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5413U - 광주사장치 - Google Patents

광주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5413U
KR19990025413U KR2019970037920U KR19970037920U KR19990025413U KR 19990025413 U KR19990025413 U KR 19990025413U KR 2019970037920 U KR2019970037920 U KR 2019970037920U KR 19970037920 U KR19970037920 U KR 19970037920U KR 19990025413 U KR19990025413 U KR 1999002541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housing
scanning
protective glass
scanning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79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인택
Original Assignee
이형도
삼성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도, 삼성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형도
Priority to KR20199700379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5413U/ko
Publication of KR199900254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5413U/ko

Links

Landscapes

  • Mechanical Optical Scanning Systems (AREA)
  • Laser Beam Printer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우징의 내부에 조립되는 주사렌즈와 보호유리가 하나의 지지부에 의해 고정되도록함으로써, 하우징의 크기를 소형으로 제작할수 있는 광주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빔을 발생시키는 광원과 빔을 수렴하는 콜리메이팅렌즈와 실린드리컬렌즈가 내장되고 상기 실리드리컬렌즈를 통과한 빔을 편향시키는 폴리건미러와 편향된 빔을 수렴시키는 주사렌즈가 각각 내장된 하우징이 구비되고, 상기 주사렌즈와 근접된 위치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밀폐하는 보호유리가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보호유리와 상기 주사렌즈가 서로 근접되도록 이들을 각각 고정하는 제1,2지지부가 구비된다.

Description

광주사장치
본 고안은 광주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우징의 내부를 밀폐시키는 보호유리(cover glass)와 주사렌즈를 하나의 지지부로 고정함으로써, 이들의 거리가 단축되어 하우징의 부피가 감소되고 주사장치를 소형으로 제작할수 있는 광주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주사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하우징(1)이 구비되고 하우징(1) 내부 일측에 레이저다이오우드가 내장된 광원(2)이 구비된다. 광원(2)은 콜리메이팅렌즈(3) 쪽으로 빔을 출사시키며 콜리메이팅렌즈(3)를 거치면서 수평의 주주사(main scanning direction)와 수직의 부주사(sug-scanning direction)방향으로 평행한 평행빔으로 만들어진다. 평행빔은 주주사방향으로 장방형의 구멍을 갖는 슬릿부재(3a)를 거치면서 빔의 중앙부분만 통과되고 이후 실린드리컬렌즈(3b)에서 부주사방향으로 수렴된다.
부주사방향으로 수렴된 빔은 고속으로 회전되는 폴리건미러(4)에서 일정의 화각을 갖는 상태로 반사되어 f-θ렌즈인 주사렌즈(5)로 출사된다. 주사렌즈(5)는 토릭렌즈와 포커싱렌즈로 구성되며 입사되는 빔을 주주사방향으로 수렴시켜 감광드럼으로 출사시킨다. 출사되는 빔은 부주사방향으로 수렴된 상태에서 주주사방향으로 수렴됨으로 감광드럼에 입사되면 초점을 형성한다.
이처럼 구성된 광주사장치는 광원(2)에서 출사된 빔이 콜리메이팅렌즈(3)를 거치면서 주주사와 부주사가 평행한 빔으로 변한 다음 슬릿(3a)과 실린드리컬렌즈(3b)를 거치면서 부주사방향의 빔이 수렴된다. 부주사방향으로 수렴된 빔은 폴리건미러(4)에서 일정의 화각을 갖는 상태로 감광드럼으로 주사된다. 그리고 빔은 감광드럼으로 주사되기 전에 주사렌즈(5)에 의해 주주사방향이 수렴되며 감광드럼에 입사되면 초점을 형성하게 되고 원하는 화상이 얻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주사장치는 하우징(1)을 밀폐공간으로 구성하기 위해 빔이 감광드럼으로 출사되도록하는 보호유리(6)가 구비된다. 이때 보호유리(6)와 주사렌즈(5)의 사이 간격이 크기 때문에 주사폭에 의해 보호유리(6)를 길게 구성해야 함으로 재료비가 많이 든다. 또한 이들 주사렌즈(5)와 보호유리(6) 사이 간격이 큼으로 하우징(1)의 전체 크기가 증가되어 이를 소형으로 제작하기 어려운 등의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하우징의 내부에 조립되는 주사렌즈와 보호유리가 하나의 지지부에 의해 고정되도록함으로써, 하우징의 크기를 소형으로 제작할수 있는 광주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광주사장치의 평단면도,
도 2는 본 고안 광주사장치의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우징 11 : 광원
12 : 콜리메이팅렌즈 14 : 실리드리컬렌즈
15 : 폴리건미러 16 : 주사렌즈
17 : 보호유리 19 : 제1지지부
20 : 제2지지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빔을 발생시키는 광원과 빔을 수렴하는 콜리메이팅렌즈와 실린드리컬렌즈가 내장되고 상기 실리드리컬렌즈를 통과한 빔을 편향시키는 폴리건미러와 편향된 빔을 수렴시키는 주사렌즈가 각각 내장된 하우징이 구비되고, 상기 주사렌즈와 근접된 위치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밀폐하는 보호유리가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보호유리와 상기 주사렌즈가 서로 근접되도록 이들을 각각 고정하는 제1,2지지부를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 광주사장치의 평단면도 이다. 하우징(10)의 내부에 기판이 구비되고 기판의 일측에는 레이저빔을 발생시키는 광원(11)이 구비된다. 그리고 광원(11)의 전방에 빔을 수렴시키는 콜리메이팅렌즈(12)와 슬릿(13) 및 실리드리컬렌즈(14)가 구비되며 실리드리컬렌즈(14)의 전방에 고속으로 회전되면서 빔을 편향시키는 폴리건미러(15)가 구비된다.
또한 폴리건미러(15)에서 편향된 빔을 수렴시키는 주사렌즈(16)가 구비된다. 그리고 주사렌즈(16)의 일측에 빔을 하우징(10)의 외측으로 구비된 감광드럼으로 주사하기 위한 보호유리(17)가 구비된다. 보호유리(17)는 하우징(10)의 내부가 밀폐되어 먼지 등의 이물질이 렌즈에 묻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때 하우징(10) 내부에는 주사렌즈(16)와 보호유리(17)를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수단이 구비된다. 지지수단은 빔이 출사되기 위한 구멍(18)이 형성되고 구멍(18)이 보호유리(17)에 의해 밀폐된다. 또한 보호유리(17)와 주사렌즈(16)를 고정하기 위한 제1,2지지부(19)(20)가 구비된다. 이들 제1,2지지부(19)(20)는 보호유리(17)와 주사렌즈(16)를 서로 근접시켜 하우징(10)의 크기를 감소시킨다.
이처럼 구성된 본 고안은 하우징(10)의 전방에 감광드럼과 대향되도록 구멍(18)이 형성되고 구멍(18)에는 이를 밀폐하여 먼지 등의 이물질이 들어오지 못하도록하는 보호유리(17)가 결합된다. 보호유리(17)는 제1지지부(19)에 의해 하우징(10)의 내부에 고정되며 빔을 수렴시키는 주사렌즈(16)는 보호유리(17)와 근접되도록 하우징(10)의 내부에 고정된다. 즉 제2지지부(20)에 의해 주사렌즈(16)가 보호유리(17)와 근접되도록 조립된다.
따라서 광원(10)에서 출사된 빔이 콜리메이팅렌즈(12)를 거치면서 주주사와 부주사가 평행한 빔으로 변한 다음 슬릿(13)과 실린드리컬렌즈(14)를 거치면서 부주사방향의 빔이 수렴된다. 부주사방향으로 수렴된 빔은 폴리건미러(15)에서 일정의 화각을 갖는 상태로 감광드럼으로 주사된다. 그리고 빔은 감광드럼으로 주사되기 전에 주사렌즈(16)에 의해 주주사방향이 수렴되며, 수렴된 다음 보호유리(17)와 구멍(18)을 통하여 감광드럼에 입사되면 초점을 형성하게 되고 원하는 화상이 얻어진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하우징의 내부에 빔을 수렴시키는 주사렌즈와 먼지 등의 이물질이 침투되지 않도록하는 보호유리가 서로 근접되도록 조립된다. 즉 하우징의 내부에 일체로 형성된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에 의해 보호유리와 주사렌즈가 근접되도록 조립된다. 따라서 하우징이 소형으로 형성되며 특히 주사렌즈와 보호유리 사이가 좁혀짐으로 화각이 줄어들어 보호유리의 폭을 줄일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빔을 발생시키는 광원과 빔을 수렴하는 콜리메이팅렌즈와 실린드리컬렌즈가 내장되고 상기 실리드리컬렌즈를 통과한 빔을 편향시키는 폴리건미러와 편향된 빔을 수렴시키는 주사렌즈가 각각 내장된 하우징이 구비되고,
    상기 주사렌즈와 근접된 위치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밀폐하는 보호유리가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보호유리와 상기 주사렌즈가 서로 근접되도록 이들을 각각 고정하는 제1,2지지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장치.
KR2019970037920U 1997-12-17 1997-12-17 광주사장치 KR1999002541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7920U KR19990025413U (ko) 1997-12-17 1997-12-17 광주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7920U KR19990025413U (ko) 1997-12-17 1997-12-17 광주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5413U true KR19990025413U (ko) 1999-07-05

Family

ID=69694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7920U KR19990025413U (ko) 1997-12-17 1997-12-17 광주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5413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4141B1 (ko) 광주사장치
KR20040051165A (ko) 동기신호 검출장치
KR970071356A (ko) 광학 스캐닝 장치
KR930022107A (ko) 광주사장치
KR20040003157A (ko) 주사 광학장치
US6950216B2 (en) Light source apparatus and optical scanner
JP2001177176A (ja) レーザビーム光源装置
KR100252698B1 (ko) 광주사장치 및 그 동기신호 검출방법
KR19990025413U (ko) 광주사장치
JPH0618802A (ja) 光走査装置
US5381259A (en) Raster output scanner (ROS) using an overfilled polygon design with minimized optical path length
KR100364405B1 (ko) 광주사장치
KR20000000836U (ko) 광주사장치
KR19990042848A (ko) 광주사장치
JP2000089149A (ja) 走査光学装置
KR200245193Y1 (ko) 광주사장치
JP2962901B2 (ja) 走査光学装置
JP2002107648A (ja) 画像形成装置
KR19990051037A (ko) 초소형 주사장치의 광학부품 조립구조
KR100193617B1 (ko)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
KR20000001579U (ko) 광주사장치
JPS60170823A (ja) 光ビ−ム走査装置
KR100335625B1 (ko) 레이저빔주사장치
JPS62200318A (ja) 半導体レ−ザ走査装置
JPH11295634A (ja) 走査光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