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4728Y1 - 로우 암 고정용 샤프트 조립체 - Google Patents

로우 암 고정용 샤프트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4728Y1
KR200174728Y1 KR2019960041424U KR19960041424U KR200174728Y1 KR 200174728 Y1 KR200174728 Y1 KR 200174728Y1 KR 2019960041424 U KR2019960041424 U KR 2019960041424U KR 19960041424 U KR19960041424 U KR 19960041424U KR 200174728 Y1 KR200174728 Y1 KR 2001747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fastening nut
shaft assembly
cross member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14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8408U (ko
Inventor
권영해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600414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4728Y1/ko
Publication of KR199800284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84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47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47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2Attaching arms to sprung par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3/0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 B60G3/18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two or more pivoted arms, e.g. parallelogram
    • B60G3/2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two or more pivoted arms, e.g. parallelogram all arms being rigid
    • B60G3/26Means for maintaining substantially-constant wheel camber during suspension movement ; Means for controlling the variation of the wheel position during suspension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F16B39/1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by means of locknuts
    • F16B39/12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by means of locknuts foreseen with mating surfaces inclined, i.e. not normal, to the bolt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4Mounting of suspension arms
    • B60G2204/143Mounting of suspension arms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 B60G2204/1432Mounting of suspension arms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by vertical bolts or stu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B60G2204/4102Elastic mounts, e.g. bushings having a pin or stud extending perpendicularly to the axis of the elastic mou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4Centering or positioning means
    • B60G2204/4402Spacers or shi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로우 암 고정용 샤프트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샤프트 조립체가 크로스 멤버의 슬로트홀과 로우 암 부시에 대해 외부의 충격에 의해 회전되거나 샤프트 조립체의 조임이 쉽게 풀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일단에 머리부(21)가 구비되고 타단에 고정나사부(22)가 형성되며 슬로트홀(1H)과의 접촉부위에서 면접촉하도록 고정평면부(23)가 구비되어 크로스멤버(1)의 슬로트홀(1H)과 로우 암 부시(9)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샤프트(20)와, 상기 샤프트(20)의 고정나사부(22)에 체결되는 체결너트(25)와, 상기 샤프트(20)의 머리부(21) 및 상기 체결너트(25)와 크로스멤버(1)의 사이에 각각 게재되는 플레인 와셔(30)와, 상기 체결너트(25)와 밀착설치되고 상기 체결너트(25)의 측면으로 일단부가 절곡되어 체결너트(25)의 풀림을 방지하는 너트풀림방지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샤프트 조립체가 크로스멤버(1)와 프론트 로우 암(3)을 확실하게 체결하여 프론트 휠 얼라인먼트가 쉽게 변하지 않게 되고, 또한 샤프트 조립체가 회전이나 요동되지 않으므로 결합부위에서 마모와 소음 발생이 방지되어 결국 차량의 주행안정성이 좋아지고 상품성이 제고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로우 암 고정용 샤프트 조립체
본 고안은 로우 암 고정용 샤프트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 주행중의 진동이나 충격으로 크로스 멤버와 프론트 로우 암의 체결이 풀어지는 것을 방지하기위한 로우 암 고정용 샤프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서 사용되는 서스펜션장치는 차체와 샤시 사이에 위치하며 도로의 굴곡으로 인한 충격을 흡수하여 승차자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키고 승차감을 좋게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서스펜션장치 중 제1도와 제2도에는 위쉬본 방식이 도시되어 있다. 이의 구성은 차체(미도시)와 샤시(미도시)의 중간에 프레임(미도시)을 형성하고 이 프레임의 가로 방향으로 크로스 멤버(1)를 고정 장착한다. 상기 크로스 멤버(1)의 일단부 상하에는 각각 프론트 어퍼 암(2)과 프론트 로우 암(3)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암(2, 3)에는 너클(4)이 각각 볼조인트(2B, 3B)로 연결된다. 한편, 상기 너클(4)에는 허브(5)와 브레이크 장치 등이 장착되며 최종적으로 휠(미도시)과 타이어(T)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어퍼 암(2)과 프레임의 중간 부위에는 일정한 길이와 직경 및 강도를 가진 토션바(미도시) 및 부수장치가 설치되어 어퍼 암(2)을 상부로 지지하여 서스펜션 전체가 지면에서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프론트 로우 암(3)은 프론트 크로스 멤버(1)의 지정된 부위에 연결되어 상하로 자유로이 유동되는 구조를 가지며, 이 연결부위에는 차량 전체의 하중이 집중되는 동시에 전후좌우로 지면과 차체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적절한 내구력을 가지고 지면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 완화하는 로우 암 부시(9)가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프론트 로우 암(3)을 프론트 크로스 멤버(1)에 체결하는 것은 샤프트 조립체(10)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샤프트 조립체(10)는 일단부에 머리부가 구비되고 타단부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의 샤프트 몸체(11)와, 상기 샤프트 몸체(11) 나사부에 체결되어 로우 암(3)과 크로스 멤버(1)를 체결하는 체결너트(13)와, 상기 체결너트(13)와 크로스 멤버(1)사이에 구비되는 캠(12), 와셔(14)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샤프트 몸체(11)는 상기 크로스멤버(1)의 슬로트 홀(제5도 참조)과 로우 암 부시(9)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홀(9')을 관통해서 위치되어 크로스 멤버(1)와 로우(3)을 체결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슬로트 홀은 프론트 휠 얼라인먼트 중에서 캠버(CAMBER)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여기에 결합되는 상기 샤프트 몸체(11)의 머리부와 체결너트(13)측에는 적절한 크기와 두께를 가진 캠(12)을 일체로 용접 고정한다. 따라서 샤프트 몸체(11)는 우선 로우 암(3)을 크로스 멤버(1)에 거치 고정하는 기능과 프론트 휠 얼라인먼트 조정시에 캠버를 조정할 수 있는 2가지 기능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샤프트 조립체는 상기 샤프트 몸체(11)와 체결너트(13)의 체결을 규정된 조임치로 정확하게 조립하더라도 차량의 주행중에 발생되는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그 조임이 풀어지게 된다. 즉 정격하중 이상의 하중을 적재한 상태로 차량이 주행하게 되면 그 때 발생하는 충격과 진동에 의해 상기 로우 암(3)이 비틀리거나 변형되고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샤프트 몸체(11)와 체결너트(13) 사이의 조임이 풀려지게 된다. 이는 상기 샤프트 몸체(11)가 원통형으로 되어 있어 크로스멤버(1)의 슬로트 홀과 점접촉하고 상기 샤프트몸체(11)가 일정 이상의 힘에는 회전하게 되고 순전히 상기 체결너트(13)의 조임력에 의존하는 체결방식이어서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상기 샤프트 몸체(11)가 슬로트 홀에 대해 조금씩 회전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크로스 멤버(1)와 프론트 로우 암(3)을 체결하고 있는 샤프트 조립체(10)의 샤프트 몸체(11)와 체결너트(13)의 체결이 헐거워지면 차량의 프론트 휠 얼라인먼트가 틀어지고 타이어(T)의 편마모, 소음 및 주행 안정성의 감소 등의 문제점이 발생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6은 쇽업소버, 7은 코일스프링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크로스 멤버와 프론트 로우 암을 체결하는 샤프트 조립체의 체결이 잘 풀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크로스 멤버와 프론트 로우 암을 체결하는 샤프트 조립체의 체결력을 향상시켜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이 전달되더라도 프론트 휠 얼라인먼트의 캠버가 변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제1도는 일반적인 위시본 방식의 서스펜션장치의 요부를 보인 정면도.
제2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위시본 방식의 서스펜션장치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로우 암 고정용 샤프트 조립체의 일부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로우 암 고정용 샤프트 조립체를 사용하여 프론트 로우 암과 크로스 멤버를 연결시킨 것을 보인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에 의한 로우 암 고정용 샤프트 조립체를 사용하여 프론트 로우 암과 크로스 멤버를 연결시키기 위해 프론트 로우 암에 장착된 부시의 통공과 크로스 멤버의 슬로트 홀을 일치시킨 것을 보인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크로스 멤버 2 : 프론트 어퍼 암
3 : 프론트 로우 암 4 : 너클
5 : 허브 20 : 샤프트
21 : 머리부 22 : 고정나사부
23 : 고정평면부 30 : 플레인 와셔
31 : 통홀 40 : 너트풀림방지부재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일단에 머리부가 구비되고 타단에 고정나사부가 형성되며 슬로트 홀과의 접촉부위에서 면접촉하도록 고정평면부가 구비되어 크로스멤버의 슬로트홀과 로우 암 부시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고정나사부에 체결되는 체결너트와, 상기 샤프트의 머리부 및 상기 체결너트와 크로스멤버의 사이에 각각 게재되는 플레인 와셔와, 상기 체결너트와 밀착설치되고 상기 체결너트의 측면으로 일단부가 절곡되어 체결너트의 풀림을 방지하는 너트풀림방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우 암 고정용 샤프트 조립체가 제공된다.
상기 샤프트에 형성되는 고정평면부는 샤프트의 상하에 대칭되게 형성되고, 상기 플레인 와셔와 너트풀림방지부재 및 로우 암 부시에는 상기 샤프트가 삽입되도록 샤프트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통공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샤프트의 고정나사부의 직경은 상기 샤프트의 고정평면부가 구비되어 있는 부분의 최소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차량의 로우 암 고정용 샤프트 조립체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종래 기술의 것과 동일한 것은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샤프트 조립체는 크게 샤프트(20), 체결너트(25), 플레인 와셔(30) 및 너트풀림방지부재(40)를 포함한다.
상기 샤프트(20)는 길게 형성되어 그 일단에는 육각머리부(21)가 구비되어 있고 타단부에는 고정나사부(2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샤프트(20)에는 고정평면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고정평면부(23)는 상기 육각머리부(21)와 고정나사부(22) 사이를 연결하는 샤프트(20)의 상하에 각각 대칭되게 형성된 것으로 크로스 멤버(1)의 슬로트 홀(1H)과 면접촉을 하도록하여 샤프트(20)가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고정나사부(22)는 그 직경이 상기 샤프트(20)의 고정평면부(23)가 구비되어 있는 부분의 최소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체결너트(25)와의 체결력을 최대로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체결너트(25)는 크로스 멤버(1)의 슬로트 홀(1H)과 프론트 로우 암(3)에 장착되어 있는 로우 암 부시(9)를 관통한 상기 샤프트(20)의 고정나사부(22)에 체결되어 프론트 로우 암(3)을 크로스 멤버(1)에 장착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체결너트(25)는 육각너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레인 와셔(30)는 상기 샤프트(20)의 머리부(21)와 크로스 멤버(1)사이, 샤프트(20)의 고정나사부(22)에 체결되는 체결너트(25)와 크로스 멤버(1) 사이에 게재되어 샤프트 조립체의 풀림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플레인 와셔(30)에는 상기 샤프트(20)의 고정평면부(23)를 있는 단면과 형합되는 통홀(3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너트풀림방지부재(40)는 상기 플레인 와셔(30)와 체결너트(25)의 사이에 위치되는 것으로 상기 체결너트(25)의 풀림을 방지한다. 즉 상기 너트풀림방지부재(40)의 일단부가 직각으로 절곡되어 상기 체결너트(25) 외면의 육각면중 일면에 밀착설치되어 체결너트(25)의 풀림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샤프트(20)가 삽입되는 로우 암 부시(9)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통공(9')의 단면 역시 상기 샤프트(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샤프트(20)의 형상과 형합되는 형상을 갖는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는 캠버 조정용 캠지지 브래키트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차량의 로우 암 고정용 샤프트 조립체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의 샤프트 조립체를 사용하여 프론트 로우 암(3)과 크로스 멤버(1)를 체결하는 것을 알아본다. 프론트 로우 암(3)에 장착된 로우 암 부시(9)의 통공(9')과 크로스 멤버(1)의 슬로트 홀(1H)을,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샤프트(20)를 상기 슬로트 홀(1H)을 통해 삽입한다. 물론 이때, 상기 샤프트(20)의 머리부(21)와 크로스 멤버(1)사이에 게재되는 플레인 와셔(30)를 상기 샤프트(20)에 끼운 상태로 삽입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20)의 고정나사부(22)가 상기 크로스 멤버(1)의 타측 슬로트 홀(1H)을 통해 돌출되면 여기에 플레인 와셔(30)와 너트풀림방지부재(40)를 차례로 삽입하고 체결너트(25)를 상기 고정나사부(22)에 체결시켜 가조립을 완료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어퍼암(2), 넉클(4), 코일스프링(7), 허브(5) 등의 기타 서스펜션장치를 구성하는 부품을 조립하여 차량에 탑재한 다음 최종적으로 프론트 휠 얼라인먼트를 측정하여 캠버의 조정이 필요하면 상기 가조립된 고정나사부(22)와 체결너트(25)를 풀어 상기 샤프트(20)와 슬로트 홀(1H) 사이에 적절한 공구를 삽입하여 캠버를 조정한 다음 체결너트(25)를 완전히 체결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너트풀림방지부재(40)의 일단부를 절곡하여 체결너트(25)의 일면에 밀착시켜 주면 조립이 완성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샤프트 조립체의 체결이 완성된 상태에서는 차량이 주행할 때, 지면으로부터 받는 노면의 충격이나, 또는 차량에 탑재된 하중으로 인한 샤프트(20)의 이동이나, 체결너트(25)의 풀림이 방지된다. 즉 상기 샤프트(20)에 구비되어 있는 고정평면부(23)가 슬로트 홀(1H)과 면접촉하도록 하고, 또한 상기 로우 암 부시(9)와 상대적인 회전이 불가능하도록 하여 샤프트(20)의 회전이나 유동이 방지되어 프론트 휠 얼라인먼트가 변하지 않게 된다. 또한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에 의한 체결너트(25)의 풀림이 상기 너트풀림방지부재(40)의 존재에 의해 방지되므로 샤프트조립체의 체결이 항상 견고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로우 암 고정용 샤프트 조립체는 샤프트에 고정평면부를 구비하여 샤프트가 크로스 멤버의 슬로트 홀과 면접촉하게 되고, 로우 암 부시의 내부에서도 로우 암 부시와의 상대적인 회전이 없도록 고정평면부가 작용하며, 상기 샤프트와 체결되는 체결너트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풀림방지부재가 구비되어 있어 차량의 주행중에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 또는 차량에 탑재된 하중에 의해 샤프트 조립체의 샤프트가 임의로 외전되거나 체결너트가 풀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프론트 휠 얼라인먼트의 변화가 잘 발생되지 않아 주행안정성이 확보되고, 샤프트 조립체가 크로스 멤버와 프론트 로우 암을 결합하는 부위에서 유동에 의한 마모와 소음발생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일단에 머리부가 구비되고 타단에 고정나사부가 형성되며 슬로트 홀과의 접촉부위에서 면접촉하도록 고정평면부가 구비되어 크로스멤버의 슬로트홀과 로우 암 부시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고정나사부에 체결되는 체결너트와, 상기 샤프트의 머리부 및 상기 체결너트와 크로스멤버의 사이에 각각 게재되는 플레인 와셔와, 상기 체결너트와 밀착설치되고 상기 체결너트의 측면으로 일단부가 절곡되어 체결너트의 풀림을 방지하는 너트풀림방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우 암 고정용 샤프트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에 형성되는 고정평면부는 샤프트의 상하에 대칭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우 암 고정용 샤프트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인 와셔와 너트풀림방지부재 및 로우 암 부시에는 상기 샤프트가 삽입되도록 샤프트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통공이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우암 고정용 샤프트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고정나사부의 직경은 상기 샤프트의 고정평면부가 구비되어 있는 부분의 최소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하는 로우 암 고정용 샤프트 조립체.
KR2019960041424U 1996-11-22 1996-11-22 로우 암 고정용 샤프트 조립체 KR2001747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1424U KR200174728Y1 (ko) 1996-11-22 1996-11-22 로우 암 고정용 샤프트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1424U KR200174728Y1 (ko) 1996-11-22 1996-11-22 로우 암 고정용 샤프트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8408U KR19980028408U (ko) 1998-08-05
KR200174728Y1 true KR200174728Y1 (ko) 2000-04-01

Family

ID=19474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1424U KR200174728Y1 (ko) 1996-11-22 1996-11-22 로우 암 고정용 샤프트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472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8950A (ko) * 2009-11-04 2011-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자동차의 공기조화장치와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8408U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6198B2 (en) Steering damper to drag link attachment clamp and method
KR200174728Y1 (ko) 로우 암 고정용 샤프트 조립체
KR100261421B1 (ko) 현가장치의 로어 아암 장착구조
KR100456896B1 (ko) 리어 서스펜션의 트레일링 아암 부쉬
KR100492403B1 (ko) 차량 현가장치용 크로스멤버 마운팅 구조
KR100498698B1 (ko) 차량 현가장치용 스태빌라이저바 장착구조
JP3196008B2 (ja) バンプストッパの取付構造
KR100256446B1 (ko) 차량의 로우 암 부시 장착구조
KR100192332B1 (ko) 어퍼암 부쉬
KR19990003153U (ko) 차량용 컨트롤암의 프론트 부쉬구조
KR100811918B1 (ko) 커플드 토션빔 액슬 서스펜션용 마운팅부시와 차체의연결구조
KR200145058Y1 (ko) 자동차의 서스펜션 암과 스테빌라이저의 결합구조
KR19980034012A (ko) 차량의 로우 암 부시 결합 구조
KR200146030Y1 (ko) 자동차 스태빌라이저의 취부구조
KR100191612B1 (ko) 앞바퀴 정렬이 가능한 차량의 현가장치
KR200141300Y1 (ko) 자동차의 서스펜션 암과 차체의 결합구조
KR100452288B1 (ko) 차량 현가장치용 콘트롤아암
KR0124626Y1 (ko) 자동차의 스테이빌라이저 취부구조
KR19990028484U (ko) 스테빌라이저의 취부구조
KR19980035582A (ko) 토오션바아 스프링의 체결구조
KR20060004287A (ko) 스태빌라이저 바의 마운팅 어셈블리
KR20050077057A (ko) 캠버 조정이 가능한 차량의 로어암 어셈블리
KR19980045347A (ko) 현가장치의 로어 암
KR20020096716A (ko) 더블 위시본식 현가 장치
KR19980041395A (ko) 캠버 및 캐스터 조절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맥퍼슨식 현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