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5711U - 액정 패널 트레이 운반 대차 - Google Patents

액정 패널 트레이 운반 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5711U
KR19990025711U KR2019970038235U KR19970038235U KR19990025711U KR 19990025711 U KR19990025711 U KR 19990025711U KR 2019970038235 U KR2019970038235 U KR 2019970038235U KR 19970038235 U KR19970038235 U KR 19970038235U KR 19990025711 U KR19990025711 U KR 1999002571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sette
liquid crystal
vertical stand
crystal panel
lead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82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89923Y1 (ko
Inventor
이정모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20199700382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9923Y1/ko
Publication of KR199900257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57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99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99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3/0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 B62B2203/07Comprising a moving platform or the like, e.g. for un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3/0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 B62B2203/70Comprising means for facilitating loading or unloading
    • B62B2203/74Comprising means for facilitating loading or unloading rolling means, e.g.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1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 B66F7/1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by mechanical jacks
    • B66F7/14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by mechanical jacks screw operate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액정 패널 트레이 운반 대차를 개시한다. 개시된 본 고안은, 캐스터(3)가 설치된 수평대(1)에 손잡이(4)가 부착된 수직대(2)가 설치된다. 모터(5)가 수평대(1)상에 설치되고, 모터(5)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리드 스크류(6)가 수직대(2)에 세워서 설치된다. 한편, 액정 패널이 하나씩 비치된 트레이(13)는 카세트(11)의 양측 내벽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12)을 따라 슬라이딩식으로 수납되어, 각 트레이(13)는 서로 맞대어지지 않게 된다. 카세트(11)는 리드 스크류(6)에 나사결합된 승강대(8)상에 안치되어서, 반입/반출 높이로 승강되어진다.

Description

액정 패널 트레이 운반 대차
본 고안은 액정 패널 트레이 운반 대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액정 패널이 하나씩 수납된 복수개의 트레이를 운반하는 대차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액정표시소자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어느 한 공정 단위에서 공정이 완료된 액정 패널을 후속 공정 단위로 운반하는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이때, 사용되는 장비가 운반 대차이다. 운반 대차는 액정 패널이 하나씩 수납된 복수개의 트레이를 적층식으로 수납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또한 캐스터가 설치되어 있어서, 작업자가 인력으로 밀어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대차는 높이를 조정할 수가 없기 때문에, 공정 장비로/에서 액정 패널을 반입/반출하기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대차는 각 트레이가 맞대어지도록 적층시켜 운반하기 때문에, 복수개의 트레이 자체 하중에 의해, 하부의 트레이 및 액정 패널이 파손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대차가 안고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액정 패널의 반입/반출 작업을 한결 수월하게 할 수 있고, 또한 각 트레이가 서로 맞대어지지 않도록 슬라이딩식으로 수납시켜서, 트레이 및 액정 패널을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액정 패널 트레이 운반 대차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운반 대차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수평대 2 - 수직대
3 - 캐스터 4 - 손잡이
5 - 모터 6 - 리드 스크류
7 - 가이드 로드 8 - 승강대
9 - 안치대 10 - 롤러
11 - 카세트 12 - 가이드 레일
13 - 트레이 15 - 커넥터
16 - 어태치 41 - 스위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는다.
수평대의 밑면에 캐스터가 설치되고, 수평대상에 수직대가 설치된다. 수직대의 외측면에 손잡이가 설치된다. 수평대상에 구동원인 모터가 설치되고,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리드 스크류가 수직대의 내측면에 종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리드 스크류에 승강대가 나사결합되고, 승강대상에 복수개의 트레이가 수납된 카세트가 안치된다. 카세트의 양측 내벽에는 복수개의 가이드 레일이 횡으로 설치되어서, 각 트레이가 슬라이딩식으로 수납된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승강대상에 안치대가 설치되고, 안치대내에는 복수개의 롤러가, 수직대의 폭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카세트는 이 롤러상에 안치되어서, 롤러들의 회전에 의해 카세트가 이동되어진다. 또한, 롤러상에 안치된 카세트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서, 카세트의 정면을 고정하는 고정 블럭이 롤러 사이에 설치된다. 고정 블럭은 압축 스프링에 의해 상향으로 탄력지지되고, 안치대의 전면에서 후면으로 가면서 두꺼워지는 형상을 갖는다.
상기된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카세트가 안치된 승강대가 모터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리드 스크류에 나사결합되어서, 반입/반출 높이로 승강될 수가 있으므로, 액정 패널의 반입/반출 동작이 한결 수월해지고, 또한 트레이를 슬라이딩식으로 카세트에 수납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각각의 트레이가 맞대어지지 않게 되어, 트레이 및 액정 패널의 파손이 방지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대차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대차의 외형 구조를 크게 구분해보면, 캐스터(3)가 밑면 모서리 각각에 설치된 수평대(1)와, 수평대(1)의 상부 일측에 수직하게 세워진 수직대(2), 및 수직대(2)에 승강가능하게 연결되고 카세트(11)가 상부에 안치되는 승강대(8)로 구분된다.
수직대(2)의 외측면에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밀게 되는 손잡이(4)가 설치된다. 모터(5)는 수평대(1)상에 설치되고, 이 모터(5)로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커넥터(15)가 수평대(1)의 정면에 설치된다. 모터(5)의 동력으로 회전되는 리드 스크류(6)가 수직대(2)의 내측면에 종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승강대(8)가 리드 스크류(6)에 나사결합되므로써, 승강대(8)가 소정 높이로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한편, 승강대(8)의 승강 동작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 로드(7)가 리드 스크류(6)의 양측에, 또한 평행하게 배치된다. 즉, 각 가이드 로드(7)는 수직대(2)의 내측면에, 리드 스크류(6)의 양측에 배치되도록 종으로 설치되고, 승강대(8)가 각 가이드 로드(7)에 승강가능하게 연결된다. 한편, 모터(5)의 구동을 제어하는 스위치(41)는 손잡이(4)에 부착된다.
카세트(11)가 안치되는 안치대(9)가 승강대(8)상에 설치된다. 안치대(9)내에는 복수개의 롤러(10)가 설치되는데, 각 롤러(10)는 수직대(2)의 폭 방향과 평행하게 배열된다. 카세트(11)는 이 롤러(10)들상에 안치되어서, 롤러(10)들의 회전에 의해 적은 힘으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한편, 운반중에 카세트(11)가 롤러(10)상을 따라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고정 블럭(14)이 롤러(10) 사이에 설치된다. 고정 블럭(14)은 수직대(2)의 반대측은 롤러(10)와 동일 높이 또는 그 이하이고, 수직대(2)측으로 가면서 점진적으로 두께가 두꺼워지는 형상으로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압축 스프링에 의해 상향으로 탄력지지된다. 즉, 카세트(11)를 안치대(9)의 정면으로부터 롤러(10)상을 따라 미끄럼 이동되도록 진입시킬 때는, 고정 블럭(14)에 걸리지 않게 되지만, 완전히 진입한 후에는, 압축 스프링에 의해 탄력지지된 고정 블럭(14)에 의해 카세트(11)의 정면 하부가 견고히 지지된다.
또한, 카세트(11)의 양측 내벽에는 복수개의 가이드 레일(12)이 횡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액정 패널이 하나씩 수납된 복수개의 트레이(13)를 각 가이드 레일(12)을 따라 슬라이딩식으로 수납하게 된다.
한편, 미설명부호 16은, 액정 패널을 공정 장비로/에서 반입/반출할 때, 대차와 공정 장비간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어태치들로서, 수평대(1)의 정면에 설치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액정 패널이 하나씩 수납된 트레이(13)을 카세트(11)의 각 가이드 레일(12)을 따라 슬라이딩식으로 수납시킨다. 따라서, 각 트레이(13)들은 서로 소정 거리로 이격된 상태로 카세트(11)에 수납되기 때문에, 자체 하중이 직접 전달되지 않게 되어, 트레이(13) 및 액정 패널이 파손될 염려가 없게 된다.
이렇게 트레이(13)을 카세트(11)에 수납시킨 후, 카세트(11)를 안치대(9)의 롤러(10)상에 안치시켜서, 안쪽으로 민다. 그러면, 카세트(11)는 롤러(10)을 회전시키면서 안치대(9)의 안쪽으로 진입되는데, 이때 카세트(11)는 고정 블럭(14)을 누르면서 이동되고, 고정 블럭(14)을 지나서 완전히 진입한 다음에는 압축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고정 블럭(14)이 원위치로 복귀되므로써, 카세트(11)의 정면 하부가 고정 블럭(14)에 의해 견고히 고정된다. 따라서, 운반중에, 카세트(11)가 롤러(10)상을 따라 이동될 염려가 없어지게 된다.
이렇게 카세트(11)가 안치되어 고정되면, 작업자는 손잡이(4)를 밀어서 후속 공정 단위로 대차를 이동시킨다. 그런 다음, 커넥터(15)를 전원에 연결한 다음, 어태치(16)를 공정 장비의 어태치에 맞추어서 위치를 결정한다. 그리고, 스위치(41)를 누르면, 모터(5)가 구동되어 리드 스크류(6)가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승강대(8)가 반출 높이로 상승하게 되고, 반출 높이에 승강대(8)가 도달하면, 스위치(41)를 역으로 눌러 모터(5)를 정지시킨다. 그런 다음, 고정 블럭(14)을 롤러(10) 밑으로 내려가도록 누르고 카세트(11)를 밀면, 카세트(11)가 롤러(10)들을 회전시키면서 후속 공정 장비로 반출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카세트(11)의 높이를 반입 또는 반출 높이로 조정할 수가 있게 되므로써, 액정 패널의 반입/반출 동작이 한결 수월해진다.
또한, 액정 패널이 수납된 트레이(13)는, 서로 맞대어지지 않게 카세트(11)에 슬라이딩식으로 수납되므로써, 트레이(13)들의 각 하중이 전달되지 않게 되어서, 트레이(13) 및 액정 패널의 파손이 방지된다.
한편,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4)

  1. 수평대; 상기 수평대의 밑면 각 모서리에 설치된 4개의 캐스터; 상기 수평대상에 설치된 수직대; 상기 수직대의 외측면에 설치된 손잡이; 상기 수평대에 설치된 모터; 상기 손잡이에 설치되어,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스위치; 상기 모터의 동력으로 회전되고, 상기 수직대의 내측면에 세워 설치된 리드 스크류; 상기 리드 스크류에 나사결합되어, 승강되는 승강대; 및 상기 승강대상에 안치되고, 액정 패널이 하나씩 비치된 복수개의 트레이가 적층식으로 수납된 카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패널 트레이 운반 대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의 양측 내벽에 복수개의 가이드 레일이 횡으로 형성되어, 상기 각 가이드 레일에 각 트레이가 일정 간격을 두고 슬라이딩식으로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패널 트레이 운반 대차.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대상에 안치대가 설치되고, 상기 안치대내에는 카세트가 안치되는 복수개의 롤러가 상기 수직대의 폭 방향과 평행하게 배열되어, 상기 롤러의 회전으로 카세트가 슬라이딩식으로 이동되며,
    상기 롤러 사이에 카세트의 정면 하부를 고정하는 고정 블럭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 블럭은 수직대의 반대측 부분이 롤러에서 돌출되지 않는 두께를 갖고, 수직대측으로 가면서 점진적으로 두꺼워지는 형상을 가지며, 압축 스프링에 의해 상향으로 탄력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패널 트레이 운반 대차.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대의 내측면에, 승강대의 승강 운동을 지지하는 한 쌍의 가이드 로드가 리드 스크류의 양측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승강대가 가이드 로드에 승강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패널 트레이 운반 대차.
KR2019970038235U 1997-12-17 1997-12-17 액정패널트레이운반대차 KR2002899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8235U KR200289923Y1 (ko) 1997-12-17 1997-12-17 액정패널트레이운반대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8235U KR200289923Y1 (ko) 1997-12-17 1997-12-17 액정패널트레이운반대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5711U true KR19990025711U (ko) 1999-07-05
KR200289923Y1 KR200289923Y1 (ko) 2002-12-26

Family

ID=53898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8235U KR200289923Y1 (ko) 1997-12-17 1997-12-17 액정패널트레이운반대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992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581B1 (ko) * 2002-11-14 2009-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유리 모기판의 이송 장치
CN113213094A (zh) * 2021-05-24 2021-08-06 安庆安帝技益精机有限公司 一种座圈、铜片叠放机
CN114132372A (zh) * 2022-01-06 2022-03-04 沭阳县晟一建筑垃圾处理有限公司 一种便于快速装卸多孔砖设备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581B1 (ko) * 2002-11-14 2009-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유리 모기판의 이송 장치
CN113213094A (zh) * 2021-05-24 2021-08-06 安庆安帝技益精机有限公司 一种座圈、铜片叠放机
CN113213094B (zh) * 2021-05-24 2024-02-09 安庆安帝技益精机有限公司 一种座圈、铜片叠放机
CN114132372A (zh) * 2022-01-06 2022-03-04 沭阳县晟一建筑垃圾处理有限公司 一种便于快速装卸多孔砖设备
CN114132372B (zh) * 2022-01-06 2022-07-26 沭阳县晟一建筑垃圾处理有限公司 一种便于快速装卸多孔砖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9923Y1 (ko) 2002-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2195B1 (ko) 자재 보관장치
KR20030043650A (ko) 스태커 크레인
US5037265A (en) Method and means for lifting lateral file cabinets
KR200289923Y1 (ko) 액정패널트레이운반대차
CN210028824U (zh) 一种立体仓库升降机
KR100371031B1 (ko) 시트더미를처리하는방법과장치
JP3534231B2 (ja) 物品保管設備における物品入出庫装置
JPH09169408A (ja) 物品保管装置
JPH09169407A (ja) 物品保管装置
CN219097699U (zh) 一种便于拿取货物的物流货架
JPS636100Y2 (ko)
JPH0597210A (ja) 移送装置
JP2019156581A (ja) 搬送装置
JP2646939B2 (ja) パレット使用の荷捌き装置
CN216467918U (zh) 一种便于装卸pcb箱的运输车
JPS6346419Y2 (ko)
JP4258059B2 (ja) 倉庫設備における入出庫台車装置
JP4013558B2 (ja) 物品移載装置における昇降台
JPH1191944A (ja) ガラス板用積載台車
JP2583404Y2 (ja) 物品保管棚の入出庫口のトレー昇降装置
JPH05178571A (ja) 垂直搬送装置におけるコンテナ退避方法
JPH0611932Y2 (ja) 回転棚式台車保管装置
JP2003182813A (ja) 自動倉庫の入出庫装置
JPH09208011A (ja) 昇降装置
JPS63154517A (ja) コンテナ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7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