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1037A - 초소형 주사장치의 광학부품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초소형 주사장치의 광학부품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1037A
KR19990051037A KR1019970070272A KR19970070272A KR19990051037A KR 19990051037 A KR19990051037 A KR 19990051037A KR 1019970070272 A KR1019970070272 A KR 1019970070272A KR 19970070272 A KR19970070272 A KR 19970070272A KR 19990051037 A KR19990051037 A KR 199900510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nning device
housing
optical scanning
optical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0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상은
Original Assignee
이형도
삼성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도, 삼성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형도
Priority to KR1019970070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51037A/ko
Publication of KR19990051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1037A/ko

Links

Landscapes

  • Mechanical Optical Scan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주사장치의 광학부품의 조립구조에 있어서 먼지방지글라스(Dust glass)를 사용하지 않고 포커스 렌즈의 프레임을 하우징에 밀착하여 조립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광주사 장치의 단순화 및 저가형 광주사 장치의 제작을 가능케 한 초소형 광주사 장치의 광학부품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이는 상기 광주사장치의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초점수단의 포커싱렌즈를 별도의 호울더내에 체결구비하고, 이의 호울더를 하우징의 내측면상에 직접 밀착되게 고정토록 함으로써 전체적인 하우징의 크기를 콤팩트화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Description

초소형 주사장치의 광학부품 조립구조
본 발명은 초소형 광주사 장치의 광학부품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광주사 장치의 광학부품의 조립구조에 있어서 먼지방지글라스(Dust glass)를 사용하지 않고 포커싱렌즈를 별도의 프레임에 고정설치하고, 이의 프레임을 하우징에 밀착하여 조립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광주사 장치의 단순화 및 저가형 광주사 장치의 제작을 가능케 한 초소형 광주사 장치의 광학부품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주사장치는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다이오드가 내장된 광원수단(1)으로 부터 출사된 빔은 콜리메이트렌즈(2)를 거치면서 주주사와 부주사방향으로 평행한 평행빔으로 만들어진다.
평행빔은 주주사방향으로 장방형의 구멍을 갖는 슬릿부재를 거치면서 구멍에 해당되는 부분만 통과되고 이후 실린더리컬렌즈(3)에서 부주사방향으로 수렴된다.
부주사방향으로 수렴된 빔은 고속으로 회전되는 폴리건미러(4)에서 일정의 화각을 갖는 상태로 반사되어 초점수단측으로 출사되고, 초점수단은 주사계렌즈로써 토릭렌즈(5)와 포커싱렌즈(6)로 구성될 수 있으며, 입사되는 빔을 수렴시켜 감광성드럼(7)으로 출사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레이져 빔이 각 광학부품들을 통과하여 드럼에 도달할 시 먼지가 광학부품에 붙게 되면, 화상에 흑선 또는 백선이 나타나게 되는 불량이 발생됨으로써 먼지의 유입을 차단하는 구조를 갖추는 것은 필연적인 것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한 광학부품들에 외부의 먼지 유입을 차단하기 위하여 하우징(8)내에 각부품을 조립설치함과 동시에 초점수단으로 부터 드럼(7)으로 출사되는 하우징(8)의 경로상에는 먼지방지글라스(Dust glass)(9)를 갖추어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주사장치의 구조에 있어서는 하우징(8)의 일면상에 별도의 먼지방지글라스(9)를 구비함으로써 전체적으로 하우징(8)의 크기가 그만큼 크지게 됨은 물론이고, 그 구조도 복잡해지기 때문에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되었던 것이었다.
즉, 먼지방지글라스(9)를 하우징(8)에 설치하되, 별도의 부품으로서 빔이 출사되는 각도만큼 설치하여야 함으로써 이의 부품가격의 상승과 더불어 전체적인 주사장치의 크기에 따른 구조적인 문제점과 함께 원가를 상승시키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광주사장치의 구성을 단순화 하면서도 소형화하도록 하고, 이에 따라 재료비의 절감하여 저가형 광주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광주사장치의 광학부품중 하우징에 구비되는 먼지 방지글라스를 사용하지 않고 포커싱렌즈를 하우징에 밀착되게 조립하도록 함으로써 달성되는데, 즉, 포커싱렌즈를 별도의 호울더에 구비하면서도 이의 호울더를 하우징에 밀착되게 구성함과 동시에 이와 근접되는 하우징측의 일면을 개방함으로써 상기 포커싱렌즈를 통하여 출사되는 레이저빔은 감광성드럼으로 용이하게 입사되도록 하는 것이고, 또한 외부에서 하우징 내로 유입되는 먼지는 상기 호울더에 의해 차단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특징인 것이다.
도 1은 종래 광주사장치의 구조를 보인 구성도,
도 2는 종래 광주사장치의 측단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광주사장치의 구조를 보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 광주사장치의 측단면구성도,
도 5는 본 발명 요부부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우징 11 : 레이저다이오드
12 : 콜리메이트렌즈 13 : 실린더리컬렌즈
14 : 폴리건미러 15 : 토릭렌즈
16 : 포커싱렌즈 17 : 호울더
18 : 개구부 19 : 감광성드럼
계속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의 도 3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상세히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첨부된 도면에서도 보는 바와 같이 함체형상을 이루는 하우징(10)내에 레이저빔을 출사하도록 하는 레이저다이오드(11)가 구비됨과 동시에 콜리메이트렌즈(12) 및 실린더리컬렌즈(13)와, 그리고 고속으로 회전되는 폴리건미러(14)가 순차적으로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폴리건미러(14)의 일측에는 초점수단인 주사계렌즈로써 토릭렌즈(15)와 포커싱렌즈(16)가 일정한 간격을 가지면서 구비되어 있고, 상기 포커싱렌즈(16)는 별도의 호울더(17)내에 내장된채로 구비되면서도 상기 호울더(17)는 하우징(10)의 일측면 내부에 밀착되게 구비되어 있으며, 이의 호울더(17)가 밀착구비되는 하우징(10)의 일면은 개방된 개구부(18)가 갖추어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호울더(17)는 첨부된 도면의 도5에서 더욱 상세히 나타낸 바와 같이 그 내부의 체결홈에 포커싱렌즈(16)를 삽입체결하여 이를 지지하도록 하는 지지구의 기능을 가지면서도 하우징(10)의 개구부(18)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먼지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의 외부에는 일정간격을 가지면서 감광성드럼(19)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이는 첨부된 도면의 도 2 에서도 보는 바와 같이 하우징(10)내의 레이저다이오드(11)로 부터 출사된 빔은 콜리메이트렌즈(12)를 거치면서 주주사와 부주사방향으로 평행한 평행빔으로 만들어진다.
평행빔은 주주사방향으로 장방형의 구멍을 갖는 슬릿부재를 거치면서 구멍에 해당되는 부분만 통과되고 이후 실린더리컬렌즈(13)에서 부주사방향으로 수렴된다.
부주사방향으로 수렴된 빔은 고속으로 회전되는 폴리건미러(14)에서 일정의 화각을 갖는 상태로 반사되어 초점수단측으로 출사되고, 초점수단은 주사계렌즈로써 토릭렌즈(15)와 포커싱렌즈(16)로 구성될 수 있으며, 입사되는 빔을 수렴시켜 감광성드럼(19)으로 출사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구성된 본 발명은 광주사장치의 초점수단인 포커싱렌즈를 별도의 호울더를 이용하여 하우징의 일측면에 직접 밀착되게 구비함으로써 전체적인 하우징의 크기를 월등히 줄일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하우징의 크기를 줄이게 됨으로써 광주사장치를 단순화함은 물론 콤팩트화할 수가 있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됨은 물론 제조성 및 조립성 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이러한 효과외에도 종래와 같이 내부로의 먼지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연적으로 하우징의 일측면상에 구비되는 먼지유입방지글라스를 사용하지 않게 됨으로써 비용을 절감시킬 수가 있게되어 저가형 광주사장치를 공급할 수 있는 장점도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광원수단에서 나온 빔을 수렴하여 초점의 형태로 감광성드럼에 도달되도록 하는 광주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주사장치의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초점수단의 포커싱렌즈를 별도의 호울더내에 체결구비하고, 이의 호울더를 하우징의 내측면상에 직접 밀착되게 고정토록 함으로써 전체적인 하우징의 크기를 콤팩트화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주사장치의 광학부품 조립구조.
KR1019970070272A 1997-12-19 1997-12-19 초소형 주사장치의 광학부품 조립구조 KR199900510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0272A KR19990051037A (ko) 1997-12-19 1997-12-19 초소형 주사장치의 광학부품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0272A KR19990051037A (ko) 1997-12-19 1997-12-19 초소형 주사장치의 광학부품 조립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1037A true KR19990051037A (ko) 1999-07-05

Family

ID=66091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0272A KR19990051037A (ko) 1997-12-19 1997-12-19 초소형 주사장치의 광학부품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5103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4141B1 (ko) 광주사장치
KR940002358B1 (ko) 광주사 장치
KR100248531B1 (ko) 스캐닝광학장치
KR930022107A (ko) 광주사장치
US5625482A (en) Scanning optical apparatus
JP2004212816A (ja) ロッドインテグレータホルダおよび該ロッドインテグレータホルダを備えた投写型画像表示装置
KR19990051037A (ko) 초소형 주사장치의 광학부품 조립구조
US5124830A (en) Optical deflector device for deflecting laser beam
US5227811A (en) Baseplate for an optical scanning device
JP2001071553A (ja) レーザビーム光源装置
US6172780B1 (en) Laser scanning apparatus
JPH10142541A (ja) 光走査装置
US6473113B1 (en) Scanning optical apparatus
KR200266767Y1 (ko) 광주사장치의조립구조
KR19990025413U (ko) 광주사장치
JP2000089149A (ja) 走査光学装置
KR200273411Y1 (ko) 광주사장치
KR20000000836U (ko) 광주사장치
JPH03274016A (ja) 走査光学装置
JPH04166811A (ja) 光走査装置
KR19990042848A (ko) 광주사장치
JP2601224B2 (ja) レーザ走査用光学システム
JPH07168117A (ja) レーザユニット
JPS6250714A (ja) 記録装置
JPH08136844A (ja) 光偏向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