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7823A - 화물차량의 에어 스포일러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화물차량의 에어 스포일러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7823A
KR19990027823A KR1019970050353A KR19970050353A KR19990027823A KR 19990027823 A KR19990027823 A KR 19990027823A KR 1019970050353 A KR1019970050353 A KR 1019970050353A KR 19970050353 A KR19970050353 A KR 19970050353A KR 19990027823 A KR19990027823 A KR 199900278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poiler
cargo
air
cab
spoi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0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진호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70050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7823A/ko
Publication of KR19990027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7823A/ko

Links

Landscapes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차량의 에어 스포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 스포일러의 경사각을 조절토록 하는 화물차량의 에어 스포일러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선단이 운전실(1)의 상부를 덮는 루프(3)의 전방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후단이 자유단으로 유지되는 에어 스포일러(10)와; 운전실(1)의 후방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상단이 루프(3)의 관통공(3a)을 통해 연장되어 에어 스포일러(10)의 자유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승강실린더(20)와; 유압탱크(30)내의 오일을 펌핑하여 유압을 발생시키는 유압펌프(40)와; 발생된 유압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며, 승강실린더(20)로 공급하거나 또는 오일탱크로 바이패스 시키는 콘트롤밸브(50)로 이루어진 화물차량의 에어 스포일러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화물의 적재높이에 따라 에어 스포일러의 경사각을 조절하게 되므로 불필요한 공기저항을 줄여 주행연비의 향상은 물론 주행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화물차량의 에어 스포일러 조절장치
본 발명은 화물차량의 에어 스포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물의 높이에 따라 에어 스포일러의 경사각을 조절토록 함으로써 공기저항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화물차량의 에어 스포일러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주행중 공기저항을 받게 된다. 이러한 공기저항은 차량의 주행연비를 불량하게 하는 것은 물론 주행안정성에도 관련된다. 따라서 승용자동차의 경우에는 차체를 가능한 유선형으로 구성하여 공기저항을 최소화 함과 동시에 에어스포일러등을 추가로 설치하여 주행연비를 높이고, 주행안전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한 노력이 기울여 지고 있다. 한편, 화물차량의 경우에는 운전실과 별도로 화물을 적재하여야 하는 화물실을 마련하여야 하므로 차체를 유선형을 제작할 수 없는 관계로 운전실의 상부에 에어 스포일러를 설치하고 있다.
도 1에는 종래의 화물차량의 에어 스포일러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에 따르면, 운전실(1)의 상부를 구성하는 루프(3)상에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상향하도록 배치된 에어 스포일러(4)가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에어 스포일러(4)는 화물실(2)에 적재되는 화물이 공기저항을 유발하는 것을 최소화하여 주행안정성을 높이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화물차량에 설치된 에어 스포일러는 항시 일정한 각을 유지하며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화물이 양이 적을 때에는 오히려 에어 스포일러가 공기저항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에어 스포일러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즉, 화물실에 적재된 화물의 높이가 운전실의 높이보다 낮을 경우에는 화물로 인한 공기저항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에어 스포일러가 필요없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에는 에어 스포일러가 운전실 상부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불필요한 공기저항을 유발하게 되므로 주행연비를 떨어트리는 것은 물론 주행안정성을 불량하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문제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화물의 적재량에 따라 에어 스포일러의 경사각을 조절가능토록 함으로써 주행연비와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화물차량의 에어 스포일러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화물차량의 에어 스포일러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량의 에어 스포일러 조절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량의 에어 스포일러 조절장치의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량의 에어 스포일러 조절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운전실 2: 화물실
3: 루프 3a: 관통공
10: 에어 스포일러 12: 힌지
20: 승강 실린더 22: 승강축
24: 축 30: 오일탱크
40: 유압펌프 50: 콘트롤 밸브
52: 공급관 60: 감지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선단이 운전실의 상부를 덮는 루프의 전방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후단이 자유단으로 유지되는 에어 스포일러와; 운전실의 후방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상단이 루프의 관통공을 통해 연장되어 에어 스포일러의 자유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승강실린더와; 유압탱크내의 오일을 펌핑하여 유압을 발생시키는 유압펌프와; 발생된 유압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며, 승강실린더로 공급하거나 또는 오일탱크로 바이패스 시키는 콘트롤밸브로 이루어진 화물차량의 에어 스포일러 조절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 스포일러의 자유단에는 후방을 향해 빛을 조사하여 화물실의 적재된 화물의 높이를 측정하는 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이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신호에 의해 콘트롤밸브가 구동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실린더는 에어 스포일러의 회전을 수용하도록 하단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각각 유압펌프에 의해 동기 구동되며 에어 스포일러의 자유단의 양측을 지지하는 한 쌍으로 구성하여 공기마찰에 의한 스포일러의 떨림을 최소화 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량의 에어 스포일러 조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량의 에어 스포일러 조절장치의 구성을 보이기 위해 운전실의 후면에서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운전실(1)의 상부를 덮는 루프(3)상에 수평상태 또는 소정의 경사를 갖는 상태로 가변가능하도록 에어 스포일러(10)가 설치되어 있다. 에어 스포일러(10)는 선단이 루프(3)의 전방에 회전가능하게 힌지(12)결합되고, 타단이 자유단으로 구성되어 회전을 이루게 된다.
운전실(1)의 후방에는 승강축(22)이 대략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배열되는 승강실린더(20)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축(22)은 상단이 루프(3)상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공(3a)을 통해 연장되어 에어 스포일러(10)의 자유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관통공(3a)은 에어 스포일러(10)의 회전시 자유단의 회전에 따른 위상변화를 보상하기 위해 장공형태로 형성되어야 하며, 승강실린더(20) 또한 회전각을 보상하도록 하단이 회전가능하게 축(24)고정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운전실(1)의 후방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상단이 루프(3)의 관통공(3a)을 통해 연장되어 에어 스포일러(10)의 자유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승강실린더(20)가 설치되어 있고, 유압탱크(30)내의 오일을 펌핑하여 공급관(52)을 따라 유압을 발생시키는 유압펌프(40)가 설치된다.
상기 공급관(52)에는 유압펌프(40)에서 발생된 압유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것으로, 압유를 승강실린더(20)로 공급하는 '상승위치' 또는 승강실린더(20)내의 오일을 오일탱크로 배출하는 '배출위치'는 물론 압유의 흐름을 정지시켜 승강실린더(20)가 작동된 상태를 유지토록 하는 '정지위치'를 제어하는 콘트롤밸브(50)가 설치된다. 이 콘트롤밸브(50)는 별도로 제공되는 작동레버(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운전자의 의도에 따라 각 위치로의 조작이 가능한 것이며, 이는 일반적인 유압제어에서 관용화된 기술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승강실린더(20)는 각각 유압펌프(40)에 의해 동기 구동되며 에어 스포일러(10)의 자유단의 양측을 지지하여 에어 스포일러(10)가 공기마찰에 의해 떨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한 쌍으로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에어 스포일러의 자유단에는 후방을 향해 빛을 조사하여 화물실의 적재된 화물의 높이를 측정하여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센서(60)가 설치된다. 상기 콘트롤밸브(50)는 감지센서(60)에서 화물이 감지될 때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정지위치에서 상승위치로 이동되고, 감지센서(60)에서 화물이 감지되지 않으면 정지위치로 이동하여 승강실린더(20)의 상승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화물의 높이가 운전실의 상부 즉, 루프(3)의 높이보다 낮을 경우에는 감지센서(60)에서 화물이 감지되지 않으므로 콘트롤밸브(50)가 정지위치를 유지하게 되므로 유압펌프(40)에서 발생된 유압이 승강실린더로 공급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차량의 주행시에는 에어 스포일러(10)가 상승되지 않고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공기저항이 없게 되므로 주행연비를 양호하게 유지하게 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실(2)에 적재된 화물의 높이가 루프(3)상단 보다 높게 되면, 감지센서(60)에서는 이를 감지하고, 이 신호에 의해 콘트롤밸브(50)가 작동하여 상승위치로 이동하면, 유압펌프(40)에서 발생된 유압이 승강실린더(20)로 공급된다. 이에 따라 승강축(22)이 상승하며 에어 스포일러(10)가 힌지(12)를 기준으로 회전하며 자유단이 상승하게 된다. 이때 에어 스포일러(10)의 회전각은 화물의 높이에 따라 가변된다. 즉, 에어 스포일러(10)의 회전에 따라 점차 감지센서(60)의 감지위치가 상승하게 되므로 감지센서(60)의 감지범위가 화물의 상부로 이동하면, 감지센서(60)에서 화물이 감지되지 않으므로 콘트롤밸브(50)를 정지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에어 스포일러(10)의 자유단은 화물의 상단부에 위치하게 되어 에어 스포일러(10)의 경사각이 불필요하게 커지게 되는 문제를 해소하게 되므로 에어 스포일러(10)가 주행중 화물이 공기저항을 유발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필요한 부분만을 커버하여 연비의 증가요인을 최소화 하게 된다.
한편, 에어 스포일러(10)를 하강시킬 경우에는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콘트롤밸브(50)를 배출위치로 이동시키게 되면, 에어스포일러(10)의 자중에 의해 승강축(22)이 하강하며, 승강실린더(20)내의 오일이 오일탱크(30)로 배출된다. 상기 콘트롤밸브(50)는 운전자의 스위치 조작이 완료되면, 다시 정지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량의 에어 스포일러 조절장치는 에어스 포일러의 선단을 운전실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후단을 운전실의 후방에 설치되는 승강실린더에 의해 임으로 승강가능토록 함으로써 화물의 적재높이에 따라 에어 스포일러의 경사각을 조절하게 되므로 불필요한 공기저항을 줄여 주행연비의 향상은 물론 주행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3)

  1. 선단이 운전실(1)의 상부를 덮는 루프(3)의 전방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후단이 자유단으로 유지되는 에어 스포일러(10)와;
    운전실(1)의 후방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상단이 루프(3)의 관통공(3a)을 통해 연장되어 에어 스포일러(10)의 자유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승강실린더(20)와;
    유압탱크(30)내의 오일을 펌핑하여 유압을 발생시키는 유압펌프(40)와;
    발생된 유압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며, 승강실린더(20)로 공급하거나 또는 오일탱크로 바이패스 시키는 콘트롤밸브(50)로 이루어진 화물차량의 에어 스포일러 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스포일러의 자유단에는 후방을 향해 빛을 조사하여 화물실에 적재된 화물의 높이를 측정하는 감지센서(60)를 설치하고, 감지센서에서 화물이 감지되고 있는 상태에서만 콘트롤밸브(50)가 압유를 승강실린더(20)로 공급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의 에어 스포일러 조절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실린더(20)는 에어 스포일러(10)의 회전을 수용하도록 하단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각각 유압펌프(40)에 의해 동기 구동되며 에어 스포일러(10)의 자유단의 양측을 지지하는 한 쌍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의 에어 스포일러 조절장치.
KR1019970050353A 1997-09-30 1997-09-30 화물차량의 에어 스포일러 조절장치 KR199900278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0353A KR19990027823A (ko) 1997-09-30 1997-09-30 화물차량의 에어 스포일러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0353A KR19990027823A (ko) 1997-09-30 1997-09-30 화물차량의 에어 스포일러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7823A true KR19990027823A (ko) 1999-04-15

Family

ID=66045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0353A KR19990027823A (ko) 1997-09-30 1997-09-30 화물차량의 에어 스포일러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782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7964A (ko) * 2000-12-14 2002-06-22 류정열 높이제어 기능을 갖는 차량용 도풍판
KR102215352B1 (ko) * 2020-06-18 2021-02-10 진승원 화물차량의 화물덮개 보관함
CN115339530A (zh) * 2022-09-20 2022-11-15 一汽解放汽车有限公司 导流件调节控制方法及导流件调节控制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7964A (ko) * 2000-12-14 2002-06-22 류정열 높이제어 기능을 갖는 차량용 도풍판
KR102215352B1 (ko) * 2020-06-18 2021-02-10 진승원 화물차량의 화물덮개 보관함
CN115339530A (zh) * 2022-09-20 2022-11-15 一汽解放汽车有限公司 导流件调节控制方法及导流件调节控制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3332B1 (ko) 공기식 현가시스템의 차체높이 다중 조절장치
US9469515B2 (en) Forklift hydraulic control apparatus
KR101363078B1 (ko) 화물차량용 에어스포일러
US10059575B2 (en) Hydraulic control device for forklift
US5791860A (en) Hydraulic platform lift for a truck tailgate
KR19990027823A (ko) 화물차량의 에어 스포일러 조절장치
US10501000B2 (en) Transportation vehicle
JP4090580B2 (ja) 荷受台昇降装置
KR980009104A (ko) 지게차의 수평유지장치
JP2001105956A (ja) ダンプトラックのボディ操作装置
JP4416805B2 (ja) ウイングボディのウイング開閉制御装置及び開閉制御方法
KR200199172Y1 (ko) 에어댐이 설치된 트럭의 스포일러
JP4696424B2 (ja) 作業車の穀粒貯留装置
KR19980037377U (ko) 트럭용 루프 스포일러의 높이조절장치
KR100255918B1 (ko) 차량탑재식 크레인
JP2596914Y2 (ja) 貨物トラックの傾斜装置
JPH0781477A (ja) コンテナ積載用車両
JP2022147214A (ja) ダンプトラック
KR200314166Y1 (ko) 화물차용 루프훼어링 장치
KR100215012B1 (ko) 리어트레이 승강장치
KR200302158Y1 (ko) 탑차용 스포일러
NL1021117C2 (nl) Beveiligingssamenstel.
JPH048278Y2 (ko)
JP2587619Y2 (ja) コンバインにおける車高制御装置
KR200228684Y1 (ko) 차량의공기저항을감소시키는엔진후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