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8236A - 모터케이싱을 갖는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모터케이싱을 갖는 진공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8236A
KR19990008236A KR1019970707762A KR19970707762A KR19990008236A KR 19990008236 A KR19990008236 A KR 19990008236A KR 1019970707762 A KR1019970707762 A KR 1019970707762A KR 19970707762 A KR19970707762 A KR 19970707762A KR 19990008236 A KR19990008236 A KR 199900082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stem
socket
vacuum cleaner
femal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7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3999B1 (ko
Inventor
카르스텐 야코브스
한스-페터 아르놀트
우베 하이더
헬무트 쇤호프
Original Assignee
울리히 묄만, 클라우스 디르크 보르흐만
포르베르크 운트 콤파니 인터홀딩 게임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리히 묄만, 클라우스 디르크 보르흐만, 포르베르크 운트 콤파니 인터홀딩 게임베하 filed Critical 울리히 묄만, 클라우스 디르크 보르흐만
Publication of KR19990008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82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3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39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25Convertible suction cleaners, i.e. convertible between different types thereof, e.g. from upright suction cleaners to sledge-type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47L9/2842Suction motors or blo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57User input or output elements for control, e.g. buttons, switches or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94Details related to signal transmission in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32Handles
    • A47L9/325Handles for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5/00Brushing, scrubbing, and general cleaning
    • Y10S15/10Handles, reels and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발명은 선택에 따라 연결필터챔버를 갖는 모터케이싱(G)과 장치스템(St)을 모터케이싱(G)에 근접한 플러그소켓(21)으로 끼울 수 있으며, 모터케이싱(G)에 배열된 전원스위치(24)는 스템(St)으로 끼워질 때 작동되는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스템에 의해 영향받는 모터케이싱측 전원스위치의 스위치전환면에서 상기형태의 진공청소기를 개량시키기 위해, 미끄럼스위치로 형성된 전원스위치(24)가 전원스위치(24)의 동시작동으로 스템(St)에 끼워질 때만 작동되는 원격작동연장부(48)를 갖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Description

모터케이싱을 갖는 진공청소기
본 발명은 선택에 따라 연결필터챔버를 갖는 모터케이싱과 장치스템(appliance stem)을 갖는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스템을 모터케이싱에 근접한 플러그소켓(receptacle)에 끼을 수 있으며 모터케이싱에 배열된 전원스위치는 스템에 끼워질 때 작동된다.
이런형태의 진공청소기는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WO95/28867호는 모터케이싱에 고정될 수 있는 스템을 갖는 진공청소기를 개시하고 있다. 모터케이싱으로 끼워지거나 뺄 때, 스템은 모터케이싱에 배열된 변환스위치를 작동시킨다. 이 스위치는 전류상태에 따라 모터케이싱측 전원스위치를 작동 또는 비작동시킨다. 스템이 모터케이싱으로 끼워질 때, 파워스위치는 전하중상태로 구동되어서 스템 또는 스템손잡이의 직렬로 연결된 또다른 전원스위치가 작동된다. 이런 구성에 의해, 진공청소기모터는 스템측전원스위치를 통해서만 구동된다. 스템이 모터케이싱에서 빼지면, 전환스위치는 모터케이싱측 전원스위치가 오프위치로 전환되도록 작동된다. 이처럼 후자의 스위치는 활선전원스위치이다. 스템이 제거된 진공청소기는 바닥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흡입모터의 전원은 모터케이싱측 전원스위치를 사용하여 제어된다.
[발명의 목적]
상기 공지기술에 있어서, 본 발명의 주안점은 스템에 의해 모터케이싱측 전원스위치 변환과 관련된 전술형태의 진공청소기의 개량이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이 문제는 제 1청구항의 요지에 해결되는바, 이는 미끄럼스위치로 형성되는 전원스위치가 전원스위치의 동시작동으로 스템에 끼워져서 작동되는 원격작동연장부를 갖는 상황을 커버한다. 따라서 이 경우, 스위칭은 기계적으로 작동된다. 단락발생이 쉬운 어떤 전기부품이나 회로의 필요성이 없다. 미끄럼스위치로 형성되는 모터케이싱의 전원스위치는 스템과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원격자동연장부를 가지며, 이에 의해 미끄럼스위치는 스템을 모터케이싱에 끼움으로서 전하중상태로 이동된다. 공지기술에서 언급된 것처럼, 여기서도 모터케이싱측 전원스위치는 스템손잡이 영역에 위치되는 스템측스위치와 직렬로 연결된다. 스템이 끼워질 때 핸들측의 전원스위치는 직렬연결 및 케이싱측 전원스위치의 전하중 위치에 의해 작동된다. 핸들측 전원스위치는 흡입모터의 전원을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원격작동연장부는 전원스위치의 작동영역에 재료면에서 일체형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모터케이싱측 전원스위치가, 스템이 모터케이싱으로부터 제거될 때, 예를 들면 인장스프링 등에 의해 자동으로 오프위치로 복귀되도록 디자인될 수 있다.
이것은 스템이 제거될 때 흡입모터가 스위치오프되는 것을 보장한다. 흡입모터로의 전원은 따라서 모터케이싱측 전원스위치만에 의해 제어된다. 원격작동연장부는 스템측 단부에 스템의 걸쇠역할의 요구와 상호작용하는 걸쇠역할 돌출부를 갖는다. 스템이 모터케이싱으로 끼워질 때, 스템의 요구는 원격작동연장부의 돌출부를 수용하며 이 연장부에 의해 전원스위치를 전하중위치로 이동시킨다. 원격자동연장부의 돌출부와 스템의 요구사이의 체결연결 때문에, 스템의 인출은 전원스위치를 오프위치로 복구시킨다. 원격작동연장부는 적어도 돌출부영역이 탄성구성이어서 전원스위치의 오프위치도달시 돌출부가, 스템의 계속인출시, 스템의 요구를 탄성이탈케 한다. 이를 위해, 원격작동연장부의 스템측단부는 스템의 인출시 플러그소켓구멍에 대해 후방으로 변위는 위치로 최대로 끌려진다. 따라서 원격작동연장부 또는 그 돌출부는 스템이 인출된 후 플러그소켓구멍을 지나 돌출하지 않으며, 그결과 원격작동연장부는 항상 플러그소켓내 돌출위치에 유지된다.
원격작동연장부의 스템측단부는 플러그소켓내벽과 이소켓에 배열된 플러그사이의 틈내에서 변위될 수 있어서 유리하다. 따라서, 원격작동연장부는 안내되며 플러그소켓내측에 고정된 위치는 항상 스템의 요구로의 돌출부의 안정위치를 제공한다. 플러그소켓에 배열된 플러그는 스템의 플러그와 연관될 수 있는 결합부와 전기적결합을 형성한다. 또한 변위는 플러그뒤쪽의 정지자에 의해 제한된다. 이를 위해, 예를 들면, 원격작동연장부는 전원스위치의 오프위치를 한정하기 위해 스템이 인출될 때 소켓측플러그의 뒤쪽과 총돌하는 일체형 모듈의 정지가 캐치를 갖는다. 원격작동연장부의 자유단부를 지나 돌출하도록 플러그와 정렬된다. 이렇게 하여 요구가 플러그결합면을 지나 돌출하는 스템만이 파워스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 구성은 스템이 제거될 때 적당한 주 결합부가 전원을 흡입모터로 공급하기 위해 플러그소켓으로 도입되는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 이 주결합부는, 예를 들면, 비가열장치용 공지의 유입커넥터 형태일 수 있다. 이 커넥터는 모터케이싱측 플러그의 접속러그가 전기적 결합을 위해 포획되도록 플러그소켓내로 도입된다.
이때 작동연장부에는 아무영향이 없다. 모터케이싱측 전원스위치는 초기에 오프위치를 유지해야 한다. 위치는 스위치를 작동시켜 의도적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건에 따라 연결필터챔버와 장치스템을 갖되, 스템을 모터케이싱에 인접한 플러그소켓으로 끼울 수 있으며 플러그는 접속러그를 갖는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이때 스템과 모터케이싱과의 결합향상을 위해, 플러그는 접속러그의 자유단부가 플러그소켓 구멍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되도록 소켓후방에 배열된다. 모터케이싱측 플러그의 접속러그는 소켓내의 밀봉에 배열되어서, 예를 들면, 진공청소기를 내려놓을 때, 우연히 만곡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이것은 플러그소켓내측의 신뢰성있는 결합을 보장한다. 플러그소켓의 내벽은 스템의 플러그-인(plug-in)암커넥터를 위한 측방안내를 제공한다. 플러그는 플러그소켓에서 자유돌출하도록 배열된다. 이를 위해, 플러그는 플러그소켓단면에 비해 감소된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케이싱 측전원스위치의 원격작동연장부는, 언급한 것처럼, 플러그와 플러그소켓내벽사이에 형성된 환상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소켓으로 도입된 스템은 이 원격작동연장부작동을 위해 형성된 환상공간내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가질 수 있다.
이 돌출부는 스템측 플러그-인 암커넥터에 일체로 모울드 되어서 이 암커넥터에 대한 연장부를 형성한다. 플러그는 플러그가 플러그베이스에 의해 소켓에 고정되도록 모터케이싱에 배열된다. 이렇게 플러그하우징에 고정된 플러그는 플러그소켓내로 자유돌출한다. 플러그와 소켓내벽사이의 환상공간 깊이는 플러그베이스에 의해 제한되며, 그 단면은 소켓단면에 필적한다. 따라서 이것은 전원스위치의 원격작동연장부 작동을 위한 스템연장부에 대해 정지자 리미트를 제공한다. 스템과 모터케이싱간 기계적인 고하중 전달을 보장하기 위해, 스템은 스템단면의 최대자유칫수의 적어도 1.5배, 바람직하게는 2배에 해당하는 칫수에 걸쳐서 소켓내로 끼워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소켓구멍에서 접속러그푸트까지의 길이만큼 접속러그푸트를 지나 플러그와 소켓내벽사이에 형성된 환상공간으로 들어간다. 케이싱측플러그의 자유돌출길이는 적당히 선택된다. 또한 이 구성은 소켓영역에 다른 역할을 갖는 두영역을 만든다. 소켓구멍과 연관된 제 1영역은 스템대신 삽입될 수 있는 스템측플러그-인 암커넥터 또는 주 플러그-인 암커넥터와 케이싱측플러그와의 전기적결합영역을 형성한다.
제 2영역은 스템과 케이싱측 전원스위치의 원격자동연장부사이의 결합 영역을 형성하며, 제 2영역의 길이, 즉 플러그의 자유돌출영역길이는 전원스위치의 최대이동거리에 상응한다. 양영역은 함께 스템과 모터케이싱간의 기계적결합영역을 형성하며, 결합영역의 총길이는 높은 힘과 모멘트가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칫수를 갖는다. 스템 및/또는 주 플러그-인 암커넥터는 플러그소켓의 걸쇠소켓에 걸리도록 플러그-인 방향에 수직돌출하는 걸쇠스터드(latching stud)를 갖는다. 이 걸쇠연결은 소켓내의 스템 또는 주 플러그-인 암커넥터를 확실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 걸쇠연결은 연결을 해제하려고 의도할 때만 분리될 수 있다. 스템 또는 암커넥터에 제공된 스터드는, 예를 들면, 플러그-인방향에 수직인 걸쇠 연결방향으로 스프링하중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터드하중에는 압축스프링이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스터드가 케이싱슬라브로부터 부분적으로 자유절취된 탄성부로 구성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터드수용을 위한 플러그소켓측요구는 이미 언급한 소켓의 제 1영역, 즉 전기적결합영역에 제공된다. 스템 또는 암커넥터와 플러그소켓간 걸쇠연결을 제거하기 위해 걸쇠연결소켓에 스터드 분리를 위한 이젝터(ejector)가 제공된다.
이젝터 작동으로 스터드는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변위되어서 스템 또는 암커넥터가 제거될 수 있다. 이젝터는, 예를 들면, 금 속의 일체형 스로우-아웃(throw-out)부를 갖는 가요성 플라스틱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이 스로우-아웃부는 강체플라스틱부일 수도 있다.
끝으로, 본 발명은 조건에 따라 모터케이싱, 연결필터챔버와 장치스템을 갖되 스템을 모터케이싱 근방에 플러그소켓내로 끼울 수 있으며, 또한 주 플러그-인 암커넥터를 갖되 이 커넥터를 스템내로 끼울 수 있는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이때 스템일측은 암커넥터와 상호작용 하는 플러그를 가지며 플러그는 암커넥터의 최대자유단면 칫수에 의해 스템의 소켓으로 복귀되고, 스템의 하측은 플러그소켓의 플러그와 상호작용하는 암커넥터로 구성되며 이 플러그는 스템측플러그에 대해 동일길이만큼 후방위치되나 스템의 공동부(hollow section)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플러그소켓의 플러그를 커버하고, 스템의 암커넥터는 커버길이양만큼 공동부후방에 배열된다. 적어도 두 개의 평판-핀플러그소켓을 갖는 암커넥터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암커넥터는 플러그-인 수직한 단면이 비원형이되, 대칭축은 최대칫수를 관통하여 연장된다.
분할축은 분할축 상하단면이 곡률의 철면선에 의해 한정되도록 대칭축에 가로질러 연장되며, 곡률의 두선은 상이한 반경의 원호를 형성하도록 하는 구성이 선택된다. 이것은 타원단면의 형태가 되는데, 단면의 두부분의 천이영역은 둥근구성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분할축아래의 곡률선 반경보다 크다. 예를 들면, 곡률의 상측면선의 반경은 45-55㎜, 바람직하게는 50㎜이고, 곡률의 하측선은 35-40㎜, 바람직하게는 37㎜ 반경을 가질 수 있다. 보다큰 반경의 곡률선 중심은 암커넥터의 전단면위측에 배열되고 보다 작은 반경의 곡률선 중심은 전단면내에 위치되되 양 중심이 암커넥터의 대칭축에 위치되는 것이 필수적이다. 또한 분할선 상하의 두 곡률선 각각은 서로다른 반경의 다수의 원호부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것은 암커넥터의 취급용이 구성이 된다. 특히 이 구성은 파지용이하다. 또한 이것은 단면의 비원형, 비대칭구성에 의해 암커넥터를 연관플러그의 정위치에 위치시키도록 사용자에게 시각적 도움을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이한 곡면의 두 천이부에 의해 주어지는 단면칫수는 단면의 이에 수직한 최대칫수보다 상당히 크다.
이것은 암커넥터의 비교적 평평한 구성으로 된다. 분할축 상하의 원호부형태로 구성된 단면부와 결합하여 인간공학적으로 양호한 구성이 된다. 이를 위한 바람직한 비는 15:10에서 20:10, 바람직하게는 17:10이다. 바람직한 구성으로, 최대단면칫수는 약 34㎜이고 이에 수직한 칫수는 약 20㎜이다. 또한 암커넥터가 장치측 또는 스템측 플러그소켓으로 끼워지는 길이는 암커넥터의 최대단면칫수에 상응한다. 이것은 플러그-인 길이대 최대단면칫수의 길이비가 약 1:1임을 의미한다. 또한 평판-핀 플러그소켓은 천이영역사이의 연결선에 대해, 즉 보다 큰 곡률의 곡률선을 갖는 단면부를 향해 비대칭으로 오프셋된다. 언급한 것처럼, 암커넥터는 천이영역사이의 연결선에 대해 비대칭이나 이 선에 수직한 축에 대해 대칭이다. 따라서 천이영역사이의 연결선에 수직한 축에 대해 평판-핀 플러그소켓의 대칭배열이 주어지고, 암커넥터의 전단면에 대해 중심배열이 주어지므로, 평판-핀 플러그소켓은 연결선에 대해 비대칭으로 배열된다. 암커넥터의 바람직한 구성으로, 단면을 제한하며 상이한 반경을 갖는 곡률선이 연결선 상하에 제공되고, 평판-핀 플러그소켓은 보다 큰 곡률의 곡률선을 향해 오프셋, 즉 보다 작은 반경을 갖는 단면부 영역에 위치된다. 평판-핀 플러그소켓사이의 연결선이 암커넥터 전단면 면적의 중심을 지나되 이 중심은 상기 전단면이 상이한 변경의 곡률선이 구성되므로 두 천이영역사의 연결선과 이에 수직한 축의 교차점과 일치하지 않도록 평판-핀 플러그소켓이 천이영역사이의 연결선에 평행하게 오프셋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평판-핀 플러그소켓이 공지방식으로 소켓에 구성된다. 이들 소켓 각각은 사각형 단면의 입구영역을 갖는다. 전기접속부를 형성하는 금속의 단자슬리브가 암커넥터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소켓구멍에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서, 암커넥터는 그 외면을 지나 돌출하며 평판-핀 플러그소켓에 수직한 탄성의 걸쇠연결스터드를 갖는다. 이 구성은 플러그 장치의 인출에 대해 보호를 제공한다. 암커넥터가 장치측 및/또는 스템측 플러그소켓으로 끼워질 때, 스터드는 걸쇠연결요구로 들어간다. 이 걸쇠연결은 이젝터와 같은 적당한 버튼소자가 플러그소켓영역에 제공되어서 의도적으로만이 분리될 수 있다.
이것은 암커넥터의 인장하중이 원치 않는 방식으로 분리되는 플러그 연결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진공청소기에 특히 유리하다. 또한 스터드는 심하지 않은 만곡부 외측에 재열된다. 스터드는 평판-핀 플러그소켓에 대해 중심이 정렬되도록 배열된다. 암커넥터의 단면의 심하지 않은 만곡부 외측선은 암커넥터의 상측영역에 형성되어서, 암커넥터를 장치측 및/또는 스템측 플러그소켓으로 끼워넣기 위해 스터드를 엄지로 용이하게 압입하도록 하므로 스터드는 암커넥터를 고정할 때 인간공학적으로 양호한 위치에 있게 된다. 장치측 및/또는 스템측 플러그소켓에 스터드와 연관된 경사면을 제공할 수 있되, 이 면은 암커넥터가 도입될 때 스터드를 압입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두 평판-핀 플러그소켓 사이에 비전도성 원형플러그소켓이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원형플러그소켓은 접촉슬리브없는 블라인드(blind)소켓이 된다. 모터케이싱의 플러그소켓은 스템의 암소켓에 형성된다. 차이점은 플러그소켓에 배열된 플러그 단면이 더 작아서 플러그와 소켓내벽사이에 환상공간이 유지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케이싱측 플러그는 플러그베이스에 배열되며 플러그소켓의 내부로 자유돌출한다. 스템이 끼워질 때, 스템의 공동부는 이렇게 형성된 환상공간을 지나며, 공동부는 스템측 암커넥터의 연장부로 배열된다.
스템측 암커넥터의 단면은 케이싱측 플러그에 대응한다. 또한 암커넥터는 스템의 암소켓 및 모터케이싱의 플러그소켓으로 삽입될 수 있는 구성, 즉 스템의 암소켓 및 모터케이싱의 플러그소켓이 동일단면을 갖도록 구성된다. 암커넥터의 길이는 커넥터가 모터케이싱의 플러그소켓으로 끼워질 때 플러그와 소켓사이에 형성된 환상공간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선택된다. 스템의 암소켓 및 모터케이싱의 플러그소켓은 암커넥터와 스템단부의 단면에 상응하는 내측단면을 갖는다. 이에 의해 암커넥터 및 스템단부를 위한 안내기능이 플러그소켓에 부여된다. 암커넥터가 약간 비틀린위치로 플러그소켓에 위치되는 경우, 곡률의 철면선은 암커넥터를 플러그소켓으로 조향한다. 암커넥터는 원하는 플러-인 위치로 자동이동된다. 또한 약간의 비대칭만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부적합한 취급시 상당한 차단효과가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암커넥터가 180°비틀린위치로 플러그소켓으로 공급되면, 끼워질 수 없다. 이 경우, 언급된 플러그소켓의 안내기능은 적용되지 않는다. 사용자는 연결을 위해 힘을 사용할 수 없어서 부적합한 사용이 방지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는, 하나의 연결선만이 사용됨에도, 바닥 및 바닥위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극히 간단한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후자는 스템의 상단부로부터 모터케이싱의 플러그소켓내로 전달된다. 플러그소켓은 스템과 모터케이싱간 기계적인 고하중의 양호한 전달, 주케이블 또는 암커넥터와 스템의 코딩(coding), 스템과 모터케이싱간 전기접속 및 스템과 암커넥터의 간단한 삽입 밑 제거를 허용하는 역할을 한다. 힘과 모멘트 전달을 위해, 알루미늄튜브형상의 스템은 플러그소켓내로 적어도 80㎜ 관통한다. 진공청소기의 전자장치가 작동하도록, 스템 또는 암커넥터가 끼워졌는지 여부를 알 필요가 있다. 스템이 끼워지면, 전자장치는 스템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전위차계(potentiometer)/스위치모듈이 셋포인트 발생기 및 주스위치로 사용한다. 역으로 암커넥터가 끼워지면, 장치에 배열된 전위차계/스위치모듈이 셋포인트 발생기 및 주스위치역할을 한다. 장차 스템연결에 반대로 스템의 상단부의 주케이블연결부에는 전기접속 및 간단한 삽입 및 제거의 조건만이 요구된다. 여기에는 기계적인 고하중이 발생하지 않는다. 더욱이 공간상의 이유로, 이 위치에서의, 예를 들면, 80㎜의 삽입길이는 일반적으로 허용되지 않는다. 그 결과, 스템 및 암커넥터의 외측프로필은 동일하며, 스템튜브와 암커넥터의 걸쇠연결은 동일하게 스템과 암커넥터는 코드화 된다.
더욱이, 스템의 플러그-인 길이는 적어도 80㎜, 암커넥터의 플러그-인 길이는 기껏해야 35㎜가 바람직하다. 상기 두 칫수는 면백히 모순되나 본 발명에 따라서 장치튜브가 전기접속을 위해 80㎜정도 압입되어야 하며 플러그-인 구멍 뒤 35㎜ 내에서 전기접속이 얻어지므로 상호양립될 수 있다. 이것은 스템과 암커넥터의 코딩을 동시에 제공한다. 또한 스템 및 암커넥터가 원하는대로 모터케이싱내로 끼워지나 암커넥터만이 스템의 상단부로 끼워질 수 있는 것을 가능케 한다. 또한 스템과 암커넥터의 특이한 형상은 진공청소기작동중 발생하는 하중 및 수많은 횟수의 굽힘을 견디어내지 못하는 주케이블 사용을 불가능케 한다. 또한 스템이 끼워질 때, 장치에 배열된 전위차계/스위치모듈이 스위치가 연결되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한다. 스템 및 모터케이싱의 전원스위치는 직렬이므로 이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배열에서, 모터케이싱의 전원스위치는 80㎜의 길이까지 끼워진 장치-스템튜브에 의해 그 한계위치로 압입된다. 바닥위(abore-floor)작업으로 전환시, 암커넥터가 끼워질 때, 전장치가 작동개시하지 않도록, 이 스위치는 스템제거시 오프위치로 다시 복귀해야 한다. 이를 위해 전원스위치와 장치-스템튜브사이의 결합이 제공된다.
본 발명이 일 실시예만을 예시하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설명된다.
제 1도는 모터케이싱과 필터챔버를 갖되 스템이 모터케이싱에 인접한 플러그소켓으로 끼워지고 암커넥터는 스템으로 끼워진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 사시도,
제 2도는 스템이 모터케이싱으로부터 제거되고 암커넥터는 스템으로부터 제거된 후의 제 1도 상응 사시도,
제 3도는 스템은 생략되고 암커넥터가 모터케이싱에 인접한 플러그소켓으로 직접끼워지는 것을 보여주는 제 1도 상응 사시도,
제 4도는 케이싱에 인접한 플러그소켓을 보여주는 제 2도의 상세확대도,
제 5도는 케이싱에 인접한 플러그소켓을 보여주는 단면도,
제 6도는 플러그소켓에 상응하는 스템의 단부를 부분절취한 또다른 사시도,
제 7도는 스템측 암소켓 영역을 보여주는 사시도,
제 8도는 암커넥터 각각의 사시도,
제 9도는 암커넥터의 확대단면도,
제 10도는 암커넥터의 측면도,
제 11도는 암커넥터의 상면도,
제 12도는 스템측 암소켓의 단면도,
제 13도는 제 12도의 선 XIII-XIII에서 본 단면도,
제 14도는 암커넥터가 암소켓으로 삽입된 후의 13도 상응 단면도,
제 15도는 모터케이싱에 인접한 플러그소켓 영역 단면도,
제 16도는 제 15도의 부분확대도,
제 17도는 스템이 플러그소켓내로 부분삽입되고 스템의 이 단부영역이 분절취된 15도 상응 단면도,
제 18도는 제 17도에 따른 위치와 관련된 제 16도 상응 부분확대도,
제 19도는 스템이 완전삽입된 제 15도 상응 단면도,
제 20도는 제 19도에 따른 위치와 관련된 제 16도 상응 부분확대도,
제 21도는 스템을 플러그소켓밖으로 인출중의 중간위치를 보여주는 제 19도 상응 단면도,
제 22도는 제 21도에 따른 위치와 관련된 제 20도 상응 부분확대도,
제 23도는 암커넥터가 플러그소켓으로 삽입된 제 15도 상응 단면도,
제 24도는 제 23도에 따른 위치와 관련된 제 16도 상응 부분확대도.
[발명의 구성 및 작용]
모터케이싱(G)과 필터챔버(10)를 갖는 진공청소기가 제 1도에 예시되어 있다. 모터케이싱(G)은 플러그소켓(21)이 달린 연장아암(20)을 갖는다. 알루미늄 튜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스템(St)은 플러그소켓(21)으로 끼워진다. 모터케이싱(G)으로부터 이격된 단부영역에 스템은 손잡이(22)를 갖는다. 일측단부에 공지 플러그를 타측단부에 가열장치용 유입커넥터로 구성되는 암커넥터(N)를 갖는 전기접속이 연결선(2)을 통해 얻어진다. 제 1도에서, 암커넥터(N)는 손잡이(22)영역과 연관된 스템측 암소켓(9)으로 끼워진다. 스템(St) 및 모터케이싱(G) 각각은 전위차계/스위치모듈로 형성된 전원스위치(23, 24)를 갖는다. 이 전원스위치(23, 24)는 미끄럼 스위치로 형성되되, 스위치(23)는 손잡이(22)영역에 스위치(24)는 모터케이싱(G)의 연장아암(20)영역에 위치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암커넥터(N)는 스템(St)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스템(St)은 모터케이싱(G)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예를 들면, 제 2도에 예시되어 있다. 이것은 스템(St)을 생략하고 암커넥터(N)를 직접 플러그소켓(21)을 통해 모터케이싱에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이 제 3도에 예시된다. 그 결과 진공청소기(1)를 바닥위에서 자동할 때 취급양호한 구성이 된다.
암커넥터(N) 및 암소켓(9)은 제 7-14도를 참조하여 이하 상세히 설명된다.
플러그-인 방향에 수직한 암커넥터(N)의 단면은 대칭축(x)이 최대치수를 관통하는 비원형 구성이다. 제 10도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암커넥터(N)는 나란히 배열되는 두 영역으로 구성된다. 먼저, 대칭축(x)에 횡방향이며 단면을 상이한 면적의 상하영역으로 분리하는 분할축(y)을 갖는 플러그-인(plug-in)영역(A)이 있다. 암커넥터(N)의 제 2부분은 제 1부분(A)에 인접하여 연결부분(B)을 형성한다. 상기 연결선(2)이 연결부(B)에 배열되며, 선(2)을 위한 공지 인출보호부(도시되지 않음)가 부분(B)에 위치된다. 영역(B)는 절두원추형으로 그 외측단부에 취급용이하도록 리브(4)를 갖는다.
분할축(y)상하에서 플러그-인 영역(A)단면은 곡률 k1, k2의 두선이 원호형상인 곡률 k1, k2의 철()선에 의해 제한된다. 분할축(y)의 곡률 k1의 선은 분할축(y)아래의 곡률 k2의 선보다 덜 만곡되며, 이는 곡률 k1의 윗선 반경이 곡류 k2의 밑선 반경보다 큰 것을 의미한다. 둥근 연결선 형태의 부드러운 천이부가 상이한 곡률 k1, k2의 선사이 천이영역(U)각각에 제공된다. 이들 천이영역(U)사이의 연결선은 상기 분할축(y)을 형성한다.
평판-핀 플러그소켓(6)이 암커넥터의 단부면(5)영역으로 개방되며 단면은 사각형이다. 이때, 사각형 단면의 긴쪽이 약 15:10 또는 약 8.5:5.5㎜의 길이/폭비를 갖고 대칭축(x)에 평행하게 정렬된다. 두 개의 평판-핀 플러그소켓(6)이 축(x)에 대해 대칭으로 배열되며 분할축(y)에 수평으로 약9㎜거리로 이격된다.
제 9도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플러그소켓(6)은 분할축(y)에 대해 비대칭으로, 즉 골률 k2를 갖는 단면부분을 향해 두 플러그소켓(6)의 분할축(y)에 평행한 중심축은 표면의 중심(F)을 거의 관통한다.
원형의 플러그소켓(7) 두 평판-핀 플러그소켓(6)사이에 원형단면을 갖도록 배열된다. 이때 원형소켓(7)의 대칭축이 암커넥터(N)의 대칭축(x)과 정렬하며 이축(x)에 수직한 원형소켓(7)의 대칭축이 평판소켓(6)의 하측변부에 그 높이가 정렬되도록 배열된다.
플러그소켓(6)은 전기전도성 단자슬리브(8)가 내부에 배열되며 이 슬리브 후방에 각 와이어선(2)이 접속된다. 원형플러그소켓(7)은 블라인드소켓, 즉 비전도성으로 구성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곡률 k1의 선의 반경(R1)은 약 50㎜, 곡률 k2의 선의 반경(R2)은 약 37㎜의 칫수를 갖는다(제 9도 참조). 곡률 k1k2의 선 사이의 천이영역(U) 은 원호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이들 칫수는 곡률 k1의 선의 기하학적 중심(M1)이 암커넥터(N)의 전단면외측에 위치하며, 곡률 k2의 선의 기하학적 중심(M2)이 상기 전단면내에 배열되는 것을 의미한다. 기하학적 중심(M1, M2)는 대칭축(x)상에 정렬된다.
대칭축(x)에 수직한 방향에서 볼 때 단면의 비대칭구성으로 인해, 면적의 최종 중심(F)은 대칭축(x) 및 분할축(y)의 교차점과 일치하지 않고, 오히려 이 중심(F)은 분할축(y)아래-제9도에 대해-즉 곡률 k2의 선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언급된 기하학적 칫수는 약 17:10의 단면에 대해-폭/높이 비가 된다. 예시된 실시예와 관련하여, 이는 약 34㎜의 두 천이영역(U) 에 의해 주어진 단면칫수(b)와 이에 수직한 약 20㎜의 최대칫수(C)로 제 11도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플러그-인 영역(A)은 이 영역의 길이(11)가 단면칫수(b)에 거의 상응하도록 하는 칫수를 갖는다.
또한, 암커넥터(N)는 외측면을 지나 돌출하는 걸쇠결합 보스(18)를 갖는데, 이 보스는 소켓(6)에 수직방향으로 탄성적이다. 이때 보스(18)는 영역(A)의, 곡률 k1의 선에 의해 형성되는 상외측면에 그 중심이 소켓(6)사이에 배열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위치는 보스(18)가 영역(A)의 종방향 길이(11)를 따라 그 중심이 위치되도록 한다.
보스(16)는 이 보스(18)가 영역(A)의 외벽내로 완전하강하도록 영역(A)에 배열된 압축스프링에 대해 역변위될 수 있다.
영역(A)의 상측에 보스(18)를 위치시키는 것, 특히 이를 이 영역에 중심을 갖도록 위치시키는 것은 엄지손가락의 압력을 사용하여 보스(18)를 압입할 수 있는 인간공학적인 장점을 제공한다.
스템측 암소켓(9)은 케이싱(13)과 이 케이싱(13)에 수용되는 플러그(14)로 구성된다. 이 플러그(14)는 하우징(13)의 전방변부에 대해 후방에 위치되며, 이 변부는 암소켓(9)의 외벽과 면하여서 플러그(14)전방에 캐비티가 형성된다. 플러그(14)에 배열된 평판-핀 플러그(12)는 이 캐비티내로 돌출하며, 이 플러그(12)의 길이는 동일방향으로 측정된 캐비티깊이보다 짧다. 플러그(12)는 전도성이며 플러그(14)영역에서 그 후방이 해당연결선에 연결된다.
제 12도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암소켓(9), 특히 그 케이싱(13)은 암커넥터(N)의 단면에 상응하는 단면을 갖는다. 케이싱(13)의 내벽단면은 암커넥터(N)의 외측단면에 상응한다. 케이싱(13)의 유극 및 반경칫수는 암커넥터(N) 칫수보다 약간커서 커넥터가 암소켓(9) 또는 캐비티(11)내로 문제없이 안내될 수 있다.
암소켓(9)의 경우도, 단면은 분할축(y')위의 단면부분과 분할축(y') 아래의 단면부분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부영역은 곡률 k3의 철선으로 하부영역은 곡률 k4의 철선에 의해 제한된다. 여기서도 또한 곡률 k3의 상부선 반경이 곡률 k4의 하부선 반경보다 크다. 암커넥터(N) 및 암소켓(9)에서 두 천이영역(U) 사이의 칫수는 이에 수직한 단면의 최대칫수보다 훨씬크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평판-핀 플러그(12)는 암커넥터(N)가 암소켓(9)으로 삽입될 때 플러그(12)가 소켓(6)을 지나 단자슬리브(8)로 들어가서 결합부를 형성토록 플러그(14)에 배열된다. 플러그-인방향(r)에서 측정시 영역(A)의 길이(ℓ1)는 동일방향으로 측정시의 암소켓(9)의 깊이(ℓ2)와 동일해서 암커넥터(N)가 암소켓(9)내로 삽입된 후 암커넥터(N)의 연결영역(B)만이 암소켓(9)을 형성토록 하는 것을 제 13, 14도로부터 알 수 있다. 이것은 두 영역(A, B)의 또다른 기능으로 이어진다.
영역(A)은 플러그장치 목적달성을 위한 실제 결합영역이며, 영역(B)는 취급영역 역할을 하되, 이 영역에서 암커넥터(N)는 암소켓(9)으로의 도입 및 이로부터의 제거를 위해 유지된다.
암소켓(9)은 그 케이싱(13)영역에 플러그-인 작업중 암커넥터(N)의 보수(18)를 압축스프링(19)에 역방향으로 변위치시키는 상향경사면(25)을 갖는다.
제 14도에 따른 결합위치에서, 보스(18)는 암소켓(9)의 하우징측 통공(26)에 수용된다. 압축스프링(19)에 의해 이 통공(26)으로 이동된 보스(18)는 암커넥터(N)가 암소켓(9)으로 뜻하지 않게 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 결합은 의도할 때만이 해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암소켓(9)은 버튼(27)을 갖는다. 버튼은 상측의 곡률 k3의 선에 의해 형성된 외측면상의 플러그-인측 영역에서 케이싱(13)에 일체형으로 모울드된다. 일체형구성의 경우, 케이싱(13)과 버튼(27)사이의 천이영역은, 예를 들면 천이영역을 보다 얇게 만듦에 따른, 탄성구성이다. 하방, 즉 케이싱(13)의 통공방향을 향하는 해제핑거(28)는 버튼(27)내측에 일체형으로 모울드된다.
플러그연결을 해제하려면, 버튼(27)이 압입되서 버튼(27)이 해제핑거(28)와 함께 아래를 향하고, 해제핑거(28)는 압축스프링(19)의 힘에 대향하여 보스(18)를 후방으로 이동시켜서 보스(18)가 케이싱통공(26)영역을 벗어나게 한다. 이렇게 하여 암커넥터(N)를 제거할 수 있다. 이렇게 구현된 인출보호장치는 진공청소기에 특히 바람직한 바, 이는 플러그장치가 걸쇠장치를 갖지 않는다면, 암커넥터(N)는 작동중 우연히 인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플러그소켓(21)을 갖는 모터케이싱(G)의 연장아암(20)은 관상구성이다. 플러그소켓(21)은 연장아암(20)의 자유돌출단부영역에 위치되며, 플러그소켓(21)의 구멍단면은 암소켓(9)단면(5 및 12도 참조)과 상응한다. 이것은 플러그소켓(21)내벽단면이 암커넥터(N)외측의 단면과 상응하며 플러그소켓(21)의 유극 및 반경이 암커넥터(N)의 그것들보다 약간크게 선택되어서 암커넥터가 문제없이 플러그소켓(21)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한다.
플러그소켓(21)의 경우도 역시, 단면은 분할축(y)위의 단면영역과 분할축(y)아래의 단면영역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부영역은 곡률 k5의 철선에 의해 하부영역은 곡률 k6의 철선에 의해 한정된다. 여기서도 역시, 곡률 k5의 상부선 반경이 하부선 반경보다 크다.
이것은 곡률 k5의 상부선을 설명하는 반경 R5가 곡률 R1에 상응하며 곡률 k6의 선을 설명하는 반경 R6이 암커넥터의 반경 R2에 상응함을 의미한다.
플러그소켓(21)에 배열된 플러그(29)는 플러그베이스(30)에 의해 소켓(21)에 고정된다. 플러그베이스(30)는 연장아암(20) 또는 플러그소켓(21)의 공동단면에 상응하는 단면을 갖는다. 플러그베이스(30)는 이것이 플러그소켓(21)에 꼭 맞도록 유지되며, 연장아암(20)의 내벽에, 예를 들면, 접착제로 연결된다.
베이스(30)에 배열된 플러그(29)는 베이스(30)로부터 시작하여 플러그소켓(21)의 공간내로 자유돌출하며, 이를 위해 플러그(29)단면은 플러그베이스(30) 또는 플러그소켓(21)내벽의 단면보다 작다. 여기서도 역시, 단면은 곡률 k7의 상부영역과 곡률 k8의 하부영역으로 구성되되 이 두영역은 상호접하며 칫수 및 반경은 플러그소켓(21)의 값들에 직비례한다. 플러그(29)의 자유돌출구성은 플러그소켓내벽(31)과 플러그(29)의 외벽사이에 환상의 자유공간(32)으로 이어진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플러그소켓내벽(31)과 플러그(29)간 거리는 약 3㎜이다.
플러그(29)와 플러그베이스(30)는 재료면에서 상호 일체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러그소켓공간(21)으로 자유돌출하는 평판-핀 플러그(34)가 플러그(21)의 자유단부(33)에 위치된다. 상기 평판-핀 플러그들은 암커넥터(N)의 평판-핀 플러그소켓(6)에 상응하도록 자유단부(33)에 배열된다. 제 5도에 볼 수 있는 것처럼, 원형플러그(35)는 곡률 k8의 하부영역과 연관되며 평판-핀 플러그(34)사이에 중심이 오도록 위치되고, 이 원형플러그는 마찬가지로 플러그소켓공간(21)내로 돌출한다.
스템(St)삽입시, 원형플러그(35)는 스템(St) 또는 그 손잡이(22)에 배열된 전원스위치(23)로부터 신호를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플러그(34) 및 플러그(35)는 전도성이며 플러그(29) 또는 플러그베이스(20) 영역에서 그 후방이 해당연결선(36)에 연결되고, 이 선은 모터케이싱(G)의 전자장치 등으로 연결된다.
플러그(29) 및 플러그베이스(30)의 위치는 단부면(33)에서 플러그소켓(21)의 구멍까지의 거리(ℓ3)가 암커넥터(N)의 부분(A)의 길이(ℓ1)와 일치하도록 선택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암커넥터(N)에 맞추어 35㎜의 질 칫수(ℓ3)가 선택된다. 이것은 플러그소켓(21)의 칫수(ℓ3)가 암소켓(9)의 칫수(ℓ2)와 같게 한다.
또한, 평판-핀 플러그(34)와 원형플러그(35)는 구멍(37)에서 이격되어 종료한다. 이것은 또한 암소켓(9)의 평판-핀 플러그(12)에도 적용된다.
총 길이(ℓ4)는 제 1자유길이(ℓ3)와, 뿌리영역(38)에서 단부면(33)까지 측정된(제 15도 참조), 플러그(29)의 자유돌출부 길이(ℓ5)의 합으로 얻어진다. 바람직한 구성은 칫수(ℓ4)가 칫수(ℓ3)의 적어도 두배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칫수(ℓ4)는 80㎜이므로 플러그(29)의 자유돌출길이(ℓ5)은 45㎜가 바람직하다. 플러그(29) 단부면(33)과 구멍(37)사이의 자유영역에 플러그소켓(21)은 걸쇠연결소켓(39)을 갖되, 암커넥터(N)의 보스(18)가 이 소켓으로 걸쇠연결될 수 있다. 이 소켓(39)에는 소켓(39)을 지나는 스터드를 해제하는 이젝터(40)가 제공된다. 이젝터(40)는 소켓(39)으로 돌출하는 금속의 일체형 스로우-아웃부분(42)을 갖는 가요성 플라스틱부분(41)을 포함한다. 이 스로우-아웃부분(42)은 역시 강체플라스틱으로 구성할 수 있다. 가요성플라스틱부분(41)은 소켓(39)영역에 유지되어서 단순히 이 플라스틱부분(41)을 압입함으로써 스로우-아웃부분(42)이 변위되고 소켓(39)에 걸쳐 있는 보스가 소켓으로부터 벗어나서 걸쇠가 해제된다.
언급한 것처럼, 미끄럼스위치로 구성된 전원스위치(24)는 모터케이싱(G)의 연장아암(20)에 배열된다. 제 15-24도에 도시된 것처럼, 전원스위치(24)의 미끄럼작동 버튼(43)은 이 모듈에 공지방식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버튼(43)의 미끄럼이동은 모터회전의 제어 및 스위칭용 모듈로 직접 전달된다.
미끄럼작동 버튼(43)은 연장아암(20)벽의 종방향 슬로트(44)에 노출된다. 버튼(43)은 이 종방향 슬로트(44)를 관통하여 돌출하므로 버튼(43)은 신뢰성있게 유지된다. 하측, 즉 연장아암슬리브의 내벽에 작동버튼(43)은 플랜지같은 칼라(collar)(45)를 갖되, 연장아암(20)의 종방향에 가로질러 측정된 그 폭은 동일방향으로 측정된 종방향슬로트(44)의 폭보다 크도록 선택된다. 연장아암(20)의 종방향으로 측정된 칼라(45)의 길이는 동일방향으로 측정된 종방향 슬로트(44)길이의 약 1.5배이며, 동일방향으로 측정된 손잡이(43)길이는 종방향 슬로트 길이의 약 반에 해당한다. 이처럼 종방향 슬로트(44)는 버튼(43) 또는 전원스위치(24)의 전이동거리에 걸쳐서 하측을 커버하므로 전위차계/스위치 모듈같이 종방향 슬로트(44)아래 배열된 부품을 먼지로부터 보호한다.
버튼(43) 또는 전원스위치(24)의 이동거리는 약 20-25㎜이다.
제 15도에 따른 기본위치에서, 칼라(45)의 상측폭변부(46)는 플러그후방측(47)의 높이까지 연장된다.
또한 전원스위치(24) 또는 미끄럼작동버튼(43)은 플러그(29)로부터 이격된 칼라(45)영역하측으로부터 시작하여 플러그(29) 단부면(33)까지 제 15도에 따른 기본위치로 연장되는 원격작동연장부(48)를 갖는다.
원격작동연결부(48)의 구성은 칼라(45)하측으로부터 시작하여 이 칼라와 여각을 이루는 부분이 칼라(45)의 상측폭변부(46)영역까지 연장되도록 선택된다. 상기 부분은 도면들에서 참조번호(49)로 표시되어 있으며, 칼라(45)의 하측에 대해 지지되거나 재료면에서 이 칼라에 일체로 연결되는 측벽이 달린 강체부로 구성된다. 칼라(45)의 상측폭변부(46)에 면하여 부분(49)의 단부영역에 칼라(45)에 수직방향이며 부분(49)의 자유단부에서 칼라(45)하측까지 연장되는 정지자(50)가 형성된다.
플러그소켓(21)방향으로 자유돌출하는 원격작동연장부(48)의 제 2부분(51)은 정지자(50)에서 칼라(45)까지의 천이영역에서 정지자(50)에 일체로 모울드된다. 제 2부분(51)의 자유돌출구성은 이 부분에 탄성편향의 가능성을 제공한다. 원격작동연장부(48) 또는 제 2부분(51)은 그 자유단부(52)에 아래를 향하는, 즉 플러그소켓내벽(31)으로부터 이격되어 보스같은 돌출부로 형성되는 걸쇠연결 돌출부(53)를 갖는다.
원격작동연장부(48)의 자유돌출부분(51)은 플러그소켓내벽(31)사이에 형성된 환상의 자유공간(32)에, 적어도 돌출부(53)영역에 위치한다. 플러그베이스영역을 관통하도록, 플러그베이스(30)는 플러그소켓내벽(31)을 향해 개방되는 홈(54)을 갖되 홈의 측벽으 이 부분(51)을 위한 측방안내를 제공한다.
암소켓(9)에서처럼, 플러그소켓(21)역시 플러그-인 작업중 보스를 스프링에 대항해 이동시키는 상방경사면(55)을 갖는다.
암커넥터(57)는 구멍(56)으로부터 거리(ℓ6)에 위치되 있으며 손잡이(22)로부터 이격된 스템(St)의 자유단부영역은 제 6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언급한 것처럼 관상구조이다. 상기 암커넥터는 관상스템(St)내벽에, 예를 들면, 접착제로 접착된다.
암커넥터(N)와 유사하게 암커넥터(57)는 두 개의 평판-핀 플러그소켓(58)과 이 소켓(58)사이에 배열되는 원형플러그소켓(59)을 갖는다. 암커넥터(N)와 달리 암커넥터(57)의 모든 소켓(58, 59)은 전도성이며 암커넥터(57)후방에서 스템(St)으로 이어지는 연결선(60)에 연결된다. 소켓(58)의 두와이어의 타측단부는 암소켓측 플러그(14)의 플러그(12)에 연결된다. 플러그소켓(59)에 연결된 와이어는 손잡이(22)에 배열된 전원스위치(23)로 이어진다. 이들 연결부들은 보다 상세히 예시되어 있지 않다.
암커넥터(57)가 스템(St)에서 구멍(56)으로부터 후방으로 위치되는 칫수(ℓ6)는 플러그(29)와 플러그소켓내벽(31)사이에 형성된 자유공간(32)의 길이 또는 플러그소켓(21)의 자유돌출플러그(29)의 칫수(ℓ5)와 상응한다.
길이(ℓ6)에 걸쳐 형성된 공동부(61)의 단면적은 그 외측형상영역이 암커넥터(N)의 단면적과 같다. 분할축(y)위의 곡률 k9의 선은 암커넥터(N)의 곡률 k1의 선 및 따라서 플러그소켓(21)영역의 곡률 k5의 선과 동일하다. 분할축(y)아래의 곡률 k10의 선은 암커넥터(N)의 곡률 k2의 선 및 따라서 플러그소켓(21)영역의 곡률 k6의 선과 동일하다.
공동부(61)의 벽두께는 플러그소켓(21)의 자유공간(32)폭과 같도록 선택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공동부(61)는 약 3㎜의 벽두께를 갖는다. 이것은 플러그(29)의 외측형상의 곡률 k7및 k8의 선과 같은 곡률 k1과 k2의 선이 되게 한다.
또한, 공동부(61)의 길이(ℓ6)는 스템단면의 최대자유칫수의 약 2.3배가 되도록 선택되며, 상기 최대자유칫수는 암커넥터(N)의 칫수(b)와 같아질 수 있다.
암커넥터(57)의 높이에, 스템(St)은 외측면을 지나 돌출하는 보스(62)를 가지며, 암커넥터(N)에서와 같이 이 보스는 암커넥터(57)의 플러그소켓(58)에 수직한 방향으로 탄성적이다. 이 보스(62)가 제 17-22도에 도시되어 있다.
보스(62)가 배열되며, 공동부(61)의 곡률 k9의 선에 기술되는 상부외측표면에, 공동부(61)는 구멍(56)에 근접하여 위치되는 요구(63)를 갖는다.
스템(St)의 암커넥터측 자유단부가 플러그소켓(21)으로 압입되면, 공동부의 벽단부는 구멍(56)영역의 원격작동연장부(48) 자유단부(52)에 작용한다. 상기 연장부는 초기에 플러그단부면(33)높이에 위치되어 있으며, 이 위치에서 플러그(34)와 플러그(35)는 여전히 스템(St)의 공동부(61)에 자유스럽게 위치된다. 이 위치는 제 17, 18도에 예시되어 있다. 화살표(r)방향으로의 스템(St)의 계속적인 변위는 원격작동연장부(48)의 탄성단부(52)가 변형되도록 하여서 스템이 더욱 압입될 때 돌출부(53)가 요구(63)로 들어가게 한다. 그 결과, 스템(St)이 방향(r)으로 계속변위되어서 제 19, 20도에 따른 한계위치에 도달하면, 원격작동연장부(48)는 걸쇠연결을 통해 동반되어서 전원스위치(24) 또는 미끄럼작동버튼(43)이 최대위치로 이동된다. 아입중 공동부(61) 영역의 스템(St)은 플러그소켓(21)의 플러그를 통과하고 공동부벽은 자유공간(32)을 관통한다. 전술한 길이비에 의해, 제 19, 20도에 따른 한계위치에서, 스템(St)의 일측은 그 구멍측단부면영역에서 플러그베이스(30)에 지지되고 타측은 암커넥터면영역에서 플러그측단부면(33)에 지지된다. 플러그(34)와 플러그(35)는 전선을 결합시키도록 플러그소켓(58) 및 암커넥터(57)의 플러그소켓(59)에 수용된다.
한계위치에서, 스템(St)의 보스(62)는 플러그소켓(21)의 소켓(39)으로 걸쇠연결된다. 이 걸쇠연결은 가요성플라스틱부분(41)에 배입된 스로우-아웃부분(42)이 스프링힘에 대항하여 보스(62)를 역변위시키도록 이젝터(40)를 작동시킬때만이 해제될 수 있다.
전원연결은 제 14도에 따른 암소켓(9)과 암커넥터(N)의 결합으로 행해진다. 제 1도에 예시된 구성에서, 진공청소기(1)는 바닥에서 작업하도록 하는 수동작동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손잡이(22)의 전원스위치(23)는 흡입모터 또는 그 전원제어를 온 및 오프시키는데 사용된다. 이 전원스위치(23)에 직렬연결된 모터케이싱(G)의 전원스위치(24)는 전하중 상태로 이동된다.
진공청소기(1)를 바닥위에서 작업하는데 사용하려면, 스템(St)이 모터케이싱(G)으로부터 제거된다. 이때, 스템(St)이 제 21, 22도에 따른 화살표(r')방향으로 후방이동될 때, 원격작동연장부(48)는 돌출부(53)와 요구(63)의 걸쇠연결 때문에 이를 따라 인출된다. 이 인출은 원격작동연장부(48)의 정지자(50)가 플러그의 후방측(47)과 충돌할 때 비로서 종료된다. 이때 돌출부(53)는 부분(51)의 탄성구성에 의해 요구(63)를 벗어난다. 이 위치가 전원스위치(24)의 오프위치를 형성한다. 이렇게 하여 스템(St)이 제거될 때, 흡입모터가 스위치오프되는 것이 보장된다.
스템(St) 제거후, 암커넥터(N)는, 제 23, 24도에 예시된 것처럼, 플러그소켓(21)으로 끼워질 수 있으며, 도면에서 암커넥터(N)가 그 단부면(5)에 의해 플러그(29)의 단부면(33)에 지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여기서, 플러그(34)와 플러그(35)는 각 해당소켓(6) 및 소켓(7)에 위치되며, 언급한 것처럼, 소켓(7)은 비전도성 소켓이다. 암커넥터(N)가 자유공간(32)으로 들어갈 수 있는 돌출공동부를 갖지 않으므로, 암커넥터(N)는 원격작동연장부(48)에 작동 또는 이를 변위시키지 않는다. 그결과, 제 3도에 도시된 것처럼, 전원스위치(24)는 초기에 오프위치에 유지된다. 사용자에게 있어서 전원스위치(24)의 수동작동은 플러그소켓(21)영역에 해를 끼치지 않는다. 이렇게 하여 진공청소기(1)는 바닥위에서 작동하도록 극히 간단하게 구성되며 전원은 직접공급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암커넥터(N)를 스템측 암소켓(9) 및 케이싱측 플러그소켓(21)으로 끼워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스템(St)은 모터케이싱(G)의 플러그소켓(21)으로만 삽입될 수 있다. 스템단부의 공동부같은 구성에 의해, 해당작업에 요구되는 전원스위치는 기계적으로 작동된다. 또한 스템단부의 구성은 높은 힘과 모멘트가 스템(St)에서 케이싱(G)을 전달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기술된 모든 특성이 본 발명에 관계된다. 관련/첨부된 우선권서류(우선권의 등본)의 기술내용이 이들서류의 내용을 본 출원의 특허청구범위에 포함시키기 위해 출원의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Claims (15)

  1. 선택에 따라 연결필터챔버(10)를 갖는 모터케이싱(G)과 장치스템(St)을 갖되, 스템(St)을 모터케이싱(G)에 근접한 플러그소켓(21)으로 끼울 수 있으며 모터케이싱(G)에 배열된 전원스위치(24) 스템(St)에 끼워질 때 작동하는 진공청소기(1)에 있어서, 미끄럼스위치로 형성된 전원스위치(24)가 전원스위치(24)의 동시작동으로 스템(St)에 끼워짐(plugging)만으로 작동되는 원격작동연장부(48)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2. 제 1항에 있어서, 원격작동연장부(48)가 스템(St)의 요구(63)와 상호작용을 하는 돌출부(53)를 스템측단부(52)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3. 상기항중 하나에 있어서, 원격작동연장부(48)의 스템측단부(52)가, 스템(St)이 인출될 때, 플러그소켓(21)의 구멍(37)에 대해 후방에 위치되는 위치로 최대까지 동반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4. 상기항중의 하나에 있어서, 원격작동연장부(48)의 스템측단부(52)가 플러그소켓(21)에 배열된 플러그(29)와 플러그소켓내벽(31)사이의 틈내에서 변위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5. 상기항중의 하나에 있어서, 변위가 플러그후방측(47)의 정지자(50)에 의해 제한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6. 상기항중의 하나에 있어서, 원격작동연장부(48)의 스템측단부(52)의 최외측위치가 플러그(29)에 배열된 접속러그(34)가 원격작동연장부(48)의 자유단부(52)를 지나 돌출하도록 플러그(29)에 정렬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7. 선택에 따라 연결필터챔버(10)를 갖는 모터케이싱(G)과 장치스템(St)을 갖되, 스템(St)을 모터케이싱(G)에 근접한 플러그소켓(21)으로 끼울 수 있으며 플러그(29)는 접속러그(34)를 갖는 진공청소기(1)에 있어서, 플러그(29)가 접속러그(34)의 전방단부들이 플러그소켓(21)의 구멍(37)으로부터 이격하여 위치되도록 플러그소켓(21)에 후방으로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8. 제 7항에 있어서, 플러그(29)가 플러그소켓(21)으로 자유돌출하도록 배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9. 제 7 또는 8항에 있어서, 플러그(29)가 플러그베이스(30)에 의해 플러그소켓(21)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0. 제 7-9항중 하나에 있어서, 스템(St)이 장치-스템단면의 최대자유칫수의 적어도 1.5배, 바람직하게는 2배에 해당하는 칫수(ℓ4)에 걸쳐서 플러그소켓(21)내로 끼워질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1. 제 7-10항중 하나에 있어서, 플러그소켓(21)의 구멍(37)에서 접속러그(34)의 하단(foot)까지의 거리(ℓ3)가 장치-스템단면의 최대칫수와 같음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2. 제 7-11항중 하나에 있어서, 스템(St) 및/또는 암커넥터(N)가 플러그-인 방향(r)에 수직하여 돌출하며 플러그소켓(21)의 소켓(39)에 걸쇠연결되는 스터드(18, 62)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3. 제 7-12항중 하나에 있어서, 소켓(39)에 스터드(18, 62)해제를 위한 이젝터(40)가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4. 제 7-13항중 하나에 있어서, 이젝터(40)가, 예를 들면, 금속의 일체형 스로우-아웃부분(42)이 달린 가요성플라스틱부분(41)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5. 선택에 따라 연결필터챔버(10)를 갖는 모터케이싱(G)과 스템(St)을 갖되 스템(St)을 모터케이싱(G)에 근접한 플러그소켓(21)으로 끼울 수 있으며, 암커넥터(N)를 또한 갖되 암커넥터(N)를 스템(St)으로 끼울 수 있는 진공청소기(1)에 있어서, 스템(St)의 일축은 암커넥터(N)와 상호작용하는 플러그(14)를 갖되 플러그(14)는 암커넥터(N)의 최대자유단면 칫수(b)만큼 스템(St)의 소켓(9)에 후방으로 위치되며, 스템(St)의 타측은 플러그소켓(21)의 플러그(29)와 상호작용하는 암커넥터(57)로 구성되되 이 플러그는 스템측 플러그(14)에 대해 동일길이만큼 후방으로 위치되나, 스템(St)의 공동부(61)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플러그소켓(21)의 플러그(29)를 커버할 수 있으며, 스템(St)의 암커넥터(57)는 상기 커버길이(ℓ5)만큼 공동부(61)에 후방으로 배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KR1019970707762A 1996-03-04 1997-03-03 모터케이싱을갖는진공청소기 KR1005439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608247.1 1996-03-04
DE19608247A DE19608247A1 (de) 1996-03-04 1996-03-04 Staubsauger mit einem Motorgehäu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8236A true KR19990008236A (ko) 1999-01-25
KR100543999B1 KR100543999B1 (ko) 2006-12-27

Family

ID=7787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7762A KR100543999B1 (ko) 1996-03-04 1997-03-03 모터케이싱을갖는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5983444A (ko)
EP (1) EP0822776B1 (ko)
JP (1) JPH11504558A (ko)
KR (1) KR100543999B1 (ko)
CN (1) CN1121190C (ko)
AT (1) ATE251861T1 (ko)
AU (1) AU1880197A (ko)
CZ (1) CZ296117B6 (ko)
DE (2) DE19608247A1 (ko)
DK (1) DK0822776T3 (ko)
ES (1) ES2208874T3 (ko)
HK (1) HK1010079A1 (ko)
PL (1) PL182104B1 (ko)
PT (1) PT822776E (ko)
SK (1) SK284698B6 (ko)
TW (1) TW338714B (ko)
WO (1) WO19970325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239503A1 (en) * 1995-12-04 1997-06-12 Electrolux Limited A cleaner
FR2773700B1 (fr) * 1998-01-22 2000-02-25 Seb Sa Embase de prise electrique fixee sur aspirateur
USD430369S (en) * 1999-02-01 2000-08-29 Bissell Homecare, Inc. Handle for an upright vacuum cleaner
US6631535B2 (en) 2001-06-21 2003-10-14 Black & Decker Inc. Dual on/off switch actuation for a power head of an upright vacuum cleaner
GB2377880A (en) 2001-07-25 2003-01-29 Black & Decker Inc Multi-operational battery powered vacuum cleaner
DE10200914A1 (de) * 2002-01-12 2003-07-24 Vorwerk Co Interholding Gerätestiel, sowie Leistungssteller und Geräte-Steckeraufnahme eines Staubsaugers
KR20040038556A (ko) * 2002-11-01 2004-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EP1643799B1 (en) * 2004-09-29 2016-05-11 Alpine Electronics, Inc. Speake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US7587786B2 (en) 2005-11-03 2009-09-15 The Scott Fetzer Company Vacuum cleaner with removable handle
US20070094839A1 (en) * 2005-11-03 2007-05-03 The Scott Fetzer Company Cleaning apparatus with removable handle
DE102006009233B4 (de) * 2006-02-28 2008-01-10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orrichtung zur Saugleistungsregelung eines Staubsaugers
US20120030897A1 (en) * 2010-08-05 2012-02-09 James Todd Crouch Hand-held and conversion vacuum cleaner
USD693068S1 (en) * 2012-02-02 2013-11-05 Foshan Shunde Xinshengyuan Electrical Applicances Co., Ltd. Pet hair dryer
JP5875188B2 (ja) * 2012-08-29 2016-03-02 ツインバード工業株式会社 電気掃除機
WO2014032712A1 (de) * 2012-08-29 2014-03-06 Alfred Kärcher Gmbh & Co. Kg Hartflächenabsaugsystem mit verlängerungseinrichtung
USD767834S1 (en) * 2013-11-12 2016-09-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eaner
JP6756528B2 (ja) * 2016-06-30 2020-09-16 ツインバード工業株式会社 電気掃除機
RU171896U1 (ru) * 2016-10-11 2017-06-2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Волгоград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ВолгГТУ) Эжектор для пневматического пылесоса
DE102018117948A1 (de) * 2018-07-25 2020-01-30 Alfred Kärcher SE & Co. KG Elektrisches Gerät und Handgriffeinheit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2767A (en) * 1975-11-07 1977-10-11 Whirlpool Corporation Power driven brush drive control
US4905343A (en) * 1988-06-07 1990-03-06 The Scott Fetzer Company Vacuum cleaner switch
DE8807720U1 (de) * 1988-06-14 1988-08-11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5600 Wuppertal Mehrteiliger Führungsstiel für einen Handstaubsauger
US5226527A (en) * 1992-05-11 1993-07-13 The Hoover Company Vacuum cleaner remote switch actuator
DE9318460U1 (de) * 1993-12-02 1995-03-30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42275 Wuppertal Elektromotorisch betriebenes Staubsauggerät mit einem teleskopierbaren Gerätestiel
ES2118597T3 (es) * 1994-04-27 1998-09-16 Vorwerk Co Interholding Aspirador de polvo accionado por medio de un motor electrico.
CA2174050C (en) * 1995-04-21 2001-07-17 Sadahiro Shimada Electric vacuum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80303A (zh) 1998-04-29
PL182104B1 (pl) 2001-11-30
KR100543999B1 (ko) 2006-12-27
CZ296117B6 (cs) 2006-01-11
CN1121190C (zh) 2003-09-17
US5983444A (en) 1999-11-16
ES2208874T3 (es) 2004-06-16
ATE251861T1 (de) 2003-11-15
TW338714B (en) 1998-08-21
PT822776E (pt) 2004-03-31
WO1997032511A1 (de) 1997-09-12
SK284698B6 (sk) 2005-09-08
EP0822776B1 (de) 2003-10-15
EP0822776A1 (de) 1998-02-11
DE19608247A1 (de) 1997-09-11
CZ324697A3 (cs) 1999-02-17
JPH11504558A (ja) 1999-04-27
DE59710853D1 (de) 2003-11-20
SK147597A3 (en) 1998-09-09
AU1880197A (en) 1997-09-22
PL323366A1 (en) 1998-03-30
HK1010079A1 (en) 1999-06-11
DK0822776T3 (da) 2004-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08236A (ko) 모터케이싱을 갖는 진공청소기
JP3047159B2 (ja) コネクタ嵌合構造
KR101001826B1 (ko) 커넥터 위치 보장 부재를 갖는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의 위치 보장 방법
KR101093036B1 (ko) 고압 인터로크 루프 조립체
KR101627888B1 (ko) 일체형 1차 및 2차 래치를 갖는 커넥터 본체를 포함하는 전기 연결 시스템
EP0622869B1 (en) Connector device
US6234826B1 (en)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KR100198410B1 (ko) 단자 로킹 장치를 갖는 전기 커넥터
US6217365B1 (en) Connector
EP0416307A1 (en) Coupling confirming mechanism for an electric connector
KR100216000B1 (ko) 스위치를갖는전기커넥터조립체
JP3841389B2 (ja) コネクタ嵌合構造
US6102726A (en) Connector fitting structure
JPH0782892B2 (ja) ドロワコネクター
EP0537751B1 (en) Switch connector assembly with waterproof structure
KR950026055A (ko) 전기 커넥터
JPH07307184A (ja) ラッチ式電気コネクタ
US6685500B2 (en) Connector and a method of assembling a connector
KR100796028B1 (ko) 커넥터 록킹구조
JPH08335481A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GB2251343A (en) Double lock connector.
CN110299645A (zh) 防水连接器
US6595795B2 (en) Connector and a method of assembling a connector
JP3047175B2 (ja) コネクタ嵌合構造
CN210838294U (zh) 插头组件和用电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