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6589U - 절곡장치 - Google Patents

절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6589U
KR19990016589U KR2019970030042U KR19970030042U KR19990016589U KR 19990016589 U KR19990016589 U KR 19990016589U KR 2019970030042 U KR2019970030042 U KR 2019970030042U KR 19970030042 U KR19970030042 U KR 19970030042U KR 19990016589 U KR19990016589 U KR 1999001658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ding
cam
degrees
bent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00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호
Original Assignee
김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호 filed Critical 김태호
Priority to KR20199700300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6589U/ko
Publication of KR199900165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6589U/ko

Links

Landscapes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철판의 가장자리를 90도 각도 보다 작은 예각으로 절곡하기 위한 절곡장치에 관한 것인데, 한번의 공정으로 절곡작업이 완료될수 있게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 장치는 절곡하고자 하는 철판과 대략 45도 각도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피봇핀으로 고정되고 끝단에 절곡금형이 결합된 두 개의 작동봉과 작동봉을 동작시키기 위한 캠, 그리고 캠을 시계 방향이나 반시계 방향으로 구동시키기위한 실린더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 고안은 철판을 절곡함에 있어 한 번의 압압공정으로 90도 보다 작은 예각으로 절곡할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절곡장치
본 고안은 금속 소재의 가장자리를 90도보다 작은 예각으로 절곡하기 위한 절곡장치에 관한것인데, 구체적으로는 금속소재를 말아서 원통을 만들 때 금속소재의 양끝단을 접합 시키기 위하여 절곡을 하여야 하는데 한 번의 공정으로 소재의 끝단을 90도보다 적은 예각으로 절곡하기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같이 금속소재를 원통으로 말은 것을 가지고 제품을 생산하는 분야는 많으나 본고안에서는 자동차에서 사용하는 오일휠터를 예를들어 설명한다 즉, 오일휠터는 외부의 케이스 내측으로 여과지가 설치되고 그내측으로 망상으로된 원통이 결합되는데, 이 원통은 망상으로 구멍이 천공되고 롤형태로 감긴 철판을 일정 길이로 절단하고 이의 양끝단을 90도보다 작은 예각으로 대칭되게 절곡하고 이를 원형으로 말아서 양 끝단의 절곡된 부분이 서로 걸리게 한다음 이부분을 압착하여서 원통을 완성한다.
이과정에서 망상의 철판 양끝단을 절곡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현재까지는 절곡할 위치의 하측단을 받친다음 1차공정으로 상측에서 프레스 등으로 늘러서 90도 각도로 1차절곡한다음, 1차 90도로 절곡된 부분을 다시 측면에서 밀어서 90도보다 작은 예각으로 절곡을하고 있다.
따라서 철판의 끝단을 절곡하는데만 2단계의 작업공정이 필요하므로 절곡장치가 복잡함은 물론 공정수의 증가로 생산성 및 생산 단가가 상승하며 완전 자동화에 걸림돌이 되고있다.
본고안은 상기와같은 점을 감안하여 철판의 끝단을 절곡함에 있어서, 한 번의 공정으로 90도보다 작은 예각으로 철판의 절곡작업을 완료할수 있도록 하는데 목작이 있다.
또한 본고안은 절곡작업의 공정수를 즐이므로해서 시간당 생산량을 증가시켜 생산단가를 낯출수 있으며, 공정수를 줄이므로해서 자동 절곡라인을 설치하기가 용이하게 하는데 또다른 목적이 있다.
본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기술수단 으로서, 절곡금형이 끝단에 결합된 두 개의 작동봉 중심지점을 피봇핀으로 축고정 시키고, 타측단에는 캠을 설치하여 실린더로서 캠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캠에의해 작동봉의 끝단금형이 서로 결합되었다 이격되었다를 반복하며, 금형이 이격되어진 상태에서는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금속판이 일정한 길이만큼 이동되고, 순간적으로 이동을 멈추는 순간에서 캠의 작동에 의하여 두 개의 금형이 오그라들며 철판의 끝단을 절곡할수있게 하였는데, 본고안의 전체 장치중 두 개의 작동봉과 금형은 금속판과 대략적으로 45도 각도를 유지하며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하고 있다.
따라서 본고안에 의하면, 금형이 절곡하고자 하는 철판의 가장자리를 한 번만 눌러주어도 절곡장치가 철판과 45도각도로 비스듬히 설치되어 있고, 상하 두 개의 금형은 피봇핀을 중심으로 원운동을 하므로 철판의 끝단은 90도보다 작은 예각으로 절곡할수있다.
도 1은 본고안 절곡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절곡 하고자하는 소재가 공급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고안 절곡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절곡 하고자하는 소재를 상측의 기틀에 밀착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상측 절곡금형이 하강하면서 하측 절곡금형과 결합하여 소재를 절곡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양끝단이 90도보다 작은 예각으로 절곡된 소재의 측면도.
도 5는 끝단이 절곡된 소재를 말아서 원통형으로 만든상태의 평면도.
< 주요 도면부호의 설명 >
1 : 절곡장치
2 : 금속판
4,5 : 작동봉
6 : 하측절곡금형
7 : 상측절곡금형
8,9 : 지지편
10,11 : 로울러
12 : 캠
13,14 : 돌출부
15 : 레버
17 : 실린더
19 : 피봇핀
이하 본고안 장치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같다.
본고안 장치는 선단에 하측절곡금형(6) 과 상측절곡금형(7) 이 각각 결합되어있는 두 개의 작동봉(4)(5)이 기틀(2) 및 금속판(3)과 대략적으로 45도 각도로 설치되는데, 두 개의 작동봉(4)(5)은 각각 길이의 중간지점에 돌출형성된 지지편(8)(9)이피봇핀(19)에 의하여 축고정 되어있다.
또한 절곡금형과 반대쪽인 지지편(8)(9)의 후방부분에서는 스프링(18)이 두 개의 작동봉(4)(5)을 당겨주고있어 두 개의 절곡금형(6)(7)은 항시 이격되어있는 상태이다. 두 개의 작동봉(4)(5)끝단에는 각각 로울러(10)(11)가 설치되어있으며, 두 대의 로울러(10)(11)사이 중앙에는 두 개의 돌출부(13)(14)가 형성된 캠(12)이 축고정 되어로울러(10)(11)와 접하고 있다.
캠(12)에는 레버(15)가 연결되어 있으며, 레버(15)의 타단은 레버와 수직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실린더(17)의 실린더축(16)과 핀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실린더(17)에 압축공기가 공급되어 실린더축(16)이 승하강하면 실린더축(16)의 끝단에 핀고정되어있는 레버(15)는 캠축(20)을 중심으로 승하강운동을 하므로, 캠은 결국 캠축(20)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이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을 하게되는데 캠(12)이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면 캠의 돌출부(13)(14)는 작동봉(4)(5)끝단의 로울러(10)(11)를 밀쳐서 상하측절곡금형(6)(7)은 맞물리게되고, 반대로 캠(12)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을하면 캠의 돌출부(13)(14)는 로울러를 벗어나게 되므로 스프링(18)의 동작으로 두 개의 절곡금형(6)(7)은 벌어지게 된다.
이와같은 구조의 본고안 장치는, 주로 망상의 구멍이 천공된 얇은 금속판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자동으로 부분절취공정, 절곡공정, 절단공정, 원통형으로 마는공정, 그리고 압착공정을 거치면서 망상의 원통을 만드는 기계장치에서 사용되는 것으로서, 절곡공정에 사용되는 것이다.
제1도의 도시와같이 본고안의 절곡장치(1)는 절곡공정의 위치 즉 기틀(2)과 대략적으로 45도 각도를 유지하면서 두 개의 작동봉(4)(5)이설치되고, 캠(12)을 구동시키는 레버(15) 및 실린더(17)는 수평과 수직으로 설치된다.
이상태에서 끝단을 절곡하고자 하는 금속판(3)은 연속적으로 이동하면서 기틀(2)의 하측과 하측절곡금형(6)의 상측 그리고 상측절곡금형(7)의 측상면 사이를 통과하게 된다. 이때 별도의 콘트롤장치(도시생략)에 의하여 셋팅된 시간간격으로 금속판(3)은 일정한 거리를 이동하고 잠시 멈추었다가 다시이동하는 구분동작으로 이동을 하는데, 잠시 멈춘 상태에서 실린더(17)에 압축공기가 공급된다. 압축공기가 실린더(17)에 공급되면 실린더축(16)은 하강하게되고, 이에따라 캠축(20)을 중심으로 캠(12)은 시계방향으로 회전을하게 된다. 따라서 캠(12)의 돌출부(13)(14)가 작동봉(4)(5)의 로울러(10)(11)와 접촉하게되는데, 설계상 돌출부(13)가 먼저 작동봉(4)의 로울러(10)와 접촉하게 되어 있어 제2도와 같이 하측절곡금형(6)이 먼저 상승하여 금속판(3)을 기틀(2)에 밀착고정 시켜주게된다. 이어서 캠의 돌출부(14)가 작동봉(5)의 로울러(11)와 접하게되면 제3도와 같이 상측절곡금형(7)이 하강하면서 기틀(2)과 하측절곡금형(6)사이에 고정된 금속판(3)의 끝단을 누르면서 제3도와 같이 절곡시켜 주게된다. 이때 상하측 절곡금형(6)(7)은 금석판(3)과 45도각도로 설치되어 있고, 작동봉(4)(5)은 피봇핀(19)을 중심으로 원 운동을 하므로 금속판(3)의 끝단은 90도보다 작은 예각으로 절곡이되며, 이후 실린더축(16)이 상승을하면 캠(12)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을하여 돌출부(13)(14)가 로울러(10)(11)에서 벗어나므로 작동봉(4)(5)은 스프링(18)의 힘으로 캠쪽으로 시이소운동을 하게되어 상하측 절곡금형(6)(7)은 제1도와같은 상태로 되며 제4도와 같이 절곡작업이 완료된다. 따라서 상기와같은 동작이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반복되며 연속적으로 절곡작업이 이루어 지며, 이는 제5도와같이 원통(21)을 만들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고안은 한 번의 공정으로 90도보다 작은 예각으로 철판의 끝단을 절곡할수 있으므로, 종래 장치에 비하여 공정수가 줄어들어 시간당 생산량을 증가 시킬수있어 생산 단가를 낯출수있고, 자동생산라인의 설치가 용이한 특징이 있다.

Claims (1)

  1. 일측끝단에는 절곡금형(6)(7)이 결합되어있고, 타측에는 로울러(10)(11)가 부착된 두 개의 상하작동봉(4)(5)의 지지편(8)(9)을 피봇핀(19)으로 연결하여 이동되는 금속판(3)의 측면과 45도각도로 설치하고, 두 개의 로울러(10)(11)사이에는 캠(12)을 설치하였으며, 캠(12)에는 레버(15)를 연결하여 레버의 끝단을 수직으로 설치된 실린더(17)의 실린더축(16) 끝단에 핀고정시켜서된 절곡장치.
KR2019970030042U 1997-10-29 1997-10-29 절곡장치 KR1999001658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0042U KR19990016589U (ko) 1997-10-29 1997-10-29 절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0042U KR19990016589U (ko) 1997-10-29 1997-10-29 절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589U true KR19990016589U (ko) 1999-05-25

Family

ID=69690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0042U KR19990016589U (ko) 1997-10-29 1997-10-29 절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6589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1205357A (ja) プレス用金型
WO2012042326A1 (en) An improved mechanism for upward lancing in a progressive die assembly
KR19990016589U (ko) 절곡장치
KR19990060203A (ko) 예각 벤딩 장치
CN114850313A (zh) 一种用于冲压钮扣面件的一次成型模具
CN113926912A (zh) 一种汽车钣金冲压模具
JP3099035B2 (ja) プレス成形機
KR200142349Y1 (ko) 프레스 금형장치
JP2000233232A (ja) フランジ加工用プレス成形装置
KR19990060201A (ko) 힌지를 이용한 벤딩 장치
JPH1157863A (ja) プレス成形におけるスライドパンチの移動装置
SU1440584A1 (ru) Штамп совмещенного действи
CN209531866U (zh) 一种支架零件冲裁模具
KR960002106B1 (ko) 프레스금형의 컨텍홀더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890005271Y1 (ko) 롤 펀치를 이용한 밴딩장치
KR200199565Y1 (ko) 성형기
JP4159666B2 (ja) パンチプレスにおけるダイ装置
JPH0719644Y2 (ja) プレス金型におけるノックアウト装置
JP2002113538A (ja) 窓枠ヘミングプレス装置及びそれを用いる自動車ドア窓枠の製造方法
JPH0422515A (ja) 曲げ金型
KR960008174Y1 (ko) 프레스 금형에서 포밍(forming)장치
RU1794550C (ru) Штамп последовательно совмещенного действи
KR890007437Y1 (ko) 프레스기의 u-벤딩과 z-벤딩의 복합금형장치
KR19990021310A (ko) 벤딩 성형용 프레스 금형 장치
KR910005388Y1 (ko) 파아스너의 슬라이더 유삽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