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3641A - 1회용 체액 흡수성 착용 물품 - Google Patents

1회용 체액 흡수성 착용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3641A
KR19990013641A KR1019980027213A KR19980027213A KR19990013641A KR 19990013641 A KR19990013641 A KR 19990013641A KR 1019980027213 A KR1019980027213 A KR 1019980027213A KR 19980027213 A KR19980027213 A KR 19980027213A KR 19990013641 A KR19990013641 A KR 199900136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nonwoven fabric
body fluid
breathable
wear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7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4691B1 (ko
Inventor
미즈타니사토시
와다미츠히로
아오야마사치코
Original Assignee
다카하라게이이치로
유니챰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하라게이이치로, 유니챰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하라게이이치로
Publication of KR19990013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36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4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46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2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6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being formed of multiple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2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apertures, e.g. perforations
    • A61F13/512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apertures, e.g. perforations the apertures being formed on a multilayer top sh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기성이 좋은 1회용 체액 흡수성 착용 물품에 관한 것이다.
상기 1회용 체액 흡수성 착용 물품(팬티라이너)은, 친수성이고, 바람직하게는 셀룰로스계 섬유로 이루어지고, 통기성이고, 체액 흡수성이며, 구멍의 직경이 0.3∼3 ㎜인 투공이 다수 개 형성되어 있는 표면 시이트(6); 통기성 이면 시이트(7); 및 이들 표면 시이트(6)와 이면 시이트(7) 사이에 개재되며 투액 저항성의 멜트 블로운 부직포(12)를 함유한 통기성의 열가소성 합성 섬유 부직포(12,13,14) 여러 장으로 이루어진 중간 시이트 층(8)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1회용 체액 흡수성 착용 물품
본 발명은 1회용 체액 흡수성 착용 물품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팬티라이너 등과 같이 얇고 비교적 소량의 체액을 흡수시키는 데 적합한 1회용 체액 흡수성 착용 물품에 관한 것이다.
미국 특허 제4,950,264호의 공보에는, 비교적 얇은 생리용 냅킨이 개시되어 있다. 이 생리용 냅킨은 투액성 톱 시이트, 불투액성의 배리어 시트, 이들 양 시이트 사이에 개재된 흡액성 코어를 갖추고 있다. 배리어 시트에는 통기 불투액성의 폴리에틸렌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는 취지가 기재되어 있다. 코어에는, 목재 펄프, 또는 2장의 티슈 페이퍼와 이들 사이에 개재된 하이드로겔 형성 물질로 이루어진 적층품 등이 사용되었다.
또한, 일본 특허 공보 평6-38815호에 개시된 생리용 냅킨은, 흡수체의 상면이 유체 투과성 커버로 피복되어 있고, 하면은 통기성이면서 유체 불투과성인 버플로 피복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생리용 냅킨은, 그 흡수체에 해당 기술 분야에서 주지된 관용의 분쇄 펄프를 사용하면, 생리용 냅킨의 두께 방향으로 통기성을 가질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상기 미국 특허 공보 제4,950,264호에 기재된 얇은 생리용 냅킨은, 코어에 함유된 하이드로겔 형성 물질의 함량이 높아짐에 따라 생리용 냅킨의 강성이 높아져, 피부에의 밀착성이 손상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물질이 통상 단단하고 미세한 입자이므로, 이것의 함유율이 높은 코어는 가압하지 않으면, 보다 바람직하게는 습윤 상태에서 가압하여 괴상형으로 형성시키지 않으면, 코어의 형상을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배리어 시트에 사용되는 폴리에틸렌 필름은 생리용 냅킨을 취급할 때 귀에 거슬리는 소리를 낼 수 있다.
일본 특허 공보 평6-38815호에 개시된 생리용 냅킨의 유체 투과성 커버나 흡수체는, 체액을 흡수하면 이들 커버나 흡수체에 형성되어 있는 통기성의 투공이 체액으로 막혀 생리용 냅킨의 두께 방향으로의 통기성이 손실된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본 발명의 과제는, 체액의 흡수 후에도 양호한 통기성을 유지할 수 있는 비교적 얇은 1회용 체액 흡수성 착용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팬티라이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른 주요부의 절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체액 흡수성 착용 물품(팬티라이너)
6: 표면 시이트
7: 이면 시이트
11: 투공
12,13,14: 중간 시이트 층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이 전제로 하는 바는, 통기성의 표면 시이트, 통기성의 이면 시이트와, 이들 양 시이트 사이에 개재된 통기성의 중간층 시이트로 구성되어 있는 1회용 체액 흡수성 착용 물품이다.
이러한 전제에 있어 본 발명이 특징으로 하는 바는, 상기 표면 시이트가 친수성계 섬유로 이루어진 체액 흡수성 부직포이면서, 구멍 직경이 0.3∼3 ㎜인 투공을 다수 개 가지고 있으며, 상기 이면 시이트는 1∼8 d의 열가소성 합성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이고, 상기 중간층 시이트는 적어도 투액 저항성이면서 통기성인 멜트 블로운 부직포를 함유한 여러 장의 열가소성 합성 섬유 부직포로 구성되어 있다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친수성 부직포가 셀룰로스계 섬유로 구성된 부직포이고, 상기 부직포는 면(綿), 펄프, 레이온, 아세테이트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스판레이스 부직포이고, 상기 셀룰로스계 섬유로 구성된 부직포의 평량은 15∼70 g/㎡이다. 다수 개의 상기 투공 중 인접한 것끼리의 중심 간격은 1∼10 ㎜의 범위에 있다. 또한, 상기 멜트 블로운 부직포의 평량은 10∼30 g/㎡이다.
이하에서는, 1회용 체액 흡수성 착용 물품으로서 팬티라이너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및 도 2는, 팬티라이너(1)의 사시도 및 그 Ⅱ-Ⅱ선을 따른 주요부 단면도이다. 팬티라이너(1)는, 착용자의 피부에 접하는 표면(2), 착용 팬츠에 접하는 이면(3)과, 이들 표·이면(2,3) 사이에 걸친 두께(t)를 가지고 있고, 두께(t) 방향에서 보면 표면 시이트(6), 이면 시이트(7)와, 이들 양 시이트(6,7) 사이에 개재된 중간 시이트 층(8)으로 적층 구성되어 있다.
표면 시이트(6)는 평량 15∼70 g/㎡의 친수성 섬유, 바람직하게는 셀룰로스계 섬유가 서로 교락(交絡;confounding)되어 있는 흡액성 섬유 웨브에 0.3∼3 ㎜의 직경(D)을 가진 투공(ll)을, 인접 투공(11)끼리의 중심 간격이 1∼10 ㎜가 되도록 형성시킨 것이다. 이 섬유 웨브는 섬유 간극에 있어 통기성을 지니고, 이 웨브에 투공(11)이 형성되어 있는 시이트(6)는 그 섬유 간극과 투공(11)에 있어 통기성을 갖는다. 친수성 섬유의 예로는 면, 펄프, 레이온, 아세테이트, 소수성 섬유의 표면을 친수화한 소위 공지된 땀 흡수성 섬유 등이 있고, 이들 섬유는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웨브로 가공한다. 이러한 웨브에는 부직포, 랜덤 웨브, 병렬 웨브 등의 형태가 있으나, 부직포 형태, 특히 스판레이스 부직포 형태가 바람직하고, 그 제조시의 기계 방향을 팬티라이너의 길이 방향으로 하며, 섬유로는 면을 사용한다. 면은 일반적으로 약 10∼50 ㎜의 섬유 길이를 가지므로, 웨브를 고압 분사 수류로 처리하여 제조한 스판레이스 부직포에서는, 섬유끼리 서로 복잡하게 뒤얽힘에 따라 비교적 높은 인장 강도와 섬유 누락 방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부직포는 면 특유의 좋은 촉감과 뛰어난 흡액성을 가지고 있다. 표면 시이트(6)의 투공(11)은 공지 내지 주지된 수단으로 형성시키면 좋은데, 예컨대 웨브를 한쌍의 엠보스 롤로 압착하여 형성하거나, 또는 다수 개의 돌기를 갖춘 지지체 상에서 웨브에 고압 분사 수류를 가하여 그 돌기의 둘레벽을 따라 밀착되도록 섬유를 재배열시키므로써 형성할 수 있다.
이면 시이트(7)에는, 섬도 1∼8 d의 열가소성 합성 섬유로 이루어진 평량 10∼50 g/㎡의 포인트 결합 부직포가 사용되었다. 이러한 부직포는, 섬유가 가열 및 가압 하에서 간헐적으로 서로 용착되어 약 0.5∼5 ㎟의 면적을 가지고 있는 용착 포인트(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통기성과 높은 인장 강도를 가지고 있다. 용착 포인트에서는, 섬유가 서로 용착되어 필름화되어 있고, 이러한 포인트는 이면 시이트(7) 표면적의 10∼70%를 차지하고 있다. 용착 포인트는 이면 시이트(7)의 전체에 똑같이 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면 시이트(7)의 통기성을 현저히 방해하지 않은 범위 내에서 특정 부위에 편재하고 있어도 좋다.
중간 시이트 층(8)에는, 이면 시이트(7)로부터 표면 시이트(6) 쪽으로 누설 방지 시이트(12), 누설 방지 시이트(12)의 인장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보강 시이트(13), 및 라이너(1)를 유연하게 하여 부피를 증대시키기 위한 쿠션 시이트(14)가 순서대로 적층되어 있다. 누설 방지 시이트(12)는, 표면 시이트(6)에 흡수된 체액이 중간 시이트 층(8)에 침투하는 일이 있더라도, 이면 시이트(7)까지 도달하지 못하도록 체액의 침투를 방지하거나 또는 방해하고 있다. 이러한 누설 방지 시이트(12)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의 열가소성 합성 수지를 원료로 하는 평량 10∼30 g/㎡의 멜트 블로운 부직포가 사용된다. 이 부직포는, 체액 흡수성 착용 물품에 사용할 경우에 필요한 실용상의 통기성과, 체액의 투과를 방지 또는 억제하는 투액 저항성을 갖추고 있다. 이 부직포는, 섬도 1d 이하의 멜트 블로운 섬유로 형성되어 있고, 천과 같은 유연성을 가지므로, 구부러질 때에도 플라스틱 필름과 같은 귀에 거슬리는 소리를 내지 않는다. 다만, 이 부직포는 일반적으로 체액 흡수성 착용 물품의 표면 피복재가 가질 수 있는 인장 강도 및 마찰 강도를 가지고 있지 않다. 보강 시이트(13)는, 상기 멜트 블로운 부직포에 접합되어 상기 부직포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섬도 1∼8 d를 가진 폴리프로필렌 섬유 등의 열가소성 합성 섬유로 이루어진 스판 본드 부직포가 사용되고, 그 평량은 10∼40 g/㎡이다. 쿠션 시이트(14)는 섬도 1∼8 d의 권축(卷縮) 처리된 복합 섬유로 이루어진 부피가 큰 부직포로서, 그 평량은 10∼50 g/㎡이다. 사용가능한 복합 섬유의 일례로는, 폴리에스테르 섬유와 폴리에틸렌 섬유로 구성되어 있는 시스·앤드·코어형 복합 섬유 또는 사이드 바이·사이드형 복합 섬유가 있다. 이러한 복합 섬유로는, 기계적으로 교락되어 있는 경우 및/또는 서로 용착되어 교락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후자의 경우의 부직포는 팬티라이너(1)에 특히 높은 쿠션성을 줄 수 있다.
도 2에 있어서, 적층 상태에 있는 이면 시이트(7), 누설 방지 시이트(12), 보강 시이트(13), 쿠션 시이트(14), 및 표면 시이트(6)는 서로 접촉하는 면에 있어서, 각각의 시이트의 통기성을 현저히 방해하는 일이 없도록 간헐적으로 접합되어 있다. 이러한 접합시에는, 핫 멜트 용착제 등의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기타 방법으로도 시이트를 서로 간헐적으로 용착시킬 수 있다. 적층 상태에 있는 이면 시이트(7)의 하면에는 점착제(21)가 도포되어 있고, 그 점착제(21)의 하면은 박리지(22)에 의해 피복 보호되어 있다. 점착제(21)는 라이너(1)를 착용 팬츠에 박리 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이면 시이트(7)의 통기성을 방해하는 일이 없도록 간헐적으로 도포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팬티라이너(1)는 여러 장의 통기성 시이트를 이들의 통기성이 손상되지 않도록 적층시킨 것이므로, 두께 방향으로 통기성을 가지고 있다. 착용된 라이너(1)에서는, 체액이 표면 시이트(6)에 의해 흡수되어 유지된다. 표면 시이트(6)의 하측에 위치하는 각 시이트는 소수성의 열가소성 합성 섬유이기 때문에, 표면 시이트(6)에 흡수된 체액이 표면 시이트(6)로부터 중간 시이트 층(8)으로 이동하는 일은 거의 없다. 다만, 체액량이 라이너(1)의 흡액량에 비해 과잉이거나, 라이너(1)에 큰 체압이 부과되는 경우에는 체액의 이행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표면 시이트(6)에서, 투공(ll)의 직경(D)은 웨브를 형성하고 있는 면 섬유의 간극보다도 훨씬 크기 때문에, 배설된 체액이 투공(11)에 유입되면 그 투공(11) 주변의 시이트(6)의 흡액량이 포화 상태가 아닌 한, 체액이 투공(l1) 둘레 벽의 면 섬유에 흡수돼 투공(11)으로부터 소실된다. 투공(11) 아래쪽에는 소수성 쿠션 시이트(14)가 존재하기 때문에, 투공(11) 내의 체액이 투공(11)으로부터 라이너(1) 내부로 이행하여 쿠션 시이트(14) 라든지 누설 방지 시이트(12) 등의 섬유 간극을 막아 이들 시이트의 통기성에 지장을 주는 일은 없다. 따라서 라이너(1)는, 투공(ll)으로부터 체액이 소실되면 그 투공(11)에 의해 다시 두께 방향으로 통기성이 유지되게 된다.
본 발명에 관한 1회용 체액 흡수성 착용 물품은, 도시예의 팬티라이너(1) 이 외에 생리용 냅킨, 실금자용 흡뇨 패드, 흡혈용 패드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1회용 체액 흡수성 착용 물품은 표면 시이트에 흡액성이면서 통기성인 시이트가 사용되고, 이 시이트에 중첩되는 열가소성 합성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가 투액 저항성 및 통기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얇으면서 통기성이 좋다.
셀룰로스계 섬유의 용착이나 바인더에 의한 섬유 접합부를 갖지 않은 스판레이스 부직포를 표면 시이트로 사용하였으므로, 이 물품은 촉감이 좋고 흡수성이 좋다.
표면 시이트는, 지름이 0.3∼3 ㎜인 투공에 있어 체액의 배출 후에도 뛰어난 통기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투액 저항성의 시이트로서 멜트 블로운 부직포를 사용함으로써, 통기 불투액성의 플라스틱 필름을 사용할 때와 같은 귀에 거슬리는 소리가 발생하지 않는다.

Claims (5)

  1. 통기성의 표면 시이트, 통기성의 이면 시이트, 이들 양 시이트 사이에 개재된 통기성의 중간층 시이트로 구성되어 있는 1회용 체액 흡수성 착용 물품으로서,
    상기 표면 시이트는 친수성계 섬유로 이루어진 체액 흡수성 부직포이며, 구멍의 직경이 0.3∼3 ㎜인 투공을 다수 개 가지고 있고,
    상기 이면 시이트는 1∼8 d의 열가소성 합성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이며,
    상기 중간층 시이트는 적어도 투액 저항성 또는 통기성의 멜트 블로운 부직포를 함유한 열가소성 합성 섬유 부직포 여러 장으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부직포가 셀룰로스계 섬유의 부직포이고, 상기 부직포는 면, 펄프, 레이온, 아세테이트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스판레이스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 물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스계 섬유의 부직포의 평량이 15∼70 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 물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다수 개의 상기 투공 중 인접한 것끼리의 중심 간격이 1∼l0 ㎜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 물품.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멜트 블로운 부직포의 평량이 10∼30 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 물품.
KR1019980027213A 1997-07-10 1998-07-07 1회용체액흡수성착용물품 KR1005846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184909 1997-07-10
JP18490997A JP3495229B2 (ja) 1997-07-10 1997-07-10 使い捨ての体液吸収性着用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3641A true KR19990013641A (ko) 1999-02-25
KR100584691B1 KR100584691B1 (ko) 2006-08-01

Family

ID=16161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7213A KR100584691B1 (ko) 1997-07-10 1998-07-07 1회용체액흡수성착용물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JP (1) JP3495229B2 (ko)
KR (1) KR100584691B1 (ko)
CN (1) CN1315444C (ko)
ID (1) ID20948A (ko)
MY (1) MY120542A (ko)
SG (1) SG71820A1 (ko)
TW (1) TW389689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8297B1 (ko) * 2011-04-07 2015-07-30 칼 프로이덴베르크 카게 위생 용품용 탑시트
CN109938925A (zh) * 2019-03-01 2019-06-28 百润(中国)有限公司 一种高透气一次性吸收制品
CN109938925B (zh) * 2019-03-01 2024-06-04 百润(中国)有限公司 一种高透气一次性吸收制品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4441A (ko) * 1999-05-21 2000-12-15 문국현 유체 흡수 강화재
JP2003339761A (ja) * 2001-06-08 2003-12-02 Uni Charm Corp 吸収性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146192B2 (ja) * 2001-09-11 2008-09-0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05193853A (ja) * 2004-01-09 2005-07-21 Yokohama Rubber Co Ltd:The 重荷重用空気入りタイヤ及びその製造方法
CN101542032B (zh) * 2006-06-23 2011-08-24 尤妮佳股份有限公司 无纺布
JP5007157B2 (ja) * 2007-05-31 2012-08-22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074913B2 (ja) * 2007-12-19 2012-11-14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202967B2 (ja) * 2013-09-30 2017-09-2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06420183A (zh) * 2016-11-17 2017-02-22 广东川田卫生用品有限公司 一种复合多孔无纺布
JP7229704B2 (ja) * 2018-09-04 2023-02-2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23521105A (ja) * 2020-04-16 2023-05-23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有孔不織布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78069A (en) * 1984-08-10 1986-03-25 Kimberly-Clark Corporation Breathable baffle composite
DE3717992A1 (de) * 1987-05-27 1988-12-08 Ver Papierwerke Ag Dampfdurchlaessige damenbinde
CA2048216A1 (en) * 1990-09-06 1992-03-07 Michael P. Mathis Spunbond-meltblown-film composite laminate
ES2087314T3 (es) * 1990-11-01 1996-07-16 Procter & Gamble Nucleo superabsorbente fibroso que tiene unida integralmente una capa de recubrimiento hidrofoba.
JP3315993B2 (ja) * 1991-06-03 2002-08-19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パンツ
AU675296B2 (en) * 1993-04-28 1997-01-30 Johnson & Johnson Inc. Non-woven panty liner and a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ame
MY119361A (en) * 1993-09-01 2005-05-31 Kao Corp Surface sheet for absorbent articles.
CA2138584C (en) * 1993-12-30 2006-08-15 Wanda Walton Jackson Apertured film/nonwoven composite for personal care absorbent articles and the like
JP3200673B2 (ja) * 1994-07-12 2001-08-20 小林製薬株式会社 体液吸収用当て材
US5643239A (en) * 1995-11-03 1997-07-01 Poly-Bond, Inc. Breathable disposable sanitary product construct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8297B1 (ko) * 2011-04-07 2015-07-30 칼 프로이덴베르크 카게 위생 용품용 탑시트
CN109938925A (zh) * 2019-03-01 2019-06-28 百润(中国)有限公司 一种高透气一次性吸收制品
CN109938925B (zh) * 2019-03-01 2024-06-04 百润(中国)有限公司 一种高透气一次性吸收制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389689B (en) 2000-05-11
ID20948A (id) 1999-04-01
SG71820A1 (en) 2000-04-18
CN1315444C (zh) 2007-05-16
CN1210709A (zh) 1999-03-17
JP3495229B2 (ja) 2004-02-09
MY120542A (en) 2005-11-30
JPH1128222A (ja) 1999-02-02
KR100584691B1 (ko) 2006-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3788B1 (ko) 일회용체액흡수성물품
EP1208828B1 (en) Absorbent article
CA2350855C (en) Absorbent article
KR100590456B1 (ko) 체액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이트
US6916969B1 (en) Material laminate for use as a covering sheet in an absorbent article
JP2514294B2 (ja) 吸収性物品用身体側カバ―
KR100536763B1 (ko) 체액처리용흡수성물품
KR100584691B1 (ko) 1회용체액흡수성착용물품
JP3851737B2 (ja) 体液処理用吸収性物品
JP4035470B2 (ja) 体液吸収性物品
JP2003284741A (ja) 吸収性物品
JPS62170565A (ja) 吸収性物品の表面材およびその製法
JPH08322881A (ja) 吸収性物品
JPH11113954A (ja) 吸収性物品の表面素材または濾過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102480B1 (ko) 통기성 강화 팬티라이너
JP7344145B2 (ja) 吸収性物品
WO2022226876A1 (en) Absorbent article
JP2020137764A (ja) 吸収性物品
AU782499B2 (en) Absorbent article
JPH03297464A (ja) 体液吸収性物品用の表面材シートおよび吸収性物品
JPH01292104A (ja) 吸収性物品
AU2014200599A1 (en) Cover material for an absorbent article including a skin care composition and an absorbent article having a cover material including a skin care 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