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2073A - 폴리하이드록시 알킬 아민의 농축 용액 및 특히 폴리하이드록시알킬 카복실산 아미드를 제조하기 위한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폴리하이드록시 알킬 아민의 농축 용액 및 특히 폴리하이드록시알킬 카복실산 아미드를 제조하기 위한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2073A
KR19990022073A KR1019970708552A KR19970708552A KR19990022073A KR 19990022073 A KR19990022073 A KR 19990022073A KR 1019970708552 A KR1019970708552 A KR 1019970708552A KR 19970708552 A KR19970708552 A KR 19970708552A KR 19990022073 A KR19990022073 A KR 199900220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olution
formula
alcohol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8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베른트 파펜푸스
Original Assignee
귀틀라인
클라리안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귀틀라인, 클라리안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귀틀라인
Publication of KR19990022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207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15/00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15/02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hydroxy groups and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15/04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hydroxy groups and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saturated
    • C07C215/06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hydroxy groups and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saturated and acyclic
    • C07C215/14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hydroxy groups and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saturated and acyclic the nitrogen atom of the amino group being further bound to hydrocarbon groups substituted by amino grou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Polyamides (AREA)

Abstract

특정 폴리하이드록실 알킬 아민은 물, 알콜 및 이들의 혼합물에 매우 신속하게 용해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기술된 농축 용액은 필수적으로 용매로서 물, 알콜, 바람직하게는 C1내지 C3알콜, 또는 물/알콜 혼합물 및 화학식 1의 디알킬 아미노프로필 글루카민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다.
화학식 1
Z-NH-CH2CH2CH2-NR1R2
상기 화학식 1에서,
R1및 R2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C1내지 C4알킬 또는 탄소수 2 내지 4의 하이드록시알킬이며,
Z는 가능하게 옥스알킬화된 OH 그룹을 3개 이상 갖는 직쇄 폴리하이드록실 탄화수소 라디칼이다.
농축 용액은 상응하는 폴리하이드록실 알킬 카복실산 아미드의 제조에 특히 적합하다.

Description

폴리하이드록시알킬아민의 농축 용액 및 특히 폴리하이드록시 알킬카복실산 아미드를 제조하기 위한 이의 용도
본 발명은 용매로서 물, 알콜 또는 물/알콜 혼합물 중의 폴리하이드록시알킬아민의 농축 용액 및 폴리하이드록시알킬카복스아미드를 제조하기 위한 이러한 용액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폴리하이드록시알킬아민은 화장품의 제조에 유용한 화합물이다(참조: 미국 특허원 제4 021 539호). 또한, 이들은 우레아 유도체를 제조하는데 유리한(참조: 독일 특허원 제23 49 278호), 특히, 지방산 또는 지방산의 알킬 에스테르와 같은 지방산 유도체와 아민 화합물의 아실화(아미드화)에 의하여 상응하는 카복스아미드를 제조하는데 유리한(참조: 독일 특허원 제43 22 874호) 출발 화합물이다. 폴리하이드록시알킬아민은 특히 글루코스 단위의 경우 글루카민이라고 하고, 다른 당 단위의 경우 글루카민이라고 하는 아미노 당을 포함한다. 따라서, 수득한 카복스아미드는 각각 글루카미드 및 글리카미드라고 한다. 문제의 화합물은 이하, 단지 간결하게 하기 위하여 글루카민 및 글루카미드라고 한다.
글루카민은 글루코스의 촉매적 환원성 아민화에 의하여 제조되며 일반적으로 수용액, 알콜 용액 또는 수성/알콜 용액으로, 특히 상응하는 계면 활성 글루카미드의 제조용으로 시판중이다. 글루카미드를 제조하기 위하여, 글루카민은 농축된 알콜 용액의 형태, 바람직하게는 글루카민 용융물의 형태로 사용된다(참조: 상기 기술된 독일 특허원 제43 22 874호). 따라서, 두 경우 모두에서, 농축된 글루카민용액이 다소 필요하다. 그러므로, 농축된 알콜 용액이 이렇게 사용될 수 있다. 글루카민 화합물이 용융물의 형태로 사용되는 경우, 농축 용액은 용매를 제거하는 장치 및 에너지의 면에서 용액을 희석시키는 것 보다 덜 필요로 한다. 게다가, 용액의 운반은 글루카민의 농도에 따라 다소 높은 비용을 초래한다. 용융물 중에서의 운반은 글루카민의 열 안정성의 부족으로 인하여 일반적으로 문제시된다. 그 결과, 물, 알콜 또는 물/알콜 혼합물에 신속하게 용해하는 글루카민을 갖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글루카민 화합물은 농축 용액의 제조를 가능하게하여, 글루카미드를 제조하는데 특히 유리한 생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놀랍게도, 다수의 글루카민 화합물 중에서 디알킬아미노프로필글루카민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것은 물, 알콜, 특히 C1-C3 알콜 및 물과 알콜의 혼합물에 특히 높은 용해도를 갖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따라서, 다음 화학식 1의 디알킬아미노프로필글루카민 하나 이상의 농축 수용액, 알콜 용액, 바람직하게는 C1-C3 알콜 용액 및 수성/알콜 용액이 발견되었다.
Z-NH-CH2CH2CH2-NR1R2
상기 화학식 1에서,
R1및 R2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C1-C4알킬 또는 탄소수 2 내지 4의 하이드록시알킬이며,
Z는 필요한 경우 알콕시화될 수 있는 3개 이상의 OH 그룹을 갖는 직쇄 폴리하이드록시탄화수소 라디칼이다.
바람직한 것은 R1및 R2가 메틸이고 Z가 단당류 또는 이당류, 특히 글루코스를 환원시켜 유도된 당 알콜의 라디칼인, 화학식 1의 화합물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용액은 용액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필수적으로 화학식 1의 화합물(a) 하나 이상 45 내지 90중량%,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80중량%, 특히 60 내지 70중량% 및 용매로서 물, C1-C3알콜 하나 이상 또는 물과 C1-C3알콜(b) 하나 이상 10 내지 55중량%,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5중량%, 특히 30 내지 40중량%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C1-C3알콜은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및/또는 1,2-프로판디올이다. 용매 중의 물/알콜의 용적비는 넓은 범위 내에서 변할 수 있다. 따라서, 주로 물로 이루어지거나 주로 알콜로 이루어진 물/알콜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알콜 혼합물의 바람직한 용적비는 1:2 내지 2:1이고, 1:1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술된 용매 중에서, 물 및 물/알콜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외관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용액은 투명하게 보이고 약 15℃ 초과의 온도에서는 침전이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제안된 화학식 1의 N,N-디알킬-N'-폴리하이드록시알킬프로필렌디아민은 실온 및 더 높은 온도에서도 상술된 용매에 신속하게 용해한다. 유리한 온도 범위는, 농축 용액의 운반 및 저장을 감안하여, 약 15 내지 70℃이다. 실온에서의 용해도는 알콜 단독에서보다 물 및 물/알콜 혼합물에서 다소 높다. 더 높은 온도에서, 3가지 용매 모두에서의 용해도는 실질적으로 동등하게 높다. 따라서, 실온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용액은 용액을 기준으로하여 필수적으로 예를 들면, 화학식 1의 화합물(a) 하나 이상 55 내지 70중량% 및 물 또는 물/알콜 혼합물(b) 30 내지 45중량%로 이루어진다. 더 높은 온도, 예를 들면, 50 내지 70℃에서는, 고농축 용액이 가능하며, 용매는 또한 알콜만일 수 있다. 이러한 용액은 용액을 기준으로 하여, 필수적으로 예를 들면, 화학식 1의 화합물(a) 하나 이상 55 내지 90중량% 및 용매(b) 10 내지 45중량%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글루카민 농축 용액의 제조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술된 환원 아민화의 체계 내에서 수행된다. 여기서, 화학식 1에서의 라디칼 Z에 상응하는 당 화합물을 상술된 용매인 물, 알콜 또는 물과 알콜 중에서 수소화 촉매의 존재하에 화학식 2의 N,N-디알킬알킬렌디아민을 사용하여 환원적으로 아민화하여 화학식 2의 글루카민 화합물을 제공한다.
H2N-(CH2)3-NR1R2
상기 화학식 2에서,
R1및 R2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다.
당 화합물 대 아민의 몰 비는 약 1:1 내지 1.2이다. 용매는 형성된 글루카민 화합물을 기준으로 하여, 약 5 내지 50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바람직한 용매는 물 및 상술된 물/알콜 혼합물이다. 사용될 수 있는 촉매는 아민화되는 당 화합물을 기준으로 하여, 일반적으로 0.01 내지 3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중량%의 양인 활성 탄소위의 팔라듐, 아크롬산구리 및, 특히 라니 니켈과 같은 통상적인 수소화 촉매이다. 환원성 아민화 반응은 40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20℃의 온도 및 10 내지 200bar,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00bar의 수소압에서 수행된다. 촉매는 예를 들면, 여과에 의하여 형성된 글루카민 화합물을 함유하는 수득한 용액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문제의 글루카민의 우수한 용해도로 인하여, 희석 반응 용액은 예를 들면, 용매의 증발 또는 증류에 의하여 간단히 농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안된 N-(3-디알킬아미노)프로필-N-폴리하이드록시알킬아민은, 이미 강조한 바와 같이, 기술된 용매에서 기대하지 않게도 높은 용해도를 갖는다. 다른 글루카민과 비교하여 이러한 탁월한 특성으로 인하여, 이들은 특히 상응하는 아미드 화합물을 제조하는데 적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화학식 3의 폴리하이드록시알킬카복스아미드를 제조하기 위한 N-관능화된 글루카민을 함유하는 기술된 용액의 용도를 제공한다.
상기 화학식 3에서,
R은 탄소수 5 내지 23의 지방족 라디칼,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7 내지 17의 지방 알킬 라디칼이고,
R1, R2및 Z는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이들 N-(3-디알킬아미노)프로필-N-폴리하이드록시알킬카복스아미드의 제조, 특히 상응하는 글루카미드의 제조는 상기 기술된 독일 특허원 제43 22 874호에 기술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 따라, 잔존하는 용매는 본 발명에 따른 농축 용액 또는 고 농축 용액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고, 글루카민은 아미드화제, 즉 지방산 또는 지방산 유도체, 바람직하게는 지방산의 C1-C4알킬 에스테르와 용융물의 형태로 반응하여, 상응하는 N-관능화된 글루카미드를 형성한다. 용융물의 형태인 글루카민 화합물을 사용하는 이러한 바람직한 반응은 약 60 내지 130℃의 온도에서 알칼리성 촉매의 존재하에서 수행된다. 이는 독일 특허원 제43 22 874호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으며, 이는 본원에서 참조 문헌으로 인용한다.
화학식 1에서의 폴리하이드록시알킬 라디칼 Z에 관하여, 다음이 또한 기술될 수 있다. 이러한 라디칼은 바람직하게는 이미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환원당 또는 환원당 유도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폴리하이드록시알킬 화합물로부터 유도된다. 바람직한 환원당 화합물은 단당류, 바람직하게는 펜토스 및 헥소스, 및 올리고사카라이드, 바람직하게는 이당류 및 필요한 경우, 삼당류이다. 단당류의 예는 글루코스, 갈락토스, 만노스 및 헥소스 및 아라비노스와 같은 탈로스, 리보스 및 펜토스와 같은 크실로스이다. 단당류 중에서, 헥소스가 바람직하다. 올리고사카라이드(다당류)의 예는 락토스, 말토스, 말토트리오스 등이다. 특히 바람직한 폴리하이드록시알킬 라디칼은 환원 헥소스, 특히 글루코스(소트비틸 라디칼)로부터 유도된다.
본 발명을 이제 다양한 글루카민의 용해도에 대한 보고에 의하여 설명한다.
화학식 1의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글루카민 및 유사한 N-치환된 글루카민, 즉 N-메틸글루카민, N-부틸글루카민 및 N-헥실글루카민의 용해도를 물, 용적비 1:1인 물과 이소판올과의 혼합물 및 메탄올에서 시험한다. 용해도에 대하여 비교할 글루카민 화합물을 10 내지 70중량%의 농도로 60℃에서 교반하면서 상술된 용매에 용해하고, 후속적으로 60℃ 및 실온(20℃)에서 5일 동안 저장한다. 이들 저장 시험의 결과를 아래의 표 1에 요약하며, 여기서 +는 외관상 투명하고 침전이 없는 유동성, 저장 안정성 용액이고, -는 혼탁, 침전 또는 심지어 응고의 형성을 나타낸다. 또한 RT는 실온에 대한 약어이고 DMAP-글루카민은 화학식 1의 N-디메틸아미노프로필-글루카민에 대한 약어로 사용된다.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해도의 차이는 용매로서 메탄올에서 가장 잘 표명된다. 물에서도, N-부틸글루카민 및 N-헥실글루카민은 사실상 불용성이고 단쇄 N-메틸글루카민은 상대적으로 고온(60℃)에서만 고농도에 용해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발명에 따라 제안된 N-디메틸아미노프로필글루카민은 시험한 모든 상태하에서 현저히 더욱 가용성이어서, 기술된 고 농축 용액으로의 농축이 가능하다.
글루카민 화합물의 용해도
농도(중량%) N-메틸글루카민 N-부틸글루카민 N-헥실글루카민 DMAP-글루카민
RT 60℃ RT 60℃ RT 60℃ RT 60℃
물에서
70605040302010 ---++++ +++++++ ------+ ---++++ ------- ------+ +++++++ +++++++
물/이소프로판올(1:1)에서
70605040302010 ----+++ +++++++ ------+ --+++++ ------- --+++++ -++++++ +++++++
메탄올에서
70605040302010 ------- -----++ ------- ------+ ------- ------+ ---++++ +++++++

Claims (9)

  1. 화학식 1의 디알킬아미노프로필글루카민 하나 이상의 농축 수용액, 알콜 용액 또는 수성/알콜 용액.
    화학식 1
    Z-NH-CH2CH2CH2-NR1R2
    상기 화학식 1에서,
    R1및 R2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C1-C4알킬 또는 탄소수 2 내지 4의 하이드록시알킬이며,
    Z는, 필요한 경우, 알콕시화될 수 있는 OH 그룹을 3개 이상 갖는 직쇄 폴리하이드록시탄화수소 라디칼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용액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필수적으로 화학식 1의 화합물(a) 하나 이상 45 내지 90중량%와 용매로서의 물, C1-C3알콜 하나 이상 또는 물과 C1-C3알콜(b) 하나 이상 10 내지 55중량%로 이루어진 용액.
  3. 제1항에 있어서, 용액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필수적으로 화학식 1의 화합물(a) 하나 이상 55 내지 80중량%와 용매로서의 물, C1-C3알콜 하나 이상 또는 물과 C1-C3알콜(b) 하나 이상 20 내지 45중량%로 이루어진 용액.
  4. 제1항에 있어서, 용액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필수적으로 화학식 1의 화합물(a) 하나 이상 60 내지 70중량%와 용매로서의 물, C1-C3알콜 하나 이상 또는 물과 C1-C3알콜(b) 하나이상 30 내지 40중량%로 이루어진 용액.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매가 물 또는 물/알콜 혼합물인 용액.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알콜이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또는 1,2-프로판디올 또는 이들 알콜 둘 이상의 혼합물인 용액.
  7.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및 R2가 메틸이고 Z가 환원 단당류 또는 이당류로부터 유도된 당 알콜의 라디칼인 용액.
  8.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및 R2가 메틸이고, Z가 소르비틸 라디칼인 용액.
  9. 화학식 3의 폴리하이드록시알킬카복스아미드룰 제조하기 위한, 제1항에 따르는 용액의 용도.
    화학식 3
    상기 화학식 3에서,
    R은 탄소수 5 내지 23의 지방족 라디칼이고,
    R1, R2및 Z는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KR1019970708552A 1995-05-30 1996-05-24 폴리하이드록시 알킬 아민의 농축 용액 및 특히 폴리하이드록시알킬 카복실산 아미드를 제조하기 위한 이의 용도 KR199900220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519705A DE19519705A1 (de) 1995-05-30 1995-05-30 Konzentrierte Lösungen von Polyhydroxyalkylaminen und deren Verwendung
DE19519705.4 1995-05-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2073A true KR19990022073A (ko) 1999-03-25

Family

ID=7763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8552A KR19990022073A (ko) 1995-05-30 1996-05-24 폴리하이드록시 알킬 아민의 농축 용액 및 특히 폴리하이드록시알킬 카복실산 아미드를 제조하기 위한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5744644A (ko)
EP (1) EP0833813B1 (ko)
JP (1) JPH11505857A (ko)
KR (1) KR19990022073A (ko)
AU (1) AU695304B2 (ko)
BR (1) BR9608695A (ko)
CA (1) CA2219225A1 (ko)
CZ (1) CZ375197A3 (ko)
DE (2) DE19519705A1 (ko)
HU (1) HUP9801811A3 (ko)
NO (1) NO974915D0 (ko)
PL (1) PL323591A1 (ko)
WO (1) WO199603840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5081B1 (ko) * 2004-07-19 2007-01-09 에어 프로덕츠 앤드 케미칼스, 인코오포레이티드 폴리히드록시알킬 알킬렌디아민 n,n’-디알킬 유도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40186A1 (de) * 1996-09-30 1998-04-02 Clariant Gmbh Tensidhaltige Formulierung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349278A1 (de) * 1973-10-01 1975-04-10 Henkel & Cie Gmbh N-alkyl-n'-polyhydroxyalkyl-n'-aminoalkyl-harnstoffe und deren verwendung in waschmitteln
DE2404070A1 (de) * 1974-01-29 1975-08-14 Henkel & Cie Gmbh Hautpflege- und hautschutzmittel mit einem gehalt an haut-feuchthaltemitteln
DE4322874C2 (de) * 1993-07-09 1995-07-20 Hoechst Ag Verfahren zur kontinuierlichen Herstellung von Polyhydroxyfettsäureamiden aus N-Alkylpolyhydroxyaminen und Fettsäurealkylester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5081B1 (ko) * 2004-07-19 2007-01-09 에어 프로덕츠 앤드 케미칼스, 인코오포레이티드 폴리히드록시알킬 알킬렌디아민 n,n’-디알킬 유도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5901796A (en) 1996-12-18
BR9608695A (pt) 1999-07-06
WO1996038404A1 (de) 1996-12-05
EP0833813A1 (de) 1998-04-08
DE59605136D1 (de) 2000-06-08
NO974915L (no) 1997-10-24
EP0833813B1 (de) 2000-05-03
PL323591A1 (en) 1998-04-14
US5744644A (en) 1998-04-28
MX9709213A (es) 1998-07-31
CA2219225A1 (en) 1996-12-05
HUP9801811A2 (hu) 1998-11-30
NO974915D0 (no) 1997-10-24
DE19519705A1 (de) 1996-12-05
HUP9801811A3 (en) 2000-03-28
CZ375197A3 (cs) 1998-03-18
AU695304B2 (en) 1998-08-13
JPH11505857A (ja) 1999-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43154A (en) Isomaltamines and their N-acyl derivatives, methods for their production, and their uses as surfactants and monomers
PL168355B1 (pl) Sposób wytwarzania N-polihydroksyalkiloamin PL PL PL PL PL PL
US4797481A (en) Surfactants derived from di- or tri-carboxylic hydroxy-acids
EP0598769B1 (en) Process for preparing n-alkyl polyhydroxyalkyl amines in aqueous/hydroxy solvents
EP0015867A1 (de) Trijodierte Isophthalsäurediamide, deren Herstellung und diese enthaltende Röntgenkontrastmittel
DE69603269T3 (de) Derivate von inulin
EP0197053A1 (de) Grenzflächenaktive kohlenhydrat-derivate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HUT72617A (en) Aldonamides detergent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and their use as surfactants
JPH0770169A (ja) 置換サクシンイミド類
CA2129937C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highly concentrated free-flowing aqueous solutions of betaines
KR19990022073A (ko) 폴리하이드록시 알킬 아민의 농축 용액 및 특히 폴리하이드록시알킬 카복실산 아미드를 제조하기 위한 이의 용도
US5681972A (en) Process for preparing highly concentrated, free-flowing aqueous solutions of betaines
WO1995012382A1 (en) Toilet bar compositions
US5869710A (en) Polygdroxyalkylamidobetaines
EP0739878B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hochkonzentrierter fliessfähiger wässriger Lösungen von Betainen
MXPA97009213A (en) Concentrated solutions of polyhydroxyalylaminates and their use, in particular to prepare polyhydroxycarcarboniami
US5760258A (en) Polyhydroxyalkyl-amidoamine oxides
JPH05148288A (ja) 新規ベタイン化糖化合物
KR100579717B1 (ko) 양이온성 당류계 계면활성제 및 그의 제조 방법
MXPA98000778A (en) Polyhydroxyalkylamidobetai
IKEDA et al. Surface active properties of long chain alkoxymethyl hydroxy crown ethers
DE19909907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N-Alkylpolyhydroxyalkylaminen aus Monoalkylamin und reduzierendem Zucker
DE4404728A1 (de) 1-(2'-Hydroxy- und 2'-Sulfatoalkyl)glykoside
EP0846100B1 (de) Amidopropyl-n-alkyl-polyhydroxyalkylamin-verbindungen,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