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9095U - 자동차의 범퍼 보강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범퍼 보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9095U
KR19990019095U KR2019970032429U KR19970032429U KR19990019095U KR 19990019095 U KR19990019095 U KR 19990019095U KR 2019970032429 U KR2019970032429 U KR 2019970032429U KR 19970032429 U KR19970032429 U KR 19970032429U KR 19990019095 U KR19990019095 U KR 1999001909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mper
shock
body frame
shock absorbing
vehic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24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재용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20199700324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9095U/ko
Publication of KR199900190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9095U/ko

Links

Landscapes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범퍼 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 범퍼의 외관미를 향상시키기 위한 페시아(1)의 이면에 부착되어 충격을 1차적으로 흡수하는 충격흡수재(2)가 설치되고, 상기 충격흡수재(2)의 이면에 스틸재질로 된 충격흡수빔(3)이 결합설치되며, 상기 충격흡수빔(3)의 내측으로 범퍼스테이(4)가 각각 돌출되어 차체 프레임(5)에 보울트(6) 체결되는 한편, 상기 범퍼스테이(4)의 외주면에 삽입고정됨과 더불어 외측에 다수의 요철부(7a)가 형성된 완충부재(7)가 범퍼스테이(4)와 차체 프레임(5)사이에 고정설치된 구조로 되어, 압축 탄성력을 갖는 완충부재가 차체 프레임의 전방 혹은 후방에 설치됨으로써, 차량 충돌시 생겨나는 충격을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하고, 탑승객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범퍼 보강구조(A structure for reinforcing a bumper of an automobile)
본 고안은 자동차의 전후방에 부착되어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도록 된 범퍼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체와 범퍼를 조립하는 범퍼 스테이에 충격완화 수단을 삽입시켜 범퍼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함으로써 탑승객을 보호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범퍼 보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충돌시에 그 충격을 흡수하여 탑승자 등을 보호하기 위해 차체의 전방 및 후방에 범퍼가 장착되어 있는 바, 이와 같은 종래의 범퍼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범퍼의 외관미를 향상시키기 위한 페시아(11)와, 이 페시아(11)의 이면에 부착되어 충격을 1차적으로 흡수하는 발포고무와 같은 충격흡수재(12)를 갖춘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충격흡수재(12) 만으로는 차량 충돌시에 탑승자 등을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하기가 미흡하기 때문에 대개는 스틸재질로 된 충격흡수빔(13)이 상기 충격흡수재(12)의 이면에 결합되고, 이 충격흡수빔(13)은 범퍼스테이(14)를 매개로 차체 프레임(15)에 보울트 체결되어 범퍼를 전체적으로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종래의 범퍼는 자동차의 충돌이나 추돌시에 먼저 충격흡수재(12)가 충격을 1차적으로 흡수하고, 여분의 충격은 충격흡수빔(13)에 전달되어 충격흡수빔(13)이 충격을 적절히 흡수함과 동시에 상기 범퍼스테이(14)를 통하여 차체 프레임(15)으로 분산시켜 탑승자 쪽으로 가능한 한 충격이 적게 전달되도록 하여 탑승자 등을 보호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범퍼의 조립구조는 범퍼스테이(14)와 차체 프레임(15)이 보울트에 의해 리지드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외부의 충격에 대해 탑승객을 충분히 보호하기가 미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차체와 범퍼를 조립하는 범퍼 스테이에 충격완화 수단을 삽입시켜 범퍼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함으로써 탑승객을 보호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범퍼 보강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범퍼의 외관미를 향상시키기 위한 페시아의 이면에 부착되어 충격을 1차적으로 흡수하는 충격흡수재가 설치되고, 상기 충격흡수재의 이면에 스틸재질로 된 충격흡수빔이 결합설치되며, 상기 충격흡수빔의 내측으로 범퍼스테이가 각각 돌출되어 차체 프레임에 보울트 체결될 수 있도록 된 자동차 범퍼의 조립구조에 있어서, 상기 범퍼스테이의 외주면에 삽입고정됨과 더불어 외측에 다수의 요철부가 형성된 완충부재가 범퍼스테이와 차체 프레임사이에 고정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이다.
즉, 차체와 범퍼의 조립시에 상기 충격흡수빔에 형성된 범퍼스테이의 외주면에 각각 상기 완충부재를 삽입시킨 후 차체 프레임을 결합시켜 보울트로 체결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압축 탄성력을 갖는 완충부재가 차체 프레임의 전방 혹은 후방에 설치되어, 차량 충돌시 생겨나는 충격을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함으로써, 탑승객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범퍼 보강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범퍼 보강구조의 조립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자동차 범퍼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페시아 2 : 충격흡수재
3 : 충격흡수빔 4 : 범퍼스테이
5 : 차체 프레임 6 : 보울트
7 : 완충부재 7a : 요철부
7b : 사각홀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범퍼 보강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범퍼 보강구조의 조립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로서, 범퍼의 외관미를 향상시키기 위한 페시아(1)의 이면에 부착되어 충격을 1차적으로 흡수하는 충격흡수재(2)가 설치되고, 상기 충격흡수재(2)의 이면에 스틸재질로 된 충격흡수빔(3)이 결합설치되며, 상기 충격흡수빔(3)의 내측으로 범퍼스테이(4)가 각각 돌출되어 차체 프레임(5)에 보울트(6) 체결되는 한편, 상기 범퍼스테이(4)의 외주면에 삽입고정됨과 더불어 외측에 다수의 요철부(7a)가 형성된 완충부재(7)가 범퍼스테이(4)와 차체 프레임(5)사이에 고정설치된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완충부재(7)는 범퍼스테이(4)에 삽입될 수 있도록 내측에 사각홀(7b)이 형성되어 있고, 완충부재(7)의 외측에는 요철부(7a)가 형성되어 외부의 충격에 대해 압축되면서 완충작용을 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완충부재(7)를 삽입시켜 범퍼와 차체를 조립하는 구조는, 상기 범퍼의 내측에 강성보강을 위해 설치되는 충격흡수빔(3)에 범퍼스테이(4)가 좌우로 각각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범퍼스테이(4)의 외주면에 각각 상기 완충부재(7)를 삽입시키고, 상기와 같이 완충부재(7)가 삽입된 상태에서 차체 프레임(5)을 범퍼스테이(4)에 끼워 밀어주며, 이렇게 결합시키면서 범퍼스테이(4)의 결합구멍과 차체 프레임(5)의 결합구멍을 일치시켜 보울트(6)를 삽입함으로써 조립하도록 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완충부재(7)가 손쉽게 충격흡수빔(3)과 차체 프레임(5)사이에 설치됨으로서, 완충부재(7)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차량의 충돌시 보다 확실하게 탑승객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범퍼 보강구조에 의하면, 압축 탄성력을 갖는 완충부재가 차체 프레임의 전방 혹은 후방에 설치되어, 차량 충돌시 생겨나는 충격을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함으로써, 탑승객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범퍼의 외관미를 향상시키기 위한 페시아(1)의 이면에 부착되어 충격을 1차적으로 흡수하는 충격흡수재(2)가 설치되고, 상기 충격흡수재(2)의 이면에 스틸재질로 된 충격흡수빔(3)이 결합설치되며, 상기 충격흡수빔(3)의 내측으로 범퍼스테이(4)가 각각 돌출되어 차체 프레임(5)에 보울트(6) 체결될 수 있도록 된 자동차 범퍼의 조립구조에 있어서,
    상기 범퍼스테이(4)의 외주면에 삽입고정됨과 더불어 외측에 다수의 요철부(7a)가 형성된 완충부재(7)가 범퍼스테이(4)와 차체 프레임(5)사이에 고정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범퍼 보강구조.
KR2019970032429U 1997-11-17 1997-11-17 자동차의 범퍼 보강구조 KR1999001909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2429U KR19990019095U (ko) 1997-11-17 1997-11-17 자동차의 범퍼 보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2429U KR19990019095U (ko) 1997-11-17 1997-11-17 자동차의 범퍼 보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9095U true KR19990019095U (ko) 1999-06-05

Family

ID=69698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2429U KR19990019095U (ko) 1997-11-17 1997-11-17 자동차의 범퍼 보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9095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19095U (ko) 자동차의 범퍼 보강구조
KR19990038078U (ko) 자동차의 충격 흡수구조
KR102104742B1 (ko) 고중량 차량의 후방 완충장치
KR100440855B1 (ko) 자동차의 범퍼
KR100513684B1 (ko) 충돌성능 향상을 위한 범퍼 구조
KR19980044684U (ko) 차량용 범퍼 조립체
KR100189360B1 (ko) 자동차의 범퍼지지 차체 완충구조
KR100482965B1 (ko) 차량용 범퍼
KR200149003Y1 (ko) 충격흡수용 범퍼스테이
KR100193010B1 (ko) 자동차의 도어 하단부 보강구조
KR19990033754A (ko) 자동차의 리어범퍼 부착용 범퍼스테이
KR200149002Y1 (ko) 자동차 범퍼 구조
KR200176768Y1 (ko) 자동차의 범퍼스테이 조립구조
KR200162144Y1 (ko) 자동차의 범퍼구조
KR0115985Y1 (ko) 자동차용 범퍼 장착구조
KR19980016979U (ko) 자동차의 범퍼 장착구조
KR19980039405U (ko) 완충 구조를 갖는 범퍼
KR19990041303A (ko) 자동차용 범퍼의 충격흡수장치
KR19980051348U (ko) 자동차 범퍼의 보강구조
KR19980044640U (ko) 차량용 범퍼조립체
KR19990018797A (ko) 자동차용 범퍼 스테이
KR19990039284U (ko) 자동차용 범퍼
KR19990025368U (ko) 자동차 종방향 프레임의 보강 구조
KR20070021704A (ko) 에너지 압소바
KR19990028460U (ko) 자동차 범퍼의 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