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2698B1 - 광주사장치 및 그 동기신호 검출방법 - Google Patents

광주사장치 및 그 동기신호 검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2698B1
KR100252698B1 KR1019970050504A KR19970050504A KR100252698B1 KR 100252698 B1 KR100252698 B1 KR 100252698B1 KR 1019970050504 A KR1019970050504 A KR 1019970050504A KR 19970050504 A KR19970050504 A KR 19970050504A KR 100252698 B1 KR100252698 B1 KR 1002526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synchronization signal
output
source means
scanning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0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1911A (ko
Inventor
박창진
Original Assignee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형도
Priority to KR1019970050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2698B1/ko
Publication of KR19980041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1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2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26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43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4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 combination of scanning and modulation of light
    • B41J2/471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 combination of scanning and modulation of light using dot sequential main scanning by means of a light deflector, e.g. a rotating polygonal mirr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1/053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in main scanning direction, e.g. synchronisation of line start or picture elements in a lin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10Scanning systems
    • G02B26/12Scanning systems using multifaceted mirrors
    • G02B26/127Adaptive control of the scanning light beam, e.g. using the feedback from one or more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43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44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single radiation source per colour, e.g. lighting beams or shutter arrangements
    • B41J2/44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single radiation source per colour, e.g. lighting beams or shutter arrangements using la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10Scanning systems
    • G02B26/12Scanning systems using multifaceted mirr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13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oscillating or rotating mirrors
    • H04N1/1135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oscillating or rotating mirrors for the main-scan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2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the sheet-feed movement or the medium-advance or the drum-rotation movement as the slow scanning component, e.g. arrangements for the main-sc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24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deleted
    • H04N2201/02406Arrangements for positioning elements within a head
    • H04N2201/02439Positioning metho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01Detec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1Detec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using dedicated dete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01Detec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34Detecting at frequent intervals, e.g. once per line for sub-sca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01Detec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44Detec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by detecting the scanned beam or a reference b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53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position or velocity
    • H04N2201/04758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position o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scanned image area
    • H04N2201/04767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position o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scanned image area by controlling the timing of the signals, e.g. by controlling the frequency o phase of the pixel c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53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position or velocity
    • H04N2201/04794Varying the control or compensation during the scan, e.g. using continuous feedback or from line to l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Optical Scanning Systems (AREA)
  • Laser Beam Printer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주사장치 및 그 동기신호 검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효주사폭 이전 또는 이후의 빔이 반사수단으로 입사되면 주사경로의 역으로 동일하게 반사되어 초점수단과 편향수단을 거쳐 광원수단으로 되돌아 가도록 하고 또한 빔이 되돌아오면 광원수단 내부의 신호변화가 일어나도록 함으로써, 그 신호변화에 따라 동기신호가 검출되도록 하여 구성이 간소화되는 광주사장치 및 그 동기신호 검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빔을 출력하는 레이저다이오드와 출력되는 빔을 검출하는 포토다이오드를 갖는 광원수단과; 상기 광원수단에서 출사되는 빔을 일정 화각으로 편향시키는 편향수단과; 상기 편향수단에서 출사되는 빔을 수렴시켜 감광성드럼으로 주사시키는 초점수단과; 상기 감광성드럼으로 주사되는 빔 중에서 유효주사폭 이전 또는 이후의 빔을 주사경로의 역으로 반사시켜 상기 광원수단으로 보내는 검출수단과; 그리고 상기 광원수단으로 반사되는 빔에 의해 상기 포토다이오드가 신호변화를 일으킬 때 동기신호가 검출되는 동기신호발생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광주사장치 및 그 동기신호 검출방법
본 발명은 광주사장치 및 그 동기신호 검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광원수단에서 나온 빔을 수렴하여 초점의 형태로 감광성드럼에 도달되도록 하는 과정에서 주사되는 빔의 일부가 주사경로의 역으로 동일하게 반사되어 광원수단으로 입사되도록 함으로써, 광원수단 내부의 신호변화를 유발시키고 이때 동기신호가 검출되는 광주사장치 및 그 동기신호 검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주사장치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다이오우드가 내장된 광원수단(1)으로 부터 출사된 빔이 콜리메이트렌즈(2)를 거치면서 주주사와 부주사방향으로 평행한 평행빔으로 만들어진다. 평행빔은 주주사방향으로 장방형의 구멍을 갖는 슬릿부재(2a)를 거치면서 구멍에 해당되는 부분만 통과되고 이후 실린드리컬렌즈(2b)에서 부주사방향으로 수렴된다.
부주사방향으로 수렴된 빔은 편향수단(3)으로 입사된 다음 고속으로 회전되는 폴리건미러(3a)에서 일정의 화각을 갖는 상태로 반사되어 초점수단(4)쪽으로 출사된다. 초점수단(4)은 주사계렌즈 로써 토릭렌즈(4a)와 포커싱렌즈(4b)로 구성될수 있으며 입사되는 빔을 수렴시켜 감광성드럼(5)으로 출사시킨다. 감광성드럼(5)에는 주사되는 빔에 의해 결상을 형성하는 구간 즉 유효주사폭(5a)이 있으며 유효주사폭(5a)을 일정하게 동기시키기 위한 동기신호를 발생시키는 검출수단(6)이 구비된다.
검출수단(6)은 유효주사폭(5a) 이전 또는 이후의 빔을 검출하여 동기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이며, 감광성드럼(5)으로 출사되는 빔의 일부를 다른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반사거울(6a)이 구비된다. 반사거울(6a)에서 반사되는 빔은 유효주사폭(5a) 이전 또는 이후의 빔으로서, 빔디텍트렌즈(6b)를 거치는 과정에서 주주사방향으로 수렴되고 이후 작은구멍을 갖는 슬릿(6c)을 통과한 다음 포토다이오드(6d)에 입사된다. 그리고 포토다이오드(6d)는 입사된 빔에 의해 동기신호를 검출한다.
이처럼 구성된 종래의 광주사장치는 광원수단(1)에서 출사된 빔이 콜이메이트렌즈(2)를 거치면서 주수사와 부주사가 평행한 빔으로 변한 다음 슬릿(2a)과 실린드리컬렌즈(2b)를 거치면서 부주사방향의 빔이 수렴된다. 부주사방향으로 수렴된 빔은 폴리건미러(3a)에서 일정의 화각을 갖는 상태로 감광성드럼(5)으로 주사된다. 그리고 빔은 감광성드럼(5)으로 주사되기 전에 초점수단(4)에 의해 주주사방향이 수렴되어 초점으로 형성된 다음 감광성드럼(5)에 입사된다.
또한 검출수단(6)은 감광성드럼(5)의 유효주사폭(5a) 이전 또는 이후의 빔을 검출하여 동기신호를 발생시킨다. 폴리건미러(3a)에서 반사된 빔은 감광성드럼(5)의 유효주사폭(5a)에 도달되기 이전에 또는 유효주사폭(5a)을 거친 이후에 반사거울(6a)에 의해 포토다이오드(6d) 쪽으로 반사된다. 이과정에서 실린드리컬렌즈(6b)를 거치면서 수렴되고 슬릿(6c)을 통과하면서 집속된 다음 포토다이오드(6d)에 입사된다. 포토다이오드(6d)는 입사된 빔에 따라 동기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러나 종래의 검출수단은 유효주사폭(5a) 이전 또는 이후의 빔이 반사거울(6a)에 의해 반사되고, 반사된 빔은 별도의 포토다이오드(6d) 쪽으로 입사되어 동기신호가 검출된다. 그리고 포토다이오드(6d) 쪽으로 입사되는 빔을 수렴하기 위해 실린드리컬렌즈(6b)와 슬릿(6c)을 사용해야 됨으로 구성이 복잡해지고 부품수가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광주사장치 내부에 포토다이오드(6d)와 실린드리컬렌즈(6b) 및 슬릿(6c) 등을 고정 설치해야 됨으로 부피가 증가되어 장치를 소형으로 제작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효주사폭 이전 또는 이후의 빔이 반사수단으로 입사되면 주사경로의 역으로 동일하게 반사되어 초점수단과 편향수단을 거쳐 광원수단으로 되돌아 가도록 하고 또한 빔이 되돌아오면 광원수단 내부의 신호변화가 일어나도록 함으로써, 그 신호변화에 따라 동기신호가 검출되도록 하여 구성이 간소화되는 광주사장치 및 그 동기신호 검출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빔을 출력하는 레이저다이오드와 출력되는 빔을 검출하는 포토다이오드를 갖는 광원수단과; 상기 광원수단에서 출사되는 빔을 일정 화각으로 편향시키는 편향수단과; 상기 편향수단에서 출사되는 빔을 수렴시켜 감광성드럼으로 주사시키는 초점수단과; 상기 감광성드럼으로 주사되는 빔 중에서 유효주사폭 이전 또는 이후의 빔을 주사경로의 역으로 반사시켜 상기 광원수단으로 보내는 검출수단과; 그리고 상기 광원수단으로 반사되는 빔에 의해 상기 포토다이오드가 신호변화를 일으킬 때 동기신호가 검출되는 동기신호발생부를 구비하여 되는 점에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 제1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제1실시예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제1실시예의 광원수단의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 제1실시예의 광원수단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제1실시예의 동기신호 검출방법을 나타낸 선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동기신호의 타이밍차트,
도 7은 본 발명 제2실시예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제2실시예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 제3실시예의 평면도,
도 10은 종래 광주사장치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광원수단 11 : 레이저다이오드
12 : 포도다이오드 16 : 편향수단
19 : 초점수단 22 : 검출수단
23 : 반사부재 24 : 감광성드럼
25 : 유효주사폭 26 : 반사부재
27 : 콜리메이트렌즈 28 : 빔출력조절부
29 : 동기신호발생부 29a : 비디오신호발생부
30 : 전압인가단계 31 : 빔출력단계
32 : 반사단계 33 : 신호변화단계
34 : 동기신호검출단계 35 : 비디오신호출력단계
36 : 빔출력조절단계 37 : 유효주사개시단계
도 1은 본 발명 제1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제1실시예의 평면도 이다. 빔을 출력시키는 광원수단(10)이 구비되고 광원수단(10)에서 출사된 빔은 콜리메이트렌즈(15)에서 평행빔으로 변한다. 콜리메이트렌즈(15)는 주주사방향(main scanning direction) 도면상 X방향과 부주사방향(sub-scanning direction)도면상 Y방향의 빔을 평행빔으로 변환시킨다. 그리고 콜리메이트렌즈(15)의 전방에 주주사방향으로 장방형의 구멍을 갖는 슬릿(14)이 구비된다. 콜리메이트렌즈(15)에서 출사된 평행빔은 슬릿(14)으로 입사된 다음 구멍에 해당되는 부분의 빔이 슬릿(14)에서 출사된다.
슬릿(14)에서 출사된 빔은 이의 전방으로 구비된 실린드리컬렌즈(13) 쪽으로 주사된다. 실린드리컬렌즈(13)는 주주사방향으로 장방형의 빔이 입사되면 이를 부주사방향으로 수렴되도록하여 출사시킨다. 부주사방향으로 수렴되어 출사되는 빔은 주주사방향으로 수렴되지 않은 상태임으로 주주사방향으로 일정의 폭을 갖는다. 부주사방향으로 수렴된 빔은 편향수단(16)에 의해 일정의 화각(대략 20°∼45°) 범위내에서 감광성드럼(24)에 편향되면서 주사된다. 편향수단(16)은 모터(18)가 구비되고 모터(18)에 의해 고속으로 회전되는 폴리건미러(17)가 구비된다. 폴리건미러(17)는 다면체로 구성되며 각 면에 반사거울이 마련된다. 따라서 실린드리컬렌즈(13)에서 출사되는 빔은 회전되는 폴리건미러(17)에 입사되고 일정의 화각 범위내에서 편향되면서 출사된다.
편향되면서 출사되는 빔은 감광성드럼(24)으로 주사되기 전에 초점수단(19)을 거친다. 편향되면서 출사되는 빔은 부주사방향으로 수렴된 반면에 주주사방향으로는 일정의 폭을 갖는 상태이다. 따라서 초점수단(19)은 부주사방향으로 수렴된 빔을 주주사방향으로 수렴시켜 초점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초점수단(19)은 주사계렌즈로써, 토릭렌즈(20)와 포커싱렌즈(21)로 구성될수 있으며 일명 f·θ렌즈라고 한다.
초점수단(19)을 거치면서 주주사방향으로 수렴된 빔은 출사되어 감광성드럼(24)에 입사되며 초점(spot)을 형성한다. 감광성드럼(24)에 입사되는 빔은 비디오신호에 따라 화상을 형성하는 유효주사폭(25)을 갖는다. 유효주사폭(25)의 시작점은 동기신호(synchronizing signal)에 의해 결정되며 동기신호를 검출하는 검출수단(22)이 구비된다. 검출수단(22)은 초점수단(19)에서 출사된 빔 중에서 유효주사폭(25) 이전 또는 이후의 빔을 주사경로의 역으로 동일하게 반사시키고 반사된 빔이 최종적으로 광원수단(10)으로 되돌아 가도록 하며, 광원수단(10)으로 입사된 빔에 의해 광원수단(10) 내부에 신호변화가 일어나고 이에 따라 동기신호가 검출된다.
검출수단(22)은 유효주사폭(25) 이전 또는 이후의 빔을 주사경로의 역으로 동일하게 반사시키는 반사부재(23)가 구비된다. 유효주사폭(25) 이전 또는 이후의 빔은 초점수단(19)을 통과하면서 주주사와 부주사방향으로 수렴된 상태에서 반사부재(23)로 입사되기 때문에 이를 동일하게 역반사시키기 위해 반사면이 볼록거울의 형태로 구성된다. 반사부재(23)에서 반사된 빔은 주사경로의 역으로 반사되어 초점수단(19)과 폴리건미러(17) 쪽으로 출사된다. 그리고 폴리건미러(17)에 입사된 반사빔은 실린드리컬렌즈(13)와 슬릿(14) 및 콜리메이트렌즈(15)를 거쳐 광원수단(10)으로 입사된다.
도 3은 본 발명 제1실시예의 광원수단의 블럭도 이다. 광원수단(10)은 빔을 출력시키는 레이저다이오드(11)가 구비되고 레이저다이오드(11)에 전압을 인가하는 빔출력조절부(28)가 구비된다. 그리고 레이저다이오드(11)에서 출사되는 빔을 검출하는 포토다이오드(12)가 구비되며 포토다이오드(12)에서 검출된 빔은 빔출력조절부(28)에서 비교 분석된 뒤 레이저다이오드(11)에서 출력되는 빔을 일정하게 조정시킨다. 따라서 유효주사폭(25) 이전 또는 이후의 빔이 반사부재(23) 쪽으로 입사되면 주사경로의 역으로 반사되어 광원수단(10)의 포토다이오드(12) 쪽으로 입사된다. 포토다이오드(12)는 반사빔에 의해 신호변화가 일어나며 이러한 신호변화가 동기신호의 역할을 하게된다.
포토다이오드(12)의 신호변화 즉 동기신호는 동기신호발생부(29)에서 검출되며 동기신호가 출력되면 비디오신호발생부(29a)는 동기신호에 따라 비디오신호를 빔출력조절부(28) 쪽으로 보낸다. 빔출력조절부(28)는 인가되는 비디오신호에 따라 빔을 출력하며 유효주사폭(25)에 화상(1 Line 프린트)이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 광원수단의 단면도 이다. 광원수단(10)은 원통형의 본체(10a)가 구비되고 본체(10a) 내부에 상부쪽으로 구멍(10c)을 갖는 히트싱크(10b)가 구비된다. 또한 히트싱크(10b)의 상부 중앙에 구멍(10c)과 근접되도록 레이저다이오드(11)가 설치되며 레이저다이오드(11)에서 빔출력중에 발생되는 열기가 히트싱크(10b)에서 방열된다. 또한 레이저다이오드(11)의 직 하부에 빔을 검출하는 포토다이오드(12)가 구비된다. 그리고 본체(10)의 상부에 레이저다이오드(11)에서 출력되는 빔이 출사되는 렌즈(10d)가 구비된다.
이처럼 구성된 본 발명의 광원수단(10)은 본체(10a) 내부에 마련된 레이저다이오드(11)에서 빔이 출력되면 렌즈(10d)를 통하여 주사방향으로 출사된다. 그리고 레이저다이오드(11)의 작동중에 발생되는 열기는 히트싱크(10b)에 의해 방열됨으로 안정된 빔출력이 유지된다. 또한 레이저다이오드(11)의 출력되는 빔의 일부가 하부쪽의 포토다이오드(12) 쪽으로 출사되며 포토다이오드(12)는 이를 검출하여 레이저다이오드(11)의 출력을 안정화 시킨다. 또한 반사부재(23)에 의해 반사된 반사빔(10e)은 렌즈(10d)와 구멍(10c)을 거쳐 포토다이오드(12)쪽으로 입사되며 이때 신호변화가 일어나고 동기신호발생부(29)에서 동기신호가 검출된다.
이처럼 구성된 본 발명은 빔출력조절부(28)의 전압이 광원수단(10)의 레이저다이오드(11)에 인가되면 빔이 출력되어 주사경로로 출사된다. 출사되는 빔은 콜리메이트렌즈(15)를 거치면서 주주사와 부주사가 평향한 평행빔으로 변한 뒤 실린드리컬렌즈(13) 쪽으로 출사된다. 실린드리컬렌즈(13)는 입사되는 빔을 부주사 방향으로 수렴시키며 부주사방향으로 수렴된 빔이 슬릿(14)을 거치면서 주주사방향으로 일정폭을 갖는 상태가 된다. 부주사방향으로 수렴된 뒤 주주사방향으로 일정폭을 갖는 빔은 편향수단(16)으로 출사되고 모터(18)에 의해 고속으로 회전되는 폴리건미러(17)에 의해 일정의 화각을 갖는 상태로 편향된다.
폴리건미러(17)에서 편향된 빔은 감광성드럼(24)으로 주사되기 전에 초점수단(19)을 거친다. 초점수단(19)은 부주사방향으로 수렴된 빔을 주주사방향으로 수렴시키는 것으로써, 초점수단(19)을 거친 빔이 감광성드럼(24)에 주사되면 결상에 의해 초점이 형성된다. 감광성드럼(24)으로 주사되는 빔은 비디오신호에 의해 화상이 형성되는 유효주사폭(25)을 갖는다. 유효주사폭(25)은 동기신호 이후에 결정되며 동기신호는 본 발명의 검출수단(22)에 의해 검출된다.
초점수단(19)을 거친 빔이 감광성드럼(24)으로 출사되면 유효주사폭(25) 이전 또는 이후에 검출수단(22)의 반사부재(23)로 입사되어 주사경로의 역으로 반사된다. 주사경로의 역으로 반사된 빔이 최종적으로 광원수단(10)에 입사되면 이의 내부에 형성된 포토다이오드(12)는 신호변화를 일으킨다. 포토다이오드(12)는 레이저다이오드(11)에서 출사되는 빔을 검출하는 것이며 검출된 신호에 따라 빔출력조절부(28)의 출력이 조절된다. 이러한 포토다이오드(12)가 레이저다이오드(11)의 빔을 검출하는 과정에서 반사부재(23)로 부터 반사된 빔이 광원수단(10)으로 입사되면 그 반사빔과 레이저다이오드(11)에서 출사되는 빔이 동시에 검출됨으로 신호변화가 일어난다.
포토다이오드(12)에서 일어나는 신호변화는 동기신호발생부(29)에서 감지된다. 동기신호발생부(29)는 포토다이오드(12)의 신호변화를 감지하여 이를 동기신호로 인식하게 되며 따라서 동기신호가 검출된다. 동기신호발생부(29)에서 동기신호가 검출되어 비디오신호발생부(29a)로 입력되면 동기신호 이후에 비디오신호를 출력하게된다. 출력되는 비디오신호는 빔출력조절부(28)로 입력되며 비디오신호에 따라 빔출력조절부(28)에서 빔이 출력되어 주사경로를 따라 감광성드럼(24)으로 출사된다. 비디오신호에 따라 출력되는 빔은 감광성드럼(24)의 유효주사폭(25)으로 출사되며 결상에 의해 화상이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 제1실시예의 동기신호 검출방법을 나타낸 선도 이다. 본 발명의 동기신호 검출방법은 빔출력조절부(28)에서 광원수단(10)으로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인가단계(30)와; 전압인가단계(30)에서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광원수단(10)에서 빔을 출력하는 빔출력단계(31)와; 빔출력단계(31)에서 출사되는 빔이 편향수단(16)을 거치면서 편향될 때 유효주사폭(25) 이전 또는 이후의 빔을 광원수단(10)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단계(32)와; 그리고 반사단계(32)에서 반사되는 빔이 광원수단(10)으로 입사되면 광원수단(10)을 구성하는 포토다이오드(12)가 신호변화를 일으키는 신호변화단계(33)가 구비된다.
신호변화단계(33)에서 포토다이오드(12)의 신호가 변화되면 동기신호발생부(29)에서 변화된 신호를 동기신호로 인식하는 동기신호검출단계(34)와; 동기신호검출단계(34)에서 동기신호가 검출되면 비디오신호발생부(29a)에서 동기신호 이후에 비디오신호를 출력하는 비디오신호출력단계(35)와; 출력되는 비디오신호에 따라 빔출력조절부(28)에서 빔출력이 조절되는 빔출력조절단계(36)와; 빔출력조절단계(36)에서 비디오신호에 따라 출력되는 빔이 감광성드럼(24)의 유효주사폭(25)에 주사되어 화상으로 결상되는 유효주사개시단계(37)와; 그리고 원하는 화상이 될 때까지 유효주사가 계속되는 화상완성단계(38)가 구비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동기신호의 타이밍차트이다. 빔출력조절부(28)에서 레이저다이오드(11)에 전압이 인가되면 빔이 출력되며 포토다이오드(12)는 출력되는 빔을 감지하여 하이(High)신호를 빔출력조절부(28) 쪽으로 보낸다. 빔출력조절부(28)는 입력되는 하이신호에 따라 빔출력을 조절하며 출력되는 빔은 주사경로를 따라 출사된다. 주사경로를 따라 출사되는 빔 중에서 유효주사폭(25) 이전 또는 이후의 빔이 반사부재(23)에 의해 반사되어 주사경로의 역으로 반사되면 광원수단(10)으로 입사되고 포토다이오드(12)는 신호변화를 일으켜 로우(Low)신호를 발생시킨다.
포토다이오드(12)에서 발생되는 로우신호는 동기신호발생부(29)에 입력되며 로우신호를 동기신호(H-Sync)로 인식한다. 비디오신호발생부(29a)는 동기신호 이후에 일정시간차(대략 1μsec)를 두고 비디오신호를 출력한다. 출력되는 비디오신호는 빔출력조절부(28) 쪽으로 입력되며 비디오신호에 따라 빔출력이 조절된다. 따라서 동기신호 이후에 비디오신호가 빔출력조절부(28) 쪽으로 인가되며 비디오신호에 따라 출력되는 빔이 유효주사폭(25)에 주사되어 결상에 의해 화상(1 Line 프린트)이 형성된다.
도 7은 본 발명 제2실시예의 사시도 이고 도 8은 본 발명 제2실시예의 평면도 로서, 본 발명 제1실시예와 동일 구성요소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 제2실시예는 유효주사폭(25) 이전 또는 이후의 빔을 반사시켜 동기신호를 검출하는 검출수단(22)이 구비된다. 검출수단(22)은 유효주사폭(25) 이전 또는 이후의 빔을 주사경로의 역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부재(26)가 구비되고 반사부재(26) 전방에 입사되는 빔을 평행빔으로 만드는 콜리메이트렌즈(27)가 구비된다. 반사부재(26)는 평면거울의 형태로 구성되며 콜리메이트렌즈(27)를 거친 평행빔을 주사경로의 역으로 평행하게 반사시킨다.
이처럼 구성된 본 발명 제2실시예는 초점수단(19)을 거친 빔이 주주사와 부주사방향으로 수렴된 다음 반사부재(26)로 출사된다. 그리고 반사부재(26)로 출사되기 전에 콜리메이트렌즈(27)를 거치면서 주주사와 부주사가 평행한 평행빔으로 변한 뒤 반사부재(26)로 출사된다. 반사부재(26)는 평면거울의 형태로 구성됨으로 입사된 평행빔은 주사경로의 역으로 동일하게 반사되어 콜리메이트렌즈(27)와 초점수단(19) 및 편향수단(16)을 거쳐 광원수단(10)으로 반사된다. 광원수단(10)으로 반사된 빔은 포토다이오드(12)의 신호에 영향을 주며 이러한 신호변화가 동기신호발생부(29)로 입력되면 동기신호가 검출된다. 본 발명 제2실시예는 주주사와 부주사방향으로 수렴된 빔을 주사경로의 역으로 반사시키기 위해 콜리메이트렌즈(27)와 평면거울 형태의 반사부재(26)가 사용된다. 콜리메이트렌즈(27)와 평면거울은 제작하기 편리함으로 생산성이 향상된다.
도 9는 본 발명 제3실시예의 평면도로서 제1실시예와 동일 구성요소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본 발명 제3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 제3실시예는 유효주사폭(25) 이전 또는 이후의 빔을 반사시켜 동기신호를 검출하는 검출수단(22)이 구비된다. 검출수단(22)은 유효주사폭(25) 이전 또는 이후의 빔을 주사경로의 다른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제1평면거울(28)이 구비되고 편향된 빔이 초점으로 형성되는 곳에 제2평면거울(29)이 구비된다.
이처럼 구성된 본 발명 제3실시예는 초점수단(19)을 거친 빔이 주주사와 부주사 방향으로 수렴된 다음 제1평면거울(28)로 출사된다. 그리고 제1평면거울(28)에 의해 편향된 빔이 초점으로 형성되는 곳에 설치된 제2평면거울(29)에 입사되면 주사경로의 역으로 동일하게 반사된다.
즉, 제2평면거울(29)로 입사된 빔은 제1평면거울(28)과 콜리메이트렌즈(27)와 초점수단(19) 및 편향수단(16)을 거쳐 광원수단(10)으로 반사된다. 광원수단(10)으로 반사된 빔은 포토다이오드(12)의 신호에 영향을 주며 이러한 신호변화가 동기신호발생부(29)로 입력되면 동기신호가 검출된다. 본 발명 제3실시예는 제1,2평면거울(28),(29)을 사용하여 빔을 반사시킴으로 구성이 간소화되고 또한 평면거울 형태임으로 제작이 쉬운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유효주사폭 이전 또는 이후의 빔이 반사수단으로 입사되면 주사경로의 역으로 동일하게 반사되어 광원수단으로 입사된다. 광원수단은 빔을 출력하는 레이저다이오드와 출력되는 빔을 검출하는 포토다이오드로 구성되며 광원수단 내부로 반사되는 빔은 포토다이오드의 신호를 변화시킨다. 이러한 신호변화가 동기신호발생부로 입력되면 동기신호가 검출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평면거울과 콜리메이트렌즈의 조합 또는 볼록거울 형태의 반사부재에 의해 동기신호가 검출됨으로 구조가 간소화되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빔을 출력하는 레이저다이오드(11)와 출력되는 빔을 검출하는 포토다이오드(12)를 갖는 광원수단(10)과;
    상기 광원수단(10)에서 출사되는 빔을 일정 화각으로 편향시키는 편향수단(16)과;
    상기 편향수단(16)에서 출사되는 빔을 수렴시켜 감광성드럼(24)으로 주사시키는 초점수단(19)과;
    상기 감광성드럼(24)으로 주사되는 빔 중에서 유효주사폭(25) 이전 또는 이후의 빔을 주사경로의 역으로 반사시켜 상기 광원수단(10)으로 보내는 검출수단(22)과;
    그리고 상기 광원수단(10)으로 반사되는 빔에 의해 상기 포토다이오드(12)가 신호변화를 일으킬 때 동기신호가 검출되는 동기신호발생부(29)를 구비하는 광주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22)은 볼록거울 형태의 반사부재(23)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22)은 평면거울 형태의 반사부재(26)가 구비되고 상기 반사부재(26) 쪽으로 입사되는 빔을 평행빔으로 변환시키는 콜리메이트렌즈(27)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22)은 유효주사폭(25)이 이전 또는 이후의 빔을 주사경로의 다른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제1평면거울(28)이 구비되고, 상기 제1평면거울(28)에 의해 편향된 빔이 초점으로 형성되는 곳에 설치되어 빔을 상기 광원수단(10)으로 반사시키는 제2평면거울(29)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장치.
  5. 빔출력조절부(28)에서 광원수단(10) 내부의 레이저다이오드(11)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인가단계(30)와;
    상기 레이저다이오드(11)에서 빔을 출력하는 빔출력단계(31)와;
    상기 빔출력단계(31)에서 출력되는 빔이 주사경로를 따라 감광성드럼(24)으로 주사될 때 유효주사폭(25) 이전 또는 이후의 빔이 검출수단(22)에 의해 주사경로의 역으로 상기 광원수단(10)에 반사되는 반사단계(32)와;
    상기 검출수단(22)으로 부터 반사된 빔에 의해 상기 광원수단(10) 내부의 포토다이오드(12)가 신호변화를 일으키는 신호변화단계(33)와;
    상기 포토다이오드(12)의 신호변화가 동기신호발생부(29)로 입력되면 동기신호가 검출되는 동기신호검출단계(34)와;
    상기 동기신호발생부(29)에서 비디오신호발생부(29a)로 동기신호가 입력되면 그 이후에 비디오신호를 상기 빔출력조절부(28)로 출력하는 비디오신호출력단계(35)와; 상기 비디오신호발생부(29a)에서 입력되는 비디오신호에 따라 상기 빔출력조절부(28)에서 빔출력을 조절하는 빔출력조절단계(36)와;
    상기 비디오신호에 따라 출력되는 빔이 상기 감광성드럼(24)의 유효주사폭(25)에 주사되어 화상으로 결상되는 유효주사개시단계(37)와;
    그리고 원하는 화상이 될 때까지 유효주사가 계속되는 화상완료단계(38)를 구비하는 광주사장치의 동기신호 검출방법.
KR1019970050504A 1996-11-30 1997-09-30 광주사장치 및 그 동기신호 검출방법 KR100252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0504A KR100252698B1 (ko) 1996-11-30 1997-09-30 광주사장치 및 그 동기신호 검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0381 1996-11-30
KR96-60381 1996-11-30
KR19960060381 1996-11-30
KR1019970050504A KR100252698B1 (ko) 1996-11-30 1997-09-30 광주사장치 및 그 동기신호 검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1911A KR19980041911A (ko) 1998-08-17
KR100252698B1 true KR100252698B1 (ko) 2000-04-15

Family

ID=19485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0504A KR100252698B1 (ko) 1996-11-30 1997-09-30 광주사장치 및 그 동기신호 검출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886805A (ko)
JP (1) JPH10186251A (ko)
KR (1) KR100252698B1 (ko)
CN (1) CN1104652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69846B2 (en) * 2002-02-28 2005-11-29 Canon Kabushiki Kaisha Light source unit and scanning optical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0445120B1 (ko) * 2002-06-20 2004-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동기신호 검출장치
KR100459103B1 (ko) * 2002-09-17 2004-12-03 주식회사 에이디피엔지니어링 Fpd용 기판의 결함 검사장치
JP2005123872A (ja) * 2003-10-16 2005-05-12 Sharp Corp 光ビーム検出装置およびプリンタ機器
JP4574394B2 (ja) * 2005-02-25 2010-11-04 キヤノン株式会社 走査型画像表示装置
US10185242B2 (en) * 2017-03-13 2019-01-22 Canon Kabushiki Kaisha Optical scann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WO2020066402A1 (ja) * 2018-09-25 2020-04-02 株式会社小糸製作所 光照射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40310A (en) * 1986-03-19 1990-07-10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Optical scanning device using plural sources of differing wavelengths
JPH06294935A (ja) * 1993-04-08 1994-10-21 Minolta Camera Co Ltd 光ビーム走査光学装置
JP3402010B2 (ja) * 1995-09-29 2003-04-2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光学走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84292A (zh) 1998-06-10
CN1104652C (zh) 2003-04-02
KR19980041911A (ko) 1998-08-17
US5886805A (en) 1999-03-23
JPH10186251A (ja) 1998-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54866A (en) Scanning optical apparatus
US5834766A (en) Multi-beam scanning apparatus and multi-beam detection method for the same
KR20040051165A (ko) 동기신호 검출장치
US5371608A (en) Optical scan apparatus having jitter amount measuring means
KR100264761B1 (ko) 광학 스캐닝 장치
KR100252698B1 (ko) 광주사장치 및 그 동기신호 검출방법
JPH1114923A (ja) 光学走査装置
US6118570A (en) Laser beam scanning optical apparatus
JPH06208071A (ja) レーザスキャン装置における焦点エラーを補償するために2つの素子を備えた光学装置
US5084616A (en) Scanner having horizontal synchronizing signal generator with prism light diameter reducing means
KR20030097357A (ko) 동기신호 검출장치
US5270849A (en) Prevention of stray light reflections in a raster output scanner (ROS) using an overfilled polygon design
KR100412495B1 (ko) 멀티빔 광주사장치
US5684524A (en) Write start position detecting device for light beam scanning device
KR100364405B1 (ko) 광주사장치
JPS62278521A (ja) 光ビ−ム走査装置
JPH0373910A (ja) 光走査装置
JPH1164759A (ja) 光走査光学装置
JPH05127106A (ja) レーザビーム走査光学装置
JP3205264B2 (ja) 光走査光学系
KR19980030974A (ko) 광주사 장치
JPH03231717A (ja) 光走査装置
JP2002139686A (ja) 画像形成装置
JPH08220457A (ja) 光走査装置
JP2002311354A (ja) 光走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