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3950A - 디스크성형용 금형 - Google Patents

디스크성형용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3950A
KR19990023950A KR1019980034945A KR19980034945A KR19990023950A KR 19990023950 A KR19990023950 A KR 19990023950A KR 1019980034945 A KR1019980034945 A KR 1019980034945A KR 19980034945 A KR19980034945 A KR 19980034945A KR 19990023950 A KR19990023950 A KR 199900239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ing
side guide
fixed side
movable side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4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요시 사카모토
아키라 하타노
Original Assignee
오자와 미토시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다카하시 미츠오
가부시키가이샤 세이코기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자와 미토시,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다카하시 미츠오, 가부시키가이샤 세이코기켄 filed Critical 오자와 미토시
Publication of KR19990023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395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3Moulds with mould wall parts provided with fine grooves or impressions, e.g. for record 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7/00Producing carriers of records containing fine grooves or impressions, e.g. disc records for needle playback, cylinder records; Producing record discs from master stencils
    • B29D17/005Producing optically read record carriers, e.g. optical 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3Moulds with mould wall parts provided with fine grooves or impressions, e.g. for record discs
    • B29C2045/2648Outer peripheral ring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Manufacturing Optical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고정측 경면판과, 그 고정측 경면판의 바깥둘레에 설치되어 고정측 경면판을 위치결정하는 고정측 가이드링과, 상기 고정측 경면판과의 사이에 캐비티공간을 형성하는 가동측 경면판과, 그 가동측 경면판의 바깥둘레에 설치되고, 가동측 경면판을 위치결정하며 또한, 상기 고정측 가이드링과 맞춰지는 가동측 가이드링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고정측 가이드링 및 가동측 가이드링 중의 적어도 한쪽은 대응하는 경면판에 대하여 자유로이 이동하도록 지지되고, 고정측 가이드링 및 가동측 가이드링 중의 다른 한쪽을 항하여 탄성지지된다. 이 경우, 형이 열린 상태에서는 상기 고정측 가이드링 및 가동측 가이드링 중의 적어도 한쪽이 다른 한쪽을 향하여 탄성지지되기 때문에 형을 닫을 때에 형닫기를 종료하는 바로 앞의 위치에서 고정측 가이드링의 테이퍼면과 가동측 가이드링의 테이퍼면의 압착면접촉이 개시되고, 고정측 가이드링과 가동측 가이드링의 맞춤이 개시된다. 또한, 형이 열릴 때에 형을 여는 것이 개시된 직후에도 고정측 가이드링과 가동측 가이드링의 맞춤이 행해진 그대로가 된다. 따라서, 고밀도이고, 복잡한 전사불량이 발생하기 쉬운 형상의 피트, 그루브 등을 갖는 성형기판을 성형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크성형용 금형
이 발명은 디스크성형용 금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사출성형기에서는 가열실린더 내에 공급된 수지를 용융시키고, 디스크성형용 금형 내에 형성된 캐비티공간에 상기 수지를 충전하여 고화시킴으로써 디스크기판을 얻도록 하고 있다.
상기 디스크성형용 금형은 고정측 조립체 및 가동측 조립체로 구성되고, 형체결장치에 의하여 상기 가동측 조립체를 고정측 조립체에 접촉·분리되도록 하여 형을 닫고, 형조이기 및 형열기를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측 조립체와 가동측 조립체의 위치맞춤을 위해서는 양자간에 가이드링을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제1디스크성형용 금형의 형이 열린 상태도, 도 2는 종래의 제1디스크성형용 금형의 형이 닫힌 상태도이다.
도면에서 11은 고정플래튼(platen), 12는 그 고정플래튼(11)에 볼트(13)에 의하여 설치된 고정측 조립체이다. 그 고정측 조립체(12)는 고정측 베이스플레이트(15), 그 고정측 베이스플레이트(15)에 볼트(17)에 의하여 고정된 고정측 원반플레이트(16), 그 고정측 원반플레이트(16)의 바깥둘레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측 베이스플레이트(15)에 볼트(19)에 의하여 고정된 고리형상의 고정측 가이드링(18), 상기 고정측 베이스플레이트(15)의 고정플래튼(11)측에 설치되며, 고정측 베이스플레이트(15)를 고정플래튼(11)에 대하여 위치결정하는 로케이트링(23) 및 그 로케이트링(23)에 인접하여 설치된 스프루부시(Sprue bush)(24)로 구성된다.
그 스프루부시(24)의 중심에는 도시되지 않은 사출노즐로부터 사출된 수지를 통과시키기 위한 스프루(26)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프루부시(24)의 선단은 캐비티공간(C)에 접하여 다이(28)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고정측 조립체(12)에는 도시되지 않은 스탬퍼플레이트 착탈부시, 고정측 에어브로우부시 등도 설치된다.
한편, 31은 가동플래튼, 32는 그 가동플래튼(31)에 볼트(33)에 의하여 설치된 가동측 조립체이다. 그 가동측 조립체(32)는 가동측 베이스플레이트(35), 그 가동측 베이스플레이트(35)에 볼트(37)에 의하여 고정된 중간플레이트(40), 그 중간플레이트(40)에 볼트(42)에 의하여 고정된 가동측 원반플레이트(36), 그 가동측 원반플레이트(36)의 바깥둘레에 설치되고, 상기 중간플레이트(40)에 볼트(39)에 의하여 고정된 고리형상의 가동측 가이드링(38), 상기 가동측 베이스플레이트(35) 내에서 가동플래튼(31)을 향하여 설치되며, 상기 중간플레이트(40)에 볼트(45)에 의하여 고정된 실린더(44) 및 그 실린더(44)에 의하여 전진·후퇴하게 되고, 상기 다이(28)와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커트펀치(48)로 구성된다.
또, 상기 가동측 원반플레이트(36)의 상기 고정측 원반플레이트(16)와 마주보는 면에는 오목부(50)가 형성된다. 따라서, 도시되지 않은 형체결장치를 작동시켜 가동플래튼(31)을 고정플래튼(11) 측으로 이동시켜 가동측 원반플레이트(36)와 고정측 원반플레이트(16)를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오목부(50)는 캐비티공간(C)이 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44) 내에는 상기 커트펀치(48)와 일체로 형성된 피스톤(51)이 자유로이 전진·후퇴하도록 설치되고, 그 피스톤(51)의 후방(도면의 좌측)에 도시되지 않은 유압실이 형성된다. 또, 피스톤(51)의 전방(도면의 우측)에 커트펀치되돌림용 스프링(52)이 설치되고, 그 커트펀치되돌림용 스프링(52)은 상기 피스톤(51)을 후방으로 탄성지지한다.
따라서, 형의 체결상태에서 상기 유압실에 기름을 공급함으로써 피스톤(51)을 전진(도면의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커트펀치(48)가 전진하게 되어 다이(28) 내로 침입한다. 그 결과, 상기 캐비티공간(C) 내에서 형성된 도시되지 않은 성형기판에 구멍을 뚫는 가공을 실시하여 디스크기판의 내경빼기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측 조립체(32)에는 도시되지 않은 이젝터부시, 이젝터핀, 가동측 에어브로우부시 등도 설치된다.
그런데, 상기 고정측 가이드링(18)의 바깥둘레 가장자리에는 가동측 가이드링(38)측으로 돌출하도록 고리형상볼록부(18a)가 형성되고, 상기 가동측 가이드링(38)의 바깥둘레 가장자리에는 상기 고리형상볼록부(18a)에 대응하는 형상의 고리 형상오목부(38a)가 형성된다. 따라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형체결장치에 의하여 가동플래튼(31)을 전진시켜 형닫기를 하면 상기 고정측 가이드링(18)의 테이퍼면(S1)과 상기 가동측 가이드링(38)의 테이퍼면(S2)이 압착면접촉하게 되며, 형조이기의 종료시점에서 고정측 가이드링(18)과 가동측 가이드링(38)의 맞춤이 행해진다. 즉, 고정측 조립체(12)와 가동측 조립체(32)의 맞춤을 할 수 있다. 또한, 사출성형중에는 1숏(Shot)마다 상기 테이퍼면(S1)(S2)의 압착면접촉이 행해진다.
그러나,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형이 열린 상태가 되면 형체결장치의 구조에 따라 가동플래튼(31) 및 가동측 조립체(32)에 중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고정측 조립체(12)의 중심선과 가동측 조립체(32)의 중심선이 값 △S만큼 편심되어 버린다.
따라서, 형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각 테이퍼면(S1)(S2)에 부분적으로 이상하게 높은 접촉압력이 발생하고, 고정측 가이드링(18) 및 가동측 가이드링(38)이 손상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그리하여, 상기 고정측 조립체(12)와 가동측 조립체(32)의 맞춤을 하기 위하여 양자간에 가이드포스트를 설치한 종래의 디스크성형용 금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종래의 제2디스크성형용 금형의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12는 고정측 조립체이고, 그 고정측 조립체(12)는 고정측 베이스플레이트(15), 고정측 원반플레이트(16), 로케이트링(23) 및 스프루부시(24)로 구성된다.
한편, 32는 가동측 조립체이고, 그 가동측 조립체(32)는 가동측 베이스플레이트(35), 중간플레이트(40), 형이 닫힐 때 및 형을 조일 때에 상기 고정측 원반플레이트(16)와 함께 캐비티공간(C)을 형성하는 가동측 원반플레이트(36), 실린더(44) 및 커트펀치(48)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측 베이스플레이트(15)에는 고정측 조립체(12)의 중심에 대하여 동심원주 상에 4개(도면에서는 2개만을 나타낸다)의 가이드포스트구멍(53)이 연삭가공에 의하여 형성되고, 그 가이드포스트구멍(53)에 가이드포스트(54)가 각각 압입고정되고, 볼트(55)에 의하여 상기 고정측 베이스플레이트(15)에 고정된다.
한편, 중간플레이트(40)의 상기 각 가이드포스트구멍(53)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가이드부시구멍(56)이 연삭가공에 의하여 형성되고, 그 가이드부시구멍(56)에 가이드부시(57)가 각각 압입고정된다. 그리고, 형을 닫는 중에 상기 가이드부시(57)의 도시되지 않은 볼베어링부에 상기 가이드포스트(54)가 들어감으로써 상기 고정측 조립체(12)와 가동측 조립체(32)의 맞춤을 할 수 있다.
또한, 고정측 원반플레이트(16) 및 가동측 원반플레이트(36)에는 각각 온도조절용 수로(61)(62)가 형성되고, 그 온도조절용 수로(61)(62)에 온도조절을 위한 물을 공급함으로써 고정측 원반플레이트(16) 및 가동측 원반플레이트(36)를 냉각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디스크성형용 금형에서는 상기 고정측 조립체(12)와 가동측 조립체(32)의 사이에서 온도차가 발생하는 성형조건에서 성형을 행하려고 하면, 가이드포스트(54)와 가이드부시(57)의 사이에서 피치에러가 발생하고, 가이드포스트(54) 및 가이드부시(57)에 편마모가 발생하여 버린다. 그 결과, 디스크성형용 금형의 내구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편마모에 의하여 발생한 마모된 가루가 캐비티공간(C)의 내면, 도시되지 않은 성형기판 등에 부착되어 디스크기판에 불량이 발생하여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디스크성형용 금형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고정측 조립체와 가동측 조립체의 맞춤을 할 수 있고, 내구성을 높게 할 수 있으며, 디스크기판에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 디스크성형용 금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제1디스크성형용 금형의 형이 열린 상태도,
도 2는 종래의 제1디스크성형용 금형의 형이 닫힌 상태도,
도 3은 종래의 제2디스크성형용 금형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디스크성형용 금형의 형이 열린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디스크성형용 금형의 형이 닫힌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고정플래튼 12 : 고정측 조립체
15 : 고정측 베이스플레이트 16 : 고정측 원반플레이트
18, 78 : 고정측 가이드링 28 : 다이
31 : 가동플래튼 32 : 가동측 조립체
35 : 가동측 베이스플레이트 36 : 가동측 원반플레이트
38 : 가동측 가이드링 40 : 중간플레이트
44 : 실린더 48 : 커트펀치
50 : 오목부 51 : 피스톤
52 : 커트펀치되돌림용 스프링 53 : 가이드포스트구멍
54 : 가이드포스트 56 : 가이드부시구멍
57 : 가이드부시 71 : 설치판
본 발명의 디스크성형용 금형에서는, 고정측 경면판과, 그 고정측 경면판의 바깥둘레에 설치되어 고정측 경면판을 위치결정하는 고정측 가이드링과, 상기 고정측 경면판과의 사이에 캐비티공간을 형성하는 가동측 경면판과, 그 가동측 경면판의 바깥둘레에 설치되어 가동측 경면판을 위치결정하고 또한, 상기 고정측 가이드링과 맞춰지는 가동측 가이드링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고정측 가이드링 및 가동측 가이드링 중의 적어도 한쪽은 대응하는 경면판에 대하여 자유로이 이동하도록 지지되고, 고정측 가이드링 및 가동측 가이드링 중의 다른 한쪽을 향하여 탄성지지된다.
이 경우, 형이 열린 상태에서 상기 고정측 가이드링 및 가동측 가이드링 중 적어도 한쪽이 다른 쪽을 향하여 탄성지지되기 때문에 형이 닫힐 때에 형닫기가 종료하기 직전의 위치에서 고정측 가이드링의 테이퍼면과 가동측 가이드링의 테이퍼면의 압착면접촉이 개시되고, 고정측 가이드링과 가동측 가이드링의 맞춤이 개시된다. 또, 형이 열릴 때에 형열기가 개시된 직후에도 고정측 가이드링과 가동측 가이드링의 맞춤이 행해진 그대로 된다.
따라서, 고밀도이고 복잡한 전사불량이 발생하기 쉬운 형상의 피트, 그루브(groove) 등을 갖는 성형기판을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캐비티공간에 충전된 수지의 압력에 의하여 파팅라인면이 약간 열려져도 고정측 가이드링과 가동측 가이드링의 맞춤이 행해진 그대로 되기 때문에 고정측의 경면판과 가동측의 경면판의 평행도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성형기판의 두께를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더욱이, 가이드포스트, 가이드부시 등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디스크성형용 금형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고, 디스크기판에 불량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디스크성형용 금형에서는, 상기 고정측 가이드링 및 가동측 가이드링 중의 적어도 한쪽을 다른 한쪽을 향하여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수단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디스크성형용 금형에서는, 상기 탄성지지수단은 상기 고정측 가이드링 및 가동측 가이드링 중의 적어도 한쪽에 형성된 홈 내에 수용된 압축스프링이다.
본 발명의 다른 디스크성형용 금형에서는, 상기 고정측 가이드링 및 가동측 가이드링 중의 적어도 한쪽의 이동량을 규제하여 이동스트로크를 설정하는 규제수단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디스크성형용 금형에서는, 상기 고정측 가이드링 및 가동측 가이드링 중의 적어도 한쪽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디스크성형용 금형의 형이 열린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디스크성형용 금형의 형이 닫힌 상태도이다.
도면에서 12는 고정플래튼(11)에 설치판(71)을 통하여 설치된 고정측 조립체이고, 그 고정측 조립체(12)는 고정측 베이스플레이트(15), 그 고정측 베이스플레이트(15)에 볼트(17)에 의하여 고정된 고정측 경면판으로서의 고정측 원반플레이트(16), 그 고정측 원반플레이트(16)의 바깥둘레에 설치되고, 고정측 원반플레이트(16)를 위치결정하는 고리형상의 고정측 가이드링(78), 상기 고정측 베이스플레이트(15)의 고정플래튼(11) 측에 설치되며, 고정측 베이스플레이트(15)를 고정플래튼(11)에 대하여 위치결정하는 로케이트링(23) 및 그 로케이트링(23)에 인접하여 설치된 스프루부시(24)로 구성된다.
그 스프루부시(24)의 중심에는 도시되지 않은 사출노즐로부터 사출된 수지를 통과시키기 위한 스프루(26)가 형성된다. 또, 상기 스프루부시(24)의 선단은 캐비티공간(C)에 접하여 다이(28)를 형성한다.
이 경우 상기 고정측 베이스플레이트(15), 고정측 원반플레이트(16), 로케이트링(23), 스프루부시(24) 및 고정측 가이드링(78)은 모두 동심형상으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고정측 조립체(12)에는 도시되지 않은 스탬퍼플레이트 착탈부시, 고정측 에어브로우부시 등도 설치된다. 또, 73은 설치판(71)을 고정플래튼(11)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 74는 설치판(71)을 고정측 베이스플레이트(15)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이다.
한편, 32는 가동플래튼(31)에 설치된 가동측 조립체이고, 그 가동측 조립체(32)는 가동측 베이스플레이트(35), 그 가동측 베이스플레이트(35)에 볼트(37)에 의하여 고정된 중간플레이트(40), 그 중간플레이트(40)에 볼트(42)에 의하여 고정된 가동측 경면판으로서의 가동측 원반플레이트(36), 그 가동측 원반플레이트(36)의 바깥둘레에 설치되고, 상기 중간플레이트(40)에 볼트(39)에 의하여 고정되어 가동측 원반플레이트(36)를 중간플레이트(40)에 대하여 위치결정하는 고리형상의 가동측 가이드링(38), 상기 가동측 베이스플레이트(35) 내에서 가동플래튼(31)을 향하여 설치되고, 중간플레이트(40)에 볼트(45)에 의하여 고정된 실린더(44) 및 그 실린더(44)에 의하여 전진·후퇴하게 되며, 상기 다이(28)와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커트펀치(48)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동측 원반플레이트(36)의 고정측 원반플레이트(16)와 마주보는 면에는 오목부(50)가 형성된다. 따라서, 도시되지 않은 형체결장치를 작동시켜 가동플래튼(31)을 고정플래튼(11)측으로 이동시켜 가동측 원반플레이트(36)와 고정측 원반플레이트(16)를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오목부(50)는 캐비티공간(C)이 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44) 내에는 상기 커트펀치(48)와 일체로 형성된 피스톤(51)이 자유로이 전진·후퇴하도록 설치되고, 그 피스톤(51)의 후방(도면의 좌측)에 도시되지 않은 유압실이 형성된다. 또, 상기 피스톤(51)의 전방(도면의 우측)에 커트펀치되돌림용 스프링(52)이 설치되고, 그 커트펀치되돌림용 스프링(52)은 상기 피스톤(51)을 후방으로 탄성지지한다.
따라서, 형의 체결상태에서 상기 유압실에 기름을 공급함으로써 피스톤(51)을 전진(도면의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커트펀치(48)가 전진하게 되어 다이(28) 내에 침입한다. 그 결과, 상기 캐비티공간(C) 내에서 형성된 도시되지 않은 성형기판에 구멍을 뚫는 가공을 실시하여 디스크기판의 내경빼기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측 조립체(32)에는 도시되지 않은 이젝터부시, 이젝터핀, 가동측 에어브로우부시 등도 설치된다.
그런데, 상기 고정측 가이드링(78)의 바깥둘레 가장자리에는 가동측 가이드링(38)측으로 돌출하도록 고리형상볼록부(78a)가 형성되고, 상기 가동측 가이드링(38)의 바깥둘레 가장자리에는 상기 고리형상볼록부(78a)에 대응하는 형상의 고리 형상오목부(38a)가 형성된다. 따라서, 형체결장치에 의하여 가동플래튼(31)을 전진시켜 형닫기가 행해지면 상기 고정측 가이드링(78)의 테이퍼면(S1)과 가동측 가이드링(38)의 테이퍼면(S2)이 압착면접촉하게 되며, 고정측 가이드링(78)과 가동측 가이드링(38)의 맞춤이 행해진다.
또한, 상기 테이퍼면(S1)(S2)은 모두 디스크성형용 금형의 축중심에 대하여 5°경사지게 한다. 그리고, 상기 테이퍼면(S1)(S2)에 연삭가공을 실시하고, 랩(Lap)가공을 실시하여 완전한 끼움상태를 형성하며, 그 후 필요에 따라 막두께 1~2㎛의 고체윤활피막을 형성하도록 한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에서는 형의 체결상태에서 형열기가 개시된 직후의 일정한 스트로크사이에서 고정측 조립체(12)와 가동측 조립체(32)의 맞춤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측 가이드링(78)이 고정측 원반플레이트(16)에 대하여 자유로이 이동하도록 지지되고 또, 고정측 베이스플레이트(15)에 대하여 자유로이 유동하도록 지지된다.
그 때문에 고정측 가이드링(78)과 고정측 원반플레이트(16)의 사이에 고정측 가이드링(78)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로서의 리니어베어링(75)이 설치되어 고정측 원반플레이트(16)에 대하여 고정측 가이드링(78)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고정측 가이드링(78)에 고정측 베이스플레이트(15)를 향하여 홈(82)이 형성되고, 그 홈(82)에 탄성지지수단으로서의 압축스프링(83)이 수용된다. 따라서, 그 압축스프링(83)에 의하여 고정측 가이드링(78)은 가동측 가이드링(38)을 향하여 탄성지지된다. 이 경우 디스크성형용 금형을 온도조절상태로 하였을 때 즉, 성형중에 상기 리니어베어링(75)은 고정측 가이드링(78)이 고정측 원반플레이트(16)에 대하여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도록 압입되고 또, 상기 압축스프링(83)의 하중은 형이 열린 직후에 가동플래튼(31) 및 가동측 조립체(32)의 중량을 지지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그리고, 고정측 가이드링(78)에는 고정측 베이스플레이트(15)를 관통하여 연장되어 고정측 가이드링(78)의 이동량을 규제하는 규제수단으로서의 스톱볼트(72)가 고정되고, 고정측 베이스플레이트(15)의 소정의 장소에 형성된 단부(K1)와 스톱볼트(72)의 헤드(84)가 선택적으로 걸려지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형이 열린 상태에서 고정측 가이드링(78)은 압축스프링(83)에 의하여 가동측 가이드링(38)을 향하여 탄성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단부(K1)와 헤드(84)가 걸린다. 이때 고정측 가이드링(78)과 고정측 베이스플레이트(15)의 사이에 소정의 이동스트로크로서 스톱볼트(72)에 의하여 설정된 빈틈(S;0.5mm)이 형성된다. 또한, 형이 닫힌 상태에서 고정측 가이드링(78)이 압축스프링(83)의 탄성지지력에 대항하여 가동측 가이드링(38)에 의하여 고정플래튼(11)측에 눌리어 고정측 베이스플레이트(15)와 밀착한다. 이때 상기 단부(K1)와 헤드(84)의 사이에 빈틈(S)이 형성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정측 가이드링(78)을 고정측 원반플레이트(16)에 대하여 자유로이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되어 있는데, 가동측 가이드링(38)을 가동측 원반플레이트(36)에 대하여 자유로이 이동하도록 지지할 수도 있다. 또한, 고정측 가이드링(78) 및 가동측 가이드링(38)을 각각 고정측 원반플레이트(16) 및 가동측 원반플레이트(36)에 대하여 자유로이 이동하도록 지지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형이 열린 상태에서 고정측 가이드링(78)이 고정측 원반플레이트(16)에 대하여 빈틈(S)만큼 전진(도면의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기 때문에 형이 닫힐 때에 형닫기가 종료하기 직전의 빈틈(S)만큼 바로 앞의 위치에서 테이퍼면(S1)(S2)의 압착면접촉이 개시되고, 고정측 조립체(12)와 가동측 조립체(32)의 맞춤이 개시된다. 또, 형이 열릴 때에 형열기가 개시된 직후의 빈틈(S)만큼 고정측 가이드링(78)이 가동측 가이드링(38)에 계속 접촉되기 때문에 그 동안에 테이퍼면(S1)(S2)의 압착면접촉이 유지되어 고정측 조립체(12)와 가동측 조립체(32)의 맞춤이 행해진 그대로가 된다.
따라서, 고정밀도이고 복잡한 전사불량이 발생하기 쉬운 형상의 피트, 그루브 등을 갖는 성형기판을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캐비티공간(C)에 충전된 수지의 압력에 의하여 파팅라인면이 약간 열려져도 고정측 조립체(12)와 가동측 조립체(32)의 맞춤이 행해진 그대로 되기 때문에 고정측 원반플레이트(16)의 경면과 가동측 원반플레이트(36)의 경면의 평행도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성형기판의 두께를 일정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형열기가 개시된 직후에도 고정측 조립체(12)와 가동측 조립체(32)의 맞춤이 행해진 그대로 되기 때문에 커트펀치(48)를 전진시킨 상태 그대로 형열기를 할 수도 있다.
게다가, 가이드포스트, 가이드부시 등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디스크성형용 금형의 내구성을 높게 할 수 있고, 디스크기판에 불량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에 의거하여 다양하게 변형시킬 수 있고, 그들을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배제하지 않는다.

Claims (5)

  1. 고정측 경면판과,
    상기 고정측 경면판의 바깥둘레에 설치되어 고정측 경면판을 위치결정하는 고정측 가이드링과,
    상기 고정측 경면판과의 사이에 캐비티공간을 형성하는 가동측 경면판과,
    상기 가동측 경면판의 바깥둘레에 설치되어 가동측 경면판을 위치결정하며 또한, 상기 고정측 가이드링과 맞춰지는 가동측 가이드링을 가짐과 동시에,
    상기 고정측 가이드링 및 가동측 가이드링 중의 적어도 한쪽은 대응하는 경면판에 대하여 자유로이 이동하도록 지지되며, 고정측 가이드링 및 가동측 가이드링 중의 다른 한쪽을 향하여 탄성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성형용 금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측 가이드링 및 가동측 가이드링 중의 적어도 한쪽을 다른 한쪽을 향하여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수단을 갖는 디스크성형용 금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수단은 상기 고정측 가이드링 및 가동측 가이드링 중의 적어도 한쪽에 형성된 홈 내에 수용된 압축스프링인 디스크성형용 금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측 가이드링 및 가동측 가이드링 중의 적어도 한쪽의 이동량을 규제하여 이동스트로크를 설정하는 규제수단을 갖는 디스크성형용 금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측 가이드링 및 가동측 가이드링 중의 적어도 한쪽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갖는 디스크성형용 금형.
KR1019980034945A 1997-08-29 1998-08-27 디스크성형용 금형 KR1999002395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33868A JPH1170529A (ja) 1997-08-29 1997-08-29 ディスク成形用金型
JP97-233868 1997-08-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3950A true KR19990023950A (ko) 1999-03-25

Family

ID=16961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4945A KR19990023950A (ko) 1997-08-29 1998-08-27 디스크성형용 금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899075A1 (ko)
JP (1) JPH1170529A (ko)
KR (1) KR19990023950A (ko)
CN (1) CN1210059A (ko)
SG (1) SG728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396C (zh) * 2000-08-04 2004-03-03 株式会社精工技研 圆盘模制模具
JP2002254480A (ja) * 2000-12-25 2002-09-11 Mitsubishi Materials Corp 光ディスクの成形方法およびこの方法に用いる光ディスク成形用金型装置
CN100425419C (zh) * 2002-11-18 2008-10-15 住友重机械工业株式会社 成形用金属模、成形方法、盘基板以及成形机
EP1514666B1 (de) 2003-09-08 2009-08-05 AWM Mold Tech AG Spritzgusswerkzeug für die Herstellung von scheibenförmigen Informationsträgern
JP2006188059A (ja) * 2005-01-06 2006-07-20 Awm Mold Tech Ag 円板状情報媒体製造のための射出成形工具
EP1683620A1 (en) * 2005-01-20 2006-07-26 TDK Corporation An injection mould for an optical disc and a moulding method
JP7109633B1 (ja) * 2021-05-10 2022-07-29 ▲張▼洪雷 冷却機能付き金型用部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11136C2 (de) * 1983-03-26 1986-01-16 Strack-Norma Gmbh, 5600 Wuppertal Spritzgießform mit mehreren zylindrischen Zentriereinheiten
JPS63144028A (ja) * 1986-12-05 1988-06-16 Meiki Co Ltd ディスク基盤用成形型
JP3258188B2 (ja) * 1994-12-09 2002-02-18 株式会社精工技研 鰓クラッチ状型開き案内手段をもつディスク射出成形金型装置
JP2974238B2 (ja) * 1994-11-30 1999-11-10 株式会社精工技研 型開き案内手段をもつディスク射出成形金型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70529A (ja) 1999-03-16
EP0899075A1 (en) 1999-03-03
SG72859A1 (en) 2000-05-23
CN1210059A (zh) 1999-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91579A (en) Hot sprue valve assembly for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JP2642158B2 (ja) 光ディスク基板成形用金型
US6558152B2 (en) Disc-molding mold
KR19990023950A (ko) 디스크성형용 금형
KR100710727B1 (ko) 성형용 금형, 성형방법, 디스크기판 및 성형기
US20070176311A1 (en) Mold for molding disk, adjustment member, and method of molding disk substrate
JP2918144B2 (ja) 射出成形用金型
KR100220156B1 (ko) 디스크 성형용 금형
EP0102813B1 (en) Straight-hydraulic mold clamping system
JPH0153615B2 (ko)
JPH1015949A (ja) ディスク成形用金型
JPH07329133A (ja) 射出圧縮成形用金型装置およびその組立方法
JP2003291178A (ja) 成形用金型装置
JPH08300419A (ja) 射出成形用金型
EP0882562B1 (en) Disc molding die
JPH11179771A (ja) 射出成形用金型
JP2002248656A (ja) 射出成形装置、及び、射出成形装置のホットランナー部の取り付け構造、並びに、ホットランナー部の組み込み方法
JP2005280002A (ja) 金型装置、成形品、その成形方法及び成形機
KR100783651B1 (ko) 금형장치, 성형품, 그 성형방법, 성형기 및 부쉬
JPH0382514A (ja) ディスク成形用金型
JPH05309696A (ja) ディスク用射出成形金型
JP3047382B2 (ja) 射出成形用金型のバルブゲート装置およびバルブゲート形成方法
JPH0252613B2 (ko)
JPH0158058B2 (ko)
JP2005104016A (ja) 成形用金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