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6246A - 트랜스포머의 페라이트 코아 - Google Patents

트랜스포머의 페라이트 코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6246A
KR19990026246A KR1019970048300A KR19970048300A KR19990026246A KR 19990026246 A KR19990026246 A KR 19990026246A KR 1019970048300 A KR1019970048300 A KR 1019970048300A KR 19970048300 A KR19970048300 A KR 19970048300A KR 19990026246 A KR19990026246 A KR 199900262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ormer
ferrite core
groove
inductance
ferr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8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규한
Original Assignee
왕중일
대우전자부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왕중일, 대우전자부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왕중일
Priority to KR1019970048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6246A/ko
Publication of KR19990026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6246A/ko

Links

Landscapes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랜스포머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트랜스포머의 인덕턴스를 줄여주기 위해 별도의 공극을 형성함이 없이 서로 맞대어져 폐쇄 자기회로를 형성하는 페라이트 코어(10)의 연결부위에 형성된 단면부(12)로부터 내측으로 소정깊이의 홈(14)을 형성하여 인덕턴스를 조절하므로써 누설자속을 최소화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트랜스포머의 페라이트 코아( A improved ferrite core of transformer )
본 발명은 승압 또는 강압을 위해 사용되는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에 관한 것으로, 특히 페라이트 코아의 공극에 의해 발생하는 누설 자속을 최소화하도록 개선된 트랜스포머의 페라이트 코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랜스퍼머는 전자 유도 법칙을 이용하여 승압 또는 강압을 행하는 장치를 말한다.
도 1 은 일반적인 트랜스포머의 등가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반적인 트랜스퍼머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코일(L1)에 전압(V1)이 걸리면 전류(I1)가 흘러 자속(Φ)이 발생한다.
상기 코일(L1)에서 발생한 자속(Φ)은 동일한 코아(Core : T)에 감겨진 2차 코일(L2)에도 통하고, 2차 코일(L2)에는 전자 유도의 법칙에 의해 전압(V2)이 발생한다.
이때 2차 코일(L2)측에서 발생하는 전압(V2)는 1차측 코일(L1)와 2차측 코일(L2)의 권선비에 따라 비례하여 발생한다.
통상 텔레비전 세트에서 사용되는 플라이백 트랜스포머(FBT)의 경우, 1차측 권선수는 100T정도, 2차측 권선수는 2000~3000T 정도로 감겨져 있으므로, 이상적으로는(즉, 무손실 상태)에서는 1차측에서 1KV의 전압을 가하면 2차측에서는 20~30KV의 전압이 발생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1차측 권선과 2차측 권선에는 각각 인덕턴스와 용량이 존재하고, 또한 각 권선 상호간에도 인덕턴스와 용량이 존재하기 때문에 상호 간섭이 발생하여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즉,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와 같이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트랜스포머의 경우, 일반적인 트랜스포머와는 달리 1차측 권선수와 2차측 권선수의 권선비가 크기 때문에, 코일에는 분포 용량와 누설 인덕턴스가 다량 발생하게 된다.
도 2 는 일반적인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페라이트 코아(10)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반적인 플라이백 트랜스포머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페라이트 코아(10)로 이루어진 자로에 공극(G : Air Gab)을 줌으로써 인덕턴스를 조절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자기 회로에 공극(G)이 존재하는 경우, 공극(G) 부분의 공간부가 자속을 외부로 누설시키게 되는 통로로 작용하게 된다.
즉, 상기 공극(G) 사이에는 플라스틱 갭지(Plastic Gab Paper : P)를 삽입하게 되는데, 이때 페라이트 코아(10)의 투자율과 공기의 투자율이 다르기 때문에 이로 인해 누설 자속이 유발된다.
또한 이러한 누설 자속으로 인해 유해 전자파가 발생하므로써 주변 전자 부품에도 악영향을 끼치게 되어져 결국에는 전자 회로의 오동작 등 심각한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트랜스퍼머의 페라이트 코아의 공극에 의해 발생하는 누설 자속을 최소화하도록 개선된 트랜스포머의 페라이트 코아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트랜스포머의 페라이트 코아는, 페라이트 코아가 서로 연결되는 단면부에 내부로 소정깊이의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상기 페라이트 코아의 서로 맞닺아 연결되는 단면부에 공간부를 둠으로써, 이 공간부의 형성된 부위에 코어단면적이 상대적으로 감소하게 되므로써 페라이트 코아의 인덕턴스를 조절하여 주는 한편, 내부의 공간부가 자체의 페라이트코어에 의해 감싸여져 있어 자속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도 1 은 일반적인 트랜스퍼머의 등가 회로를 도시한 도면,
도 2 는 일반적인 트랜스퍼머의 페라이트 코아를 도시한 도면,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페라이트 코아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페라이트 코어 12 : 단면부
14 : 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트랜스퍼머의 페라이트 코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페라이트 코아(10)가 서로 연결되는 단면부(12)에 각각 내부로 소정깊이의 홈(1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홈(14)은 상기 단면부(12)에 대해 수직하면서도 페라이트코아 단면적에 대해 중심으로부터 동심원상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홈(14)은 상기 단면부(12)의 양쪽에 모두 형성할 수도 있고, 한쪽 단면부(12)에만 형성할 수 도 있다.
이와같이 상기 홈(14)을 이용하여 공극과 같이 인덕턴스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페라이트코어의 원래단면적과 홈(14)이 형성된 후의 단면적의 비 및 상기 홈(14)의 길이에 의해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상기 페라이트 코아(10)의 서로 맞닺아 연결되는 단면부(12)에 홈(14)을 둠으로써, 이 홈(14)이 형성된 부위에 코어단면적이 상대적으로 감소하게 되므로써 페라이트 코아(12)의 인덕턴스를 조절하여 주는 한편, 내부의 홈(14)이 자체의 페라이트코어(10)에 의해 감싸여져 있어 자속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한편, 상기 홈(14)이 페리이트 코아(10)에 의해 둘려 싸여 있으므로, 상기 홈(14)을 통해 누설되는 유해 전자파가 상당 부분 열로서 변화되어 상대적으로 표면적이 넓은 페라이트코어(10)를 통해 외부로 방열되어 공극부의 고온화를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즉, 상기 홈(14)을 통해 누설된 유해 전자파의 일부는 상기 페라이트 코아(10)내에서 맴돌게 되고 일부는 페라이트 코아(10)의 특성상 열로 바뀌게 되어, 그 만큼 외부 회로 소자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는 상기 페라이트 코아(10)의 마주 연결되는 단면부(12)로부터 내부측으로 소정의 홈(14)를 형성하여 줌으로써, 페라이트 코어에 공극을 형성한 것과 같이 인덕턴스를 조절하여 줄 뿐아니라, 이 홈(14)이 페라이트 코아(14)에 둘러 싸여 있어 외부로 누설되는 자속을 최소화한다.

Claims (1)

  1. 서로 연결되는 단면부(12)에 내부로 소정깊이의 홈(14)이 형성되어져 공극을 이루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의 페라이트 코어.
KR1019970048300A 1997-09-23 1997-09-23 트랜스포머의 페라이트 코아 KR199900262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8300A KR19990026246A (ko) 1997-09-23 1997-09-23 트랜스포머의 페라이트 코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8300A KR19990026246A (ko) 1997-09-23 1997-09-23 트랜스포머의 페라이트 코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6246A true KR19990026246A (ko) 1999-04-15

Family

ID=66045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8300A KR19990026246A (ko) 1997-09-23 1997-09-23 트랜스포머의 페라이트 코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624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3062A (ko) * 2000-06-16 2001-12-28 이형도 플라이 백 트랜스포머의 페라이트 코아 갭 형성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3062A (ko) * 2000-06-16 2001-12-28 이형도 플라이 백 트랜스포머의 페라이트 코아 갭 형성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5948B1 (ko) 초크 코일
US5841335A (en) Choke coil
JP2001068353A (ja) 磁気部品
US6002319A (en) Inductance device with gap
KR910014986A (ko) 편향 요크 장치
JPH11219832A (ja) ノイズフィルタ用チョークコイル
KR19990026246A (ko) 트랜스포머의 페라이트 코아
JP3161398B2 (ja) コンバータトランス
JP3106892B2 (ja) チョークコイル
KR19990013210U (ko) 트랜스포머의 페라이트 코아
JPH03227506A (ja) ノーマル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JP3085122B2 (ja) チョークコイル
JPH08288159A (ja) 漏れ磁束トランス
JPH0897062A (ja) フライバックトランス
KR0130286Y1 (ko) 누설 인덕턴스 조정이 가능한 고주파 변압기
JP2003007545A (ja) 有芯コイル及びトランス
JPH04184908A (ja) フライバックトランス
JP2580367Y2 (ja) ノイズフィルタ用チョークコイル
JPH06283363A (ja) インダクター
JPH0391210A (ja) フライバック用のトランス
JP2507804Y2 (ja) トランス装置
US5825272A (en) Choke coil for suppressing common-mode noise and normal-mode noise
JP2000182852A (ja) トランス
JP2601317Y2 (ja) コイル装置
KR20220158324A (ko) 분리형 중심코어 구조가 구비된 코일부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