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5193Y1 - 광주사장치 - Google Patents

광주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5193Y1
KR200245193Y1 KR2019970036390U KR19970036390U KR200245193Y1 KR 200245193 Y1 KR200245193 Y1 KR 200245193Y1 KR 2019970036390 U KR2019970036390 U KR 2019970036390U KR 19970036390 U KR19970036390 U KR 19970036390U KR 200245193 Y1 KR200245193 Y1 KR 2002451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polygon mirror
scanning
sub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63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3972U (ko
Inventor
임천석
Original Assignee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형도
Priority to KR20199700363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5193Y1/ko
Publication of KR199900239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39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51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51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10Scanning systems
    • G02B26/12Scanning systems using multifaceted mirrors
    • G02B26/124Details of the optical system between the light source and the polygonal mirr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10Scanning systems
    • G02B26/105Scanning systems with one or more pivoting mirrors or galvano-mirr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30Collima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2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 G02B3/06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with cylindrical or toric fa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Optical Scanning Systems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2매의 실리드리컬렌즈를 사용하여 빔의 초점심도를 길게 함으로써, 폴리건미러의 면수가 변경되더라도 반사면에 주사되는 빔의 위치가 일정폭 사이에 있게 되어 주사렌즈를 새로 제작할필요가 없는 광주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레이저빔을 방출하는 광원; 상기 광원에서 출사되는 빔을 주주사 및 부주사 방향으로 평행한 평행광으로 만드는 콜리메이팅렌즈; 상기 콜리메이팅렌즈를 통과한 빔이 부주사 방향으로 일정한 폭을 갖도록 장방형으로 변화시키는 슬릿; 상기 슬릿을 통과한 빔의 초점심도를 길게 하는 망원기능을 가진 2매의 실린드리컬렌즈; 상기 실린드리컬렌즈에서 주사되는 빔을 일정의 화각으로 편향시키기 위해 고속으로 회전되는 폴리건미러; 그리고 상기 폴리건미러에서 편향된 빔을 수렴시켜 감광드럼으로 출사시키는 주사렌즈를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광주사장치
본 고안은 광주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린드리컬렌즈를 다수매 사용하여 부주사방향의 초점심도를 길게 함으로써, 빔을 편향시키는 폴리건미러의 면수가 4면 또는 6면으로 변경되더라도 빔을 효과적으로 주사할수 있는 광주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주사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하우징(1)이 구비되고 하우징(1) 내부 일측에 레이저다이오우드가 내장된 광원(2)이 구비된다. 광원(2)은 콜리메이팅렌즈(3) 쪽으로 빔을 출사시키며 콜리메이팅렌즈(3)를 거치면서 수평의 주주사(main scanning direction)와 수직의 부주사(sug-scanning direction)방향으로 평행한 평행빔으로 만들어진다. 평행빔은 주주사방향으로 장방형의 구멍을 갖는 슬릿부재(3a)를 거치면서 빔의 중앙부분만 통과되고 이후 실린드리컬렌즈(3b)에서 부주사방향으로 수렴된다.
부주사방향으로 수렴된 빔은 고속으로 회전되는 폴리건미러(4)에서 일정의 화각을 갖는 상태로 반사되어 f-θ렌즈인 주사렌즈(5)로 출사된다. 주사렌즈(5)는 토릭렌즈와 포커싱렌즈로 구성되며 입사되는 빔을 주주사방향으로 수렴시켜 감광드럼(6)으로 출사시킨다. 출사되는 빔은 부주사방향으로 수렴된 상태에서 주주사방향으로 수렴됨으로 감광드럼(6)에 입사되면 초점을 형성한다.
이처럼 구성된 광주사장치는 광원(2)에서 출사된 빔이 콜리메이팅렌즈(3)를 거치면서 주주사와 부주사가 평행한 빔으로 변한 다음 슬릿(3a)과 실린드리컬렌즈(3b)를 거치면서 부주사방향의 빔이 수렴된다. 부주사방향으로 수렴된 빔은 폴리건미러(4)에서 일정의 화각을 갖는 상태로 감광드럼(6)으로 주사된다. 그리고 빔은 감광드럼(6)으로 주사되기 전에 주사렌즈(5)에 의해 주주사방향이 수렴되며 감광드럼(6)에 입사되면 초점을 형성하게 되고 원하는 화상이 얻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주사장치는 폴리건미러(4)의 면수가 변경될 경우 주사렌즈(5)를 변경해야 되는 단점이 있다. 즉 폴리건미러(4)가 4면으로 구성된 것과 6면으로 구성된 것은 빔이 각 면으로 도달될때의 거리차가 발생됨으로 이를 보정하기 위해 주사렌즈(5)를 새로 제작해야 된다. 이때 주사렌즈(5)는 비구면화되어 있으므로 제작성이 저하된다.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2매의 실리드리컬렌즈를 사용하여 빔의 초점심도를 길게 함으로써, 폴리건미러의 면수가 변경되더라도 반사면에 주사되는 빔의 위치가 일정폭 사이에 있게 되어 주사렌즈를 새로 제작할필요가 없는 광주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광주사장치의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 광주사장치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광원 11 : 콜리메이팅렌즈
12 : 슬릿 13 : 실린드리컬렌즈
14 : 폴리건미러 15 : 주사렌즈
16 : 감광드럼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레이저빔을 방출하는 광원; 상기 광원에서 출사되는 빔을 주주사 및 부주사 방향으로 평행한 평행광으로 만드는 콜리메이팅렌즈; 상기 콜리메이팅렌즈를 통과한 빔이 부주사 방향으로 일정한 폭을 갖도록 장방형으로 변화시키는 슬릿; 상기 슬릿을 통과한 빔의 초점심도를 길게 하는 망원기능을 가진 2매의 실린드리컬렌즈; 상기 실린드리컬렌즈에서 주사되는 빔을 일정의 화각으로 편향시키기 위해 고속으로 회전되는 폴리건미러; 그리고 상기 폴리건미러에서 편향된 빔을 수렴시켜 감광드럼으로 출사시키는 주사렌즈가 구비된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 광주사장치의 평면도 이다. 레이저빔을 방출하는 광원(10)이 구비되고 광원에서 방출된 빔을 평행광으로 만드는 콜리메이팅렌즈(11)가 구비된다. 콜리메이팅렌즈(11)는 수평의 주주사와 수직의 부주사방향으로 평행한 평행빔을 만든다. 평행빔은 주주사방향으로 장방형의 구멍을 갖는 슬릿부재(12)를 거치면서 빔의 중앙부분만 통과되고 이후 실린드리컬렌즈(13)에서 부주사방향으로 수렴된다.
실린드리컬렌즈(13)는 2매의 렌즈로 구성된 망원렌즈(telephoto lens)로 구성된다. 콜리메이팅렌즈(11)와 대응되는 주사방향의 첫 번째 렌즈는 정(正)의 굴절기능을 가지며, 폴리건미러(14)와 대응되는 두 번째 렌즈는 부(負)의 굴절기능을 가진다. 따라서 2매의 실린드리컬렌즈(13)를 통과한 빔은 부주사 방향의 초점심도가 길어져 폴리건미러(14)의 반사면이 가변되더라도 일정의 반사폭 범위내에 있게된다.
부주사방향으로 수렴된 빔은 고속으로 회전되는 폴리건미러(14)에서 일정의 화각을 갖는 상태로 반사되어 f-θ렌즈기능을 갖는 주사렌즈(15)로 출사된다. 주사렌즈(15)는 토릭렌즈와 포커싱렌즈로 구성되며 입사되는 빔을 주주사방향으로 수렴시켜 감광드럼(16)으로 출사되며 초점을 형성한다.
이처럼 구성된 본 고안은 광원(10)에서 출사된 빔이 콜리메이팅렌즈(11)를 거치면서 평행광으로 변한 다음 슬릿(12)을 통과하면서 부주사 방향으로 장방형의 타원형으로 변한다. 그 뒤 2매의 실린드리컬렌즈(13)로 출사되며 여기서 부주사 방향으로 수렴된다. 이때 실린드리컬렌즈(13)는 빔의 초점심도를 길게 하는 기능을 가진다. 초점심도를 길게 하기 위해 초점을 길게 해주는 망원렌즈의 기능을 갖는 실린드리컬렌즈(13)에 의해 부주사 방향으로 초점심도가 길어진다.
초점심도가 길어진 빔은 고속으로 회전되는 폴리건미러(14)에 의해 일정의 화각을 갖는 상태로 편향된 다음 주사렌즈(15) 쪽으로 출사된다. 또한 초점심도가 길기 때문에 폴리건미러(14)가 4면 또는 6면의 반사면으로 변경되더라도 일정의 반사폭을 가지게 된다. 폴리건미러(14)에서 반사된 빔은 주사렌즈(15)를 거쳐 감광드럼(16)에 출사되며 원하는 화상이 얻어진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실리드리컬렌즈를 2매로 사용하여 주사되는 빔의 초점심도를 길게 함으로써, 폴리건미러의 반사면이 4면 또는 6면으로 변경되더라도 일정한 반사폭을 유지함으로 주사장치를 다양하게 제작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레이저빔을 방출하는 광원;
    상기 광원에서 출사되는 빔을 주주사 및 부주사 방향으로 평행한 평행광으로 만드는 콜리메이팅렌즈;
    상기 콜리메이팅렌즈를 통과한 빔이 부주사 방향으로 일정한 폭을 갖도록 장방형으로 변화시키는 슬릿;
    상기 슬릿을 통과한 빔의 초점심도를 길게 하는 망원기능을 가진 2매의 실린드리컬렌즈;
    상기 실린드리컬렌즈에서 주사되는 빔을 일정의 화각으로 편향시키기 위해 고속으로 회전되는 폴리건미러; 그리고
    상기 폴리건미러에서 편향된 빔을 수렴시켜 감광드럼으로 출사시키는 주사렌즈를 구비하는 광주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드리컬렌즈의 첫 번째 렌즈는 정방향의 굴절기능을 가지며 두 번째 렌즈는 부방향의 굴절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장치.
KR2019970036390U 1997-12-10 1997-12-10 광주사장치 KR2002451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6390U KR200245193Y1 (ko) 1997-12-10 1997-12-10 광주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6390U KR200245193Y1 (ko) 1997-12-10 1997-12-10 광주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3972U KR19990023972U (ko) 1999-07-05
KR200245193Y1 true KR200245193Y1 (ko) 2001-11-16

Family

ID=53897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6390U KR200245193Y1 (ko) 1997-12-10 1997-12-10 광주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519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3972U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74422A (en) Optical scanning apparatus having an array of light sources
KR101120487B1 (ko) 멀티빔 주사 장치
JP2524567B2 (ja) 複数ビ―ム走査光学装置
US5566016A (en) Laser beam scanner
JP3627453B2 (ja) 光学走査装置
KR19980019037A (ko) 멀티-빔 주사장치(multi-beam scanning apparatus with controlled scan line bow)
US7016380B2 (en) Multi-beam laser scanning unit
KR200245193Y1 (ko) 광주사장치
JPH07111509B2 (ja) 光走査装置
EP0836106B1 (en) Light-beam scanning apparatus comprising divergent or convergent light-shaping means
KR200269878Y1 (ko) 광주사장치
KR100364405B1 (ko) 광주사장치
KR100412495B1 (ko) 멀티빔 광주사장치
JP5910535B2 (ja) 光走査装置
KR100474433B1 (ko) 광주사장치
KR20000007639A (ko) 광주사장치
JPH10282441A (ja) 光源装置及びその光源装置を備えたマルチビーム走査光学装置
KR100601647B1 (ko) 광주사장치
KR100664315B1 (ko) 레이저 스캐닝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탠덤형 화상형성장치
KR19990042848A (ko) 광주사장치
JPH02269305A (ja) 光走査装置
KR100335625B1 (ko) 레이저빔주사장치
KR200269879Y1 (ko) 광주사장치
KR19990042846A (ko) 광주사장치
KR100395531B1 (ko) 광주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