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7533A - 리어 로어암 - Google Patents

리어 로어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7533A
KR20150057533A KR1020130141001A KR20130141001A KR20150057533A KR 20150057533 A KR20150057533 A KR 20150057533A KR 1020130141001 A KR1020130141001 A KR 1020130141001A KR 20130141001 A KR20130141001 A KR 20130141001A KR 20150057533 A KR20150057533 A KR 201500575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arm
step bar
rotation restricting
rotation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1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1653B1 (ko
Inventor
진재걸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1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1653B1/ko
Priority to CN201420441421.3U priority patent/CN204095423U/zh
Publication of KR20150057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7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1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1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2Attaching arms to sprung par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 B60G11/1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characterised b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the spring to axle or sprung part of the vehicle
    • B60G11/12Links, pins, or b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5Mounting of sub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22Links for mounting suspens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10Constructional features of arms
    • B60G2206/11Constructional features of arms the arm being a radius or track or torque or steering rod or stabiliser end l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리어 로어암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리어 로어암은, 양단부가 각각 너클과 서브프레임에 고정되고, 로어암상부와 로어암하부를 포함하는 로어암바디부와, 로어암상부를 관통하여 로어암하부에 끼움 결합되어 회전이 제한되며, 스텝바 와 연결되는 스텝바링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리어 로어암{REAR LOWER ARM}
본 발명은 리어 로어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품의 개수 및 조립 공정수를 줄일 수 있는 리어 로어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가 장치는 쇽업소버(Shock Absorber), 스테빌라이져 및 차륜의 너클을 통해 들어오는 차량의 전·후방 하중과 내·외향 하중을 지지하며 강성을 갖는 로어암(Lower Arm)과 어퍼암 등으로 구성된다.
로어암은 쇽업소버와 스프링을 지지하며, 바퀴의 너클과 프레임을 연결시키는 링크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스프링의 불규칙한 반복하중에서 오는 굽힘, 선회시 발생되는 원심력에 의한 비틀림뿐만 아니라 차량의 하중을 지지해야 하므로 일정 수준 이상의 내구성과 강성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42725호(2013.04.29 공개, 발명의 명칭: 일체형 리어 로어암 제작방법 및 그 제작방법에 따른 리어 로어암)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리어 로어암은 스텝바링크부를 결합하기 위하여 보강부에 말굽 형상의 가이드를 적용한다. 가이드를 보강부에 용접하여 결합할 때 가이드의 뒤틀림, 용접 변형 등이 발생하므로 조립성이 불량하고, 제품의 품질을 관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부품의 수량 및 조립을 위한 공정 수를 줄이고, 제품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리어 로어암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리어 로어암은: 양단부가 각각 너클과 서브프레임에 고정되고, 로어암상부와 로어암하부를 포함하는 로어암바디부; 및 상기 로어암상부를 관통하여 상기 로어암하부에 끼움 결합되어 회전이 제한되며, 스텝바 연결되는 스텝바링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로어암하부는, 상기 로어암상부와 결합되며 양단부가 각각 상기 너클과 상기 서브프레임에 고정되는 로어암하부바디; 및 상기 로어암하부바디의 상측면에 결합되고 회전제한부가 끼워져, 상기 스텝바링크부의 회전을 제한하는 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제한부는 상기 스텝바링크부에 구비되며 외주면이 굴곡되는 굴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로어암하부바디에 결합되는 보강부바디; 및 상기 보강부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제한부의 외주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제한부의 회전을 제한하는 링크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굴곡부는, 상기 회전제한부의 회전중심축을 기준으로 복수 개가 대칭되도록 상기 회전제한부의 외주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리어 로어암은, 스텝바링크부를 조립하기 위한 가이드의 적용 없이 스텝바링크부의 회전을 제한하여 로어암바디부에 고정시키므로 부품 수 및 조립 공정의 감소,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가이드의 생산 및 조립 시 발생되는 품질불량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 로어암의 상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 로어암의 하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어암하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어암하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텝바링크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텝바링크부의 하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텝바링크부가 보강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텝바링크부가 장착된 상태의 로어암하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리어 로어암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 로어암의 상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 로어암의 하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 로어암(1)은 로어암바디부(100) 및 스텝바링크부(200)를 포함한다.
로어암바디부(100)는 양단부에 각각 너클과 서브프레임에 고정되고, 로어암상부(110), 로어암하부(130) 및 프레임결합부시(170)를 포함한다.
로어암상부(110)는 로어암바디부(100)의 상측 외관을 형성하며 양단부가 각각 너클과 프레임결합부시(170)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로어암상부(110)는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부에는 현가장치에 적용되는 스프링의 하단부가 안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스프링시트(111)가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결합된다. 로어암상부(110)에는 스텝바링크삽입홀부(115)가 형성되어 스텝바링크부(200)가 내측으로 삽입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어암하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어암하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로어암하부(130)는 로어암바디부(100)의 하측 외관을 형성하며 로어암상부(110)와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결합되고, 양단부가 각각 너클과 프레임결합부시(170)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로어암하부(130)는 로어암하부바디(131) 및 보강부(135)를 포함한다.
로어암하부바디(131)는 로어암상부(110)와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결합된다. 로어암하부바디(131)의 일단부에는 홀 형상의 너클결합부(150)가 구비되어 차량의 너클에 볼팅 방식으로 결합되며, 타단부에는 프레임결합부시(170)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프레임결합부시(170)와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결합된다.
프레임결합부시(170)는 로어암상부(110) 및 로어암하부(130)의 단부에 형성되는 홈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결합되며, 차량의 서브프레임과 볼팅 방식으로 결합된다. 프레임결합부시(170)의 구성 및 작동원리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내용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텝바링크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텝바링크부의 하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텝바링크부가 보강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텝바링크부가 장착된 상태의 로어암하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보강부(135)는 로어암하부바디(131)의 상측면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보강부(135)는 스텝바링크부(200)에 구비되며 외주면이 굴곡지게 형성되는 회전제한부(250)가 끼워져, 스텝바링크부(200)의 회전을 제한한다. 본 실시예에서 보강부(135)는 보강부바디(136) 및 회전제한부삽입홀부(138)를 포함한다.
보강부바디(136)는 로어암하부바디(131)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결합되며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회전제한부삽입홀부(138)는 보강부바디(136)에 구비되며, 회전제한부(250)의 외주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홀 형상으로 형성되어 회전제한부(250)의 회전을 제한한다. 즉, 회전제한부(250)는 외주면이 굴곡지게 형성되므로 회전제한부(250)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형상인 회전제한부삽입홀부(138)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이 제한된다.
스텝바링크부(200)는 스텝바와 로어암바디부(100)를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서 스텝바링크부(200)는 로어암상부(110)에 형성된 스텝바링크삽입홀부(115)에 삽입되며, 하단부가 로어암하부(130)에 회전이 제한되도록 끼움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스텝바링크부(200)는 링크바디(210), 스텝바결합부(230), 회전제한부(250) 및 링크볼트(270)를 포함한다.
링크바디(210)는 스텝바와 로어암바디부(100)를 연결하며,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링크바디(210)의 상단부에는 스텝바결합부(230)가 결합되어 스텝바와 볼팅 등의 방식으로 결합된다.
링크바디(210)의 하부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링크볼트(270)와 결합된다. 링크볼트(270)는 너트(N)에 의하여 로어암하부(130)에 볼팅 결합된다.
회전제한부(250)는 보강부(135)에 형성되는 회전제한부삽입홀부(138)에 끼워진다. 회전제한부(250)는 링크바디(210)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링크바디(210)와 결합되며, 외주면에 굴곡지게 형성되는 굴곡부(251)에 의하여 회전제한부삽입홀부(138)에 끼워진 상태에서의 회전이 제한된다.
굴곡부(251)는 회전제한부(250)가 회전제한부삽입홀부(138)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을 제한하는 기술 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굴곡부(251)는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 형상, 오목하게 형성되는 홈 형상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제한부(250)에 형성되는 굴곡부(251)는 복수 개 형성되며, 회전제한부(250)의 회전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위치하여, 굴곡부(251)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킨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 로어암(1)의 작동원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보강부(135)를 로어암하부(130)의 내측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결합한다. 보강부(135)를 로어암하부(130)에 결합한 후, 로어암하부(130)와 로어암상부(110)를 결합한다.
스텝바링크부(200)를 스텝바링크삽입홀부(115)를 통하여 삽입하여, 링크볼트(270)가 로어암하부(130)의 링크볼트삽입홀부(134)에 삽입되도록 한다.
링크볼트(270)가 링크볼트삽입홀부(134)에 삽입된 상태에서 링크바디(210) 또는 스텝바결합부(230)를 회전시켜 회전제한부(250)가 회전제한부삽입홀부(138)에 끼워지도록 한다.
회전제한부(250)가 회전제한부삽입홀부(138)에 끼워져 회전이 제한되면 로어암하부(130)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링크볼트(270)에 너트(N)를 결합시켜 스텝바링크부(200)를 로어암바디부(100)에 고정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리어 로어암(1)은, 스텝바링크부(200)를 조립하기 위한 별도의 가이드의 적용 없이 스텝바링크부(200)의 회전을 제한하여 로어암바디부(100)에 고정시키므로 부품 수 및 조립 공정의 감소,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가이드의 생산 및 조립 시 발생되는 품질불량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조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리어 로어암 100: 로어암바디부
110: 로어암상부 111: 스프링시트
115: 스텝바링크삽입홀부 130: 로어암하부
131: 로어암하부바디 134: 링크볼트삽입홀부
135: 보강부 136: 보강부바디
138: 회전제한부삽입홀부 150: 너클결합부
170: 프레임결합부시 200: 스텝바링크부
210: 링크바디 230: 스텝바결합부
250: 회전제한부 251: 굴곡부
270: 링크볼트 N: 너트

Claims (4)

  1. 양단부가 각각 너클과 서브프레임에 고정되고, 로어암상부와 로어암하부를 포함하는 로어암바디부; 및
    상기 로어암상부를 관통하여 상기 로어암하부에 끼움 결합되어 회전이 제한되며, 스텝바와 연결되는 스텝바링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로어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암하부는,
    상기 로어암상부와 결합되며 양단부가 각각 상기 너클과 상기 서브프레임에 고정되는 로어암하부바디; 및
    상기 로어암하부바디의 상측면에 결합되고 회전제한부가 끼워져, 상기 스텝바링크부의 회전을 제한하는 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제한부는 상기 스텝바링크부에 구비되며 외주면이 굴곡되는 굴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로어암.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로어암하부바디에 결합되는 보강부바디; 및
    상기 보강부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제한부의 외주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제한부의 회전을 제한하는 링크삽입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로어암.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는 상기 회전제한부의 회전중심축을 기준으로 복수 개가 대칭되도록 상기 회전제한부의 외주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로어암.
KR1020130141001A 2013-11-19 2013-11-19 리어 로어암 KR102101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1001A KR102101653B1 (ko) 2013-11-19 2013-11-19 리어 로어암
CN201420441421.3U CN204095423U (zh) 2013-11-19 2014-08-06 后下摆臂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1001A KR102101653B1 (ko) 2013-11-19 2013-11-19 리어 로어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7533A true KR20150057533A (ko) 2015-05-28
KR102101653B1 KR102101653B1 (ko) 2020-04-17

Family

ID=52263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1001A KR102101653B1 (ko) 2013-11-19 2013-11-19 리어 로어암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01653B1 (ko)
CN (1) CN204095423U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6386A (ko) * 1996-11-18 1998-08-05 김영귀 현가장치의 스태빌라이저 취부구조
KR19990028484U (ko) * 1997-12-26 1999-07-15 양재신 스테빌라이저의 취부구조
KR20030006108A (ko) * 2001-07-11 2003-01-2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가장치의 스태빌라이저 장착 구조
KR20090020799A (ko) * 2007-08-24 2009-02-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로우아암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6386A (ko) * 1996-11-18 1998-08-05 김영귀 현가장치의 스태빌라이저 취부구조
KR19990028484U (ko) * 1997-12-26 1999-07-15 양재신 스테빌라이저의 취부구조
KR20030006108A (ko) * 2001-07-11 2003-01-2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가장치의 스태빌라이저 장착 구조
KR20090020799A (ko) * 2007-08-24 2009-02-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로우아암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4095423U (zh) 2015-01-14
KR102101653B1 (ko) 2020-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7079B1 (ko) 자동차 현가장치용 로어아암
US10442262B2 (en) Hybrid ar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10953577B2 (en) Vehicular hybrid suspension ar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5299470B2 (ja) サスペンション構造、サスペンションリンク形成方法
US8434770B2 (en) Transverse link on a motor vehicle
KR101338966B1 (ko) 차량용 현가장치
JP2012240459A (ja) サスペンション構造、サスペンションリンク配置方法
US10414225B2 (en) Suspension system
US10518835B2 (en) Drop-out structure for wheel alignment
WO2016143625A1 (ja) トーションビーム式サスペンション
JP2007245890A (ja) サスペンションブッシュおよびそれを用いたダブルジョイント式サスペンション機構
KR101302328B1 (ko) 전방 현가 장치의 로어 컨트롤 암 조립체
KR102383225B1 (ko) Ctba용 부시유닛
KR20150057533A (ko) 리어 로어암
JP2007062560A (ja) ストラットアームブッシュおよびそれを用いたダブルジョイント式サスペンション
KR102394736B1 (ko) 차량용 부시장치
KR20150033479A (ko) 로어암 부시장치
KR20140014720A (ko) 서브프레임용 부시
KR100834223B1 (ko) 자동차용 로어암 어셈블리와 볼 조인트 어셈블리의 결합구조
JP6828664B2 (ja) リーフスプリング支持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371243B1 (ko) 후방 차체 보강 구조
KR102359712B1 (ko) 차량용 서브프레임
KR100880167B1 (ko) 너클 브라켓
KR101211422B1 (ko) 현가장치용 링크
KR20190142664A (ko) 차량용 로워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