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8217A - 저전압 차동 증폭기 - Google Patents

저전압 차동 증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8217A
KR19990008217A KR1019970707743A KR19970707743A KR19990008217A KR 19990008217 A KR19990008217 A KR 19990008217A KR 1019970707743 A KR1019970707743 A KR 1019970707743A KR 19970707743 A KR19970707743 A KR 19970707743A KR 19990008217 A KR19990008217 A KR 199900082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ferential amplifier
inverting
output
low voltage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7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5177B1 (ko
Inventor
미첼 엘. 부시맨
로렌스 이. 코넬
Original Assignee
조나단피.메이어
모토롤라,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나단피.메이어, 모토롤라,인크 filed Critical 조나단피.메이어
Publication of KR19990008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8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5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51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45Differential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45Differential amplifiers
    • H03F3/45071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45076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implementation of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저전압 차동 증폭기(10)는 차동쌍(14)과 부하(22 및 24)를 갖는 회로(12)를 포함한다. 제1 부하(22)는 제1 내장형 차동 증폭기(30)와 출력 트랜지스터(32)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부하(24)는 제2 내장형 차동 증폭기(36)와 출력 트랜지스터(3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동 증폭기(10)는 광전압 동작 범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차동 증폭기(10)는 특히 저전압 온도 보상 수정 발진기와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저전압 차동 증폭기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차동 증폭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저전압 차동 증폭기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도 1은 종래의 완전 차동 증폭단을 나타낸다. 상기 완전 차동 증폭단은 차동 게인쌍(M1 및 M2), 부하쌍(M3 및 M4) 및 전류원(M5)을 포함한다. 공통 모드 입력 전압의 하한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Vlow=Vdsatm5+Vdsatm2+Vtm2 ,
여기서, Vdsatmx는 트랜지스터(mx)의 포화 전압을 나타내고, Vtmx는 트랜지스터(mx)의 임계 전압을 나타낸다.
공통 모드 입력 전압의 상한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Vhigh=Vdd-Vdsatm4-Vtm4+Vtm2
통상, Vt=0.75V이고, Vdsat=0.1V이다. 이들 값을 이용하여, 차동 증폭기의 동작은 Vlow=Vhigh일 때 정지된다.
Vdsatm5+Vdsatm2+Vtm2=Vdd-Vdsatm4-Vtm4+Vtm2
3Vdsat+Vtm4=Vdd=1.05
이 전압(Vdd=1.05)에서, 증폭기는 이용가능한 입력 범위를 갖지 못한다. 2.7볼트=Vdd에서 동작될 때, 이용가능한 입력 범위는 0.95V ∼ 2.6V 또는 1.65볼트이다. 다수의 응용에서, 이 범위는 부적절할 수도 있다(도 5에서 참조 번호 102 참조). 상기 입력 범위는 M1과 M2용 제로 임계 장치(즉, Vtm2=0.0V)를 이용함으로써 이동될 수 있지만, 부가적인 사용가능한 입력 범위는 얻어지지 않는다(도 5에서 참조 번호 100 참조). 제로 임계 장치가 M3 및 M4를 대신해서 사용될 수 없다라는 것이 주목된다.
넓은 동작가능한 전압 범위를 갖는 저전압 차동 증폭기가 제조될 경우, 종래 기술의 개선을 고려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완전 차동 증폭기의 단순한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저전압 차동 증폭기의 단순한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 2에서의 저전압 증폭기와 접속해서 사용할 수 있는 내장형 차동 증폭기의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 2에서의 저전압 차동 증폭기와 접속해서 사용할 수 있는 내장형 차동 증폭기의 다른 실시 형태의 회로도.
도 5는 세로축에 전압을 나타낸 도면으로, 본 발명에 따른 도 2 및 도 3에서의 저전압 차동 증폭기 및 콤포넌트와, 도 1에서의 종래 기술의 차동 증폭기의 다양한 전압 범위를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상세한 설명)
도 2는 저전압 차동 증폭기(10)를 나타낸다. 저전압 차동 증폭기 (10)는 반전 입력(16) 및 비반전 입력(18)을 갖는 차동쌍(14) 및 이 차동쌍(14)에 접속된 바이어스 전류원(20)을 포함하는 차동 증폭 회로(12), 제1 및 제2 부하(22 및 24), 및 반전 및 비반전 출력(26 및 28)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부하(22)는 제1 내장형 차동 증폭기(30), 제1 출력 트랜지스터(32) 및 제1 전류원(34)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제2 부하(24)는 제2 내장형 차동 증폭기(36), 제2 출력 트랜지스터(38) 및 제2 전류원(40)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부하(22 및 24)는 반전 및 비반전 입력(16 및 18)에서의 입력 전압에 대해 실질적으로 독립적인 출력 트랜지스터(32 및 38)의 포화 영역에서의 출력 트랜지스터(32 및 38)의 동작을 유지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출력 트랜지스터(32 및 38)의 소오스-드레인 전압은 내장형 차동 증폭기 (30 및 36)와 제1 및 제2 기준 전압에 의해 공칭값(nominal value), 즉 Vdsat32로 고정된다. 이 구성에서, 공통 모드 입력 전압의 상한은
Vhigh=Vdd-Vdsat32+Vt68
로 주어지고, 공통 모드 입력 전압의 하한은
Vlow=Vdsat20+Vdsat68+Vt68
로 주어진다.
Vt=0.75V, Vdsat=0.1V 및 Vdd=2.7V의 통상적인 값을 이용하여, 차동 증폭기의 공통 모드 입력 범위는
Vhigh = 2.7V - 0.1V +0.75V = 3.35V,
Vlow = 0.1V + 0.1V + 0.75V = 0.95V
이다, 이는 실질적으로 저전압 차동 증폭기(10)의 동작 범위를 개선시킨다(실질적으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참조 번호 104). 공통 모드 입력 전압의 상한은 차동쌍(14)에 대한 제로 임계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Vdd 이하로 할 수 있게 된다. 차동 증폭기에 대한 공통 모드 입력 범위는
Vhigh = 2.7V - 0.1V + 0.0V = 2.6V이고,
Vlow = 0.1V + 0.1V + 0.0V = 0.2V
이다(실질적으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범위 106).
도 2에서, 제1 부하(22)는 제1 반전 입력(46) 및 제1 비반전 입력(48)을 갖는 제1 내장형 차동 증폭기(Diff. Amp: 30)를 포함한다. 제1 출력 트랜지스터(32)는 게이트, 소오스 및 드레인(각각 52, 54 및 56)을 포함한다. 제1 전류원(34)은 제1 비반전 입력(48)과 제1 출력 트랜지스터(32)의 드레인(56)에 접속된다. 제1 공통 접속 노드는 참조 번호 60으로 나타낸다. 전류원(34)은 제1 출력 트랜지스터(32)로부터 전류를 싱크(sink)할 수 있다. 제1 내장형 차동 증폭기의 출력(50)은 p채널 트랜지스터(32)의 게이트(52)에 접속된다.
이 구성은 제1 출력 트랜지스터(32)의 드레인(56)으로부터 제1 내장형 차동 증폭기(30)의 비반전 입력(48)으로의 음귀환(negative feedback) 경로를 사용한다. 이 음귀환은 제1 출력 트랜지스터(32)에 대한 고정 공칭 소오스(54)-드레인(56) 전압을 설정한다. 상기 제1 전류원(34)은 차동쌍(14)이 출력 트랜지스터(32)로부터 최소 전류를 받아들일 때 출력 트랜지스터(32)가 실질적으로 전류원(34)의 값보다 크거나 같은 드레인 전류값으로 항시 바이어스되게 함으로써, 회로의 주파수 안정화를 제공한다. 제1 내장형 차동 증폭기의 출력(50)은 제1 출력 트랜지스터(32)의 드레인(56) 전류의 함수인 비반전 출력(28)에서의 출력 전압을 제공한다. 드레인(56) 전류가 증가됨에 따라, 비반전 출력(28)에서의 전압은 감소된다.
차동쌍(14)은 반전 및 비반전 입력 트랜지스터(68 및 70)를 포함한다. 반전 입력 트랜지스터(68)의 드레인(72)은 공통 접속 노드(60)에 접속된다. 제1 출력 트랜지스터(32)의 게이트(52)는 내장형 차동 증폭기의 출력(50)에 접속된다. 드레인(56)은 제1 공통 접속 노드(60)에 접속되고, 제1 소오스(54)는 전류가 차동쌍(14)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흐르게 하는데 충분한 Vdd와 같은 DC 전원에 접속된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 제1 내장형 차동 증폭기의 출력(50)는 적어도 하나의 반전 및 비반전 출력(26 및 28)을 정의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부하(22)는 차동쌍(14)의 반전 입력 트랜지스터(68)에 대한 부하이다. 반전 입력(46)은 통상 Vdd 이하의 약 50mV로부터 Vdd 이하의 약 200mV까지의 범위에 있는 Vdd-Vdsat와 같은 제1 전압 기준과의 접속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전압 기준은 Vdd에 매우 근접하게 되어, Vdd로부터의 편차가 회로의 공통 모드 입력 범위를 감소시킬 것이다.
제2 부하(24)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1 부하(22)에 대해 설명된 것과 유사한 기능을 한다.
특히, 제2 부하는 제2 반전 입력(46') 및 제2 비반전 입력(48')을 갖는 제2 내장형 차동 증폭기(36)를 포함한다. 제2 출력 트랜지스터(38)는 게이트, 소오스 및 드레인(각각, 52', 54', 및 56')을 포함한다.
제2 전류원(40)은 제2 비반전 입력(48')과 제2 출력 트랜지스터(38)의 드레인(56')에 접속된다. 제2 공통 접속 노드는 참조 번호 62로 나타낸다. 전류원(40)은 제2 출력 트랜지스터(38)로부터 전류를 싱크할 수 있다.
내장형 차동 증폭기의 출력(50')은 출력 트랜지스터(38)의 게이트(52')에 접속된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 제2 내장형 차동 증폭기의 출력(50')은 반전 출력(26)을 정의한다.
제2 반전 입력(46')은 통상 Vdd 이하의 약 50mV로부터 Vdd 이하의 약 200mV까지의 범위에 있는 Vdd-Vdsat와 같은 제2 전압 기준과의 접속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2 전압 기준은 Vdd에 매우 근접하게 되어, Vdd로부터의 편차가 전류의 공통 모드 입력 범위를 감소시킬 것이다.
트랜지스터(38)의 게이트(52')는 제2 내장형 차동 증폭기의 출력(50')에 접속된다. 드레인(56')은 제2 공통 접속 노드(62)에 접속되고, 소오스(54')는 차동쌍(14)의 적어도 일부, 예컨대 비반전 트랜지스터(70)를 통해 전류가 흐르도록 하기에 충분한 Vdd와 같은 DC전원에 접속된다.
도 2에서, 제1 입력 전압(64)은 반전 입력(16)에 인가되고, 제2 입력 전압(74)은 비반전 입력(18)에 인가된다. 차동쌍(14)의 반전 트랜지스터(68) 및 비반전 트랜지스터(70)를 경유하는 전류의 합계는 바이어스 전류원(20)을 경유하는 전류와 같게 되도록 합해질 것이다. 반전 입력(16)에 인가된 제1 입력 전압(64)이 비반전 입력(18)에 인가된 제2 입력 전압(74)보다 적을 경우, 출력 트랜지스터(32)의 드레인(56)으로부터의 전류는 출력 트랜지스터(38)의 드레인(38)으로부터의 전류보다 적게 될 것이다. 비반전 출력(28)에서의 전압은 드레인(56) 전류의 함수이고, 반전 출력(26)에서의 전압은 드레인(56') 전류의 함수이다. 따라서, 비반전 입력(18)과 반전 입력(16) 사이의 입력 전압차가 양(positive)일 경우, 비반전 출력(28)과 반전 출력(26) 사이의 전압차는 입력 전압차에 대한 양의 함수일 것이다. 이는 회로에 대한 전달 함수를 정의한다.
H(s)=(Vout28-Vout26)/(Vin18-Vin16)
회로에 대한 최소 공통 모드 입력 전압(Vlow)은, Vlow가 반전 입력(16)과 비반전 입력(18)의 양쪽에 인가되는 곳에 동작점이 있고, 바이어스 전류원(20)이 포화 영역에서 동작을 정지하고, 선형 영역에서 동작을 개시하도록 하기에 충분히 낮은 값이다. 이것이 발생되면, 차동쌍(14)의 반전 트랜지스터(68) 및 비반전 트랜지스터(70)를 경유하는 전류의 합계는 실질적으로 전류 바이어스 전류원(20)이 제공하고자 하는 것보다 적게 되어, 회로에 대한 전달 함수는 더이상 적합하지 않게 된다. 회로에 대한 최대 공통 모드 입력 전압(Vhigh)은, Vhigh가 반전 입력(16)과 비반전 입력(18)의 양쪽에 인가되는 곳에 동작점이 있고, 차동쌍(14)의 반전 트랜지스터(68) 및 비반전 트랜지스터(70)가 포화 영역에서 동작을 정지하고 선형[또는 3극 진공관(triode)] 영역에서 동작을 개시하도록 하기에 충분히 높은 값이다. 이것이 발생되면, 차동쌍(14)의 반전 트랜지스터(68) 및 비반전 트랜지스터(70)는 더이상 전압 제어 전류원으로서 동작하지 않고, 전압 제어 저항으로서 동작한다. 공통 모드 입력 전압이 하이(high)이면, 차동쌍(14)의 전압 이득은 실질적으로 감소되어, 회로에 대한 전달 함수가 더이상 적합하지 않게 된다.
도 3은 제1 또는 제2 내장형 차동 증폭기(30 또는 36)로서 이용하기 위한 일단(single-stage)의 단일(single-ended) 출력 차동 증폭기의 회로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내장형 차동 증폭기(30)는 제1 내지 제4 트랜지스터(80, 82, 84, 86)와, 트랜지스터(80)의 게이트를 트랜지스터(82 및 86)의 드레인과 접속시키는 용량성 커플링(88)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차동 증폭기(30)는 출력 트랜지스터(32) 및 전류원(34)에 접속된다. 마찬가지로, 차동 증폭기(36)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출력 트랜지스터(38) 및 전류원(40)에 접속된다. 반전 트랜지스터(68)의 드레인(72)은 출력 트랜지스터(32)의 드레인(56)에 접속된다. 마찬가지로, 비반전 트랜지스터(70)의 드레인(71)은 출력 트랜지스터(38)의 드레인(56')에 접속된다. 이는 일반적으로 차동쌍(14)과 부하(22 및 24)간의 접속을 설명한다.
도 4는 제1 또는 제2 내장형 차동 증폭기(30 또는 36)로서 사용하기 위한 다른 다른 출력 차동 증폭기의 회로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내장형 차동 증폭기(30)는 제1 내지 제3 트랜지스터(92, 94 및 96) 및 전류원(98)을 가질 수 있다. 부하(22 및 24)의 출력 트랜지스터(32 및 38)에 접속될 때, 음귀환이 존재하여, 노드(46 및 46')에 인가된 기준 전압으로 노드(60 및 62)를 고정할 것이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 도 4에 나타낸 구성이 도 2의 내장형 차동 증폭기(30 및 36)대신에 사용될 경우, 안정한 동작을 위한 전류원(34 및 40)은 필요하지 않게 된다.
도 5에서, 제1, 제2, 제3 및 제4 전압 범위는 참조 번호 100, 102, 104 및 106으로 나타낸다. 제1 및 제2 전압 범위(100 및 102)는 도 1의 종래 기술의 장치에 대한 전압 범위에 대응한다.
제1 전압 범위(100)는 약 0.2볼트에서 약 1.65볼트까지의 이용가능한 종래 기술의 전압 범위를 나타내고, 제공된 0.0볼트 임계 장치는 도 1의 M1 및 M2용으로 사용된다. 제2 전압 범위(102)는 약 0.95볼트에서 약 2.6볼트까지의 이용가능한 종래 기술의 전압 범위를 나타내고, 약 1.65볼트의 이용가능한 전압 범위를 제공하며, 제공된 0.75볼트 임계 장치는 도 1의 M1 및 M2용으로 사용된다. 0.0볼트 또는 0.75볼트 임계 장치의 선택은 회로에 대한 이용가능한 공통 모드 입력 범위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선택된 장치에 따라 공통 모드 입력 범위를 0.75볼트 만큼 상승 또는 하강시킨다.
제3 및 제4 전압 범위(104 및 106)는 본 발명에 따른 도 2에 나타낸 회로에 대한 전압 범위에 상당한다. 유리하게는, 전압 범위(104 및 106)는 도 1의 종래 기술의 전압 범위보다 넓다.
특히, 제3 전압 범위(104)는 약 0.95볼트에서 약 3.35볼트까지의 범위를 제공하여, 약 2.40볼트의 이용가능한 전압 범위를 제공하며(도 2에서), 제공된 0.75볼트 임계 장치는 반전 트랜지스터(68) 및 비반전 트랜지스터(70)용으로 사용된다. 2.7볼트 이상의 전압 범위는 입력 전압이 Vdd와 Vss 사이에 있도록 할 경우에는 사용이 불가능하지만, 공통 모드 입력 범위는 0.75볼트 만큼 증가된다.
제4 전압 범위(106)는 약 0.2볼트에서 약 2.60볼트까지의 이용가능한 전압 범위를 제공하여, 약 2.40볼트의 이용가능한 범위를 제공하며, 제공된 0.0볼트 임계 장치는 반전 트랜지스터(68) 및 비반전 트랜지스터(70)용으로 사용된다. 이 예에서, 모든 공통 모드 입력 범위는 Vdd 및 Vss의 전원 한계 사이에 있고, 모든 범위는 통상 공통 전원에 국한된 회로망에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히 저전압 온도 보상 수정 발진기에 대한 온도 보상을 수행하는데 이용할 수 있고, 여기서 넓은 공통 모드 입력 전압을 갖는 저전압 완전 차동 증폭기가 구분적(piece wise) 선형 함수를 발생시키는데 필요하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의 넓은 공통 모드 범위는 종래 기술보다 좋은 노이스 퍼포먼스를 갖는 광범위한 온도 동작을 하게 한다. 특히, 전압 범위(104 및 106)는 개선된 신호대 잡음비를 발생시키는 큰 입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형태를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실시 형태의 다양한 변형 및 대체뿐만 아니라, 재배열 및 조합을 행할 수 있다.

Claims (10)

  1. (i) 반전 및 비반전 입력을 포함하는 차동쌍과 이 차동쌍에 접속된 바이어스 전류원; 및
    (ii) 제1 및 제2 부하와 반전 및 비반전 출력
    을 구비한 차동 증폭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하는 제1 내장형 차동 증폭기 및 제1 출력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내장형 차동 증폭기는 제1 반전 입력, 제1 비반전 입력 및 제1 내장형 차동 증폭기의 출력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출력 트랜지스터는 제1 게이트, 소오스 및 드레인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비반전 입력, 상기 차동쌍 및 상기 제1 출력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1 드레인이 접속되어 제1 공통 접속 노드를 정의하며,
    상기 제2 부하는 제2 내장형 차동 증폭기, 및 제2 출력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압 차동 증폭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접속 노드가 상기 차동쌍의 드레인, 상기 제1 출력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및 상기 제1 비반전 입력에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압 차동 증폭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장형 차동 증폭기의 출력은 상기 제1 게이트에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압 차동 증폭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장형 차동 증폭기의 출력이 반전 및 비반전 출력중 적어도 하나를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압 차동 증폭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전 입력이 제1 DC 전압 기준과의 접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압 차동 증폭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동쌍이 반전 및 비반전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반전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이 상기 제1 공통 접속 노드에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압 차동 증폭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게이트가 상기 제1 내장형 차동 증폭기의 상기 출력에 접속되고, 상기 제1 드레인 및 상기 제1 전류원이 상기 제1 공통 접속 노드에 접속되며, 상기 제1 소오스가 상기 차동쌍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전류가 흐르도록 하기에 충분한 DC 전원에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압 차동 증폭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DC 전압 기준이 포화 영역에서의 상기 제1 출력 트랜지스터를 바이어스하기에 충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압 차동 증폭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내장형 차동 증폭기가 제2 반전 입력 및 제2 비반전 입력과 제2 내장형 차동 증폭기의 출력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출력 트랜지스터가 제2 게이트, 소오스 및 드레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압 차동 증폭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비반전 입력 및 상기 제2 출력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2 드레인에 접속된 제2 전류원을 더 구비하여 제2 공통 접속 노드를 정의함으로써, 상기 제2 전류원이 상기 제2 출력 트랜지스터로부터 싱크(sink) 또는 소오스(source)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압 차동 증폭기.
KR1019970707743A 1995-05-03 1996-03-21 저전압차동증폭기 KR1002751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432646 1995-05-03
US08/432,646 US5530403A (en) 1995-05-03 1995-05-03 Low-voltage differential amplifier
US8/432,646 1995-05-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8217A true KR19990008217A (ko) 1999-01-25
KR100275177B1 KR100275177B1 (ko) 2000-12-15

Family

ID=23717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7743A KR100275177B1 (ko) 1995-05-03 1996-03-21 저전압차동증폭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530403A (ko)
EP (1) EP0879500A4 (ko)
JP (1) JPH11504487A (ko)
KR (1) KR100275177B1 (ko)
CN (1) CN1076546C (ko)
WO (1) WO1996035258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9207B1 (ko) * 2005-07-13 2007-01-16 네트워크케이블 주식회사 슬라이딩 여장판을 구비한 광분배함
KR100801584B1 (ko) * 1999-12-02 2008-02-05 주식회사 케이티 점퍼코드 곡면 가이드
KR100825700B1 (ko) * 2000-09-27 2008-04-29 에이디씨 게엠베하 패치패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0333A (ja) * 1996-11-18 1998-06-02 Toshiba Corp 電圧変換回路及び差動差分増幅器
FR2760888B1 (fr) * 1997-03-11 1999-05-07 Sgs Thomson Microelectronics Circuit de lecture pour memoire adapte a la mesure des courants de fuite
US5920215A (en) * 1997-06-30 1999-07-06 Sun Microsystems, Inc. Time-to-charge converter circuit
US5998978A (en) * 1998-06-29 1999-12-07 Motorol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energy fluctuations in a portable data device
US6134130A (en) * 1999-07-19 2000-10-17 Motorola, Inc. Power reception circuits for a device receiving an AC power signal
US6384637B1 (en) 2000-06-06 2002-05-07 Rambus Differential amplifier with selectable hysteresis and buffered filter
US6621348B2 (en) * 2001-10-25 2003-09-16 Motorola, Inc. Variable gain amplifier with autobiasing supply regulation
US7649426B2 (en) * 2006-09-12 2010-01-19 Ct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temperature compensation of crystal oscillators
JP4237219B2 (ja) * 2006-11-10 2009-03-11 Nec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データ受信回路とデータドライバ及び表示装置
US8221528B2 (en) 2008-08-01 2012-07-17 Velocys, Inc. Methods for applying microchannels to separate gases using liquid absorbents, especially ionic liquid (IL) absorbents
KR101143547B1 (ko) * 2011-05-26 2012-05-09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동 증폭기
US8803611B2 (en) * 2012-07-30 2014-08-12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Current mode logic circuit and method
CN103051286B (zh) * 2013-01-15 2015-04-22 成都三零嘉微电子有限公司 一种可修调的高精度弛张振荡器
KR20160041535A (ko) * 2014-10-08 2016-04-18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신호를 전송하는데 있어 피크 전류를 감소시키는 반도체 장치 및 시스템
GB2533299A (en) * 2014-12-15 2016-06-22 Nordic Semiconductor Asa Differential comparator
US9871488B2 (en) * 2015-01-28 2018-01-16 Qualcomm Incorporated Dual-mode power amplifier
US11121687B1 (en) * 2020-04-29 2021-09-14 Stmicroelectronics International N.V. Voltage gain amplifier architecture for automotive rada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23708A (en) * 1981-01-23 1982-08-02 Sanyo Electric Co Ltd Fet differential amplifying circuit
TW223700B (ko) * 1991-04-26 1994-05-11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US5331290A (en) * 1992-09-08 1994-07-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Variable gain amplifier
US5442318A (en) * 1993-10-15 1995-08-15 Hewlett Packard Corporation Gain enhancement technique for operational amplifier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1584B1 (ko) * 1999-12-02 2008-02-05 주식회사 케이티 점퍼코드 곡면 가이드
KR100825700B1 (ko) * 2000-09-27 2008-04-29 에이디씨 게엠베하 패치패널
KR100669207B1 (ko) * 2005-07-13 2007-01-16 네트워크케이블 주식회사 슬라이딩 여장판을 구비한 광분배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6035258A1 (en) 1996-11-07
JPH11504487A (ja) 1999-04-20
CN1076546C (zh) 2001-12-19
US5530403A (en) 1996-06-25
EP0879500A4 (en) 2002-04-24
KR100275177B1 (ko) 2000-12-15
EP0879500A1 (en) 1998-11-25
CN1183180A (zh) 1998-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5177B1 (ko) 저전압차동증폭기
US5736892A (en) Differential charge pump circuit with high differential impedance and low common mode impedance
US5059890A (en) Constant current source circuit
US5933056A (en) Single pole current mode common-mode feedback circuit
US7193466B2 (en) Operational transconductance amplifier with DC offset elimination and low mismatch
US6064267A (en) Current mirror utilizing amplifier to match operating voltages of input and output transconductance devices
US6891433B2 (en) Low voltage high gain amplifier circuits
JP4070533B2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
US6605964B2 (en) Comparator circuit
JPH11220341A (ja) 演算増幅器
US6400219B1 (en) High-speed offset comparator
US6788143B1 (en) Cascode stage for an operational amplifier
KR20060056419A (ko) Am 중간 주파 가변 이득 증폭 회로, 가변 이득 증폭 회로및 그 반도체 집적 회로
US20020005757A1 (en) Fully differential operational amplifier of the folded cascode type
CN112346505B (zh) 增益调变电路
KR100499856B1 (ko) 가변 이득 증폭기
US6903607B2 (en) Operational amplifier
US4333025A (en) N-Channel MOS comparator
US7170337B2 (en) Low voltage wide ratio current mirror
US6831501B1 (en) Common-mode controlled differential gain boosting
US6636109B2 (en) Amplification circuit with constant output voltage range
KR100668455B1 (ko) 가변 이득 증폭기
CN114362700B (zh) 差分放大器及其背栅控制方法
JP3252875B2 (ja) 電圧比較器
JPH0257721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