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5310U - 도어 포지셔닝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포지셔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5310U
KR19990025310U KR2019970037817U KR19970037817U KR19990025310U KR 19990025310 U KR19990025310 U KR 19990025310U KR 2019970037817 U KR2019970037817 U KR 2019970037817U KR 19970037817 U KR19970037817 U KR 19970037817U KR 19990025310 U KR19990025310 U KR 1999002531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manipulator
positioning device
height
hydraulic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78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탁환수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378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5310U/ko
Publication of KR199900253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5310U/ko

Links

Landscapes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 포지셔닝 장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하나의 도어 포지셔닝 장치에 의해 도어 세팅높이가 상이한 여러가지 차종의 도어를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원가절감에 기여하며 도어 조립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도어 포지셔닝 장치(door positioning device)에 관한 것이다. 즉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면서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바디의 측방에서 도어(56)를 지지하기 위한 도어 매니퓰레이터(52)와, 상기 도어 매니퓰레이터(52)에 도어(56)가 적재될 때 매니퓰레이터(52)를 상방향으로 잡아당기기 위한 에어 밸런서(54)와, 조립되는 차종에 따라 도어(56)의 세팅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절수단(60,66,68,70)으로 이루어져 상이한 도어 세팅높이를 갖는 차종의 도어가 매니퓰레이터에 안착되는 경우 차종선택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에어 실린더가 작동되어 도어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킴으로써 소정의 도어 세팅높이를 유지하게 되므로, 하나의 도어 포지셔닝 장치에 의해 도어 세팅높이가 상이한 여러 가지 차종의 도어를 조립할 수 있게 되어 원가가 절감되고 도어 조립의 작업성이 개선된다.

Description

도어 포지셔닝 장치(APPARATUS FOR DOOR POSITIONING FOR USE IN AN AUTOMOBILE)
본 고안은 도어 포지셔닝 장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하나의 도어 포지셔닝 장치에 의해 도어 세팅높이가 상이한 여러가지 차종의 도어를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원가절감에 기여하며 도어 조립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도어 포지셔닝 장치(door positioning device)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선행기술에 따른 도어 포지셔닝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어 포지셔닝 장치(10)는 도어 매니퓰레이터(12)를 포함하며 도어 매니퓰레이터(12)는 두개의 부재로 구성된다. 도어 매니퓰레이터(12)의 제 1부재는 수직방향으로 위치되어 가이드 레일(18)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되며, 제 2부재는 상기 제 1부재에 수직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방식으로 고정된다. 제 2부재의 하단부에는 도어(16)를 지지하기 위한 도어 서포트가 고정된다.
작업자가 도어 매니퓰레이터(12)를 이동시켜 행거로부터 하나의 도어(16)를 분리시켜 도어 서포트에 적재하면, 도어(16)의 무게에 따라 매니퓰레이터(12)가 하방으로 처지게 되는데, 이러한 매니퓰레이터(12)의 하방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매니퓰레이터(12)의 측방에는 에어 밸런서(14)가 제공되며, 에어 밸런서(14)는 도어의 세팅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따라서, 도어(16)의 세팅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컨베이어(22)를 따라 이동되는 바디(20)를 따라가면서 도어(16)를 바디(20)에 조립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조되는 선행기술에 따른 도어 포지셔닝 장치는 차종의 선택에 따라 도어의 형태가 예컨대 힌지형 도어로부터 볼트형 도어로 변화되는 경우에는 도어의 세팅 높이가 달라지게 되어 작업자가 변화된 도어 높이만큼 직접 손으로 도어를 들은 상태에서 바디에 조립하여야 하였고 이에 따라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에 따른 도어 포지셔닝 장치에 내재되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하나의 도어 포지셔닝 장치에 의해 도어 세팅높이가 상이한 여러가지 차종의 도어를 조립할 수 있도록 구조되므로써 원가절감에 기여하며 도어 조립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도어 포지셔닝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선행기술에 따른 도어 포지셔닝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는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포지셔닝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는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도어 포지셔닝 장치 52 : 도어 매니퓰레이터
54 : 에어 밸런서 56 : 도 어
58 : 가이드 레일 60 : 유압 실린더
62 : 피스톤 로드 64 : 브 래 킷
66 : 스토퍼 센서 68 : 차종선택 스위치
70 : 컨트롤러 72 : 바 디
74 : 컨베이어
본 고안의 일면에 따라, 바디에 대한 도어의 조립시 사용되는 도어 포지셔닝 장치가 제공되고, 상기 장치는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면서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바디의 측방에서 도어를 지지하기 위한 도어 매니퓰레이터, 상기 도어 매니퓰레이터에 도어가 적재될 때 매니퓰레이터를 상방향으로 잡아당기기 위한 에어 밸런서 및 조립되는 차종에 따라 도어의 세팅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절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매니퓰레이터는, 레일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제 1 이동부재 및 상기 제 1부재에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고정되는 제 2 이동부재를 구비한다.
본 고안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높이 조절수단은 상기 제 1 이동부재에 고정되는 유압 실린더와, 일단부가 상기 유압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에 고정되고 다른 단부는 상기 제 2 이동부재에 고정되는 브래킷 및 상기 유압 실린더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제어수단은, 차종선택 스위치와, 도어의 높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 및 상기 차종 선택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상기 유압 실린더를 작동시키고 상기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유압 실린더의 작동을 정지시키게 되는 컨트롤러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센서는 스토퍼 센서로 구성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브래킷이 상기 스토퍼 센서에 접촉됨에 따라 상기 스토퍼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유압 실린더의 작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유압 실린더는 에어 실린더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상기 특성들에 따라, 상이한 도어 세팅높이를 갖는 차종의 도어가 매니퓰레이터에 안착되는 경우 차종선택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에어 실린더가 작동되어 도어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킴으로써 소정의 도어 세팅높이를 유지하게 되므로, 하나의 도어 포지셔닝 장치에 의해 도어 세팅높이가 상이한 여러가지 차종의 도어를 조립할 수 있게 되어 원가가 절감되고 도어조립시의 작업성이 개선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며,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도어 포지셔닝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를 도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도어 포지셔닝 장치(50)는 도어 매니퓰레이터(52)를 포함하며, 도어 매니퓰레이터(52)는 두개의 부재로 구성된다. 도어 매니퓰레이터(52)의 제 1부재는 수직방향으로 위치되어 가이드 레일(58)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되며, 제 2부재는 상기 제 1부재에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방식으로 고정된다. 제 2부재의 하단부에는 도어(56)를 지지하기 위한 도어 서포트가 고정된다.
작업자가 도어 매니퓰레이터(52)를 이동시켜 행거로부터 하나의 도어(56)를 분리시켜 도어 서포트에 적재하면, 도어(56)의 무게에 따라 매니퓰레이터(52)가 하방으로 처지게 되는데, 이러한 매니퓰레이터(52)의 하방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매니퓰레이터(52)의 측방에는 에어 밸런서(54)가 제공되며, 에어 밸런서(54)는 도어의 세팅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라, 도어 매니퓰레이터(52)의 상기 제 1부재의 하단부에는 에어 실린더(60)가 고정되며, 에어 실린더(60)의 내부에는 피스톤이 왕복이동가능한 방식으로 배설된다. 피스톤에는 피스톤 로드(62)의 일단부가 고정되고, 피스톤 로드(62)의 다른 단부는 실린더(60)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된다. 외부로 돌출되는 피스톤 로드(62)에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브래킷(64)의 일단부가 고정되며, 브래킷(64)의 다른 단부는 상기 제 2부재에 고정된다. 상기 에어 실린더(60)의 상부에서 상기 제 1부재에는 스토퍼 센서(66)가 고정적으로 위치되며, 스토퍼 센서(66)는 컨트롤러(70)에 연결된다. 상기 컨트롤러(70)는 또한 차종선택 스위치(68)에 연결된다.
따라서, 예컨대 서로 다른 세팅높이를 가지면서 서로 다른 차종에 부착되는 힌지형 도어와 볼트형 도어를 서로 번갈아가면서 조립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차종선택 스위치(68)를 누르면 컨트롤러(70)가 미리 설정된 도어 세팅높이에 따라 상기 에어 실린더(60)를 작동시킴으로써 차종에 따른 도어 세팅높이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게 된다. 도어의 상승 또는 하강에 따라 상기 스토퍼 센서(66)는 상기 컨트롤러(70)에 신호를 입력하게 되며, 컨트롤러(70)는 스토퍼 센서(66)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에어 실린더(60)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도어(56)의 세팅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컨베이어(74)를 따라 이동되는 바디(72)를 따라가면서 도어(56)를 바디(72)에 조립하게 된다.
본 고안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따라, 상이한 도어 세팅높이를 갖는 차종의 도어가 매니퓰레이터에 안착되는 경우 차종선택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에어 실린더가 작동되어 도어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킴으로써 소정의 도어 세팅높이를 유지하게 되므로, 하나의 도어 포지셔닝 장치에 의해 도어 세팅높이가 상이한 여러가지 차종의 도어를 조립할 수 있게 되어 원가가 절감되고 도어조립시의 작업성이 개선된다.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Claims (2)

  1. 바디에 대한 도어의 조립시 사용되는 도어 포지셔닝 장치에 있어서,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면서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바디(72)의 측방에서 도어(56)를 지지하기 위한 도어 매니퓰레이터(52)와, 일단부가 유압 실린더(60)의 피스톤 로드에 고정되는 브래킷(64)과, 상기 유압 실린더(6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과, 상기 도어 매니퓰레이터(52)에 도어(56)가 적재될 때 매니퓰레이터(52)를 상방향으로 잡아당기기 위한 에어 밸런서(54) 및 조립되는 차종에 따라 도어(56)의 세팅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절수단(60,66,68,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포지셔닝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차종선택 스위치(68)와, 도어(56)의 높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66) 및 차종 선택스위치(68)의 조작에 따라 상기 유압 실린더(60)를 작동시키고, 상기 센서(66)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유압 실린더(60)의 작동을 정지시키게 되는 컨트롤러(7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포지셔닝 장치.
KR2019970037817U 1997-12-16 1997-12-16 도어 포지셔닝 장치 KR1999002531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7817U KR19990025310U (ko) 1997-12-16 1997-12-16 도어 포지셔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7817U KR19990025310U (ko) 1997-12-16 1997-12-16 도어 포지셔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5310U true KR19990025310U (ko) 1999-07-05

Family

ID=69672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7817U KR19990025310U (ko) 1997-12-16 1997-12-16 도어 포지셔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5310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0862B1 (ko) * 2001-09-11 2004-12-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도어 힌지 세팅 시스템
KR100798898B1 (ko) * 2007-01-12 2008-01-29 (주)우진정공 자동차 도어 장착용 높이조절장치
US9517566B2 (en) 2014-11-28 2016-12-13 Hyundai Motor Company Test gripper and test method using the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0862B1 (ko) * 2001-09-11 2004-12-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도어 힌지 세팅 시스템
KR100798898B1 (ko) * 2007-01-12 2008-01-29 (주)우진정공 자동차 도어 장착용 높이조절장치
US9517566B2 (en) 2014-11-28 2016-12-13 Hyundai Motor Company Test gripper and test method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60391C (zh) 电梯
KR100488729B1 (ko) 자동차 차체 바디의 선루프 장착위치 자동 조절장치
KR19990025310U (ko) 도어 포지셔닝 장치
CN108120412B (zh) 间隙检测装置和机械设备
KR960016327B1 (ko) 워크 반송 장치 및 워크 반송 방법
KR0144797B1 (ko) X링크식 승강장치
JP4300465B2 (ja) 車両用昇降装置
KR0126716Y1 (ko) 취출로보트의 z축아암의 스트로크 조정장치
KR100394680B1 (ko) 너트 런너용 보조기구
JPH01165883A (ja) 数台の自動車を停車させるための装置
CN220398219U (zh) 一种基于加热炉炉门的位置检测装置
KR100460863B1 (ko) 프릭션 대차 리프팅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727290B2 (ja) 作業車輛のコントロール装置
JP2012080845A (ja) トラクタの作業機上限規制装置
KR100598852B1 (ko) 위치 변환장치
KR0121729Y1 (ko) 수직 승하강 장치의 자동정위치조정 장치
KR0114248Y1 (ko) 차량용 자동식 승강기
JPH0527432Y2 (ko)
KR19990010812A (ko) 자동차용 볼트 체결장치의 안내수단
JPH05301687A (ja) エレベータ調速機のロープ伸縮補正装置
JPH0450319Y2 (ko)
KR0127539B1 (ko) 싸이렌서 장착용 리프터
JPH02163279A (ja) 油圧エレベータのパワーユニツト
SU1549815A1 (ru) Подвеска сидень оператора самоходной установки
KR920010103A (ko) 입체 주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