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5901U - 자동차용 배기파이프의 차열 브래킷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배기파이프의 차열 브래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5901U
KR19990025901U KR2019970038426U KR19970038426U KR19990025901U KR 19990025901 U KR19990025901 U KR 19990025901U KR 2019970038426 U KR2019970038426 U KR 2019970038426U KR 19970038426 U KR19970038426 U KR 19970038426U KR 19990025901 U KR19990025901 U KR 1999002590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pipe
fastening
exhaust
heat shield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84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상진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384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5901U/ko
Publication of KR199900259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5901U/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배기파이프의 외면을 감싸도록 고정되어 배기파이프에서 발생되는 배기열을 차단하는 자동차용 배기파이프의 차열브래킷의 체결구조 개선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배기파이프(6)의 외면을 감싸도록 고정되어 배기파이프(6)에서 발생되는 배기열을 차단하는 자동차용 배기파이프의 차열브래킷에 있어서, 상기 차열브래킷(100)은 상기 배기파이프(6)의 외면을 감싸는 밀착부(110)와, 상기 밀착부(110)의 일단에서 소정의 길이 만큼 연장되는 체결부(120)와, 상기 밀착부(110)의 타단에서 소정의 길이 만큼 연장되어 그 단부가 상기 체결부(120)의 단부와 결합되는 탄성부(130)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배기파이프를 감싸는 밀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밀착부의 양단에서 각각 연장되는 체결부와 밀착부를 볼트와 너트로 체결함으로써, 보다 간단하고 편리한 방법으로 체결할 수 있어 조립성이 향상되며, 한 개소만 체결하고도 견고히 고정되므로 부품수가 줄어 제작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배기파이프의 차열브래킷
본 고안은 자동차의 배기파이프의 외면을 감싸도록 고정되어 배기파이프에서 발생되는 배기열을 차단하는 자동차용 배기파이프의 차열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엔진에서 연료를 연소시켜 여기에서 발생되는 열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전환하는 내연기관을 이용하는 것으로, 화물의 운송 및 사람들의 이동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 한편, 엔진이 작동하는 데는 실린더내에 혼합기를 흡입하여 연소한 후에 가스를 배출하는 배기장치가 필요하다.
도 1에는 자동차의 배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배기장치는 엔진부(2)의 각 실린더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종합하는 배기 매니폴드(4)와, 배기가스를 대기중으로 배출하는 배기파이프(6) 그리고, 배기소음을 감쇠시키는 서브머플러(8) 및 메인머플러(10)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된 배기장치의 배기가스 배출경로를 상세히 설명하면, 엔진부(2)의 각 실린더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배기 매니폴드(4)를 통해 한 곳으로 모여지게 되고, 이렇게 모인 배기가스는 배기파이프(6) 라인을 통해 서브 머플러(8)를 거치게 되며, 이 서브 머플러(8)를 통과한 배기가스는 다시 배기파이프(6) 라인을 거쳐 메인 머플러(10)를 통과하게 되는데, 상기 메인 머플러에서는 배기가스의 온도와 압력을 낮추어 배기음을 감쇠시켜 주게 된다. 그런다음, 메인 머플러(10)를 통과하면서 베기음이 감쇠된 배기가스는 외부로 연결되는 배기파이프(6)를 통해 공기중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한편, 배기장치의 배기파이프(6)는 실린더에서 배출되는 고온, 고압의 배기가스가 통과하므로 고열이 발생되며, 이러한 고열이 자동차의 차체에 전달되지 않도록 배기파이프(6)의 외주연에 차열브래킷(20)을 설치한다.
도 2는 종래의 차열브래킷(20)이 배기파이프(6)에 체결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에 따르면, 자동차 차체(1)의 저면에는 배기파이프(6)를 따라 터널(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터널(1a)에는 배기파이프(6)가 상면이 차체(1)의 저면과 적당한 간격을 두고 안착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배기파이프(6)의 상면에는 상부 차열브래킷(22)이 덮여지고, 하면에는 하부 차열브래킷(24)이 배치되며, 서로 맞닿는 상부 차열브래킷(22)의 양단과 하부 차열브래킷(24)의 양단을 볼트(26)와 너트(28)로 체결하는 것에 의해 차열브래킷(20)은 배기파이프(6)의 외주연에 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하부 차열브래킷(24)은 소정의 탄성을 갖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어 배기파이프(6)의 외면을 탄성지지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차열브래킷(20)에 의해 배기파이프(6)에서 발생되는 배기열은 차단되어 차체로 전달되지 않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을 지닌 종래의 자동차용 배기파이프의 차열브래킷은 상부 차열브래킷(22)과 하부 차열브래킷(24)을 체결하기 매우 어렵고, 상부 차열브래킷(22)과 하부 차열브래킷(24)의 양단을 체결함으로써, 조립시간이 지연되는 단점이 있었다.
즉, 상부 체결브래킷(22)과 하부 체결브래킷(24)을 체결할 때에는 서로 맞닿는 상부 차열브래킷(22)과 하부 차열브래킷(24)의 양단을 볼트(26)와 너트(28)을 이용하여 터널(1a)에서 조립해야 하는 바, 배기파이프(6)와 차체(1)와의 공간이 협소하여 조립작업이 힘들 뿐만아니라, 그 양단을 체결함으로써 작업공수가 늘어나 조립시간이 지연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배기파이프에 보다 쉽고 편리하게 조립할 수 있는 자동차용 배기파이프의 차열브래킷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배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자동차용 배기파이프의 차열브래킷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배기파이프의 차열브래킷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6: 배기파이프 100: 차열브래킷
110: 밀착부 120: 체결부
130: 탄성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배기파이프의 외면을 감싸도록 고정되어 배기파이프에서 발생되는 배기열을 차단하는 자동차용 배기파이프의 차열브래킷에 있어서, 상기 차열브래킷은 상기 배기파이프의 외면을 감싸는 밀착부와, 상기 밀착부의 일단에서 소정의 길이 만큼 연장되는 체결부와, 상기 밀착부의 타단에서 소정의 길이 만큼 연장되어 그 단부가 상기 체결부의 단부와 결합되는 탄성부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배기파이프의 차열브래킷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배기파이프의 차열브래킷이 배기파이프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에 따르면, 자동차 차체(1)의 저면에는 배기파이프(6)를 따라 터널(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터널(1a)에는 배기파이프(6)가 상면이 차체(1)의 저면과 적당한 간격을 두고 안착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배기파이프(6)의 외면에는 배기파이프(6)에서 발생하는 열을 차단하는 차열브래킷(100)이 설치된다. 이 차열브래킷(100)은 밀착부(110)와 체결부(120)와 탄성부(130)로 구성된다. 밀착부(110)는 배기파이프(6)의 외면과 동일한 형상을 하여 배기파이프(6)의 외면을 감싸도록 구성된다. 체결부(120)는 밀착부(110)의 일단이 소정의 길이 만큼 연장형성되는 것으로 그 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되며, 체결공(12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탄성부(130)는 밀착부(110)의 타단에서 소정의 길이 만큼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그 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되며, 결합공(132)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체결부(120)의 절곡면과 탄성부(130)의 절곡면은 서로 엇갈리도록 함과 동시에 결합공(132)과 체결공(122)은 동일축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한편, 동일축을 이루는 체결공(122)와 결합공(132)에는 볼트(26)가 끼워지며, 그 돌출부에는 너트(28)를 끼워 체결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차열브래킷(22)은 양단이 볼트(26)와 너트(28)로 체결되는 것에 의해 배기파이프(6)의 외주연에 고정되며, 배기파이프(6)에서 발생되는 배기열을 차단하므로 배기열이 차체로 전달되지 못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체결부(120)와 탄성부(130)는 소정의 탄성력을 구비하므로 배기파이프(6)의 외주연에 견고히 고정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배기파이프의 차열브래킷은 배기파이프를 감싸는 밀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밀착부의 양단에서 각각 연장되는 체결부와 밀착부를 볼트와 너트로 체결함으로써, 보다 간단하고 편리한 방법으로 체결할 수 있어 조립성이 향상되며, 한 개소만 체결하고도 견고히 고정되므로 부품수가 줄어 제작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배기파이프(6)의 외면을 감싸도록 고정되어 배기파이프(6)에서 발생되는 배기열을 차단하는 자동차용 배기파이프의 차열브래킷에 있어서,
    상기 차열브래킷(100)은 상기 배기파이프(6)의 외면을 감싸는 밀착부(110)와, 상기 밀착부(110)의 일단에서 소정의 길이 만큼 연장되는 체결부(120)와, 상기 밀착부(110)의 타단에서 소정의 길이 만큼 연장되어 그 단부가 상기 체결부(120)의 단부와 결합되는 탄성부(130)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배기 파이프의 차열브래킷.
KR2019970038426U 1997-12-19 1997-12-19 자동차용 배기파이프의 차열 브래킷 KR1999002590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8426U KR19990025901U (ko) 1997-12-19 1997-12-19 자동차용 배기파이프의 차열 브래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8426U KR19990025901U (ko) 1997-12-19 1997-12-19 자동차용 배기파이프의 차열 브래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5901U true KR19990025901U (ko) 1999-07-15

Family

ID=69694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8426U KR19990025901U (ko) 1997-12-19 1997-12-19 자동차용 배기파이프의 차열 브래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5901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20319A (en) Cast in joint of aluminum tailspout and stainless steel exhaust pipe
KR19990025901U (ko) 자동차용 배기파이프의 차열 브래킷
KR920006508Y1 (ko) 자동차용 배기관 장착구조
KR0136343Y1 (ko) 배기계 매니폴드의 히트쉴드 장착구조
KR200150117Y1 (ko) 히트 쉴드의 진동 절연 장착 구조
KR200173893Y1 (ko) 자동차용 머프러트림링 고정장치
KR100528212B1 (ko) 히트 프로텍터 체결부의 구조
KR200149696Y1 (ko) 자동차용 엔진의 배기매니폴드구조
KR100333293B1 (ko) 자동차용 배기파이프의 장착구조
KR100307093B1 (ko) 차량용촉매컨버터의연결구조
KR0170613B1 (ko) 자동차 배기장치의 장착구조
KR100318070B1 (ko) 소음 저감형 배기 매니폴드 커버
KR19990005664U (ko) 사일런서와 배기 파이프의 결합구조
KR100261415B1 (ko) 자동차용 배기파이프
KR101382345B1 (ko) 자동차용 히트 프로텍터 장착유닛
KR19980037647U (ko) 자동차용 인슐레이터의 크랙방지용 리브형상
KR19990053480A (ko) 자동차의 고전압 케이블 방열장치
KR19980037585A (ko) 자동차용 인슐레이터
KR19980031338A (ko) 자동차 배기프런트파이프의 브라켓 구조
KR19980040656U (ko) 냉각수 바이패스 파이프를 구비한 자동차의 배기 매니폴드
KR19980036721U (ko) 자동차의 소음기 장착구조
KR19980055502A (ko) 자동차 배기 장치
KR19980013270U (ko) 배기매니폴드의 인슐레이터
KR19990011144U (ko) 자동차용 테일 머플러
KR19980061197U (ko) 자동차용 배기 장치 결합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