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9878Y1 - 광주사장치 - Google Patents

광주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9878Y1
KR200269878Y1 KR2019970014548U KR19970014548U KR200269878Y1 KR 200269878 Y1 KR200269878 Y1 KR 200269878Y1 KR 2019970014548 U KR2019970014548 U KR 2019970014548U KR 19970014548 U KR19970014548 U KR 19970014548U KR 200269878 Y1 KR200269878 Y1 KR 2002698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rging
lens
light source
focusing
scanning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45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1141U (ko
Inventor
임천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700145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9878Y1/ko
Publication of KR199900011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114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98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98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10Scanning systems
    • G02B26/12Scanning systems using multifaceted mirrors
    • G02B26/124Details of the optical system between the light source and the polygonal mirr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10Scanning systems
    • G02B26/12Scanning systems using multifaceted mirrors
    • G02B26/125Details of the optical system between the polygonal mirror and the image plan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2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Abstract

본 고안은 광주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한 개의 렌즈를 이용하여 빔을 수렴시키고 또한 비구면화된 한 개의 렌즈를 이용하여 빔을 초점으로 형성함으로써, 주사경로상의 렌즈의 숫자를 감소시켜 조립성이 향상되는 광주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빔을 주사경로상으로 출사시키는 광원수단과, 상기 광원수단에서 출사된 빔의 일부를 수렴시키는 단일렌즈의 수렴수단과, 상기 수렴수단을 거친 빔을 일정의 화각으로 편향시키는 편향수단과, 그리고 상기 편향수단에서 편향된 빔을 감광성드럼에 초점으로 형성시키는 단일렌즈의 초점수단이 구비된다.

Description

광주사장치
본 고안은 광주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광원수단에서 출사되는 빔이 수렴수단과 초점수단을 거쳐 감광성드럼에 직접 입사되도록 함으로써, 주사경로가 단순화 되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광주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주사장치는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다이오우드가 내장된 광원수단(1)이 구비되고 광원수단(1)은 콜리메이트렌즈(2) 쪽으로 빔을 출사시키며 콜리메이트렌즈(2)를 거치면서 수평의 주주사(main scanning direction)와 수직의 부주사(sug-scanning direction)방향으로 평행한 평행빔으로 만들어진다. 평행빔은 주주사방향으로 장방형의 구멍을 갖는 슬릿부재(3)를 거치면서 빔의 중앙부분만 통과되고 이후 실린드리컬렌즈(4)에서 부주사방향으로 수렴된다.
부주사방향으로 수렴된 빔은 편향수단(5)으로 입사된 다음 고속으로 회전되는 폴리건미러(5a)에서 일정의 화각을 갖는 상태로 반사되어 초점수단(6)으로 출사된다. 초점수단(6)은 토릭렌즈(6a)와 포커싱렌즈(6b)로 구성되며 입사되는 빔을 주주사방향으로 수렴시켜 감광성드럼(7)으로 출사시킨다. 출사되는 빔은 부주사방향으로 수렴된 상태에서 주주사방향으로 수렴됨으로 감광성드럼(7)에 입사되면 초점을 형성한다.
이처럼 구성된 광주사장치는 광원수단(1)에서 출사된 빔이 콜리메이트렌즈(2)를 거치면서 주주사와 부주사가 평행한 빔으로 변한 다음 슬릿(3)과 실린드리컬렌즈(4)를 거치면서 부주사방향의 빔이 수렴된다. 부주사방향으로 수렴된 빔은 폴리건미러(5a)에서 일정의 화각을 갖는 상태로 감광성드럼(7)으로 주사된다. 그리고 빔은 감광성드럼(7)으로 주사되기 전에 초점수단(6)에 의해 주주사방향이 수렴되며 감광성드럼(7)에 입사되면 초점을 형성하게 되고 원하는 화상이 얻어진다.
그러나 종래에는 광원수단(1)에서 출사되는 빔을 수렴시키기 위해 콜리메이트렌즈(2)와 슬릿(3) 및 실린드리컬렌즈(4) 등이 필요함으로 부품수가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편향수단(5)에서 편향되는 빔을 감광성드럼(7)에 초점으로 형성시키기 위해 토릭렌즈(6a)와 포커싱렌즈(6b) 등이 필요하고 이들 각 렌즈들의 빔축을 일치시켜 됨으로 조립성이 저하되는 등의 단점이 발생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한 개의 렌즈를 이용하여 빔을 수렴시키고 또한 비구면화된 한 개의 렌즈를 이용하여 빔을 초점으로 형성함으로써, 주사경로상의 렌즈의 숫자를 감소시켜 조립성이 향상되는 광주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광주사장치는 빔을 주사경로상으로 출사시키는 광원수단과, 상기 광원수단에서 출사된 빔의 일부를 수렴시키는 단일렌즈의 수렴수단과, 상기 수렴수단을 거친 빔을 일정의 화각으로 편향시키는 편향수단과, 그리고 상기 편향수단에서 편향된 빔을 감광성드럼에 초점으로 형성시키는 단일렌즈의 초점수단이 구비 되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 도면에 따라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2 도는 본 고안 광주사장치의 평면도 로서, 빔을 출사시키는 광원수단(10)이 구비되고 광원수단(10)의 주사경로상에 수렴수단(11)이 구비된다. 수렴수단(11)은 단일 렌즈로 구성되며 중앙에 빔을 수렴시키는 볼록렌즈 형태의 수렴부(12)가 구비되고 수렴부(12)의 외주연을 따라 빔을 주사경로에서 벗어나도록 산란시키는 산란부(13)가 구비된다. 산란부(13)는 수렴부(12)를 중심으로 동심원을 이루며 형성되며 톱니의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수렴수단(11)에서 수렴된 상태로 주사경로를 따라 출사되는 빔은 편향수단(14)의 폴리건미러(15)에서 일정의 화각을갖는 상태로 편향된다. 또한 편향된 빔은 단일렌즈로 구성되며 비구면화된 초점수단(16)을 거치면서 초점의 형태로 감광성드럼(17)에 주사된다.
이처럼 구성된 본 고안은 수렴수단(11)과 초점수단(16)이 단일렌즈로 구성됨으로 부품수가 감소된다. 즉 광원수단(10)에서 출사되는 빔이 수렴수단(11)으로 입사되면 수렴수단(11)의 중앙으로 형성된 수렴부(12)에서 빔이 수렴된 상태로 주사경로를 따라 편향수단(14)으로 출사된다. 이때 수렴되지 않은 빔은 산란부(13)에 의해 주사경로를 벗어나 출사됨으로 수렴된 빔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그리고 수렴된 상태로 편향수단(14)으로 출사되는 빔은 폴리건미러(15)에서 일정의 화각을 갖는 상태로 편향되고 편향빔은 단일렌즈로 구성된 초점수단(16)을 거치면서 초점의 형태로 감광성드럼(17)에 입사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광원수단에서 출사되는 빔이 수렴수단을 거치면서 수렴된다. 이때 수렴수단의 중앙에 형성된 볼록렌즈 형태의 수렴부에 의해 수렴되며 나머지 빔은 산란부에 의해 산란되어 주사경로를 벗아나게된다. 그리고 수렴된 빔이 편향수단을 거쳐 단일렌즈로 구성된 초점수단을 거치면서 초점을 형성함으로 주사경로상에 놓인 렌즈의 수가 감소되어 생산성이 향상되고 특히 렌즈수의 감소로 이들 렌즈의 빔축을 일치시키는 조립작업이 신속하게 진행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제 1 도는 일반적인 광주사장치의 평면도,
제 2 도는 본 고안 광주사장치의 평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 광주사장치의 수렴수단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광원수단 11 : 수렴수단
12 : 수렴부 13 : 산란부
14 : 편향수단 16 : 초점수단
17 : 감광성드럼

Claims (1)

  1. 빔을 주사 경로 상에서 출사시키는 광원 수단과;
    상기 광원수단에서 출사된 빔의 일부를 수렴시키기 위하여 중앙에 빔을 수렴시키는 볼록 렌즈 형태의 수렴부가 구비되고 상기 수렴부를 중심으로 동심원을 그리며 톱니 형태로 구성되어 빔이 주사 경로에서 벗어나도록 산란시키는 산란부가 구비된 수렴 수단과;
    상기 수렴 수단을 거친 빔을 일정의 화각으로 편향시키는 편향 수단; 및
    상기 편향수단에서 편향된 빔을 감광성 드럼에 초점으로 형성시키는 단일렌즈의 초점수단을 구비하는 광 주사장치.
KR2019970014548U 1997-06-17 1997-06-17 광주사장치 KR2002698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4548U KR200269878Y1 (ko) 1997-06-17 1997-06-17 광주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4548U KR200269878Y1 (ko) 1997-06-17 1997-06-17 광주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1141U KR19990001141U (ko) 1999-01-15
KR200269878Y1 true KR200269878Y1 (ko) 2002-08-22

Family

ID=53898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4548U KR200269878Y1 (ko) 1997-06-17 1997-06-17 광주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987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43820B2 (ja) * 1999-10-29 2007-07-11 キヤノン株式会社 光走査装置及びマルチビーム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1141U (ko) 199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74422A (en) Optical scanning apparatus having an array of light sources
GB2261528A (en) High power light source
JP2524567B2 (ja) 複数ビ―ム走査光学装置
US5095383A (en) Optical unit for use in a laser beam printer or the like
KR960029108A (ko) 레이저 빔 주사장치
JPH1114923A (ja) 光学走査装置
KR200269878Y1 (ko) 광주사장치
US5613768A (en) Apparatus for generating parallel light using two arrayed mirrors
US5771115A (en) Optical scanner
US7016380B2 (en) Multi-beam laser scanning unit
US5859721A (en) Optical device using a point light source
JPH0618802A (ja) 光走査装置
KR200245193Y1 (ko) 광주사장치
KR101057458B1 (ko) 드릴링 장치 및 드릴링 방법
JP4117984B2 (ja) 光源装置
JP2811988B2 (ja)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光走査装置
JPS6411926B2 (ko)
JP3566471B2 (ja) 光走査装置
JP4027906B2 (ja) 光走査装置
KR19990042846A (ko) 광주사장치
KR100364405B1 (ko) 광주사장치
JPH10282441A (ja) 光源装置及びその光源装置を備えたマルチビーム走査光学装置
JP2001343606A (ja) 光走査装置
KR100664315B1 (ko) 레이저 스캐닝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탠덤형 화상형성장치
JP3206947B2 (ja) 走査式光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