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7486U - 교차로진입방지장치 - Google Patents

교차로진입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7486U
KR19990017486U KR2019990000180U KR19990000180U KR19990017486U KR 19990017486 U KR19990017486 U KR 19990017486U KR 2019990000180 U KR2019990000180 U KR 2019990000180U KR 19990000180 U KR19990000180 U KR 19990000180U KR 19990017486 U KR19990017486 U KR 1999001748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w
solenoid
stop
road
stop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01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기택
김두연
Original Assignee
신기택
김두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기택, 김두연 filed Critical 신기택
Priority to KR20199900001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7486U/ko
Publication of KR199900174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7486U/ko
Priority to KR2019990013766U priority patent/KR2001637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4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the barrier being formed by obstructing members situated on, flush with, or below the traffic surface, e.g. with inflatable members on the surface
    • E01F13/046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the barrier being formed by obstructing members situated on, flush with, or below the traffic surface, e.g. with inflatable members on the surface the obstructing members moving up in a translatory motion, e.g. telescopic barrier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48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with obstructing members moving in a translatory motion, e.g. vertical lift barriers, sliding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06Lane control by movable lane separating barriers, e.g. shiftable barriers, retractable kerbs ; Apparatus or barri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heeled b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지신호시 자동차가 교차로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해 주는 교차로 진입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도로의 정지선 뒷편에 정지선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매몰홈과, 매몰홈 저면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과, 고정프레임 상부에 고정되는 솔레노이드와, 솔레노이드에 교통신호등과 연계된 작동신호를 인가시키는 조작장치와, 솔레노이드에 의해 상하이동되고 도로 상부로 돌출되는 방지턱과, 상기 방지턱과 고정프레임 사이에 내재되는 스프링을 구비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교차로 진입 방지장치{Crossroads entry protect apparatus}
본 고안은 정지신호시 자동차가 교차로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해 주는 교차로 진입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로를 운행하고 있는 자동차는 정지신호시 정지선을 넘지 않고 정지하여야 하나 많은 운전자가 정지선을 넘어 정지하는 관계로, 보행인과 다른 자동차의 운행에 지장을 주거나 사고의 요인이 되는 것이었다.
이같이 운전자가 건널목, 교차로, 철도건널목에 그려져 있는 정지선을 지나 정지하는 이유는 운전자들의 안전불감증에도 원인이 있지만 정지신호시 정지선을 넘어도 아무런 제제나 방해를 받지 않기 때문이다.
본 고안은 도로의 정지선 뒷쪽에 정지신호시 도로표면으로 정지턱을 돌출시켜 자동차가 정지신호시에는 반드시 정지선 전방에 정지토록 하므로써 보행자 및 자동차의 통행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하는 한편 불의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도로의 정지선 뒷편에 정지선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매몰홈과, 매몰홈 저면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과, 고정프레임 상부에 고정되는 솔레노이드와, 솔레노이드에 교통신호등과 연계된 작동신호를 인가시키는 조작장치와, 솔레노이드에 의해 상하이동되고 도로 상부로 돌출되는 방지턱과, 상기 방지턱과 고정프레임 사이에 내재되는 스프링을 구비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정지신호가 들어오면 솔레노이드를 작동시켜 방지턱을 돌출시키고 정지신호가 지나면 솔레노이드가 방지턱을 당겨 방지턱 상부가 도로표면 높이와 같도록 유지시키게 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 설치상태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 일부절결 정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 측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매몰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도로2 : 정지선3 : 방지턱
4 : 고정프레임5 : 솔레노이드7 : 배수로
8 : 매몰홈
본 고안은 도로(1)의 정지선(2)뒷편에 정지선(2)과 평행되며 정지선(2)길이와 거의 같게 설치되는 것으로 도로(1)에 매몰홈(8)을 설치하여 매몰홈(8)에서 방지턱(3)이 도로(1)보다 높게 돌출되거나 방지턱(3)상부가 도로(1)표면과 일치되게한다.
매몰홈(8)저면에는 고정프레임(4)을 설치고정하되 상기 고정프레임(4)은 앵커볼트 등을 이용하여 도로(1)의 덧씌우기 작업시 그 높이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매몰홈(8)의 일측에는 빗물등이 고이지 않고 빠져나가도록 배수로(7)를 설치한다.
고정프레임(4)에는 양측으로 지지대(4a)를 입설시키되 지지대(4a)의 끝에는 걸림돌기(4b)를 형성시키며, 고정프레임(4)에는 수개의 솔레노이드(5)와 가이드봉(6a)을 고정 설치한다.
여기서 솔레노이드(5)는 교통신호등과 연계되고 도시되지 아니한 조작장치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는 것으로 자동차의 진행방향에 정지신호가 들어오면 솔레노이드(5)를 작동시키고 정지신호가 바뀌면 솔레노이드(5)작동을 중단시키거나 그 반대의 동작이 이루어지게 한다.
상기 고정프레임(4)의 상부에는 방지턱(3)을 설치하되 방지턱(3)양측에는 하측으로 지지대(3a)를 입설하고 지지대(3a)선단에는 걸림돌기(3b)를 형성시킨다.
상기 방지턱(3)의 걸림돌기(3b)와 지지프레임(4)의 걸림돌기(4b)는 그 방향을 서로 반대로 하여 걸림돌기(3b)(4b)끼리 서로 걸리게 하므로써 방지턱(3)의 이탈을 방지한다.
방지턱(3)의 하부에는 수개의 가이드봉(6b)을 고정 설치하는 한편 솔레노이드(5)의 타단을 고정 설치한다.
여기서 방지턱(3)의 가이드봉(6b)에는 고정프레임(4)의 가이드봉(6a)이 내삽되게 하고 상기 가이드봉(6a)(6b)내부에는 스프링(6)을 탄지시켜 설치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에서 솔레노이드(5)가 작동하면 방지턱(3)을 당겨 도 4 와 같이 방지턱(3)의 상부가 도로(1)표면 높이와 일치되게 하고 솔레노이드(5)의 작동이 해제되면 스프링(6)의 탄성에 의해 방지턱(3)이 도3과 같이 도로(1)표면 보다 돌출되게 한다.
여기서 솔레노이드(5)의 작동은 조작장치에서 교통신호등과 연계시키게 되므로 정지신호가 들어오면 방지턱(3)을 돌출시키고 정지신호가 해제되면 방지턱(3)을 매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자동차운행 중 전방교통신호 등이 정지신호로 바뀌게 되면 정지선(2)후방에서 방지턱(3)이 돌출되어지므로 운전자는 정지선(2)전방에서 정지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불의의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방지턱(3)이 돌출되었을 때 자동차가 진입하면 자동차 무게에 의해 방지턱(3)이 내려가게 되나 이때에는 운전자가 바퀴를 통하여 충격을 전달받게 되므로 정지선(2)이전에 정지하게 된다.
즉 한번이라도 방지턱(3)을 치고 지나간 운전자는 이후부터는 조심하여 정지선(2)이전에 정지를 하게 된다.
본 고안은 자동차가 정지신호시 정지선을 초과하지 못하게 하므로써 보행자 및 자동차 통행에 지장을 주지 않음은 물론 교통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Claims (1)

  1. 도로(1)의 정지선(2)후방에 정지선(2)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매몰홈(8)과,
    상기 매몰홈(8)의 저면에 높이조정되게 고정되는 고정프레임(4)과,
    상기 고정프레임(4)의 상부에 씌워지는 방지턱(3)과,
    상기 고정프레임(4)상부와 방지턱(3)하부에 양단이 고정되는 수개의 솔레노이드(5)와,
    상기 고정프레임(4)과 방지턱(3)사이에 게재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수개의 스프링(6)과,
    상기 솔레노이드(5)를 교통신호등의 정지신호와 연계되어 작동시키는 조작장치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로 진입 방지장치.
KR2019990000180U 1999-01-12 1999-01-12 교차로진입방지장치 KR19990017486U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0180U KR19990017486U (ko) 1999-01-12 1999-01-12 교차로진입방지장치
KR2019990013766U KR200163798Y1 (ko) 1999-01-12 1999-07-13 교차로진입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0180U KR19990017486U (ko) 1999-01-12 1999-01-12 교차로진입방지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3766U Division KR200163798Y1 (ko) 1999-01-12 1999-07-13 교차로진입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486U true KR19990017486U (ko) 1999-05-25

Family

ID=1957078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0180U KR19990017486U (ko) 1999-01-12 1999-01-12 교차로진입방지장치
KR2019990013766U KR200163798Y1 (ko) 1999-01-12 1999-07-13 교차로진입방지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3766U KR200163798Y1 (ko) 1999-01-12 1999-07-13 교차로진입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9990017486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2630A (ko) * 2012-04-04 2013-10-14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홈바의 제상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US10190813B2 (en) 2015-01-21 2019-01-29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0951B1 (ko) 2011-03-23 2013-01-10 남명건설(주) 복합 차단 장치
CN105113439B (zh) * 2015-09-02 2018-04-10 何排枝 一种汽车路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2630A (ko) * 2012-04-04 2013-10-14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홈바의 제상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US10190813B2 (en) 2015-01-21 2019-01-29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3798Y1 (ko) 2000-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63798Y1 (ko) 교차로진입방지장치
KR101814783B1 (ko) 충격 흡수형 도로경계석
KR200358869Y1 (ko) 가드레일에 설치되는 동물 보호망
KR200268027Y1 (ko) 완충장치가 구비된 과속방지턱
KR102243192B1 (ko) 무볼트 매립식 차선 규제봉
KR101948308B1 (ko) 차선분리기능이 구비된 시선유도봉
KR200347937Y1 (ko) 델리네이터를 갖는 가드레일 포스트
KR100648890B1 (ko) 완충식 도로 표지병
KR101703944B1 (ko) 중앙분리대용 차광판 설치구조
KR200207038Y1 (ko) 충격완화용 중앙분리대
KR100536773B1 (ko) 차량진입 방지용 도로경계석
JP2906013B2 (ja) ガードフェンス
KR20090081600A (ko) 완충용 롤러가 설치된 가이드레일
KR200361139Y1 (ko) 자전거도로용 안전 가이드 레일
KR200265875Y1 (ko) 도로용 차량 유도장치
KR200343192Y1 (ko) 완충식 도로 표지병
KR200347859Y1 (ko) 완충식 도로 표지병
KR200268035Y1 (ko) 개량형 중앙분리대
KR100542541B1 (ko) 도로 가드레일의 케이블 장착구조
KR200234520Y1 (ko) 지주형 도로표지판의 충격흡수장치
KR200220939Y1 (ko) 건널목 차단기
KR200338550Y1 (ko) 교량 입구용 자동차 충돌방지대
KR200245928Y1 (ko) 특수 고무스폰지를 이용한 보도진입을 방지하는 볼라드
KR200353316Y1 (ko) 도로용 차량 급제동 시설
KR200234804Y1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가드레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