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5797U - 프런트 시트 자동 셋팅 장치 - Google Patents

프런트 시트 자동 셋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5797U
KR19990005797U KR2019970019176U KR19970019176U KR19990005797U KR 19990005797 U KR19990005797 U KR 19990005797U KR 2019970019176 U KR2019970019176 U KR 2019970019176U KR 19970019176 U KR19970019176 U KR 19970019176U KR 19990005797 U KR19990005797 U KR 1999000579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tting
front seat
seat
recliner
head 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91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정규
Original Assignee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홍종만
Priority to KR20199700191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5797U/ko
Publication of KR199900057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5797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4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 B60N2/0248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with memory of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4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 B60N2/0268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using sensors or detectors for adapting the seat or seat part, e.g. to the position of an occupa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고안은, 프런트 시트(front seat)가 시트 트랙(seat track)을 따라 상하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동시키는 프런트 시트 구동부; 상기 프런트 시트의 셋팅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프런트 시트 구동부에 제 1 구동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프런트 시트 조작 수단; 상기 프런트 시트 조작 수단에 의해 셋팅된 상기 프런트 시트의 셋팅 위치를 적어도 하나 이상 기억하기 위한 제 1 기억 수단; 및 상기 제 1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프런트 시트의 셋팅 위치를 운전자의 선택에 의해 자동 셋팅하기 위해 상기 프런트 시트 구동부에 자동 셋팅 구동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자동 셋팅 선택 수단을 포함하는 프런트 시트 자동 셋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다수의 운전자 및 운자 자세에 각각 대응되도록 셋팅된 프런트 시트의 셋팅 위치를 기억 장치에 기억시켰다가 운전자가 바뀌거나 운전 자세가 변경되었을 때, 간단한 버튼식 스위치 조작만으로 프런트 시트의 셋팅 위치와 시트 백(seat back)의 각도 및 헤드 레스트(head rest)의 높이(그리고 각도)를 기설정된 위치에 셋팅시킴으로써 프런트 시트 셋팅의 자동화와 운전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프런트 시트 자동 셋팅 장치
본 고안은 프런트 시트의 자동 셋팅 장치(auto-setting apparatus of front seat)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운전자 체형 및 각각의 운전 자세에 적합하게 조절된 프런트 시트(front seat)의 위치를 기억하여 운전자가 바뀌더라도 용이하게 운전자의 체형에 적합하게 조절 가능한 프런트 시트의 셋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대부분의 자동차에 있어서, 프런트 시트는 벤치식(bench type)으로 고안된 리어 시트(rear seat)와 달리 세퍼레이트식(separate type)으로 설계되고 있다.
기능적인 측면에서 볼 때, 자동차의 프런트 시트는 운전석과 조수석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양자를 모두 지칭하는 것이 되고 있으나, 본 고안의 취지상 본원에서는 운전석을 중심으로 프런트 시트를 살펴 보기로 한다.
프런트 시트는 운전자에게 운전의 안정성과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해 우측 통행제를 따르는 지역에서는 차량 내부의 우측 전방에 좌측 통행제를 채택하는 지역에서는 차량 내부의 좌측 전방에 설치되는 것으로, 운전자에게 양호한 승차감을 제공함과 동시에 운전 시에 최적의 운행성과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설계되고 있다.
적절한 프런트 시트의 배치 및 기능에 의해 운전자의 편의와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각 운전자의 체형에 따라 적절하게 설치되어 사이드 미러 및 룸 미러를 통해 각각 운전자의 눈과 후측방 그리고 운전자의 눈과 후직방과의 양호한 관측각이 형성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손을 이용하여 핸들, 변속기, 각종 계기, 냉온방 장치, 음향 기기 등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어야 하며, 발을 이용한 클러치와 액셀레이터 및 브레이크 등의 조작에도 무리가 없어야 한다.
한편, 장시간 운전을 하는 경우나 또는 장거리 운전 등에서는 운전자의 피로감을 최소화시켜 줄 수 있도록 머리, 목, 척추, 둔부에 걸쳐 자연스러운 자세를 형성시켜주어야 하는데, 최근 들어서는 추돌 사고와 같은 교통 사고를 당할 경우에도 운전자를 최대한 보호할 수 있도록 프런트 시트의 설계에 인체 공학적 개념이 채택되고 있다.
이와 같은 프런트 시트에 있어서, 두 명 이상의 운전자에 의해 차량이 운전될 때, 운전자의 체형별로 프런트 시트의 위치와 시트 백(seat back)의 각도 및 헤드 레스트(head rest)의 높이(그리고 각도)가 상이해 질 수 있으며, 동일 운전자 일지라도 선호하는 각각의 운전 자세에 따라 프런트 시트의 위치와 시트 백(seat back)의 각도 및 헤드 레스트(head rest)의 높이(그리고 각도)가 상이해 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상, 운전자는 차량을 운행하기 전에 자신의 체형 및 운전 자세에 적합한 상태로 프런트 시트를 점검·조작하는 것이 바람직한 운전 습관으로 권장되고 있지만, 이를 망각하여 차량을 운행하는 중에 이에 대한 조작을 수행하는 운전자가 많은 것이 사실임에 따라 운전자 자신 뿐만 아니라 타운전자들의 안전을 저해하는 커다란 요인이 되고 있다.
다시 말해서, 일반적인 프런트 시트는 전술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운전자의 체형과 운전 자세에 맞게 프런트 시트의 위치와 시트 백(seat back)의 각도 및 헤드 레스트(head rest)의 높이(그리고 각도)를 가변시킬 수 있지만, 이에 따라 동일 차량으로 두 명 이상의 운전자가 운전하거나 또는 동일 운전자 일지라도 운전 자세를 바꿀 경우에는 매번 프런트 시트의 위치를 수동으로 변경해야 함에 따라 조작의 불편함이 해소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조작을 이동 중에 이루어질 경우에는 많은 위험 부담을 감수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다수의 운전자 및 운자 자세에 각각 대응되도록 셋팅된 프런트 시트의 셋팅 위치를 기억 장치에 기억시켰다가 운전자가 바뀌거나 운전 자세가 변경되었을 때, 간단한 버튼식 스위치 조작만으로 프런트 시트의 셋팅 위치를 기설정된 위치에 셋팅시킴으로써 프런트 시트 셋팅의 자동화와 운전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프런트 시트의 자동 셋팅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다수의 운전자 및 운자 자세에 각각 대응되도록 셋팅된 시트 백(seat back)의 각도 및 헤드 레스트(head rest)의 높이(그리고 각도)를 기억 장치에 기억시켰다가 운전자가 바뀌거나 운전 자세가 변경되었을 때, 간단한 버튼식 스위치 조작만으로 시트 백(seat back)의 각도 및 헤드 레스트(head rest)의 높이(그리고 각도)를 기설정된 위치에 셋팅시킴으로써 프런트 시트 셋팅의 자동화와 운전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프런트 시트의 자동 셋팅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프런트 시트의 일례를 분해하여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프런트 시트 자동 셋팅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시트 쿠션 2 : 시트 백
9 : 스테이 3 : 헤드 레스트
4 : 리클라이너 5 : 시트 트랙
10 : 프런트 시트 15 : 프런트 시트 구동부
20 : 프런트 시트 조작 스위치 30 : 제 1 기억 장치
40 : 제 1 기억 선택 스위치 50 : 자동 셋팅 선택 스위치
110 : 리클라이너 구동부 120 : 리클라이너 조작 스위치
130 : 제 2 기억 장치 140 : 2 기억 선택 스위치
210 : 헤드 레스트 구동부 220 : 헤드 레스트 조작 스위치
230 : 제 3 기억 장치 240 : 제 3 기억 선택 스위치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프런트 시트 자동 셋팅 장치는, 프런트 시트(front seat)가 시트 트랙(seat track)을 따라 상하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동시키는 프런트 시트 구동부;
상기 프런트 시트의 셋팅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프런트 시트 구동부에 제 1 구동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프런트 시트 조작 수단;
상기 프런트 시트 조작 수단에 의해 셋팅된 상기 프런트 시트의 셋팅 위치를 적어도 하나 이상 기억하기 위한 제 1 기억 수단; 및
상기 제 1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프런트 시트의 셋팅 위치를 운전자의 선택에 의해 자동 셋팅하기 위해 상기 프런트 시트 구동부에 자동 셋팅 구동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자동 셋팅 선택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은 프런트 시트(front seat)가 시트 트랙(seat track)을 따라 상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시키는 프런트 시트 구동부;
상기 프런트 시트의 셋팅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프런트 시트 구동부에 제 1 구동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프런트 시트 조작 수단;
상기 프런트 시트 조작 수단에 의해 셋팅된 상기 프런트 시트의 셋팅 위치를 적어도 하나 이상 기억하기 위한 제 1 기억 수단;
프런트 시트의 시트 쿠션(seat cushion)과 시트 백(seat back)의 각도인 리클라이너 각(recliner angle)을 조절하기 위해 리클라이너(recliner)를 전후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리클라이너 구동부;
상기 리클라이너 각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리클라이너 구동부에 제 2 구동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리클라이너 조작 수단;
상기 리클라이너 조작 수단에 의해 셋팅된 상기 리클라이너 각을 적어도 하나 이상 기억하기 위한 제 2 기억 수단; 및
상기 제 1 기억 수단 및 상기 제 2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프런트 시트의 셋팅 위치 및 상기 리클라이너 각을 운전자의 선택에 의해 자동 셋팅하기 위해 상기 프런트 시트 구동부 및 상기 리클라이너에 자동 셋팅 구동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자동 셋팅 선택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프런트 시트의 일례를 분해하여 도시한 예시도이다.
일반적인 프런트 시트(1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요하게는 시트 쿠션(seat cushion; 1)과, 시트 백(seat back; 2)과, 헤드 레스트(head rest; 3)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프런트 시트(10)는 시트 쿠션(1)과 시트 백(2)을 힌지 결합(hinge connection)시키는 리클라이너(recliner; 4)를 구비하며, 상기 시트 쿠션(1)을 프런트 패널(front panel; 8)에 고착시켜주고 시트 조정 레버(seat adjust lever; 6)의 조작에 의해 전후에 대한 이동성을 제공하는 시트 트랙(seat track; 5)에 결합·고착된다. 이때, 리클라이너(4)는 상기 시트 트랙(5)에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상기 시트 트랙(5)과 분리된 상태에서 시트 쿠션(1)과 시트 백(2)만을 힌지 결합하는 것일 수도 있다. 한편, 리클라이너(4)에는 리클라이너 노브(recliner nob; 7)가 구비되어 있어 이를 이용함으로써 시트 쿠션(1)과 시트 백(2)간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한편, 헤드 레스트(3)는 스테이(stay; 9)에 의해 상기 시트 백(2)의 상단부에 상하 수직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그 유형에는 헤드 레스트(3) 내부에서 상기 스테이(9)와 힌지 결합되어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유형이 있으며, 또 다른 것으로는 이러한 힌지 결합이 배제됨에 따라 고정식으로 되어 있는 유형이 있다.
이하, 본 고안 프런트 시트 자동 셋팅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프런트 시트 자동 셋팅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시트 쿠션(1)과, 시트 백(2)과, 스테이(9)에 의해 상기 시트 백(2)의 상단부에 상하 수직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헤드 레스트(3)와, 시트 쿠션(1)과 시트 백(2)을 힌지 결합시키는 리클라이너(4)와, 시트 트랙(5)을 구비한 프런트 시트(10);
프런트 시트(10)가 시트 트랙(5)상에서 상하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동시키는 프런트 시트 구동부(15);
상기 프런트 시트의 셋팅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프런트 시트 구동부(15)에 제 1 구동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프런트 시트 조작 스위치(20);
상기 프런트 시트 조작 스위치(20)에 의해 셋팅된 상기 프런트 시트의 셋팅 위치를 적어도 하나 이상 기억하기 위한 제 1 기억 장치(30);
상기 프런트 시트 조작 스위치(20)의 조작에 의해 결정된 프런트 시트(10)의 셋팅 위치를 상기 제 1 기억 장치(30)에 기억시킬지 여부를 결정하는 제 1 기억 선택 스위치(40);
프런트 시트(10)의 시트 쿠션(1)과 시트 백(2)의 각도인 리클라이너 각(recliner angle)을 조절하기 위해 리클라이너(4)를 전후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리클라이너 구동부(110);
상기 리클라이너 각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리클라이너 구동부(110)에 제 2 구동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리클라이너 조작 스위치(120);
상기 리클라이너 조작 스위치(120)에 의해 셋팅된 상기 리클라이너 각을 적어도 하나 이상 기억하기 위한 제 2 기억 장치(130);
상기 리클라이너 조작 스위치(120)의 조작에 의해 결정된 리클라이너 각을 상기 제 2 기억 장치(130)에 기억시킬지 여부를 결정하는 제 2 기억 선택 스위치(140);
스테이(9)에 의해 상기 시트 백(2)의 상단부에 결합된 헤드 레스트(3)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해 상기 헤드 레스트(3)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동시키는 헤드 레스트 구동부(210);
상기 헤드 레스트의 높이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헤드 레스트 구동부(210)에 제 3 구동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헤드 레스트 조작 스위치(220);
상기 헤드 레스트 조작 스위치(220)에 의해 셋팅된 상기 헤드 레스트의 높이를 적어도 하나 이상 기억하기 위한 제 3 기억 장치(330);
상기 헤드 레스트 조작 스위치(220)의 조작에 의해 결정된 헤드 레스트의 높이를 상기 제 3 기억 장치(330)에 기억시킬지 여부를 결정하는 제 3 기억 선택 스위치(240);
상기 제 1 기억 장치(30)와 상기 제 2 기억 장치(130) 및 상기 제 3 기억 장치(230)에 각각 기억된 상기 프런트 시트의 셋팅 위치와 상기 리클라이너 각 및 상기 헤드 레스트의 높이를 운전자의 선택에 의해 자동 셋팅하기 위해 상기 프런트 시트 구동부(15)와 상기 리클라이너 구동부(110) 및 상기 헤드 레스트 구동부(210)에 자동 셋팅 구동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자동 셋팅 선택 스위치(5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프런트 시트 구동부(15)와 상기 리클라이너 구동부(110) 및 헤드 레스트 구동부(210)의 구동원으로는 제어 펄스에 의해 정밀하게 작동하는 스텝핑 모터(stepping motor)가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프런트 시트 자동 셋팅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작용을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프런트 시트의 셋팅 위치와 헤드 레스트의 높이 및 헤드 레스트의 높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변시킬 필요가 있거나 새로운 셋팅 위치를 각각 제 1 기억 장치(30)와 제 2 기억 장치(130) 및 제 3 기억 장치(2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억시킬 필요가 있을 경우, 각각 프런트 시트 조작 스위치(20)와 리클라이너 조작 스위치(120) 및 헤드 레스트 조작 스위치(220)를 통해 제 1 구동 제어 신호와 제 2 구동 제어 신호 및 제 3 구동 제어 신호를 발생하여 각각 프런트 시트의 셋팅 위치와 리클라이너 각 및 헤드 레스트의 높이를 원하는 곳에 셋팅되도록 조작한다.
이때, 프런트 시트 구동부(15)는 제 1 구동 제어 신호에 따라 프런트 시트(10)를 상하 전후 방향로 회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리클라이너 구동부(110)는 제 2 구동 제어 신호에 따라 리클라이너(4)를 상하로 회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며, 헤드 레스트 구동부(210)는 제 3 구동 제어 신호에 따라 헤드 레스트의 높이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실질적인 셋팅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한편, 프런트 시트의 셋팅 위치와 리클라이너 각 및 헤드 레스트의 높이는 각각 프런트 시트 조작 스위치(20)와 리클라이너 조작 스위치(120) 및 헤드 레스트 조작 스위치(220)에 의해 조작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동적으로 조작할 수도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다시 말해서, 어떤 운전자에게는 프런트 시트의 셋팅 위치 와 리클라이너 각 및 헤드 레스트의 높이를 수동 조작에 의해 가변시키는 것이 더 편리하고 익숙할 수도 있음에 따라 이와 같은 사실을 반영할 수 있어야 함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와 같은 조작에 의해 결정된 프런트 시트의 셋팅 위치와 리클라이너 각 및 헤드 레스트의 높이를 기억시킬 필요가 있으면, 각각 제 1 기억 선택 스위치(40)와 제 2 기억 선택 스위치(140) 및 제 3 기억 선택 스위치(240)를 통해 이를 결정하게 되는 데, 이때, 제 1 기억 선택 스위치(40)와 제 2 기억 선택 스위치(140) 및 제 3 기억 선택 스위치(240)는 각각 독자적으로 다수의 선택 버튼을 구비하여 각 선택 버튼에 대응하는 해당 번호에 각각의 셋팅 위치를 기억시킬 수 있도록 하거나 단일 선택 스위치를 구비하더라도 반복적으로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다수의 셋팅 위치를 원하는 해당 번호에 선택적으로 기억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프런트 시트의 셋팅 위치와 이에 대응하는 리클라이너 각 및 헤드 레스트의 높이에 각각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여 제 1 기억 장치(30)와 제 2 기억 장치(130) 및 제 3 기억 장치(230)에 저장함으로써 자동 셋팅 선택 스위치(50)에 의해 다수의 조를 이루는 프런트 시트의 셋팅 위치와 리클라이너 각 및 헤드 레스트의 높이들 중 선택된 운전자 및 운전 자세에 대응하는 어느 한조가 선택되도록 한다.
다시 말해서, 자동 셋팅 선택 스위치(50)를 통해 원하는 해당 번호를 선택하면, 프런트 시트의 셋팅 위치와 리클라이너 각 및 헤드 레스트의 높이가 제 1 기억 장치(30)와 제 2 기억 장치(130) 및 제 3 기억 장치(230)로부터 판독된다. 이에 따라 이에 해당되는 자동 셋팅 구동 제어 신호가 상기 프런트 시트 구동부(15)와 리클라이너 구동부(110) 및 헤드 레스트 구동부(210)에 인가됨으로써 기설정된 셋팅 위치로 간단한 자동 셋팅 선택 스위치(50)의 조작에 의해 한 번에 셋팅 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상기 자동 셋팅 구동 제어 신호는 프런트 시트 구동부(15)와 리클라이너 구동부(110) 및 헤드 레스트 구동부(210)가 프런트 시트(10)와 리클라이너(4) 및 헤드 레스트(3)를 구동하여 각각 선택된 셋팅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 1 구동 제어 신호와 제 2 구동 제어 신호 및 제 3 구동 제어 신호로 구성되는 것임은 주지의 사실이다.
여기서, 프런트 시트 구동부(15)와 리클라이너 구동부(110) 및 헤드 레스트 구동부(210)는 스텝핑 모터로 구성되고, 제 1 구동 제어 신호, 제 2 구동 제어 신호 및 제 3 구동 제어 신호 그리고 자동 셋팅 구동 제어 신호로는 이 스텝핑 모터들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제어 펄스들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임의의 셋팅 위치에서 자동 셋팅 선택 스위치(50)를 통해 선택한 프런트 시트의 셋팅 위치와 리클라이너 각 및 헤드 레스트의 높이로 변경하기 위해서는 기준점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계산하여 이를 보상하는 통상적인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각각 프런트 시트(10)와 리클라이너(4) 및 헤드 레스트(3)에 있어서, 전후 기준점과 상하 기준점 및 수직 기준점에 대해 현재의 위치로 프런트 시트(10)와 리클라이너(4) 및 헤드 레스트(3)를 이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상하 전후 방향에 대한 제어 펄스 수와 상하 회전 방향에 대한 제어 펄스 수를 저장하고 있다가, 전후 기준점과 상하 기준점 및 수직 기준점으로부터 자동 셋팅에 의해 선택된 셋팅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에 대한 제어 펄스 수와 상하 회전 방향에 대한 제어 펄스 수로 이루어진 자동 셋팅 구동 제어 신호가 인가되면 이들 간의 차를 구하여 그에 해당하는 제어 펄스를 인가함으로써 자동 셋팅 작업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프런트 시트 조작 스위치(20), 리클라이너 조작 스위치(120), 제 1 기억 선택 스위치(40), 제 2 기억 선택 스위치(140) 제 3 기억 선택 스위치(240), 자동 셋팅 선택 스위치(50) 등과 같이 다수의 조작 및 선택 스위치를 구비하고 있으나 이는 본 고안의 일례를 제시하기 위한 것으로 채택되고 있을 뿐이며, 선택 모드를 조정할 경우, 더 적은 수의 스위치를 이용하면서도 동일한 조작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며,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는 제 1 기억 장치(30)와 제 2 기억 장치(130) 및 제 3 기억 장치(230)를 각각 구비한 것을 예시하였으나 동일한 저장 장치를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즉, 동일한 저장 장치를 이용하면서 이들에 대한 각각의 어드레스를 부여하여 데이터 베이스화한다면 이것은 같은 의미로 간주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헤드 레스트 구동부(3)는 헤드 레스트의 높이를 상하 방향을 조정하는 것에 국한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로는 헤드 레스트의 높이와 더불어 시트 백(2)과 헤드 레스트(3)가 이루는 각도인 헤드 레스트 각을 전후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 기억 장치(130)에 헤드 레스트 각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자동 셋팅 선택 스위치(50)에 의해 헤드 레스트(3)는 상하 방향에 따른 높이가 조정되고 전후 방향에 대한 헤드 레스트 각이 전동식으로 자동 셋팅될 수 있다.
그리고, 셋팅 위치를 변경하는 신규 셋팅 조작과 기억 장치에 기록된 프런트 시트의 셋팅 위치와 리클라이너 각 및 헤드 레스트의 높이를 이용하는 자동 셋팅 조작을 전환시켜 줄 수 있는 모드 선택 스위치(6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일례를 들어 이를 좀 더 상술하면, 상기 프런트 시트의 셋팅 위치와 리클라이너 각 및 헤드 레스트의 높이를 변경하는 신규 셋팅 조작과 제 1 기억 장치(30)와 제 2 기억 장치(130) 및 제 3 기억 장치(230)에 기록된 셋팅 위치를 이용하는 자동 셋팅 조작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 선택 스위치(60)를 더 구비할 경우, 상기 프런트 시트 구동부(15)는 상기 모드 선택 스위치(60)를 통해 상기 자동 셋팅 조작이 선택됨에 따라 상기 프런트 시트(10)의 셋팅 위치가 기설정된 제 1 전후 기준점과 제 1 상하 기준점에 대한 현 셋팅 위치와 상기 자동 셋팅 선택 스위치(50)를 통해 제 1 기억 장치(30)로부터 선택된 프런트 시트의 셋팅 위치 간의 차에 대응하는 구동 펄스로 회동하는 스텝핑 모터를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리클라이너 구동부(110)는 상기 모드 선택 스위치(60)를 통해 상기 자동 셋팅 조작이 선택됨에 따라 상기 리클라이너 각이 기설정된 제 1 수직 기준점에 대한 현 리클라이너 각과 상기 자동 셋팅 선택 스위치(50)를 통해 제 2 기억 장치(130)로부터 선택된 리클라이너 각 간의 차에 대응하는 구동 펄스로 회동하는 스텝핑 모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헤드 레스트 구동부(210)는 상기 모드 선택 스위치(60)를 통해 상기 자동 셋팅 조작이 선택됨에 따라 상기 헤드 레스트의 높이가 기설정된 제 2 상하 기준점과 제 2 전후 기준점에 대한 현 헤드 레스트의 높이 및 헤드 레스트 각과 상기 자동 셋팅 선택 스위치(50)를 통해 제 3 기억 장치(230)로부터 선택된 헤드 레스트의 높이 및 헤드 레스트 각 간의 차에 대응하는 구동 펄스로 회동하는 스텝핑 모터를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프런트 시트 구동부(15), 리클라이너 구동부(110), 헤드 레스트 구동부(210)는 상기 자동 셋팅 선택 스위치(50)에 의해 동시에 자동 셋팅 상태로 조작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 독립적으로 자동 셋팅이 조작할 수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특히, 본 고안의 프런트 시트 구동부(15), 리클라이너 구동부(110), 헤드 레스트 구동부(210) 중 어느 하나의 구동부만을 구비하더라도 본 고안에서 이루고자 하는 소정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원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고안을 설명했으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인 난이도 측면을 고려할 때, 당분야에 통상적인 기술을 가진 사람이면 용이하게 본 고안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와 다른 변형을 가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설명에서 사상을 인용한 실시예와 변형은 모두 본 고안의 청구 범위에 모두 귀속됨은 명백하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프런트 시트(front seat)가 시트 트랙(seat track)을 따라 상하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동시키는 프런트 시트 구동부; 상기 프런트 시트의 셋팅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프런트 시트 구동부에 제 1 구동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프런트 시트 조작 수단; 상기 프런트 시트 조작 수단에 의해 셋팅된 상기 프런트 시트의 셋팅 위치를 적어도 하나 이상 기억하기 위한 제 1 기억 수단; 및 상기 제 1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프런트 시트의 셋팅 위치를 운전자의 선택에 의해 자동 셋팅하기 위해 상기 프런트 시트 구동부에 자동 셋팅 구동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자동 셋팅 선택 수단을 포함하는 본 고안에 따르면, 다수의 운전자 및 운자 자세에 각각 대응되도록 셋팅된 프런트 시트의 셋팅 위치를 기억 장치에 기억시켰다가 운전자가 바뀌거나 운전 자세가 변경되었을 때, 간단한 버튼식 스위치 조작만으로 프런트 시트의 셋팅 위치와 시트 백(seat back)의 각도 및 헤드 레스트(head rest)의 높이(그리고 각도)를 기설정된 위치에 셋팅시킴으로써 프런트 시트 셋팅의 자동화와 운전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프런트 시트(front seat)가 시트 트랙(seat track)을 따라 상하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동시키는 프런트 시트 구동부;
    상기 프런트 시트의 셋팅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프런트 시트 구동부에 제 1 구동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프런트 시트 조작 수단;
    상기 프런트 시트 조작 수단에 의해 셋팅된 상기 프런트 시트의 셋팅 위치를 적어도 하나 이상 기억하기 위한 제 1 기억 수단; 및
    상기 제 1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프런트 시트의 셋팅 위치를 운전자의 선택에 의해 자동 셋팅하기 위해 상기 프런트 시트 구동부에 자동 셋팅 구동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자동 셋팅 선택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런트 시트 자동 셋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시트의 셋팅 위치를 변경하는 신규 셋팅 조작과 상기 제 1 기억 장치에 기록된 셋팅 위치를 이용하는 자동 셋팅 조작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 선택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프런트 시트 자동 셋팅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시트 구동부는 상기 모드 선택 수단을 통해 상기 자동 셋팅 조작이 선택됨에 따라 상기 프런트 시트의 셋팅 위치가 기설정된 제 1 전후 기준점과 제 1 상하 기준점에 대한 현 셋팅 위치와 상기 자동 셋팅 선택 수단을 통해 제 1 기억 수단으로부터 선택된 프런트 시트의 셋팅 위치 간의 차에 대응하는 구동 펄스로 회동하는 스텝핑 모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프런트 시트 자동 셋팅 장치.
  4. 프런트 시트(front seat)가 시트 트랙(seat track)을 따라 상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시키는 프런트 시트 구동부;
    상기 프런트 시트의 셋팅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프런트 시트 구동부에 제 1 구동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프런트 시트 조작 수단;
    상기 프런트 시트 조작 수단에 의해 셋팅된 상기 프런트 시트의 셋팅 위치를 적어도 하나 이상 기억하기 위한 제 1 기억 수단;
    프런트 시트의 시트 쿠션(seat cushion)과 시트 백(seat back)의 각도인 리클라이너 각(recliner angle)을 조절하기 위해 리클라이너(recliner)를 전후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리클라이너 구동부;
    상기 리클라이너 각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리클라이너 구동부에 제 2 구동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리클라이너 조작 수단;
    상기 리클라이너 조작 수단에 의해 셋팅된 상기 리클라이너 각을 적어도 하나 이상 기억하기 위한 제 2 기억 수단; 및
    상기 제 1 기억 수단 및 상기 제 2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프런트 시트의 셋팅 위치 및 상기 리클라이너 각을 운전자의 선택에 의해 자동 셋팅하기 위해 상기 프런트 시트 구동부 및 상기 리클라이너에 자동 셋팅 구동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자동 셋팅 선택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프런트 시트 자동 셋팅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시트의 셋팅 위치 및 상기 리클라이너 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하는 신규 셋팅 조작과 상기 제 1 기억 장치에 기록된 셋팅 위치를 이용하는 자동 셋팅 조작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 선택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프런트 시트 자동 셋팅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시트 구동부는 상기 모드 선택 수단을 통해 상기 자동 셋팅 조작이 선택됨에 따라 상기 프런트 시트의 셋팅 위치가 기설정된 제 1 전후 기준점과 제 1 상하 기준점에 대한 현 셋팅 위치와 상기 자동 셋팅 선택 수단을 통해 제 1 기억 수단으로부터 선택된 프런트 시트의 셋팅 위치 간의 차에 대응하는 구동 펄스로 회동하는 스텝핑 모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프런트 시트 자동 셋팅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리클라이너 구동부는 상기 모드 선택 스위치를 통해 상기 자동 셋팅 조작이 선택됨에 따라 상기 리클라이너 각이 기설정된 제 1 수직 기준점에 대한 현 리클라이너 각과 상기 자동 셋팅 선택 스위치를 통해 제 2 기억 장치로부터 선택된 리클라이너 각 간의 차에 대응하는 구동 펄스로 회동하는 스텝핑 모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런트 시트 자동 셋팅 장치.
  8. 스테이에 의해 상기 시트 백의 상단부에 결합된 헤드 레스트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해 상기 헤드 레스트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동시키는 헤드 레스트 구동부;
    상기 헤드 레스트의 높이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헤드 레스트 구동부에 제 3 구동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헤드 레스트 조작 스위치;
    상기 헤드 레스트 조작 스위치에 의해 셋팅된 상기 헤드 레스트의 높이를 적어도 하나 이상 기억하기 위한 제 3 기억 장치; 및
    상기 헤드 레스트 조작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결정된 헤드 레스트의 높이를 상기 제 3 기억 장치에 기억시킬지 여부를 결정하는 제 3 기억 선택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동 선택 수단이 상기 제 3 기억 장치 기억된 상기 헤드 레스트의 높이를 운전자의 선택에 의해 자동 셋팅하기 위해 상기 헤드 레스트 구동부에 자동 셋팅 구동 제어 신호를 더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런트 시트 자동 셋팅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레스트 구동부는 상기 시트 백과 상기 헤드 레스트가 이루는 각도인 헤드 레스트 각을 전후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 기억 장치는 상기 헤드 레스트 각을 자동 셋팅하기 위해 상기 헤드 레스트 각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런트 시트 자동 셋팅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레스트 구동부는 상기 모드 선택 스위치를 통해 상기 자동 셋팅 조작이 선택됨에 따라 상기 헤드 레스트의 높이가 기설정된 제 2 상하 기준점과 제 2 전후 기준점에 대한 현 헤드 레스트의 높이 및 헤드 레스트 각과 상기 자동 셋팅 선택 스위치를 통해 제 3 기억 장치로부터 선택된 헤드 레스트의 높이 및 헤드 레스트 각 간의 차에 대응하는 구동 펄스로 회동하는 스텝핑 모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런트 시트 자동 셋팅 장치.
KR2019970019176U 1997-07-21 1997-07-21 프런트 시트 자동 셋팅 장치 KR1999000579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9176U KR19990005797U (ko) 1997-07-21 1997-07-21 프런트 시트 자동 셋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9176U KR19990005797U (ko) 1997-07-21 1997-07-21 프런트 시트 자동 셋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5797U true KR19990005797U (ko) 1999-02-18

Family

ID=69687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9176U KR19990005797U (ko) 1997-07-21 1997-07-21 프런트 시트 자동 셋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5797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57631B2 (ja) 自動乗物の少なくとも2つの要素の位置を調節するシステム
US5095257A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headrest in automotive seat
CN110281859A (zh) 控制机动车辆座椅的电动可调腰部支撑件的操作者控制单元
JP2003285673A (ja) 車両のリヤシート姿勢変更装置
JPH03178839A (ja) 作動装置を介して調整可能な車両用シートの遠隔制御のためのスイッチグループ
JP4492383B2 (ja) 自動車のシート位置調整装置
JP2002144937A (ja) 自動車用パワーシートスイッチ装置
JP7368687B2 (ja) アームレスト装置
US7512470B2 (en) Cockpit of an automotive vehicle with a steering wheel and an adjustable seat
JP3715278B2 (ja) 切替え装置
JPS63284043A (ja) 自動車のリヤシ−トシステム
JP4475796B2 (ja) 設備制御装置
US7552000B2 (en) Cockpit of an automotive vehicle with a steering wheel and an adjustable seat
US5245142A (en) Switch group for the remote control of a vehicle seat adjustable via actuating drives
KR19990005797U (ko) 프런트 시트 자동 셋팅 장치
JP3303716B2 (ja) 車両用シート姿勢制御装置
JPH10969A (ja) 車両用パワーシートの操作スイッチ
KR19990011010A (ko) 사이드 미러 및 룸 미러 자동 세팅 장치
JPS62101542A (ja) 車両用シ−トの調整装置
JP2555980Y2 (ja) 自動車用シート
JPS62101544A (ja) 車両用シ−トの調整装置
JPH08268125A (ja) 車両用シートの制御装置
JP6926267B2 (ja) 車両用シート
JPH1111191A (ja) 車両用座席配置制御装置
JP2005162164A (ja) 車両の運転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