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3195Y1 - 광주사장치 - Google Patents

광주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3195Y1
KR200213195Y1 KR2019980018727U KR19980018727U KR200213195Y1 KR 200213195 Y1 KR200213195 Y1 KR 200213195Y1 KR 2019980018727 U KR2019980018727 U KR 2019980018727U KR 19980018727 U KR19980018727 U KR 19980018727U KR 200213195 Y1 KR200213195 Y1 KR 2002131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mirror
leaf spring
laser beam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87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7318U (ko
Inventor
손상은
Original Assignee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형도
Priority to KR20199800187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3195Y1/ko
Publication of KR200000073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73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31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3195Y1/ko

Links

Landscapes

  • Mechanical Optical Scanning Systems (AREA)
  • Laser Beam Prin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광주사장치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하우징과, 레이저 빔을 주사하는 레이저 다이오드 모듈과, 레이저 다이오드 모듈로부터 주사된 레이저 빔을 일정화각으로 반사시키도록 반사면을 갖는 폴리건 미러와, 레이저 빔을 감광드럼을 향해 전반사시키도록 가변 가능하게 설치되는 반사미러 조립체를 포함하는 광주사장치에 있어서, 반사미러 조립체는, 하우징상에 소정각도 경사지게 설치되며, 레이저 빔을 감광드럼의 표면을 향해 전반사 시키는 반사미러와; 하우징의 바닥면과 반사미러 사이에 헤드부가 위치되며, 하우징상에 나사 체결되는 것을 통해 반사미러의 경사각도를 조절하는 조절나사와; 하우징의 일측 바닥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조절나사의 결합부위와 대향되는 반사미러의 외측단부에 접촉되도록 연장되어 반사미러를 하우징을 향해 탄성지지하는 판 스프링과; 판 스프링의 내측면에 마련되어 반사미러의 측면을 가압지지하는 엠보싱;을 포함하여 된 것으로서, 부품들의 조립오차를 감안하여 가변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반사미러 조립체의 반사미러의 설치각도를 안정되게 조절할 수 있으며, 특히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져도 3단의 밴딩면을 이루고 있고 엠보싱이 형성된 판 스프링을 통해 반사미러의 유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감광드럼상에 안정되게 초점을 맺히게 함으로써 이를 채용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광주사장치
본 고안은 광주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건 미러로부터 일정화각으로 반사된 레이저 빔을 감광드럼을 향해 전반사시키는 반사미러 조립체를 개선한 광주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저 프린터에 적용되고 있는 광주사장치의 구조를 보면, 도 1 및 도 2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의 하우징(1)을 구비하며, 이 하우징(1)의 내부에는 발광부 즉, 광원인 레이저 다이오드 모듈(2)이 위치된다.
이 레이저 다이오드 모듈(2)은 레이저 빔을 발생시키는 레이저 다이오드(3)와, 이 레이저 다이오드(3)로부터 주사된 빔을 평행광으로 정형시키는 콜리메이터 렌즈(4) 그리고 정형된 평행광의 일부만을 통과시키기 위한 장방형 구멍(5a)이 형성된 슬릿(slit;5)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슬릿(5)을 통과한 빔의 경로상에는 주사된 빔을 부주사방향으로 수렴하기 위한 실린드리컬 렌즈(6)와, 고속으로 회전되면서 실린드리컬 렌즈(6)를 통과한 빔을 일정의 화각으로 반사 시키기 위한 다수의 반사면을 갖는 폴리건 미러(7)가 위치된다.
또한 폴리건 미러(7)의 전방에는 감광드럼(9)상에 빔을 스폿(spot)하기 위한 것으로서, 토릭렌즈(8a)와 비구면렌즈인 포커싱렌즈(8b)로 이루어진 f-θ렌즈 즉, 주사렌즈(8)가 위치된다.
이와같은 구성을 갖는 광주사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레이저 모듈을 구성하고 있는 레이저 다이오드(3)로부터 빔이 주사되면, 이 빔은 콜리메이터렌즈(4)를 거치면서 수평의 주주사(main scanning direction)와 수직의 부주사(sub scanning direction)가 평행한 평행빔으로 정형된 다음 슬릿(5)의 장방형 구멍(5a)과 실린드리컬 렌즈(6)를 통과하면서 부주사방향으로 수렴된다.
이와같이 부주사방향으로 수렴된 빔은 고속으로 회전하고 있는 폴리건 미러(7)에서 일정의 화각을 갖는 상태로 반사되고, 토릭렌즈(8a)와 포커싱렌즈(8b)로 이루어진 주사렌즈(8)에 의해 주주사방향으로 수렴된 상태로 감광드럼(9)상에 초점이 맺혀 원하는 화상(畵像)을 얻게된다.
한편, 주사렌즈(8)를 통과한 레이저 빔은 바로 감광드럼(9)상에 초점이 맺히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반사미러(10)를 통해 반사되어 감광드럼(9)상에 초점이 맺히게된다.
이때 반사미러(10)중 복수의 것은 하우징(1)상에 그 위치가 셋팅(seting)된 상태이고, 어느 하나의 반사미러(20)는 하우징(1)을 중심으로 가변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같이 어느 하나의 반사미러(20)를 가변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은, 각 부품의 조립편차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다.
도 3에는 종래의 반사미러(20)를 가변시키기 위한 구조를 나타내 보였다.
이는, 하우징(1)의 경사면(1a)이 마련되어 있어 이에 반사미러(20)가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안착된다.
그리고 이 하우징(1)의 일측면과 반사미러(20)의 후면 일측 사이에는 조정 스크류(30)가 개재되는 바, 이 조정 스크류(30)의 헤드부(31)부위에 반사미러(20)의 후면 일측이 접촉되게 된다.
따라서 조정 스크류(30)를 하우징(1)상에 나사 체결하는 것을 통해 반사미러(20)의 경사각도를 가변적으로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하우징(1)의 일측면상에는 외부로 부터의 충격에 의해 반사미러(2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판 스프링(40)이 위치되는 바, 이 판 스프링(40)의 일단은 하우징(1)에 고정 스크류(S)를 통해 고정되며, 타단은 2단으로 밴딩되어 반사미러(20)의 외측 일면을 탄력적으로 가압한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 반사미러 조립체에 있어서는, 판 스프링(40)을 통해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졌을시에 반사미러(20)가 유동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다.
이와같은 문제점은, 판 스프링(40)이 2단으로 밴딩되어 반사미러(2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충분한 탄성력을 갖고 있지 못하고, 특히 반사미러(20)의 측면을 지지하기 위한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못함으로써 화살표로 나타내 보인 방향으로 쉽게 유동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외부로 부터의 충격에 의해 반사미러(20)가 유동됨으로써 감광드럼(9)상에 정확하게 초점을 맺히지 못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외부로 부터의 충격에 의해 반사미러가 유동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여 감광드럼상에 안정되게 초점을 맺히게 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광주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일반적인 광주사장치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및 정면도,
도 3은 종래 광주사장치에 있어서, 반사미러 조립체를 발췌하여 나타낸 일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광주사장치에 있어서, 반사미러 조립체를 발췌하여 나타낸 일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 1a : 경사면
2 : 레이저 다이오드 모듈 7 : 폴리건 미러
9 : 감광드럼 10 : (고정상태의)반사미러
100 : 반사미러 조립체 110 : 반사미러
120 : 조절나사 121 : (조절나사의)헤드부
130 : 판 스프링 131 : 고정부
132,133 : 제 1, 2 절곡부 134 : 탄성부
140 : 엠보싱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광주사장치는, 사각틀 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상에 내장 설치되며 레이저 빔을 주사하는 레이저 다이오드 모듈과, 고속으로 회전되며,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모듈로부터 주사된 레이저 빔을 일정화각으로 반사시키도록 다수의 반사면을 갖는 폴리건 미러와, 이 폴리건 미러를 통해 일정화각으로 반사된 레이저 빔을 감광드럼을 향해 전반사시키도록 하우징상에 가변 가능하게 설치되는 반사미러 조립체를 포함하는 광주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사미러 조립체는, 상기 하우징상에 소정각도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폴리건 미러로부터 일정화각으로 반사된 레이저 빔을 상기 감광드럼의 표면을 향해 전반사 시키는 반사미러와;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과 상기 반사미러 사이에 헤드부가 위치되며, 상기 하우징상에 나사 체결되는 것을 통해 상기 반사미러의 경사각도를 조절하는 조절나사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 바닥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조절나사의 결합부위와 대향되는 상기 반사미러의 외측단부에 접촉되도록 연장되어 상기 반사미러를 하우징을 향해 탄성지지하는 판 스프링과; 상기 반사미러의 측면과 대응되는 상기 판 스프링의 내측면에 마련되어 상기 반사미러의 측면을 가압지지하는 엠보싱;을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한 특징은, 상기 판 스프링은, 상기 하우징에 고정나사를 통해 고정되는 고정부와, 이 고정부로부터 소정각도 경사지게 다단으로 절곡 연장 형성되는 제 1, 2 절곡부와, 상기 제 2 절곡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반사미러의 외측면에 접촉되도록 절곡 연장되는 탄성부로 구획 형성되는 3단의 밴딩면을 이루고 있는 것에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광주사장치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광주사장치의 요부 발췌 단면도이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대략 직사각형의 하우징(1)을 구비하며, 이 하우징(1)의 내부에는 발광부 즉, 광원인 레이저 다이오드 모듈(2)이 위치된다.
이 레이저 다이오드 모듈은 레이저 빔을 발생시키는 레이저 다이오드(3)와, 이 레이저 다이오드(3)로부터 주사된 빔을 평행광으로 정형시키는 콜리메이터 렌즈(4) 그리고 정형된 평행광의 일부만을 통과시키기 위한 장방형 구멍(5a)이 형성된 슬릿(slit;5)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슬릿(5)을 통과한 빔의 경로상에는 주사된 빔을 부주사방향으로 수렴하기 위한 실린드리컬 렌즈(6)와, 고속으로 회전되면서 실린드리컬 렌즈(6)를 통과한 빔을 일정의 화각으로 반사 시키기 위한 다수의 반사면을 갖는 폴리건 미러(7)가 위치된다.
또한 폴리건 미러(7)의 전방에는 감광드럼(9)상에 빔을 스폿(spot)하기 위한 것으로서, 토릭렌즈(8a)와 비구면렌즈인 포커싱렌즈(8b)로 이루어진 f-θ렌즈 즉, 주사렌즈(8)가 위치된다.
그리고 이 주사렌즈(8)와 감광드럼(9) 사이에는 복수의 반사미러(10)가 설치된다.
이와같은 구성을 갖는 광주사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레이저 모듈을 구성하고 있는 레이저 다이오드(3)로부터 빔이 주사되면, 이 빔은 콜리메이터렌즈(4)를 거치면서 수평의 주주사(main scanning direction)와 수직의 부주사(sub scanning direction)가 평행한 평행빔으로 정형된 다음 슬릿(5)의 장방형 구멍(5a)과 실린드리컬 렌즈(6)를 통과하면서 부주사방향으로 수렴된다.
이와같이 부주사방향으로 수렴된 빔은 고속으로 회전하고 있는 폴리건 미러(7)에서 일정의 화각을 갖는 상태로 반사되고, 토릭렌즈(8a)와 포커싱렌즈(8b)로 이루어진 주사렌즈(8)에 의해 주주사방향으로 수렴된 상태로 감광드럼(9)상에 초점이 맺혀 원하는 화상(畵像)을 얻게된다.
한편, 주사렌즈(8)를 통과한 레이저 빔은 바로 감광드럼(9)상에 초점이 맺히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반사미러(10)를 통해 반사되어 감광드럼(9)상에 초점이 맺히게된다.
이때 반사미러(10)중 어느 일측의 반사미러(10)는, 하우징(1)상에 그 위치가 셋팅(seting)된 상태 즉, 위치 고정된 상태이고, 어느 하나의 것은 부품들의 조립오차를 감안하여 가변될 수 있도록 반사미러 조립체(100)를 이루고 있다.
이와같은 반사미러 조립체(100)는 실질적으로 본 고안의 특징적인 요소를 갖고 있는 것으로서, 그 상세한 구조를 보면 도 4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크게 반사미러(110)와 조절나사(120) 그리고 판 스프링(130)과 엠보싱(140)으로 대별된다.
반사미러(110)는, 전술한 폴리건 미러(7)로부터 일정화각으로 반사된 레이저 빔을 감광드럼(9)을 향해 전반사시키는 것으로서, 특히 하우징(1)의 일측면에 형성된 경사면(1a)에 소정각도 경사지게 안착된다.
조절나사(120)는, 하우징(1)의 일측 바닥면과 반사미러(110) 사이에 개재되는 것으로서, 그 헤드부(121)가 반사미러(110)의 일측 하면에 접촉되어 하우징(1)상에 나사 체결되는 것을 통해 반사미러(110)의 경사각도를 조절한다.
판 스프링(130)은, 외부로 부터의 충격에 의해 반사미러(110)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것으로서, 일단은 하우징(1)상에 고정나사(S)를 통해 고정 설치되며, 타단은 하우징(1)의 외측 일면으로 연장되어 반사미러(110)를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이때 판 스프링(130)의 형상을 보면, 고정나사(S)를 통해 하우징(1)에 고정되는 고정부(131)와, 이 고정부(131)로부터 다단으로 절곡 연장 형성되는 제 1, 2 절곡부(132,133) 그리고 제 2 절곡부(133)의 단부로부터 반사미러(110)의 외면에 접촉되도록 연장되는 탄성부(134)를 이루고 있다. 즉, 판 스프링(130)은 3단의 밴딩면을 이루고 있다.
엠보싱(140)은, 판 스프링(130)의 일측 내면에 일체로 마련되는 것으로서, 반사미러(110)의 측면에 접촉됨으로써 반사미러(110)의 유동을 좀더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 광주사장치에 있어서, 반사미러의 각도를 가변시키는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반사미러(110)를 하우징(1)의 경사면(1a)상에 경사지게 안착시킨다.
이때 반사미러(110)의 하부 일측면은 하우징(1)의 일측면에 위치된 조절나사(120)의 헤드부(121)에 접촉된 상태이고, 상부면은 판 스프링(130)의 탄성부(134)를 통해 탄력적으로 지지된 상태이며, 측면은 엠보싱(140)과 접촉된 상태이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조절나사(120)를 하우징(1)을 중심으로 상부 방향 또는 하부 방향으로 나사 체결하여 그 높낮이를 조절하게 되면, 이에 접촉된 반사미러(110)가 하우징(1)을 중심으로 하여 상향 또는 하향되어 그 설치각도로 가변되어 원하는 설치각도를 얻을 수 있게된다.
한편, 이와같이 반사미러(110)의 설치각도를 조절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게 되어도 반사미러(110)의 설치각도는 가변되지 않게된다. 즉, 반사미러(110)의 유동이 방지된다.
이는, 판 스프링(130)이 3단의 밴딩면을 이루고 있어 2단의 밴딩면을 이루고 있는 종래 판 스프링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강한 탄성력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판 스프링(130)을 구성하고 있는 탄성부(134)가 반사미러(110)의 외측 표면을 수직으로 강한 탄성력을 갖고 가압 지지하는 것이기 때문에 외부로 부터의 충격에 의해서도 유동되지 않게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반사미러(110)의 측면이 판 스프링(130)의 내측일면으로부터 일체로 형성된 엠보싱(140)을 통해 지지되어 있는 것이기 때문에 좀더 효과적으로 반사미러(110)의 유동이 방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광주사장치에 의하면, 부품들의 조립오차를 감안하여 가변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반사미러 조립체의 반사미러의 설치각도를 안정되게 조절할 수 있으며, 특히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져도 3단의 밴딩면을 이루고 있고 엠보싱이 형성된 판 스프링을 통해 반사미러의 유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감광드럼상에 안정되게 초점을 맺히게 함으로써 이를 채용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사각틀 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상에 내장 설치되며 레이저 빔을 주사하는 레이저 다이오드 모듈과, 고속으로 회전되며,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모듈로부터 주사된 레이저 빔을 일정화각으로 반사시키도록 다수의 반사면을 갖는 폴리건 미러와, 이 폴리건 미러를 통해 일정화각으로 반사된 레이저 빔을 감광드럼을 향해 전반사시키도록 하우징상에 가변 가능하게 설치되는 반사미러 조립체를 포함하는 광주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사미러 조립체는, 상기 하우징상에 소정각도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폴리건 미러로부터 일정화각으로 반사된 레이저 빔을 상기 감광드럼의 표면을 향해 전반사 시키는 반사미러와;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과 상기 반사미러 사이에 헤드부가 위치되며, 상기 하우징상에 나사 체결되는 것을 통해 상기 반사미러의 경사각도를 조절하는 조절나사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 바닥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조절나사의 결합부위와 대향되는 상기 반사미러의 외측단부에 접촉되도록 연장되어 상기 반사미러를 하우징을 향해 탄성지지하는 판 스프링과;
    상기 반사미러의 측면과 대응되는 상기 판 스프링의 내측면에 마련되어 상기 반사미러의 측면을 가압지지하는 엠보싱;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은, 상기 하우징에 고정나사를 통해 고정되는 고정부와, 이 고정부로부터 소정각도 경사지게 다단으로 절곡 연장 형성되는 제 1, 2 절곡부와, 상기 제 2 절곡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반사미러의 외측면에 접촉되도록 절곡 연장되는 탄성부로 구획 형성되는 3단의 밴딩면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장치.
KR2019980018727U 1998-09-30 1998-09-30 광주사장치 KR2002131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8727U KR200213195Y1 (ko) 1998-09-30 1998-09-30 광주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8727U KR200213195Y1 (ko) 1998-09-30 1998-09-30 광주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7318U KR20000007318U (ko) 2000-04-25
KR200213195Y1 true KR200213195Y1 (ko) 2001-02-15

Family

ID=69521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8727U KR200213195Y1 (ko) 1998-09-30 1998-09-30 광주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319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9103B1 (ko) * 2002-09-17 2004-12-03 주식회사 에이디피엔지니어링 Fpd용 기판의 결함 검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7318U (ko) 2000-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60410B2 (en) Mirror support device and optical scanning apparatus adopting the same
US6462880B1 (en) Bar code reader
US6621070B2 (en) Bar code scanning system with offset optical axes
US5606449A (en) Optical scanning device
JP3335258B2 (ja) 反射型走査光学装置
JP3335259B2 (ja) 反射型走査光学装置
US6844892B2 (en) Multi-beam scanning device
KR200213195Y1 (ko) 광주사장치
JPH0560991A (ja) 走査光学装置の固定方法
JPH07113973A (ja) 光走査装置
JPS61295526A (ja) 光走査装置
JPH06160748A (ja) 光走査装置
KR20000001579U (ko) 광주사장치
KR100313361B1 (ko) 광 주사장치의 레이저 다이오드 모듈
KR100327321B1 (ko) 광 주사장치의 레이저 다이오드 모듈
KR20070008325A (ko) 광주사 유닛
KR100323042B1 (ko) 광 주사장치의 레이저 다이오드 모듈
JP2004354680A (ja) レーザ走査装置
JP2000292729A (ja) 光走査装置
JP2822255B2 (ja) 走査光学装置
JP3199865B2 (ja) 光学系のハウジング構造
JPH07318839A (ja) レーザビーム走査光学装置
JPH11174359A (ja) 光学ユニットの反射鏡取付構造
KR20060030371A (ko) 광주사장치
KR20060115451A (ko) 광주사장치용 주사광학렌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