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8484U - 스테빌라이저의 취부구조 - Google Patents

스테빌라이저의 취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8484U
KR19990028484U KR2019970041115U KR19970041115U KR19990028484U KR 19990028484 U KR19990028484 U KR 19990028484U KR 2019970041115 U KR2019970041115 U KR 2019970041115U KR 19970041115 U KR19970041115 U KR 19970041115U KR 19990028484 U KR19990028484 U KR 1999002848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bilizer
control arm
link
bracket
ball stu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11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규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411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8484U/ko
Publication of KR199900284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8484U/ko

Links

Landscapes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평형을 유지시키는 스테빌라이저의 취부구조를 개선시킨 것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스테빌라이저의 양단을 컨트롤 암에 고착시키는 체결수단인 스테빌라이저 링크에 있어서, 볼 스터드(31)의 와셔부(34)로부터 외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되, 일측단부가 평면부(36)로 형성되어진 고정부(35)를 형성시키고, 컨트롤암에 형성되어 스테빌라이저 링크(30)의 볼 스터드(31)의 수나사부(33)가 삽입되는 브라켓(40)의 홀(41)의 일측단부도 역시 평면부(42)로 형성하여 스테빌라이저의 취부구조를 개선시킴으로써, 자동차의 스테빌라이저의 양단을 컨트롤암에 보다 손쉽게 체결시킬 수 있음으로 조립성이 향상되며, 또한 정확한 토크로 체결시킴으로써 장착성이 향상되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테빌라이저의 취부구조
본 고안은 스테빌라이저의 취부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의 기울기에 따른 로울링을 작게하고 가능한 빨리 평형상태를 유지하도록 사용되는 스테빌라이저를 양측의 컨트롤 암에 각각 형성된 브라켓에 양단을 고착시킴에 있어서, 체결수단인 스테빌라이저 링크와 상기 컨트롤암의 브라켓의 취부구조를 개선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스테빌라이저의 취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주행중 노면에서 받는 충격이나 진동을 완화하여 승차감과 자동차의 안전성을 향상하며, 차축과 프레임을 연결하는 현가장치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현가장치는 노면으로부터의 충격을 완화하는 섀시 스프링과, 상기 섀시 스프링의 고유 진동을 제어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쇽압쇼바 및 자동차의 로울링을 방지하여 평형을 유지하는 스테빌라이저로 구성되어 있다.
종래에 자동차의 현가장치에는 여러 가지 방식이 채용되고 있는데, 근래에는 양측 바퀴중 하나의 바퀴가 요철등을 넘게될 때 일측만이 현가기능을 발휘하도록 구성된 독립현가장치가 많이 채용되고 있으며, 이와같은 현가장치에서는 좌우의 양끝이 각각 독립적으로 움직이므로 선회할 때 또는 요철이 심한 도로를 주행할 때 자동차의 기울기가 심해진다.
이와같은 기울기는 로울링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는데, 이때 스테빌라이저가 자동차의 로울링을 작게하고 가능한 빨리 평형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도 1은 상기한 스테빌라이저가 장착되는 관계를 일단부만 나타낸 분해사시도로써, 상기 스테빌라이저(1)는 도시된 바와같이 양단이 스테빌라이저 링크(3)에 의하여 컨트롤암(2)에 고착되게 된다.
상기 스테빌라이저 링크(3)는 링크부(3a,b)가 두 개 형성되는데, 스테빌라이저(3)의 단부에 형성된 홀(4)에 삽입되어 너트(5)에 의해 나사체결되는 제 1링크부(3a)와, 컨트롤암(2)에 형성된 브라켓(6)의 홀(7)에 삽입되어 너트(8)에 의해 나사체결되는 제 2링크부(3b)가 일체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테빌라이저 링크(3)에 있어서, 제 1링크부(3a)와, 제 2링크부(3b)가 각각 스테빌라이저(1)의 단부 및 컨트롤암(2)에 형성된 브라켓(6)의 홀(7)에 삽착되는 관계를 동일하므로, 그 장착관계를 제 2링크부(3b)와 컨트롤암(2)에 형성된 브라켓(6)과의 장착관계를 대표로 설명한다.
도 2는 스테빌라이저 링크(3)에서 컨트롤암(2)에 형성된 브라켓(6)에 결합되는 제 2링크부(3b)의 나사체결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스테빌라이저 링크(3)의 제 2링크부(3b)(이하 스테빌라이저 링크(3))의 외부를 이루는 케이스(15)내에 볼 스터드(11)가 내설되어 있다.
즉, 상기 볼 스터드(11)는 케이스(15) 내부에 삽설되어 회동력을 가지는 볼(ball)부(12)와, 그 볼부(12)에 연장되어 와셔부(14)와 수나사부(13)가 일체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스테빌라이저 링크(3)의 내부에 볼부(12)를 삽설시키는 것은 스테빌라이저(1)가 자동차 양측바퀴의 로울링에 따라 상기 바퀴에 연결된 컨트롤암(2)의 상하요동에 따른 호환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즉, 컨트롤암(2)의 요동에 따른 유격을 가지도록 한 것이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스테빌라이저 링크(3)를 컨트롤암(2)에 형성된 브라켓(6)에 고착시킬 때,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볼 스터드(11)에서 수나사부(13)를 브라켓(6)의 홀(7)에 삽입시키고 반대측에서 너트부재로써 체결시켜 고정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같이 스테빌라이저 링크의 수나사부를 컨트롤암에 형성된 브라켓의 홀에 삽입시킨후 너트부재로 회전시키면서 체결시킬 때, 상기 수나사부가 케이스에 내설되어 회동력을 갖는 볼부와 일체형성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너트의 회전에 따라 수나사부가 같이 회전하게 됨으로써, 결국 볼 스터드부가 헛돌게 되어 원활한 체결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스테빌라이저의 양단을 컨트롤암에 고착시키는 체결수단으로 사용되는 스테빌라이저 링크와, 상기 컨트롤암에 형성된 브라켓의 홀구조를 개선하여 상기 스테빌라이저 링크와 컨트롤 암의 체결이 보다 용이하도록 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스테빌라이저의 개선된 취부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자동차의 스테빌라이저의 양단을 컨트롤 암에 고착시키는 체결수단인 스테빌라이저 링크에 있어서, 볼 스터드의 와셔부로부터 외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되, 일측단부가 평면부로 형성되어진 고정부가 형성되고, 컨트롤 암에 형성되어 상기 스테빌라이저 링크의 볼 스터드의 수나사부가 삽입되는 브라켓의 홀의 일측단부가 역시 평면부로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스테빌라이저가 스테빌라이저 링크에 의해 컨트롤암에 장착되는 취부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스테빌라이저 링크가 컨트롤 암에 형성된 브라켓에 나사체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하여 스테빌라이저 링크가 컨트롤암에 형성된 브라켓에 취부되는 구조가 개선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 스테빌라이저 링크 31 : 볼 스터드
32 : 볼부 33 : 수나사부
34 : 와셔부 35 : 고정부
36 : 평면부 40 : 브라켓
41 : 홀 42 : 평면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하여 스테빌라이저 링크가 컨트롤암에 형성된 브라켓에 취부되는 구조가 개선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자동차의 스테빌라이저(미도시됨)의 양단을 컨트롤암(미도시됨)에 고착시키는 체결수단인 스테빌라이저 링크(30)에 있어서, 케이스(37)에 내설된 볼부(32)를 포함하는 볼 스터드(31)의 와셔부(34)로부터 외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부위만큼 고정부(3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부(35)의 일측단부는 평면부36)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테빌라이저 링크(30)에 의해 스테빌라이저의 양단이 고착되는 컨트럴 암에 있어서, 상단부에 일체형성된 브라켓(40)의 홀(41)에도 역시 일측단부에 평면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스테빌라이저 링크(30)의 볼 스터드부(31)에 형성된 고정부(35)의 전체지름은 컨트롤암에 형성된 브라켓(40)의 홀(41)보다 작게 형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스테빌라이저 링크(30)에 의하여 스테빌라이저가 컨트롤암에 취부되는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스테빌라이저 링크(30)를 컨트롤암에 고착시키고자 할 때, 상기 스테빌라이저 링크(30)의 볼 스터드(31)에서 수나사부(33)를 컨트롤암에 형성된 브라켓(40)의 홀(41)에 삽입시킨다.
그러면 상기 스테빌라이저 링크(30)의 볼 스터드부(31)에 형성된 고정부(35)의 지름이 상기 브라켓(40)의 홀(41)의 지름보다 작으므로 상기 고정부(35)가 브라켓(40)의 홀(41)에 삽입되게 되며, 상기 고정부(35)의 바로 후단에 형성된 와셔부(34)가 브라켓(40)의 홀(41) 입구에서 걸리게 되므로, 상기 볼 스터드부(31)의 고정부(35)는 브라켓(40)의 홀(41)내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볼 스터드부(31)의 고정부(35)와 브라켓(40)의 홀(41)의 일측면부에는 각각 평면부(36,42)가 형성되어 있음으로 볼 스터드(31)의 회전이 저지되게 되므로, 이때, 수나사부(33)의 단부로부터 너트부재(미도시됨)를 회전시켜 체결시키면 상기 볼 스터드(31)의 헛돔이 없이 체결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스테빌라이저를 컨트롤암에 고착시키는 체결수단인 스테빌라이저 링크에서 있어서, 상기 컨트롤암에 고착되는 부위만을 설명하였으나, 상기 스테빌라이저 링크에서 스테빌라이저의 단부에 고착되는 부위도 그 구성을 같이하여 동일한 효과를 거둘수 있음은 물론이다.
위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자동차의 스테빌라이저의 양단을 컨트롤암에 보다 손쉽게 체결시킬 수 있음으로 조립성이 향상되며, 또한 정확한 토크로 체결시킴으로써 장착성이 향상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자동차의 스테빌라이저의 양단을 컨트롤 암에 고착시키는 체결수단인 스테빌라이저 링크에 있어서,
    볼 스터드(31)의 와셔부(34)로부터 외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되, 일측단부가 평면부(36)로 형성되어진 고정부(35)가 형성되고, 컨트롤암에 형성되어 스테빌라이저 링크(30)의 볼 스터드(31)의 수나사부(33)가 삽입되는 브라켓(40)의 홀(41)의 일측단부도 역시 평면부(42)로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빌라이저의 취부구조.
KR2019970041115U 1997-12-26 1997-12-26 스테빌라이저의 취부구조 KR1999002848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1115U KR19990028484U (ko) 1997-12-26 1997-12-26 스테빌라이저의 취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1115U KR19990028484U (ko) 1997-12-26 1997-12-26 스테빌라이저의 취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8484U true KR19990028484U (ko) 1999-07-15

Family

ID=69677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1115U KR19990028484U (ko) 1997-12-26 1997-12-26 스테빌라이저의 취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848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7533A (ko) * 2013-11-19 2015-05-2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리어 로어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7533A (ko) * 2013-11-19 2015-05-2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리어 로어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5685B1 (ko) 자동차의 스테이빌라이저 바아 고정구조
KR19990028484U (ko) 스테빌라이저의 취부구조
KR100192426B1 (ko) 쇽 업소버의 인슐레이터 체결공구
KR200174728Y1 (ko) 로우 암 고정용 샤프트 조립체
KR200146030Y1 (ko) 자동차 스태빌라이저의 취부구조
KR100456896B1 (ko) 리어 서스펜션의 트레일링 아암 부쉬
KR100410929B1 (ko) 현가장치의 스태빌라이저 장착 구조
KR0139014Y1 (ko) 스태빌라이저의 내구성 시험용 지그
KR20080054815A (ko) 차량의 스트러트형 현가장치
KR100235185B1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볼 조인트
KR0183304B1 (ko) 자동차용 볼 조인트의 장착구조
KR20050077057A (ko) 캠버 조정이 가능한 차량의 로어암 어셈블리
KR200181789Y1 (ko) 자동차의 로어암 취부구조
KR100362399B1 (ko) 슬립 방지용 오일리스형 스트럿 베어링
KR0139694Y1 (ko) 자동차의 가변형 스트럿 바
KR20040003197A (ko) 차량 현가장치용 스태빌라이저바 마운팅 구조
KR19980016637U (ko) 차량의 컨트롤 아암 장착용 렌치
KR19980028530U (ko) 자동차용 스트럿 바의 장착구조
KR19980016639U (ko) 차량의 컨트롤 아암 장착용 렌치
JP2001280397A (ja) ストラット型ショックアブソーバ
KR19980054438U (ko) 스테빌라이저 바아 링크구조
KR20080026437A (ko) 맥퍼슨 현가장치의 차량 쏠림 방지를 위한 어퍼 시트회전방지구조
KR19980050529A (ko) 스태빌라이저 고정기구
KR19980048729U (ko) 캠버각 조정장치
KR20000004772A (ko) 차량 현가장치용 러버댐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