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1579U - 광주사장치 - Google Patents
광주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00001579U KR20000001579U KR2019980011361U KR19980011361U KR20000001579U KR 20000001579 U KR20000001579 U KR 20000001579U KR 2019980011361 U KR2019980011361 U KR 2019980011361U KR 19980011361 U KR19980011361 U KR 19980011361U KR 20000001579 U KR20000001579 U KR 20000001579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bracket
- engine frame
- lens system
- photosensitive drum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Mechanical Optical Scanning Systems (AREA)
- Mounting And Adjusting Of Optic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사렌즈계로부터 출사된 빔이 감광드럼으로 직접 출사되도록 구성된 하우징을 프린터의 엔진 프레임에 조립할 때 하우징이 틸트 조정되도록 함으로써, 조립오차로 인한 빔출삭각도의 보정이 가능하도록한 광주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우징의 내부에 레이저 다이오드가 구비되고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출사된 빔이 일정의 화각을 갖는 상태로 편향되어 주사렌즈계로 입사되면 상기 주사렌즈계는 빔을 수렴시켜 감광드럼으로 출사시키는 광주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 프린터 내부의 엔진 프레임에 체결하기 위한 브래킷이 구비되고 상기 일측 브래킷의 저면에 상기 엔진 프레임과의 사이에 놓이는 스프링이 구비되며 상기 브래킷을 조정나사로 풀고 조일 때 상기 스프링에 의해 상기 브래킷이 상측으로 가압되어 상기 하우징의 일측이 틸트 조정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광주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우징이 엔진프레임에 장착된 상태에서 틸트되도록 함으로써, 빔출사각도(Skew)의 조정이 가능하도록한 광주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주사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하우징(1)이 구비되고 하우징(1) 내부 일측에 광원으로 구성된 레이저 다이오우드(2)가 구비된다. 레이저 다이오드(2)는 콜리메이팅렌즈(3) 쪽으로 빔을 출사시키며 콜리메이팅렌즈(3)를 거치면서 수평의 주주사(main scanning direction)와 수직의 부주사(sug-scanning direction)방향으로 평행한 평행빔으로 만들어진다. 평행빔은 주주사방향으로 장방형의 구멍을 갖는 슬릿부재(3a)를 거치면서 빔의 중앙부분만 통과되고 이후 실린드리컬렌즈(3b)에서 부주사방향으로 수렴된다.
부주사방향으로 수렴된 빔은 고속으로 회전되는 폴리건미러(4)에서 일정의 화각을 갖는 상태로 반사되어 f-θ렌즈인 주사렌즈계(5)로 출사된다. 주사렌즈계(5)는 2매의 렌즈로 구성되며 입사되는 빔을 주주사방향으로 수렴시켜 감광드럼으로 출사시킨다. 출사되는 빔은 부주사방향으로 수렴된 상태에서 주주사방향으로 수렴됨으로 감광드럼에 입사되면 초점을 형성한다.
이처럼 구성된 광주사장치는 레이저 다이오드(2)에서 출사된 빔이 콜리메이팅렌즈(3)를 거치면서 주주사와 부주사가 평행한 빔으로 변한 다음 슬릿(3a)과 실린드리컬렌즈(3b)를 거치면서 부주사방향의 빔이 수렴된다. 부주사방향으로 수렴된 빔은 폴리건미러(4)에서 일정의 화각을 갖는 상태로 감광드럼으로 주사된다. 그리고 빔은 감광드럼으로 주사되기 전에 주사렌즈계(5)에 의해 주주사방향이 수렴되며 감광드럼에 입사되면 초점을 형성하게 되고 원하는 화상이 얻어진다.
도 2는 종래 반사경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로서, 주사렌즈계(5)로부터 출사된 빔의 방향을 변경시켜 감광드럼으로 출사되도록 하는 반사경(7)이 하우징(1)의 내부에 구비된다. 프린터를 소형으로 제작할 때 반사경(7)을 사용하면 빔의 경로를 짧게 단축시킬수 있다. 이러한 반사경은 하우징에 조립하는 과정에서 조립오차 등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빔경로의 이탈을 보정하기 위한 틸트 조정장치가 구비된다. 하우징(1)에 수직으로 체결되는 조정나사(8)의 풀고 조임에 따라 조정나사(8)의 머리 부분에 놓인 반사경(7)이 미세하게 유동되며 탄성편(8a)에 의해 반사경의 상부가 조정나사 쪽으로 가압되어 반사경의 조정상태가 유지된다.
이처럼 구성된 종래의 틸트 조정장치는 하우징의 내부에 반사경이 설치된 경우로서, 반사경을 조립할 때 발생되는 조립오차로 인한 빔경로의 보정이 가능해 진다. 그러나 반사경 없이 직접 빔을 주사하는 주사장치의 경우 빔의 경로 즉 빔출사각도의 보정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하우징의 조립오차로 인한 빔의 틀어짐을 보정할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주사렌즈계로부터 출사된 빔이 감광드럼으로 직접 출사되도록 구성된 하우징을 프린터의 엔진 프레임에 조립할 때 하우징이 틸트 조정되도록 함으로써, 조립오차로 인한 빔출삭각도의 보정이 가능하도록한 광주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광주사장치의 정단면도,
도 2는 종래 반사경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광주사장치의 평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틸트 조정장치의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 다른 실시예의 틸트 조정장치의 단면도 및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우징 11 : 브래킷
12 : 스프링 13 : 조정나사
14 : 조정나사 15 : 탄성부
20 : 레이저 다이오드 70 : 주사렌즈계
80 : 엔진 프레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하우징의 내부에 레이저 다이오드가 구비되고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출사된 빔이 일정의 화각을 갖는 상태로 편향되어 주사렌즈계로 입사되면 상기 주사렌즈계는 빔을 수렴시켜 감광드럼으로 출사시키는 광주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 프린터 내부의 엔진 프레임에 체결하기 위한 브래킷이 구비되고 상기 일측 브래킷의 저면에 상기 엔진 프레임과의 사이에 놓이는 스프링이 구비되며 상기 브래킷을 조정나사로 풀고 조일 때 상기 스프링에 의해 상기 브래킷이 상측으로 가압되어 상기 하우징의 일측이 틸트 조정되는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 광주사장치의 평면도 이고 도 4는 본 고안 틸트 조정장치의 단면도 이다. 레이저 다이오드(20) 등으로 구성된 광원부에서 발산되는 광속은 콜리메이팅 렌즈(30)에 의해 거의 평행한 광속이 되고 주주사 방향으로 장축을 가지는 타원형의 슬릿(40)을 통과하고 부주사 방향으로 굴절능을 가지는 실린드리컬 렌즈(50)를 통과한다. 실린드리컬 렌즈(50)를 통과한 광속은 주주사 방향으로는 거의 평행하고 부주사 방향으로는 선형 이미지가 되어 회전다면경(60)에 입사하게 된다. 회전다면경(60)의 반사면에 의해 반사된 광속은 주사렌즈계(70)로 편향,입사되고, 감광드럼 상에 등속 직선운동을 하며 부주사 방향으로 다소 큰 장축의 타원형 스팟을 맺게 된다.
위의 모든 부품들 즉 렌즈군과 회전다면경 등은 직사각형의 하우징(10) 내부에 설치되며 하우징은 양측으로 형성된 브래킷(11)을 통하여 엔진 프레임(80)에 장착된다. 그리고 일측 브래킷(11)은 조정나사(13)에 의해 프레임(80)에 체결된 상태에서 스프링(12)에 의해 들리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조립과정에서 조정나사를 풀고 조일 때 스프링(12)이 압축되는 것으로 만약 조정나사를 풀면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브래킷(11)이 상측으로 들린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하우징(10)이 일측으로 틸트되며 이때 빔출사각도가 보정된다.
이처럼 구성된 본 고안은 빔의 출사각도를 변경 시키는 반사경이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지 않는다. 따라서 주사렌즈계로부터 출사된 빔은 감광드럼으로 직접 주사된다. 따라서 하우징(10)을 프레임(80)에 체결 고정시킬 때 빔출사각도의 보정을 위해 하우징 자체를 틸트시켜야 된다. 틸트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하우징을 엔진 프레임의 상부에 놓은 다음 양측의 브래킷(11)을 프레임에 체결시킨다. 이때 일측 브래킷(11)의 저면에는 프레임과의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12)에 의해 항상 들리는 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따라서 조립과정에서 조정나사(13)를 풀고 조임에 따라 하우징이 미세하게 틸트 조정됨으로 빔의 출사각 조정이 가능해 진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 다른 실시예의 틸트 조정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나사못에 의해 체결된 탄성부(15)에 의해 브래킷(11)의 상면이 가압되어 엔진 프레임(80)과 밀착된다. 이 같은 상태에서 프레임(80)에 체결된 조정나사(14)를 풀면 조정나사(14)의 상면과 접한 브래킷(11)이 약간 들리게 되며 이때 하우징이 틸트 조정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주사렌즈계로부터 출사된 빔이 감광드럼으로 직접 주사되도록 구성된 하우징을 프린터의 엔진 프레임에 조립할 때 하우징의 일측 브래킷에 스프링을 설치하여 하우징의 일측이 항상 들리는 방향으로 힘을 받도록 함으로써, 조립과정에서 조정나사의 풀고 조임에 따라 하우징이 일측으로 틸트 조정되어 빔의 출사각 조정이 가능해 짐으로 신뢰성이 향상된다.
Claims (2)
- 하우징의 내부에 레이저 다이오드가 구비되고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출사된 빔이 일정의 화각을 갖는 상태로 편향되어 주사렌즈계로 입사되면 상기 주사렌즈계는 빔을 수렴시켜 감광드럼으로 출사시키는 광주사장치에 있어서,상기 하우징의 양측에 프린터 내부의 엔진 프레임에 체결하기 위한 브래킷이 구비되고 상기 일측 브래킷의 저면에 상기 엔진 프레임과의 사이에 놓이는 스프링이 구비되며 상기 브래킷을 조정나사로 풀고 조일 때 상기 스프링에 의해 상기 브래킷이 상측으로 가압되어 상기 하우징의 일측이 틸트 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프레임에 상기 브래킷의 저면을 받쳐주는 조정나사가 체결되고 상기 엔진 프레임의 일측에 상기 브래킷의 상부를 상기 조정나사 쪽으로 가압하는 탄성부가 구비되며 상기 조정나사를 풀고 조일 때 상기 탄성부에 의해 상기 브래킷이 가압되어 상기 하우징의 일측이 틸트 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80011361U KR20000001579U (ko) | 1998-06-29 | 1998-06-29 | 광주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80011361U KR20000001579U (ko) | 1998-06-29 | 1998-06-29 | 광주사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01579U true KR20000001579U (ko) | 2000-01-25 |
Family
ID=69518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80011361U KR20000001579U (ko) | 1998-06-29 | 1998-06-29 | 광주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00001579U (ko) |
-
1998
- 1998-06-29 KR KR2019980011361U patent/KR20000001579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268929B2 (en) | Optical scanner reflecting and outputting light increased in width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same | |
KR20040051165A (ko) | 동기신호 검출장치 | |
US5844707A (en) | Scanning optical device | |
US6992690B2 (en) | Multi-beam scanning apparatus | |
JP3334447B2 (ja) | 光走査装置の光軸調整方法、光軸調整装置、及び光走査装置 | |
US6950216B2 (en) | Light source apparatus and optical scanner | |
US6081364A (en) | Laser light source for emitting a plurality of laser beams, method adjusting focusing of the laser light source, and scanning optical system | |
KR100252698B1 (ko) | 광주사장치 및 그 동기신호 검출방법 | |
KR20000001579U (ko) | 광주사장치 | |
KR20030097357A (ko) | 동기신호 검출장치 | |
KR200213195Y1 (ko) | 광주사장치 | |
JP2001337283A (ja) | レーザビーム走査装置 | |
KR100412495B1 (ko) | 멀티빔 광주사장치 | |
KR100364405B1 (ko) | 광주사장치 | |
JPH08234129A (ja) | 光走査装置 | |
JP2000162535A5 (ko) | ||
US6714332B2 (en) | Scanning optical system | |
KR100313361B1 (ko) | 광 주사장치의 레이저 다이오드 모듈 | |
JP2000162535A (ja) | 光ビーム走査装置 | |
JP2004354680A (ja) | レーザ走査装置 | |
KR20000000836U (ko) | 광주사장치 | |
JP2557938B2 (ja) | 倒れ補正機能を有する光ビーム走査装置 | |
JP2002169116A (ja) | アナモルフィック結像素子及び光走査装置 | |
JPH11295634A (ja) | 走査光学装置 | |
KR100561463B1 (ko) | 광 주사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