게 하고 마모성부품의 수를 증가시킬뿐 아니라 특히 그 성능에 악영향을 미친다.
도 2에 의한 실시형에서는, 하향가압기가 없고, 여기서는 편침(5b)은 씨실가닥(6b)을 포착하기 위해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진행하는 아치형의 운동(8)을 해야한다. 여기서도 편침(5b)의 아치형 운동을 달성하기 위해 추가의 구동부가 필요한데 이것은 상술한바와 같은 결점과 연관되어있다.
도 3의 실시예에서는, 씨실편침(2c)의 씨실가닥(6c)을 포착하기 위해 편침(5c)이 원형궤도(원형경로)에서 움직인다. 그러나 이 포착은, 편침(5c)이 큰 원형 경로(W)를 이동했다가 급속히 복귀운동을 할 때에만 가능하다. 이 실시형은 대단히 마모되기 쉽고 진동되기 쉽고 높은 작동회전속도에는 절대적으로 부적당하다. 이 작동형에서는, 큰 편침행정으로 인해 푸시니들도 이용될수 없을 것이다.
도 4에 의한 공지의 실시형에서는, 씨실삽입침(2d)의 삽입궤도는 편침(5d)의 헤드 위에 위치해있으며 안내와이어(9)는 씨실삽입침(2d)의 이동궤도에 뻗어있어 결착하려는 씨실가닥(6d)을 하방으로 편침(5d)의 후크주행궤도내로 누른다. 안내와이어(9)는 상방에서 하방으로 뻗는 경사안내궤도(10)를 형성하는데, 이 궤도의 각도(α)는 사가 하측으로 미끄러질 수 있도록 작아야한다. 따라서 이 시스템은 상대적으로 큰 거리(D)를 필요로 하고 이 큰 거리는 다시 편침(5d)의 행정이 확대될 때에만 달성될 수 있다. 행정이 상대적으로 크면 직기의 작동회전속도가 제한을 받고 직기는 푸시니들의 설치에는 부적합해진다. 이 시스템의 추가의 단점은 씨실루프(1d)의 다른 가닥(11)도 안내와이어(9)에 의해 편침(5d)의 주행로쪽으로 눌러진다는데 있다. 그래서 이 두 번째 씨실가닥(11)도 편침후크(5d)에 의해 거의 포착되지 못한다. 이것의 결과는 보통 씨실루프의 절단이고 이에 의한 직기의 작동중단이다. 그 위에 이 시스템에서는 씨실삽입침(2d)의 씨실안내고리가 직물가장자리를 넘어 떨어져위치하고 그래서 안내와이어는 멀리 밖으로 이동해야하고 이것은 씨실삽입침을 분명히 길어지게 한다. 따라서 이 씨실삽입침은 보다 무거워지고 이로 인해 심하게 진동하기 쉽다. 그런 직기는 고속작동에는 적합하지 않다.
끝으로 모두에 언급한 종류의 직기는 GB-PS 552 067로부터 알려져있는데, 거기에서는 물론 편침과 직물가장자리 사이에 편침을 지지하고 그것이 직물웨브 쪽으로 굴곡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안내박판이 배치되어있다. 이런 배치는 당연히 편직된 가장자리코를 제거하여 직물웨브에 꽉채워 끌어넣거나 접합시키는 것을 어렵게 한다.
상기한 종류의 직기는 대체로 짧은 편침행정을 가진 푸시니들 또는 텅니들을 사용하여 작동하기에는 적합하지 않고 기껏해야 2000 rpm의 작동회전속도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청구항 1에 의한 대개념에 의한 (기계식)직기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4는 종래기술에 따라 씨실삽입침에 의해 씨실루프를 날실로 구성된 직조구간에 도입하는 네 가지 방법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1은 그 첫 번째 종류의 방법을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도 2는 그 두번째 종류의 방법을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도 3은 그 세번째 종류의 방법을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도 4는 그 네번째 종류의 방법을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도 5는 본발명에 의한 직기의 직조영역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제 1실시예에 있어 직기의 직조영역의 Ⅵ-Ⅵ선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제 2실시예에 있어 직기의 직조영역의 Ⅵ-Ⅵ선 단면도이다.
도면부호의 설명.
α 각도, D 거리, H 편침의 행정, L 편침의 길이, W 원형궤도의 길이, X 운동범위, 1 씨실루프, 1d 씨실루프, 2 씨실삽입침, 2c 씨실삽입침, 2d 씨실삽입침, 3 날실, 4 직조구간, 5 편침, 5a 편침, 5b 편침, 5c 편침, 5d 편침, 6 가닥, 6a 가닥, 6b 가닥, 6c 가닥, 6d 가닥, 7 하향 가압기, 8 운동궤도, 9 안내 와이어, 10 안내 궤도, 11 가닥, 20 직조구간 형성 장치, 22 사침대, 26 직조구간, 28 씨실삽입침, 30 씨실루프, 32 편침, 34 바디, 36 직물가장자리, 38 사 고리, 40 씨실, 42 (28)의 끝, 44 선회 레버, 46 홀더, 48 푸셔, 50 홀더, 52 안내박판, 54 안내궤도, 56 가닥, 58 헤드 부분, 62 편침헤드, 64 편침후크, 66 씨실가닥, 68 직물웨브, 70 가장자리 박판, 72 안내슬라이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류의 직기를 더욱 개선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에 의해 발명적으로 해결된다. 안내박판을 편침을 기준으로 직조구간 또는 직물의 반대쪽에 배치되게 함으로써 가장자리코의 형성과 제거가 편침과 직물웨브 사이의 구성부재에 의해 방해받지 않을수 있고 그에 의해 직기의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그 위에 가장자리코가 강고하게 직물웨브에 흡착될 수 있고 그에 의해 가장자리코가 작음으로써 편물가장자리의 질이 개선된다.
삽입하려는 씨실루프를 편침의 편침헤드 높이 이하 또는 같은 높이에 위치시키고 위치고정된 안내박판을 편침의 직조구간 반대측에 배치하여 편침과 결합시키려는 실가닥부분을 편침내에 삽입시킴으로써, 추가적인 구동부재와 가동부품이 생략될 뿐만이 아니라 단지 처리하고자하는 씨실가닥만이 또한 극히 작은 편물범위에서 특히 확실하게 결합삽입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편침의 행정은 작게, 예를 들면 15 밀리미터 이하에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이에 의해 직기의 고 회전속도에는 요구되는 푸시니들이나 텅니들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한 종류의 위치고정 안내박판의 추가의 중요이점은 씨실가닥의 안정화에 있는 것으로, 이 씨실가닥은 상기한 방법에 의해 정확히 한정된 위치를 취할 수 있고 이에 의해 편침의 후크에 의한 확실한 포착이 보장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예를 들면 최대 단지 15밀리미터의 짧은 편침행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절곡, 진동 및 마모의 가능성이 작은 대단히 짧은 편침이 또한 얻어진다. 또한 그로 인해 씨실가닥을 편침에 의해 확실히 포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직기는 가장 간단하고 마모가 적은 구조가 특징이고 6000 rpm에 이르는 높은 작동회전수가 가능해진다.
직기의 유리한 실시형은 청구항 2 내지 7에 기재되어있다.
청구항 2 및 3에 의한 직기의 양태는 씨실가닥이 제어불가하게 편침에 걸리게되는것(물리는것)을 방지한다. 청구항 3에 의한 실시양태에 의해 씨실루프는 안내슬라이드(이동을 용이케하는 경사로)에 의해 편침후크로내에 강제로 이동되고, 이에 의해 삽입확실성, 따라서 직기의 생산능력 및 제조하려는 품질을 크게 향상시킨다.
원칙적으로 씨실삽입침은 직선운동을 할수있고 그 때에는 그렇지만 그 운동경로는 편침에 대해 90도와는 상이한 각도로 일어나야 한다. 청구항 4에 의한 직기 양태가 유리하다.
이미 상술한 청구항 5에 정의된 기껏 15 밀리미터의 편침행정이 특히 바람직하다. 특히 높은 작동회전속도를 허용하는 청구항 6에 의한 푸시편침 및 청구항 7에 의한 텅 니들의 사용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의한 해법 실시예를 이하 도 5 내지 7에 따라 설명하겠다.
도 5 내지 7에 표시된 직기는 직조구간형성장치(20)를 포함하고있고 그 중에서 단지 사침대(22)만 나타나있고 날실(24)은 제어된 방식으로 직조구간(26)으로 열려있다. 씨실삽입침(28)은 씨실루프(30)를 한쪽으로부터 직조구간(26)내에 도입하는 역할을 한다. 직조구간(26)의 다른 쪽에서는 씨실루프(30)가 왕복이동되는 편침(32)에 의해 포착되고 씨실삽입침(28)이 퇴각한후에는 바디(34)에 의해 직물가장자리(36)에 밀착된다.
씨실삽입침(28)은 아치형으로 형성되어있고 선단에 사고리(38)를 갖고있으며 그 고리를 통해 씨실(40)은 씨실고리(30)를 형성하게되어 직조구간내에 도입된다. 씨실삽입침(28)의 후방단부(42)는 선회레버(44)에 꽉 끼어있다.
직조구간에 있어 씨실루프의 삽입측 반대쪽에는 편침(32)이 배치되어있고 이 편침은 현재의 경우에는 푸시니들로 구성되어있다. 그 위에 편침은 왕복구동되는 홀더(46)에 고정되어있고 푸셔(미는 부재)(48)는 대응적으로 왕복구동되는 홀더(50)에 고정되어있다. 편침(32)의 직조구간(26) 반대쪽에는 안내박편(52)이 위치고정적으로 배치되어있는데, 상세하게는 편침과 같은 방향으로 기울어져 뻗은 앞쪽의 안내궤도(54)가 씨실루프(30)의 가닥중 직물에 결착시키려는 가닥(56)을 포착하는데 이용되도록 배치되어있다. 씨실삽입침(28)은, 실시예에 표시되어있는 것 처럼 씨실루프(30)가 기껏해야 편침헤드(62)의 높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이동된다. 바람직하게는 편침도 낮게 위치될 수 있다. 헤드부분(58)은 이제, 두 번째 씨실가닥(66)은 저지시키면서, 단지 결착될 씨실가닥(56)이 헤드부분(58)을 넘어 편침후크(64)내에 삽입되게할수있도록 배치되어있다. 또한 편침(32)과 직물웨브(68) 사이에는 코의 제거를 지원하는 가장자리박판(70)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에 의해서는 씨실가닥(56)이 편침(32)내에 올바르게 삽입되는데 단지 대단히 작은 이동범위(X)가 필요할 뿐이다. 그 결과로 행정(H)도 작아지고 대응적으로 편침(32)의 홀더(46)로부터의 자유거리(L)도 작아진다.
편침(32)의 후크헤드에 있어 삽입확실성을 더욱 증진시키기 위해 도 7에 의한 제 2실시예에서는 안내박판(52)에 슬라이드(72)가 형성되어있다. 이 안내슬라이드(72)에 의해 삽입될 씨실가닥은 적극적, 강제적으로 편침후크의 후크궤도내에 삽입된다. 그럼으로써 직기는 더욱 높은 회전속도로 작동될 수 있고 소망되지 않는 사 체계에서의 진동이 제거된다.
본 직기는, 한스 발터 킵의 직조시스템 Ⅰ 및 Ⅲ(Websystem Ⅰ, Ⅲ; Hans Walter Kipp, Bandwebtechnik, 하이델베르크, 1988년, 페이지 85 및 86)에 개시되어있는 것 처럼, 보조사가 있건 없건 씨실루프를 진보된 씨실루프로 갱신하는데에 특히 적합하다.

Claims (7)

  1. 씨실루프(30)를 한 쪽으로부터 직조구간(26)내에 도입하기 위한 씨실삽입침(28), 및 직조구간(26)의 반대쪽에 배치되어, 직물웨브(68)를 따라 왕복동 가능한 씨실루프(30)의 결착용 편침(32)을 구비하고 있으며, 씨실삽입침(28)과 편침(32)은, 편침(32)에 의해 포착되는 씨실루프(30)의 씨실가닥(56)이 편침(32)의 편침헤드(62)의 높이 정도 또는 그 아래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있고, 편침궤도방향으로 경사되어 뻗은 안내궤도(54)를 가진 안내박판(52)은, 포착될 씨실가닥(56)이 씨실삽입침(28)의 후퇴시 편침헤드(62)위로 편침후크(64)의 후크궤도내에 삽입될수있도록, 수용위치에 위치하는 편침헤드(62)에 할당배치되는, 직기에 있어서, 안내박판(52)은 (편침을 기준으로) 편침(32)의 직조구간(26) 대향측(반대쪽)에 배치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직기.
  2. 제 1항에 있어서, 안내박판(52)은 편침헤드(62)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헤드부분(58)을 갖고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직기.
  3. 제 2항에 있어서, 경사하여 뻗은 안내궤도(54)는, 적어도, 포착하려는 씨실가닥(56)이 편침헤드(62) 위로 편침후크(64)의 후크궤도내로 유도되는 영역에서, 삽입시키려는 씨실가닥(56)이 편침후크(64)의 후크궤도내에 필연적으로 삽입될수있도록, 슬라이드(72)로 형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직기.
  4. 제 3항에 있어서, 씨실삽입침(28)의 헤드(두부)가 아치형 삽입궤도로 이동될수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직기.
  5. 제 1항 내지 4항 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편침(32)의 행정(H)이 15 밀리미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직기.
  6. 제 1항 내지 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편침(32)이 푸시니들로 형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직기.
  7. 제 1항 내지 5항 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편침(32)이 텅 니들로 형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직기.
KR1019970709928A 1995-09-06 1996-08-06 기계식직기 KR1004158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9514298U DE29514298U1 (de) 1995-09-06 1995-09-06 Webmaschine
DE29514298.7 1995-09-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8606A true KR19990028606A (ko) 1999-04-15
KR100415890B1 KR100415890B1 (ko) 2004-05-10

Family

ID=8012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9928A KR100415890B1 (ko) 1995-09-06 1996-08-06 기계식직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954098A (ko)
EP (1) EP0850328B1 (ko)
JP (1) JPH11512156A (ko)
KR (1) KR100415890B1 (ko)
DE (2) DE29514298U1 (ko)
ES (1) ES2170249T3 (ko)
TR (1) TR199800405T1 (ko)
WO (1) WO19970094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51787B2 (en) * 2004-06-03 2008-11-18 Textilma Ag Weft introduction needle for a ribbon needle loom
DE102004059780B4 (de) * 2004-12-07 2020-10-15 Kikuchi Kogyo Co., Lt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auf Nadelwebmaschinen gewebten Bandes mit webtechnisch gleichen Kanten
KR101246426B1 (ko) * 2005-10-06 2013-03-21 텍스틸마 악티엔게젤샤프트 리본을 직조하기 위한 니들 리본 직조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200979A (de) * 1936-09-19 1938-11-15 Charles Clutsom Webstuhl mit feststehenden Schussspulen.
GB521096A (en) * 1938-10-10 1940-05-13 William Henry Davis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looms for weaving narrow bands
GB552067A (en) * 1941-11-24 1943-03-22 Charles Clutsom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looms with stationary weft supplies
JPS5417074B2 (ko) * 1971-12-27 1979-06-27
GB1498021A (en) * 1974-10-03 1978-01-18 Bonas Machine Co Looms and fabrics produced thereon
US4006758A (en) * 1975-08-15 1977-02-08 Libby Carl F Narrow web loom
DE3413258A1 (de) * 1984-04-07 1985-11-21 Mageba Textilmaschinen Gmbh, 5550 Bernkastel-Kues Bandgewebe sowi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bandgewebes
DE9420562U1 (de) * 1994-12-22 1995-02-16 Textilma Ag Bandwebmas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R199800405T1 (xx) 1998-05-21
WO1997009477A1 (de) 1997-03-13
EP0850328B1 (de) 2002-03-13
EP0850328A1 (de) 1998-07-01
US5954098A (en) 1999-09-21
ES2170249T3 (es) 2002-08-01
KR100415890B1 (ko) 2004-05-10
JPH11512156A (ja) 1999-10-19
DE29514298U1 (de) 1995-10-26
DE59608881D1 (de) 2002-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01329C2 (ru) Ременная лента, способ и лентоткацкий станок для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CA2631628A1 (en) Ribbon needle loom for manufacturing a strip, in particular a label strip, having a woven-in conductive thread, in particular antenna thread
US20130118633A1 (en) Loom for producing woven goods or material with an incorporated cover thread
CN104420069B (zh) 带有可横向于针床运动的导纱器的平针针织机
CN108699736B (zh) 用于制造具有编入针织线或包覆线的机织织物的织机
US3996971A (en) Needle loom and method for producing knitted articles
KR100627534B1 (ko) 편직기를 위한 장치
CN109208158B (zh) 在片梭织机中不使用假边的纬纱操作装置
US20030159746A1 (en) Device for creating a gauze fabric
CN1333847A (zh) 无梭织机用的携带片梭,特别是适用于同时向经纱入口引入多根纬纱的场合
US5769018A (en) Looper thread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a double chainstitch sewing machine
JP3455538B2 (ja) 小幅織機用ひ投げ針及び小幅織機
US407858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selvage
KR19990028606A (ko) 기계식 직기
JP4128328B2 (ja) たて編み機
GB2130608A (en) Shuttleless loom with weft thread insertion by reciprocating gripper systems
US379623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choring a floating yarn portion in a woven fabric
JPS6030769B2 (ja) 経編機
US6634068B1 (en) Apparatus for preparing a fabric for seaming
CN1961104A (zh) 编带机的纬纱引入针
JPH0351808B2 (ko)
EP0025135B1 (en) Selvage-knitting needle mechanism for use in a shuttleless loom
RU1834935C (ru) Швейна машина
US4440197A (en) Shuttleless loom
US4628711A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a patterned warp-knitted material and a warp knitting machine for its 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