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3486A - 담배용 힌지 덮개식 패킷의 생산방법과 장치 - Google Patents

담배용 힌지 덮개식 패킷의 생산방법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3486A
KR19990013486A KR1019980025578A KR19980025578A KR19990013486A KR 19990013486 A KR19990013486 A KR 19990013486A KR 1019980025578 A KR1019980025578 A KR 1019980025578A KR 19980025578 A KR19980025578 A KR 19980025578A KR 19990013486 A KR19990013486 A KR 199900134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nk
pile
alignment
cross
cro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5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포케하인즈
프로이덴버그하랄트
Original Assignee
포케하인즈
포케운트콤파니(게엠베하운트콤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케하인즈, 포케운트콤파니(게엠베하운트콤파니 filed Critical 포케하인즈
Publication of KR19990013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348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12Feeding flexible bags or carton blanks in flat or collapsed state; Feeding flat bags connected to form a series or chain
    • B65B43/126Feeding carton blanks in flat or collapsed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9/00Packaging rod-shaped or tubular articles susceptible to damage by abrasion or pressure, e.g. cigarettes, cigars, macaroni, spaghetti, drinking straws or welding electrodes
    • B65B19/02Packaging cigarettes
    • B65B19/22Wrapping the cigarettes; Packaging the cigarettes in containers formed by folding wrapping material around formers
    • B65B19/228Preparing and feeding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34Apparatus for squaring-up piled articles
    • B65H31/40Separate receivers, troughs, and like apparatus for knocking-up completed p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230/00Aspects of the final package
    • B65B2230/04Cigarette packages having a hinged l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6Cardbo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Abstract

블랭크 더미(10)로서 송달된 각 개별 조립식 블랭크(11)로부터 담배용 힌지 덮개식 패킷을 생산하기위한 방법과 장치이다.
포장기계에 이송되기 이전에 블랭크의 각 더미(10)는 블랭크 더미(10)의 모든 수직 측면상에 작용하는 정렬장치(21,25,27,28)에 의해 블랭크(11)의 정확한 상대위치에 대하여 측면으로 정렬된다. 각 개별 정렬부재, 즉 슬라이드(37)는 부정확하게 위치된 하부 블랭크(11)를 정렬시키는데 소용된다. 이 슬라이드는 블랭크 더미(10)의 잔류 더미의 영역내에서, 즉 눈에 띄는 상부 일부 더미를 상승시킴으로써 유효하다.

Description

담배용 힌지 덮개식 패킷의 생산방법과 장치
본 발명은 얇은 판지등으로 제작된 조립식 블랭크로부터 패킷을 생산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힌지 덮개식 담배 패킷을 생산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이며 이 조립식 블랭크는 블랭크 더미로서 송달되며 블랭크 더미용 컨베이어에 의해 포장기계에 전달된다.
힌지 덮개식 패킷은 담배용으로 널리 보급된 포장 타입이다. 힌지 덮개식 패킷은 특징으로서 (얇은) 판지로 제작된 외형선의 블랭크로 구성된다. 블랭크 더미는 보통은 팰릿(pallet)으로 송달되며 블랭크 더미를 포장기계에 이송하도록 위치되어 있다. 팰릿상에서 블랭크 더미는 서로 나란히 일렬로 그리고 서로가 층으로 배치되어 있다. 층과 층 사이에는 중간 블랭크가 있으며 이 위에는 각각 상부층의 블랭크가 놓여 있다.
여러가지 종류의 승강기구는 블랭크 더미를 각 개별 또는 그룹으로 팰릿 또는 각 중간 블랭크로부터 올려서 이들 블랭크 더미를 블랭크 더미용 컴베이어에 이송하는 용도로 알려져 있다. 승강기구의 유리한 설계는 각 블랭크 더미가 수직 측면상에서 파지되어 있으며 팰릿 또는 중간 블랭크로부터 상승되고 블랭크 더미용 컨베이어 상으로 낙하되는 설계이다.
상기 블랭크를 운송중 그리고 팰릿으로부터 블랭크 더미의 제거중 팰릿이 (공장에서) 블랭크 더미로 적재될 때 각 개별 블랭크 또는 복수의 블랭크가 측면으로 변위하여 따라서 블랭크의 일부분이 블랭크 더미의 외형선을 넘어서 돌출되는것을 피할수는 없다. 이것은 블랭크 더미의 하부 및 상부 영역, 즉 동일한 더미의 하부 및 상부 블랭크에 특히 해당된다.
이에 기인하여 본 발명의 제1목적은 블랭크 더미를 포장기계의 영역내에서 처리하기 위해 준비하는 것이다.
도 1은 블랭크 더미의 취급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따른 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도 3에 따른 세부도, 즉 정렬 위치에 대한 확대도,
도 5는 블랭크 더미없는 도4의 상세 측면도,
도 6 내지 도 9는 블랭크 더미의 정렬의 연속적 위상에 대한 측면도.
이 목적을 달성하는데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블랭크가 포장기계에 이송되기 이전에 각 블랭크 더미가 모든 블랭크의 정확한 상대위치에 대하여 정렬되는 특징으로 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초가 되는 것은 부정확하게 정렬된 블랭크 더미, 특히 정상부 및 바닥부에서 변위된 블랭크를 가진 블랭크 더미는 포장기계의 불완전하고 비능률적인 작동을 야기시키는 것을 인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각개 블랭크 더미는 순간적인 정지위상중 정렬되며 다음에 이들 블랭크 더미용 컨베이어에 의해 포장기계까지 이르게 되는 것이다. 유리하게는 4개의 정렬부재가 구비되어 대향 측면상에 즉 한편으로 길이방향 측면상에서 그리고 또 다른 한편으로 횡단교차 측면상에서 블랭크 더미와 접촉하게 되어 따라서 블랭크가 서로에 대해 정렬하게 된다. 여기서 정렬부재중의 하나는 정렬된 더미를 블랭크 더미용의 컨베이어상으로 미는 슬라이드로서 동시에 소용된다.
특히 중요한 것은 블랭크 더미의 하부 블랭크를 정렬시키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단인 것이며 이 하부 블랭크는 어떤 경우에는 블랭크 더미의 외형선 넘어서 측면으로 돌출한다. 이들 블랭크를 정렬시키기 위해서 블랭크의 하부 일부분은 블랭크 더미의 상부부분을 상대적으로 올리므로써 압력이 경감된다. 블랭크 더미의 하부 잔류 더미는 블랭크 더미의 이 영역내의 잔여 블랭크내로 용이하게 밀게 한다.
본 발명의 그 이상의 상세내용과 장점은 도면의 도움으로 아래에 더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실시예)
실례를 통하여 그리고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는 힌지 덮개식 (담배) 패킷을 생산하기 위한 블랭크(11)로 구성되는 더미(10)의 취급에 관련된다. 블랭크(11)는 얇은 판지로 구성된다. 패킷, 즉 힌지 덮개식 패킷의 특수설계는 블랭크(11)의 특징적 외형선을 발생케하며 따라서 동일하게 형성된 블랭크 더미(10)를 발생케 한다. 블랭크(11)는 퍼져서 한쪽 측면상에 직각사각형 돌출부(12)와 대향 측면상에 사다리꼴 오목부(13)를 가진 대략 직사각형 형성이다. 돌출부(12)는 힌지덮개식 패킷의 리드 내부 플랩의 결과로서 발생한다. 오목부(13)는 힌지 덮개식 패킷의 전방 벽의 상부폐쇄 가장자리와 측면 플랩 영역내의 입접 경사 가장자리를 통해 발생한다. 이 블랭크(11) 설계는 블랭크 더미(10)의 좁은 수직 횡단교차 측면(14,15)으로 되어 있다. 긴 측면(16,17)은 대부분 편평한 표면으로 되어 있으며 서로가 평행하다.
블랭크 더미(10)는 약간 큰 수량으로 패킷을, 특히 팰릿을 생산할 수 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팰릿에서 블랭크 더미(10)는 서로 나란히 복수의 평행한 열로 그리고 서로가 상하로 복수의 층으로 위치되어 있다. 층 사이에는 대체로 종이, 포일(foil)등으로 제작된 중간 블랭크가 위치하고 있다.
블랭크 더미(10)는 팰릿으로부터 각 개별로 또는 그룹으로 제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블랭크 더미(10)는 각개별로 팰릿에서 제거된다.
블랭크 더미(10)는 블랭크 더미용의 컨베이어(18)에 이송되며 이 컨베이어는 블랭크 더미(10)를 포장기계(도시안됨) 또는 블랭크 매거진까지 운반한다. 블랭크 더미용의 컨베이어(18)는 어큐뮬레이터 롤러 컨베이어로서 형성되어 있다.
블랭크 더미(10)는 각개별 블랭크(11)의 상대위치가 정확하며 정렬된 것을 보증하도록 포장기계까지 이송되기 이전에 처리된다. 이것때문에 블랭크 더미(10)는 블랭크 더미용의 컨베이어(18)의 전면에 배치된 정렬위치(19)까지 각개별로 이송된다. 여기서 블랭크 더미(10)는 잠시동안 베이스, 즉 플랫폼(20) 상에 놓인다. 이것은 블랭크 더미용의 컨베이어(18)의 운반방향에 횡단교차하여 길이방향의 연장과 필수적으로 직각을 이루는 형상이 된다. 펴진 블랭크 더미(18)는 플랫폼(20)상에 대응하여 위치된다. 플랫폼(20)의 축받이 표면은 블랭크 더미(10)의 외부치수보다 약간 작아서, 더미는 플랫폼(20) 전면에 걸치어 모든 측면상에 돌출한다.
정렬위치(1a)의 영역내의 정렬부재는 블랭크 더미(10)를 정렬하는데 소용되거나 또는 부적당한 위치내에 놓여 있는 모든 블랭크(11)를 위치변경시키는데 소용된다. 이들 정렬부재는 판 형상의 형성이며 블랭크 더미(10)의 측면에 대하여 측면에서 수직위치로 이동될 수도 있으며 따라서 블랭크(11)의 상대위치에 대해 동일하게 정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하나의 정렬부재는 블랭크 더미(10)의 각 수직면(14,15,16,17)과 결합되어있다. 블랭크 더미용의 컨베이어(18)로부터 방향이 돌리게 된 측면(17)상에는 이 측면(17)까지 횡단교차하여 이동될 수도 있는 길이방향의 정렬장치(21)가 배열되어있다. 이것은 수직 판형상의 형성이며 이 경우에 피스톤 로드없는 작동 실린더(22)에 의해 수평으로 구동될 수도 있다. 이 배열로 작동 실린더(22)는 수평면내에서 전후방으로 정렬장치(23)와 함께 이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작동 실린더(22)는 고정가이드(24) 내에서 작동한다. 작동 실린더(22) 밖으로 측면으로 이동하는 손잡이(도시안됨)는 가이드(24)와 연결되어, 작동 실린더(22)내의 피스톤에 충격이 가해질때 상기 실린더는 정렬유닛(23)과 함께 한 방향 또는 다른 방향으로 이동한다.
길이방향의 정렬장치(21)는 블랭크 더미(10)의 면하는 측면(17)에 대항하여 정렬유닛(23)의 부분으로서 구동된다. 대향측에서, 즉 측면(16)과 함께 블랭크 더미(10)는 카운터 부재를 향해서 배치되며 수직 판형상의 카운터 정렬장치(25)를 향해서 배치된다.
카운터 정렬장치(25)는 블랭크 더미용의 컨베이어(18)의 초기 영역내에, 즉 그 끝부 이전에 배열된다. 카운터 정렬장치(25)는 리프팅 부재(26)에 의해 블랭크 더미용의 컨베이어(18)와 플랫폼(20) 사이에 형성된 간극내에서 상하로 이동될 수도 있다. 카운터 정렬장치(25)는 도 2에 도시된 상부 정렬위치내로 정렬시키는 작업사이클을 위해 이동할 뿐이며, 그로부터 즉 블랭크 더미(10)를 블랭크 더미용의 컨베이어(18) 위까지 밀기위하여 블랭크 더미(10)의 이동평면아래 위치내로 하강된다.
블랭크 더미(10)를 정렬시키는 방법은 또한 횡단교차면(14,15)까지 연장된다. 이것때문에 횡단교차 정렬장치(27,28)는 구비되며 횡단교차면(14,15)에 대하여 대응하는 상대이동에 의하여 이동될 수도 있고 일부분의 영역에서 이들 면과 억지끼워맞춤된다. 횡단교차면(14)과 결합된 횡단교차 정렬장치(27)는 직각으로 구부러진 단면을 갖춘 판이다. 한 자유단 암(29)은 블랭크 더미(10)의 돌출부(12)에 의해 형성된 면상에 놓여 있다. 대향 횡단교차 정렬장치(28)는 크게 오프셋되어 직각으로 구부러진 판으로서 마찬가지로 형성되어 있다. 하나의 자유단 암(30)은 블랭크 더미의 오목부(13)내로 들어가며 블랭크(11)의 전방 벽의 가장자리를 폐쇄함으로써 형성된 일부 면에 인접한다.
횡단교차 정렬장치(27,28)는 정렬유닛(23)에 부착되어 있으며 도 4의 후퇴위치 밖의 도 7 및 도 9의 정렬위치내로 길이방향의 정렬장치(21)의 이동방향에 대응하는 정렬유닛(23)과 함께 이동될 수도 있다. 정렬위치내에서 횡단교차 정렬장치(27,28)는 우선, 면하는 횡단교차면(14,15)에서 이격되어 위치되어 있다. 블랭크 더미(10)를 향하는 이동을 통해서, 즉 서로에 대한 방향에서 횡단교차 정렬장치(27,28)는 이들 장치가 각각의 횡단교차면(14,15)의 끝 암(29,30)과 접촉하게 될 때까지 이동한다. 블랭크 더미(10)상에 (매우작은 압력으로) 놓여있는 위치를 통하여 블랭크 더미(10)의 블랭크(11)는 횡단교차 정렬장치(27,28)의 수직면에 의해 정확히 정렬되어 있다.
횡단교차 정렬장치(27,28)는 (횡단교차 방향으로) 변위가능하도록 정렬유닛(23)상에 장착되어 있다. 각 횡단교차 정렬장치(27,28)와 결합하여 가이드(31,32)가 정렬유닛(23)상에 있다. 이 가이드내에는 각 횡단교차 정렬장치(27,28)와 연결된 가이드 로드(33,34)가 이동될 수도 있다. 가이드 로드(33,34)용의 작동부재는 명확하므로 도시되어 있지 않다. 정렬유닛(23) 부재의 이동은 도 4에서 2중 화살표로 도시되어 있다.
블랭크 더미(10)가 포장기계에 이송될때 블랭크의 한 더미(10)는 각각 플랫폼(20)상으로 낙하하여 그후 정렬부재에 의하여 4개의 모든 측면에 영향을 미치며 블랭크 더미용의 컨베이어(18)에 이송된다. 이것때문에 카운터 정렬장치(25)는 우선 낙하한다. 정렬유닛(23) 또는 그 길이방향의 정렬장치(21)는 블랭크 더미(10)용의 슬라이드로서 작용한다. 정렬유닛(23) 또는 길이방향 정렬장치(21)의 블랭크 더미(10) 쪽으로의 이동은 계속되며 이에따라 블랭크 더미(10)는 플랫폼(20)을 밀어내서 블랭크 더미용의 컨베이어(18)에게 이송된다.
중요한 특징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히 블랭크 더미(10)의 정렬중에 발생한다. 특히 블랭크 더미(10)의 하부 영역내에서 부정확하게 위치된 블랭크(11)를 취급하는 문제가 있다. 도 6 및 도 7에서 블랭크(11)는 블랭크 더미(10)의 외형선을 건너서 측면으로 확실히 돌출하는 블랭크 더미(10)의 하부 측면상에 도시되어 있다. 블랭크(11)를 정확한 위치내로 밀어놓는 것은 블랭크(11) 상에 있는 블랭크 더미(10)의 자중으로 인해 불확실하다. 이 이유로 하부 블랭크(11)가 위치내로 밀려들어가도록 중량이 감소된다.
도면에 도시된 해답에 관하여 상부 큰부분의 블랭크 더미(35)는 작은 잔류 더미(36)가 플랫폼(20)상에 잔류하도록 플랫폼(20)의 영역내로 올려진다. 플랫폼(20)의 중량은 매우 작으므로 아래로 돌출하는 블랭크(11)는 대응방향으로 이동될 수도 있는 슬라이드(37)에 의해 더미의 정확한 위치내로 이동될 수 있다. 슬라이드(37)는 또한 정렬장치(23)상의 본 케이스내에 배치되어 있으며 동일 케이스의 하부 영역내의 가이드내로 이동될 수도 있다. 슬라이드(37)는 자체가 예컨대 실린더(도시안됨)에 의해 이동될 수도 있다.
도 6 내지 도 9에 따르면 진행에 따라 블랭크 더미(10)가 플랫폼(20)상에 놓인후 우선 카운터 정렬장치(25)는 상부쪽 이동에 의해 정렬위치내로 이동된다(도7). 그후 정렬유닛(23)은 길이방향의 정렬장치(21)가 블랭크 더미(10)의 면하는 측면(17)상에 놓일 정도로 전진한다. 이 실시예에서 길이방향의 정렬장치(21)는 블랭크 더미(10)의 상부의 일부높이를 넘어서만, 즉 상부 일부 더미(35)에 대응해서만 뻗는다. 상부 일부 더미(35)는 측면(17)상의 길이방향의 정렬장치(21)의 접촉압력에 의해 파지되며 클램핑효과에 의해 유지된다.
길이방향의 정렬장치(21)에 의해 파지되지않은 하부 잔류 더미(36)는 잔류 더미(36)와 함께 플랫폼(20)의 대응하는 하방쪽 이동을 통해 상부 일부 더미(35)로부터 분리된다(도7의 위치). 측면으로 돌출하는 하부 블랭크(11)는 이제 하중으로부터 크게 경감된다. 슬라이드(37)는 작동된다. 즉 블랭크 더미(10)쪽 방향으로 또는 잔류 더미(36)쪽 방향으로 작동한다. 여기서 돌출 블랭크(11)는 블랭크 더미(10)내로 밀려 들어간다. 다음에 슬라이드는 후방으로 제거된다. 잔류 더미(36)는 플랫폼(20)을 올리므로써 재차 일부 더미(35)에 가해진다. 완전한 정렬유닛(23)은 물러선다(도 8). 대향 방향에서의 이동을 통해 블랭크의 정렬된 더미(10)는 플랫폼(20)으로부터 밀려서 블랭크 더미용 컨베이어(18) 위까지 밀린다.
횡단교차 정렬장치(27,28)는 또한 여러가지 방식으로 이들 수단의 기여효과를 가질 수 있다. 되도록이면 횡단교차 정렬장치(27,28)는 정렬위치 밖으로 즉 블랭크 더미(10)와의 접촉상태의 위치 밖으로 물러서게 하여, 도 7 및 도 8에서 발생하는 조처가 실행되기 이전에 도 4에 의한 위치내로 물러서게 된다. 그러나 정렬장치(27,28)를 형성하는것이 또한 가능하여 이들 정렬장치는 길이방향의 정렬장치(21)에 대한 유사방식으로 상부 일부 더미(35)용의 부재를 클램핑 또는 지지시키는데 소용된다. 블랭크 더미(10)를 블랭크 더미용의 컨베이어(18)위로 미는 이동중 횡단교차 정렬부재(27,28)는 도 4에 의한 위치내로 물러선다. 여기서 하부 슬라이드(37)는 길이방향의 정렬부재(21)의 연장으로서 작용하며 따라서 하나의 유닛으로서 함께 이동한다.
상부 일부 더미(35)를 일시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길이방향의 정렬부재(21)는 입력부재, 즉 압력 스트립(strip)(39)이 그 하부 가장자리위에 구비되어 있다. 이것은 가요성 재료, 특히 다공성(多孔性) 고무로 구성된다. 압력 스트립(39)은 국부적으로 즉 일부 더미(35)의 하부영역상에서, 일부 더미(35)가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증대된 접촉압력을 일으킨다. 일부 블랭크(35)는 잔류 더미(36)로부터 상대 횡단 교차 이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분할될 수 있으며 따라서 잔류 더미는 하중이 없다.
이 이상의 특징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블랭크 더미(10)에 대한 극단적 확산 상대위치를 근거로 하여 정렬위치(19)의 영역내의 개별블랭크(11)가 이들의 자체 중량의 결과로서 유지될 수 없어 낙하한다면 이들 블랭크는 수집 컨테이너(40)에 의해 수집된다. 수집 컨테이너(40)는 정렬위치(19)에 대해 약간 오프셋된 위치에 있다. 경사진 하방쪽으로 향한 가이드판은 낙하하는 블랭크(11)를 수집용 컨테이너(40)내에 이르게 한다.
본 발명은 부정확하게 정렬된 블랭크 더미, 특히 정상부 및 바닥부에서 변위된 블랭크를 가진 블랭크 더미가 포장기계의 불완전하고 비능률적인 작동을 야기시키는 것을 인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각 개별 블랭크 더미는 순간적인 정지위상중 정렬되며 다음에 이들 블랭크 더미용 컨베이어에 의해 포장기계까지 이르게 되는 것이다. 유리하게는 4개의 정렬부재가 구비되어 대향 측면상에 즉 한편으로 길이방향 측면상에서 그리고 또 다른 한편으로 횡단교차 측면상에서 블랭크 더미와 접촉하게 되어 따라서 블랭크가 서로에 대해 정렬하게 된다. 여기서 정렬부재중의 하나는 정렬된 더미를 블랭크 더미용의 컨베이어상으로 미는 슬라이드로서 동시에 소용된다.
특히 중요한 것은 블랭크 더미의 하부 블랭크를 정렬시키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단인 것이며 이 하부 블랭크는 어떤 경우에는 블랭크 더미의 외형선 넘어서 측면으로 돌출한다. 이들 블랭크를 정렬시키기 위해서 블랭크의 하부 일부분은 블랭크 더미의 상부부분을 상대적으로 올리므로써 압력이 경감된다. 블랭크 더미의 하부 잔류 더미는 블랭크 더미의 이 영역내의 잔여 블랭크내로 용이하게 밀게 한다.

Claims (14)

  1. 블랭크(11) 더미로서 송달되며 블랭크 더미(18)용의 컨베이어를 거쳐서 포장기계까지 송달되는 얇은 판지등으로 만든 조립식 블랭크(10)로부터 패킷을 생산하기 위한, 특히 힌지 덮개식 담배 패킷을 생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블랭크의 각 더미(10)는, 이 더미가 포장기계까지 이송되기 이전에, 특히 이 더미가 블랭크 더미용의 컨베이어까지 이송되기 이전에 블랭크 더미의 적어도 2개 대향(수직) 측면상에 가해지는 표면압력에 의하여 모든 블랭크(10)의 정확한 상대위치에 대하여 정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생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블랭크 더미(10) 또는 복수의 블랭크 더미(10)는 4개의 모든 수직 측면(14,15,16,17) 상에서 정렬부재(21,25,27,28)에 의해 정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대위치가 부정확한 블랭크 더미(10)의 하부 영역내에 놓여있는 블랭크(11) 또는 하부 블랭크(11)는 바람직하게 정렬될 블랭크(11)의 (일부분의) 경감중 각개별 정렬방법에 의해 정확한 상대위치내로 이동되며, 블랭크 더미(10)의 상부 일부 더미(35)는 하부 잔류 더미(36)를 형성하여 하부 블랭크(11)상의 하중을 경감하도록 일시적으로 분할될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더미용의 컨베이어(18)에 의하여 블랭크 더미(10)로서 포장기계까지 송달될 수 있는 (얇은) 판지등으로 만든 조립식 블랭크로부터 패킷을 생산하기위한, 바람직하게는 포장기계내에서 힌지 덮개식 담배 패킷을 생산하기위한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정렬부재를 가지며, 더미가 동일 더미의 수직 측면상에 놓이게 될때까지 그리고 대향 측면상에서 카운터 정렬부재와 함께 작동하게 될때까지 블랭크 더미(10)의 블랭크(11)를 정확히 정렬시키도록 이동될 수도 있는 각각 하나의 블랭크 더미(10) 또는 복수의 블랭크 더미(10)용의 정렬 위치(19)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생산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블랭크 더미(10)의 길이방향으로 뻗어있는 측면(16,17)을 향해 면하는 카운터 정렬장치(25)를 가지며 블랭크 더미(10)의 좁은 횡단교차면(14,15)을 향해 횡단교차하는 방향으로 횡단교차하는 정렬장치(27,28)를 가진 길이방향의 정렬장치(21)가 블랭크 더미(10)의 각각의 수직면과 결합되어 있으며, 이 횡단교차 정렬장치(27,28)는 바람직하게는 설계상으로, 결합된 횡단교차면(14,15)의 형상에 적합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횡단교차 정렬장치(27,28)는 판등의 구성이며, 그 외형은 직각으로 구부러져서, 각각의 끝 암(29,30)은 돌출부(12)에 의해 형성된 횡단교차면(14) 또는 오목부(13)에 의해 형성된 횡단 교차면(15)에 대하여 놓여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블랭크 더미(10)의 송달방향에 대해 횡단교차하여 뻗어있는 측면(16,17) 상에는 상하로 이동될 수 있는 카운터 정렬장치(25)와, 대향하여 놓여있으며 블랭크 더미(10)쪽 방향으로 그리고 후방 방향으로 이동될 수도 있는 길이방향의 정렬장치(21)가 배치되어 있으며, 쌍방의 정렬장치(21,25)는 바람직하게는 편평한 판형상의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복수의 정렬부재는 이동가능한 공통의 정렬유닛(23)상에, 바람직하게는 길이방향의 정렬장치(21)와 2개의 횡단교차 정렬장치(27,28)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 정렬유닛(23)은 취급될 블랭크 더미(10)쪽으로 전진될 수 있고, 횡단교차 정렬장치(27,26)는 길이방향 정렬장치(21)의 정렬위치내에서, 정렬위치내로 그리고 후방으로 정렬유닛(23)에 대해 횡단교차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카운터 정렬장치(25)가 제거된 후 필요하면, 블랭크의 정렬된 더미(10)는 길이방향의 정렬장치(21)에 의하여 또는 대응방향으로 이동된 정렬유닛(23)에 의하여 컨베이어(18)상으로 밀리게 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5 항에 있어서, 독립적으로 이동될 수 있는 개별 정렬부재는 블랭크 더미(10)의 하부 일부영역, 특히 하부 잔류 더미(36)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드(37), 특히 정렬유닛(23)상에서 슬라이드(37)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5 항에 있어서, 블랭크 더미(10)의 하부 일부 영역, 특히 적어도 하나의 하부 블랭크(11)를 정렬시키기 위하여 하부 잔류 더미(36)는 눈에 띄는 상부 일부더미(35), 특히 잔류 더미(36)를 낮추므로써 눈에 띄는 상부 일부 더미(35)로부터 분할될 수 있으며, 잔류 더미가 분할 위치에 있을때 잔류 더미는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드(37)에 의해 정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부 일부 더미(35)는 클램프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길이방향의 정렬 장치(21)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으며, 면하는 카운터 정렬장치(25)와 함께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 있고, 잔류 더미(36)는 낮추므로써, 바람직하게는 플랫폼(20)을 아래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일부 더미(35)로부터 분할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길이방향의 정렬장치(21)는 적어도 하부 한계 영역내에서, 가요성 재료로 만들어 블랭크 더미(10)를 향하여 놓여있는 압력 스트립(39)의 장치에 의하여 클램핑부재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 5 항에 있어서, 블랭크(11) 수집 컨테이너(40)는 블랭크 자체 중량에 의하여 정렬 위치(19) 밖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980025578A 1997-07-04 1998-06-30 담배용 힌지 덮개식 패킷의 생산방법과 장치 KR199900134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28515A DE19728515A1 (de) 1997-07-04 1997-07-04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Klappschachteln für Zigaretten
DE19728515.5 1997-07-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3486A true KR19990013486A (ko) 1999-02-25

Family

ID=7834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5578A KR19990013486A (ko) 1997-07-04 1998-06-30 담배용 힌지 덮개식 패킷의 생산방법과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996321A (ko)
EP (1) EP0888969B1 (ko)
JP (1) JP3980184B2 (ko)
KR (1) KR19990013486A (ko)
CN (1) CN1077064C (ko)
BR (1) BR9802348A (ko)
DE (2) DE197285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04443A1 (de) * 1999-02-04 2000-08-10 Hauni Maschinenbau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Zuführen von Packungszuschnitten
CN105236192B (zh) * 2015-10-20 2017-08-04 安徽华艺印刷包装有限公司 纸板自动堆放装置
CN109179040B (zh) * 2018-09-21 2020-06-02 南京理工技术转移中心有限公司 一种打印机的出纸收集装置
CN111532468B (zh) * 2020-05-07 2021-08-17 广州市群利纸箱制品有限公司 翻盖机构及物料加工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36330C (de) * 1926-10-29 Carl Bongartz Hin und her schwingende Speiserutsche fuer Getreidereinigungs- und -sortiermaschinen
DE6920004U (de) * 1969-05-13 1969-09-11 Juergen Pietsch Zerlegbares kombinations-kunststoffboot
GB1428768A (en) * 1973-02-27 1976-03-17 Focke Pfuhl Verpack Automat Apparatus for lifting articles
DE2908943A1 (de) * 1979-03-07 1980-09-11 Hans Lehmacher Vorrichtung zum einbringen eines losen flachstapels in einen verpackungskarton
DE3627868A1 (de) * 1986-08-16 1988-02-18 Focke & Co Vorrichtung zum zufuehren von zuschnitten zu einer verpackungsmaschine
IT1207662B (it) * 1987-04-15 1989-05-25 Gd Spa Apparecchiatura di alimentazione di pile di materiale in foglio ad unamacchina utilizzatrice
IT1233671B (it) * 1989-08-01 1992-04-13 Gd Spa Apparecchiatura per alimentare macchine confezionatrici con pile di materiale in foglio
DE3933098A1 (de) * 1989-10-04 1991-04-11 Focke & Co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transport von stapeln von zuschnitten fuer die herstellung von (zigaretten-)packungen
DE4000263A1 (de) * 1990-01-03 1991-07-04 System Gmbh Vorrichtung zum richten von stapeln
IT1252722B (it) * 1991-02-22 1995-06-28 Wrapmatic Spa Apparecchiatura per il compattamento di risme di carta.
IT1252449B (it) * 1991-07-22 1995-06-16 Gd Spa Procedimento e dispositivo per ordinare pile di sbozzati in una macchina confezionatrice
EP0577905B1 (fr) * 1992-07-06 1994-01-19 Fabriques De Tabac Reunies S.A. Procédé et dispositif d'alignement d'ébauches d'emballages, notamment d'étiquettes de paquets de cigarettes
DE4301169A1 (de) * 1993-01-20 1994-07-21 Focke & Co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andhabung von Zuschnitt-Stapeln mit Banderole
IT1275626B1 (it) * 1994-06-02 1997-10-17 Omg Pessina Perobelli Macchina per formare pacchi di fogli fascettati
DE4436330A1 (de) * 1994-10-11 1996-04-18 Focke & Co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andhabung von Zuschnitt-Stapeln mit Banderolen
US5727365A (en) * 1996-01-16 1998-03-17 Riverwood International Corporation Apparatus for packaging article groups
DE19615009B4 (de) * 1996-04-16 2005-09-29 Smb Schwede Maschinenbau Gmbh Kreuzleger mit Umreifungsvorrichtung
US5794416A (en) * 1996-10-16 1998-08-18 Recot, Inc. Computer controlled system for loading pallets in a confined cargo are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88969B1 (de) 2004-03-31
CN1204608A (zh) 1999-01-13
DE59811077D1 (de) 2004-05-06
CN1077064C (zh) 2002-01-02
BR9802348A (pt) 1999-10-19
JPH11105826A (ja) 1999-04-20
DE19728515A1 (de) 1999-01-07
EP0888969A1 (de) 1999-01-07
US5996321A (en) 1999-12-07
JP3980184B2 (ja) 2007-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38150A (en) Apparatus for handling articles, such as cartons
US4162016A (en) Article stacker with overhead finger rake
JPH04354725A (ja) パッケージを積重体に形成する機械
JP3025396B2 (ja) ブランクの堆積層を取り扱う方法と装置
JPH06122413A (ja) 堆積物品にセパレータシートを供給する装置
CA1203784A (en) Method and device for packaging of soft packages
US556711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alletizing work pieces
KR19990013486A (ko) 담배용 힌지 덮개식 패킷의 생산방법과 장치
US20100031612A1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packaging stackable 0bjects, in particular printed products
GB2098586A (en) Feed mechanism for piles of flat strips
AU617523B2 (en) An apparatus for storing and supplying sheet-like materials
US5411363A (en) Case unloading apparatus
JPS63171731A (ja) 板状材移送方法
JP4136159B2 (ja) 積み重ねシートの段積装置
JPH04106065A (ja) 板状ワークの整列積み重ね装置
JPH075056Y2 (ja) 匣鉢自動積み降ろし装置における敷板の位置合わせ装置
JPH0790618B2 (ja) 函成形機
CN219634663U (zh) 一种粘箱机用下料装置
JPH07112825A (ja) 段積みパレットの切出し装置
JPS6056724A (ja) ロ−ラコンベヤ搬送用の敷板介挿装置
JPH0567545B2 (ko)
GB2370828A (en) Gripper and method of unstacking elongate work pieces
KR200345780Y1 (ko) 재단종이의 층상 적재기
JPH077145Y2 (ja) 函組立装置
JPS6311249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